KR20150009061A -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61A
KR20150009061A KR1020130082079A KR20130082079A KR20150009061A KR 20150009061 A KR20150009061 A KR 20150009061A KR 1020130082079 A KR1020130082079 A KR 1020130082079A KR 20130082079 A KR20130082079 A KR 20130082079A KR 20150009061 A KR20150009061 A KR 20150009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ortable terminal
additional information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067B1 (ko
Inventor
이재근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067B1/ko
Priority to US14/327,873 priority patent/US20150019976A1/en
Priority to EP14822473.6A priority patent/EP3022847B1/en
Priority to PCT/KR2014/006255 priority patent/WO2015005721A1/en
Publication of KR20150009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휴대 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고,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의 대기 화면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컨텐츠가 컨텐츠 재생 기기에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 기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길 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에서 방송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의 내용, 주인공, 재생시간, 관련 영상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알길 원한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일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한편, 통신 기술을 발달로 인해, 근래에는 디지털 TV와 같은 컨텐츠 재생 기기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 사이의 통신 연결이 가능하다. 특히, 컨텐츠 재생 기기와 휴대 단말 사이에는 다양한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송수신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손쉽게 컨텐츠 재생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컨텐츠 재생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실행 아이템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화면(lock scree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에 잠금 상태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시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대응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on)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는,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며,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실행 아이템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화면(lock scree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화면에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에 잠금 상태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시작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대응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on)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는,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며,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손쉽게 컨텐츠 재생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상세한 도시한 블럭도,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휴대 단말(100), 컨텐츠 재생 기기(200) 및 정보 제공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PDA, 태블릿 PC, 휴대폰,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디지털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BD 플레이어,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휴대 단말(100)과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 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주변에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있는지 여부를 디스커버리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 기기가 디스커버리 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커버리 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 기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선택된 컨텐츠 재생 기기(2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통신 연결 수락 신호가 수신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연결되는 동안, 휴대 단말(100)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드는 움직임 패턴)을 충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드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 또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감지된 이후에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기 이전이더라도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수신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을 통해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통신부(110), 감지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 또는 정보 제공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실행 아이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제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100)이 스마트 폰인 경우, 대기 화면은 잠금 해제 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수신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100)의 대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ON) 된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연결되는 동안,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드는 움직임)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통해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대응되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기 전 주기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를 통해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기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중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수신된 부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 된 후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휴대 단말(100)이 스마트 폰인 경우, 대기 화면은 잠금 해제 화면일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에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및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표시 아이템에는 방송 컨텐츠의 제목, 주연, 줄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행 아이템에는 현재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실행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30)를 통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실행 아이템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잠금 해제 아이템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비밀번호 입력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아이템에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채널, 볼륨, 전원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에 잠금 상태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휴대 단말(100)의 시작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해제 아이템에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휴대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시작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100)에 의해,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없이 휴대 단말(100)에 기설정된 모션이 감지된 경우 부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통신부(110), 감지부(120), 디스플레이부(140), 오디오 출력부(160), 저장부(170), 영상 처리부(180), 오디오 처리부(190), 입력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은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공유 기능, 통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10)는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의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및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및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10)가 블루투스 방식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경우, 통신부(110)는 주위에 통신을 연결할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탐색하기 위해 디스커버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동작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 기기가 검색된 경우,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 기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가 와이파이 방식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수행할 경우, 통신부(110)는 이전에 연결된 컨텐츠 재생 기기(200) 또는 기설정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바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한 경우, 통신부(110)는 다양한 요청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 컨텐츠 재생 기기 확인 요청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이 대기 모드에 진입하더라도 감지부(120)는 전원이 공급되며,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휴대 단말이 위로 움직이는 패턴 등)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설정된 조건이 휴대 단말(100)이 위로 움직이는 조건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40)가 위로 향하여 위로 움직이는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감지부(120)가 카메라로 구현되는 경우,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눈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응시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8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15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9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10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7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휴대 단말(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7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휴대 단말(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처리부(18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8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9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9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9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출력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입력부(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입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51), ROM(152), 그래픽 처리부(153), 메인 CPU(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버스(156)를 포함한다. 이때, RAM(151), ROM(152), 그래픽 처리부(153), 메인 CPU(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등은 버스(1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54)는 ROM(1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70)에 저장된 O/S를 RAM(1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54)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51)에 복사하고, RAM(1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5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특히, 그래픽 처리부(153)는 동영상이 포함된 피드를 포함하는 UI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CPU(154)는 저장부(17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7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54)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내지 1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에 의해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ON)된 경우, 제어부(150)는 주위의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있다. 이때,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은 외부의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말한다.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은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 되거나 오프될 수 있다. 또는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은 기설정된 모션 동작에 의해 온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기설정된 횟수만큼 흔드는 모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을 온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앞면을 향한 상태로 팔을 반원을 그리듯이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들여올려지는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설정된 조건이 팔을 반원을 그리듯이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들여 올려지는 패턴인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설정된 움직임 조건은 다른 움직임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100)을 앞면(즉, 디스플레이부(140)가 구비된 면)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는 움직임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의 앞면이 보이는 상태에서 들어올려져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움직임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들어올리는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들어올리는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 경우,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유형의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기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EPG 데이터)를 검색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컨텐츠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채널 명, 채널 번호, 프로그램 명 등)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0)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부가 정보 요청 신호에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기 전,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EPG 데이터 등)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컨텐츠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채널 명, 채널 번호, 프로그램 명 등)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부가 정보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뿐만 아니라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방송 컨텐츠의 줄거리, 등장 인물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방송 컨텐츠를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일반적인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방송 컨텐츠의 줄거리, 등장 인물, 제품 정보, 음식점의 위치 정보, 연관 방송 프로그램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오디션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오디션 방송 프로그램에 참가한 참가자들에 대한 정보, 실시간 투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홈쇼핑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현재 방송되는 홈쇼핑 물품에 대한 정보, 홈쇼핑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전화번호, 웹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기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현재 방송되는 기부 대상자, 기부 가능한 전화 번호 정보, 웹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는 광고 중인 제품에 관련한 정보, 광고 중인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웹 주소 정보, 광고 중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검색된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은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되어 시작 화면을 진입하기 전의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화면으로, 휴대 단말(100)이 스마트 폰인 경우, 대기 화면은 잠금 해제 화면일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에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드라마, 예능과 같은 일반적인 방송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400)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410),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등장 인물, 줄거리, 재생 시간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420),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430)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4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실행 아이템(43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재생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오디션 방송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500)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510), 현재 재생되는 오디션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출연하는 오디션 참가자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520), 현재 재생되는 오디션 방송 컨텐츠의 실시간 투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530)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5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실행 아이템(53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참가자에 투표를 하는 명령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홈쇼핑 방송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600)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610), 현재 방송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620), 현재 방송되는 제품을 구매하는 서비스 및 현재 방송되는 제품을 문의하기 위한 전화 연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630)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6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실행 아이템(630)에 포함된 아이콘 중 구매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방송되는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제품 구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 아이템(640) 중 전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방송되는 제품을 구매 또는 문의하기 위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기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700)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710), 현재 방송되는 기부 대상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720), 현재 방송되는 기부 대상자에게 기부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730)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7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실행 아이템(73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방송되는 기부 대상자에게 특정 금액을 기부하기 위해, 금액 결제 요청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800)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810), 현재 광고 중인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820), 현재 광고 중인 제품을 구매하는 서비스 및 현재 광고 중인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이동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830)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8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실행 아이템(830)에 포함된 아이콘 중 구매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광고 중인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제품 구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 아이템(840) 중 웹 페이지 이동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광고 중인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액세스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뉴스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900)에 휴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910), 현재 방송되는 뉴스의 상세 내용을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920), 현재 방송되는 뉴스와 관련된 기사를 검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 아이템(930)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9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실행 아이템(83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방송되는 뉴스와 관련되어 검색된 기사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컨텐츠의 종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종류의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영화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재생되는 영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휴대 단말(100)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잠금 해제 아이템에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제거하고, 휴대 단말(100)의 시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된 잠금 해제 아이콘(410)이 터치된 경우, 제어부(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비밀번호 입력 아이템(10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 아이템(1010)을 통해 비밀 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잠금 해제 아이콘(410)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를 위한 기설정된 비밀 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제거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100)의 시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아이콘(41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1100)에 기설정된 사용자 터치 입력(예를 들어, 좌측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잠금 해제 명령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잠금 해제 아이콘(11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아이콘(1110)에 기설정된 사용자 터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대기 화면(1100)을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제거하고, 휴대 단말(100)의 시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제어 아이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어 아이템(440) 중 10번 채널 시청을 위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10번 채널을 선국 하라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 아이템(440)은 다양한 채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아이템(440)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윗 방향의 터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어 아이템(440)에 표시되는 방송 채널을 증가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아이템은 다른 방송 채널을 선국 하기 위한 아이템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컨텐츠 제공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대기 화면(1200)에 채널 조절 아이콘, 볼륨 조절 아이콘, 전원 제어 아이콘, 음소거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어 아이템(12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잠금 해제 아이템, 표시 아이템, 실행 아이템, 제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위치에 잠금 해제 아이템, 표시 아이템, 실행 아이템, 제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기존의 잠금 해제 화면을 이용하여 표시 아이템 및 실행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간단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아이템(1910) 및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들(19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행 아이템들(1920)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 해제를 위하여 패턴을 입력받는 아이템일 수 있다. 실행 아이템들(1920)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실행 아이템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아이템들(1920)에 특정 패턴을 가지는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입력된 특정 패턴이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된 특정 패턴이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인 경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100)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없이 단순한 동작(예를 들어, 휴대 단말을 드는 동작)을 통해 외부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컨텐츠 재생 기기(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통신부(210), 영상 수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영상 처리부(240), 저장부(250), 입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외부의 휴대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및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및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영상 수신부(220)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수신부(22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셋탑 박스 등)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어 영상 처리부(240)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240)는 영상 수신부(2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24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250)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EPG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260)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모션 입력부, 음성 입력부, 포인팅 디바이스,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컨텐츠 재생 기기(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0)는 휴대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제어부(27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70)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휴대 단말(100)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저장부(250)에 저장된 EPG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한 후, 저장된 EPG 데이터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270)가 EPG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기 전, 제어부(27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EPG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기기를 시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미도시)가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는 동안 기설정된 영역에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시청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을 움직이는 것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닌 휴대 단말(100)의 다른 기능을 이용하는 의도일 가능성이 크므로,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기기를 시청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7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로부터 특정 채널을 선국 하라는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70)는 특정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영상을 수신하도록 영상 수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로부터 음소거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70)는 음소거 기능을 수행하도록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한다(S1410). 구체적으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 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 기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다(S1420).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30). 이때, 기설정된 조건은 휴대 단말(100)이 위로 들려지는 움직임일 수 있다.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S1430-Y), 휴대 단말(100)은 외부로부터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14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통해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대응되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휴대 단말(100)은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기 전 주기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등)를 수신하고,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통해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기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중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수신된 부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450). 이때, 대기 화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 된 후 처음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휴대 단말(100)이 스마트 폰인 경우, 대기 화면은 잠금 해제 화면일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100)은 대기 화면에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 아이템을 통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행 아이템을 통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으며, 잠금 해제 아이템을 통해 휴대 단말(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아이템을 통해 외부의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에 대한 복잡한 입력 없이 휴대 단말(100)을 들어올리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가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휴대 단말(100)은 통신을 연결한다(S1510). 이때,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자동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기 설정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다(S1520). 이때, 기설정된 움직임 패턴은 휴대 단말(100)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움직임 패턴일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드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한다(S1530).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한다(S1540). 구체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기 저장된 EPG 데이터 등과 같은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550). 이때, 휴대 단말(100)은 대기 화면에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휴대 단말(100)은 통신을 연결한다(S1610). 이때, 휴대 단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자동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휴대 단말(100)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1620). 이때,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는 EPG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기 설정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다(S1630). 이때, 기설정된 움직임 패턴은 휴대 단말(100)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움직임 패턴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 확인 요청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한다(S1640).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컨텐츠 확인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650). 이때,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출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명, 채널 번호, 채널 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하여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660).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 수신되어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중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검색된 부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00)은 대기 화면에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휴대 단말(100)은 통신을 연결한다(S1710). 이때, 휴대 단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이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자동으로 컨텐츠 재생 기기(2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기 설정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다(S1720). 이때, 기설정된 움직임 패턴은 휴대 단말(100)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움직임 패턴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 확인 요청 신호를 컨텐츠 재생 기기(200)로 전송한다(S1730)
컨텐츠 재생 기기(200)는 컨텐츠 확인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740). 이때,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출처, 대응되는 정보 검색 서버(50)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정보 제공 서버(50)로 전송한다(S1750).
정보 제공 서버(50)는 부가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S1760). 이때, 정보 제공 서버(50)는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770). 이때, 휴대 단말(100)은 대기 화면에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컨텐츠 재생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없이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손쉽게 컨텐츠 재생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통신부 120: 감지부
130: 입력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제어부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저장부 180: 영상 처리부
190: 오디오 처리부

Claims (20)

  1. 휴대 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실행 아이템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화면(lock scre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에 잠금 상태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시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대응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on)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는,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며,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휴대 단말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대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실행 아이템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화면(lock scre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화면에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아이템에 잠금 상태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시작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며,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가 현재 재생하는 컨텐츠와 대응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제공 기능이 온(on)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상태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는,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하며,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재생 기기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30082079A 2013-07-12 2013-07-12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14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79A KR102142067B1 (ko) 2013-07-12 2013-07-12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US14/327,873 US20150019976A1 (en) 2013-07-12 2014-07-10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EP14822473.6A EP3022847B1 (en) 2013-07-12 2014-07-11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PCT/KR2014/006255 WO2015005721A1 (en) 2013-07-12 2014-07-11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79A KR102142067B1 (ko) 2013-07-12 2013-07-12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61A true KR20150009061A (ko) 2015-01-26
KR102142067B1 KR102142067B1 (ko) 2020-08-06

Family

ID=5227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079A KR102142067B1 (ko) 2013-07-12 2013-07-12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19976A1 (ko)
EP (1) EP3022847B1 (ko)
KR (1) KR102142067B1 (ko)
WO (1) WO2015005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118B2 (en) 2013-10-16 2020-02-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mpositions providing consolidation and water-control
JP6207343B2 (ja) * 2013-10-30 2017-10-0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0195B2 (ja) * 2014-08-05 2019-07-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会計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60156992A1 (en) * 2014-12-01 2016-06-02 Sonos, Inc.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Media Item
US10904617B1 (en) * 2015-02-19 2021-01-26 Amazon Technologies, Inc. Synchronizing a client device with media content for scene-specific notifications
CN105992046B (zh) * 2015-02-26 2020-07-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的推送方法、装置和系统
WO2018051606A1 (ja) 2016-09-14 2018-03-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0049363B (zh) * 2019-03-21 2021-04-30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多媒体设备的控制方法及多媒体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415A (ko)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101717A (ko) * 2010-03-09 2011-09-16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셋톱박스, 모바일 단말 및 셋톱박스 제어방법
US20130069962A1 (en) * 2011-09-15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Active Lock Wallpap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1327A1 (en) * 2000-12-22 2002-10-17 David Levitt Program selector and guide system and method
JP2006031515A (ja) * 2004-07-20 2006-02-02 Vodafone Kk 移動体通信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KR101642725B1 (ko) *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JP5625506B2 (ja) * 2010-06-04 2014-11-19 ソニー株式会社 操作端末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WO2012023295A1 (ja) * 2010-08-18 2012-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85991B1 (ko) * 2010-09-30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070089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에의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32886A (ko) * 2010-12-30 2013-12-05 톰슨 라이센싱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추가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2479642B1 (en) * 2011-01-21 2017-08-1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US9152244B2 (en) * 2011-01-30 2015-10-0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3032187A1 (en) * 2011-09-01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unlock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US8732579B2 (en) * 2011-09-23 2014-05-20 Klip, Inc. Rapid preview of remote video content
US9462210B2 (en) * 2011-11-04 2016-10-04 Remote TelePointer, LLC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devices using a mobile device
KR101567591B1 (ko) * 2011-12-02 2015-11-20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제스처 기반 게임 시스템을 위한 안전 체계
US9288524B2 (en) * 2011-12-21 2016-03-15 Sony Corporation Using TV over VPN to present remote device application graphics
JP6006944B2 (ja) * 2012-02-24 2016-10-1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情報端末装置
US8819850B2 (en) * 2012-07-25 2014-08-26 At&T Mobility Ii Llc Management of application access
KR102105460B1 (ko) * 2013-06-14 2020-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519413B2 (en) * 2014-07-01 2016-12-13 Sonos, Inc. Lock screen media playback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415A (ko)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101717A (ko) * 2010-03-09 2011-09-16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셋톱박스, 모바일 단말 및 셋톱박스 제어방법
US20130069962A1 (en) * 2011-09-15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Active Lock Wallpap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2847B1 (en) 2021-09-22
US20150019976A1 (en) 2015-01-15
WO2015005721A1 (en) 2015-01-15
EP3022847A1 (en) 2016-05-25
EP3022847A4 (en) 2017-03-15
KR102142067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067B1 (ko)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US11601385B2 (en) Conversion of text relating to media content and media extension apps
US10554599B2 (en) Conversion of detected URL in text message
US920785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77233B1 (ko) 컨텐트 제공 방법 및 이동 단말기와 기록 매체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2012015934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JP6399748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そのui提供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602531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2982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CN103634632B (zh) 图片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403377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40201675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items based on context awareness
KR20120049272A (ko) 마스터 디바이스와 오브젝트 디바이스 간의 자동 인터페이싱
RU264768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контента, устройство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которые используют их
KR10235276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연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2017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ui提供方法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14069A (ko) 동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506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7505081A (ja) 機器接続を促す方法および装置
AU2013309655B2 (en)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3334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US96334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201500265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