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415A -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415A
KR20110054415A KR1020090111044A KR20090111044A KR20110054415A KR 20110054415 A KR20110054415 A KR 20110054415A KR 1020090111044 A KR1020090111044 A KR 1020090111044A KR 20090111044 A KR20090111044 A KR 20090111044A KR 20110054415 A KR20110054415 A KR 2011005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item
touch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세진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415A/ko
Priority to US12/904,332 priority patent/US20110115728A1/en
Priority to EP10187853A priority patent/EP2330808A3/en
Publication of KR2011005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은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아이템 선택 시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시각적 인식률이 향상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디스플레이(display), 아이템(item)

Description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본 발명은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들에게 선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 출시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는 대기 화면 또는 메뉴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아이템을 터치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이템들은 일정 정보 영역 내에서 획일적으로 표시되는데,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이 많아지면 아이템 선택에 있어 사용자의 시각적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시각적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은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터치 동작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와;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아이템들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아이템 선택 시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시각적 인식률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터치 인터랙션에 대한 오동작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화 정보 영역'은 아이템이 표시되는 일정 영역으로서, '비활성화 정보 영역'보다 아이템들이 상대적으로 부각된 형태로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아이템들은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보다 크기가 크게 표시되거나,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 표시되거나, 3D(3 Dimension)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에 따라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표시된 특정 아이템을 터치하면, 장치는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활성화 정보 영역'은 '활성화 정보 영역'과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활성화 정보 영역'보다 아이템들이 상대적으로 덜 부각된 형태로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아이템들은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 의 아이템보다 크기가 작게 표시되거나, 어둡게(dimming)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특정 아이템을 터치하여도, 장치는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비 휴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에 해당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부터 온라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70)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표시부(142)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30)는 활성화 정보 영역이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될 때 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이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될 때, 아이템의 이미지 변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40)는 터치 센서부(141) 및 표시부(142)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부(141)는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기구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펜(스타일러스 펜)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14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본 발명의 터치 센서부(141) 에 해당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141)는 터치스크린부(140)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표시부(14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2)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2)는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정보 영역을 구분하여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42)는 아이템들이 활성화 정보 영역에 위치하는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2)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보다 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입력부(15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일측 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부(141)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입력부(1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화면에 활성화 정보 영역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 보 영역의 아이템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아이템이 구별되도록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된 터치 동작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동작의 종류에는 탭(tap), 드래그(drag), 플릭(flick)이 포함될 수 있다. 탭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터치를 입력한 후, 터치 위치의 이동 동작 없이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에 해당한다. 드래그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터치를 입력한 후, 기 설정된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해당한다. 플릭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터치를 입력한 후, 기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의 속도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포함된 특정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터치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정보 영역에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드래그 또는 플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표시 부(142)를 제어하여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들을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들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을 확대된 이미지로 표시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을 축소된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입력된 터치 동작 중에서 탭 입력 시에만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하여,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드래그 또는 플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하지 않고, 현재 화면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구성 요소들 이외에 모션 센서(motion senso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c sens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션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화면 표시 방법의 구현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화면에 활성화 정보 영역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부(160)는 화면을 두 개의 정보 영역으로 분할하고, 하나를 활성화 정보 영역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화면을 세 개 이상의 정보 영역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정보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을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설정하고, 다른 정보 영역들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적어도 두 개의 정보 영역들을 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고 이외의 정보 영역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정보 영역들이 상하로 분리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화면을 분할할 수 있으며, 정보 영역들이 좌우로 분리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화면을 분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감지 가능한 터치 동작의 종류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감지 가능한 터치 동작의 종류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탭, 드래그, 플릭 등 모든 종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나,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서는 제어부(160)가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탭 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이벤트 발생 조건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의 종류를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모든 종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지만, 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모든 종류의 터치 동작에 대해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하나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서는 탭에 대해서만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할 수 있다.
2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제1아이템을 표시하고,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제2아이템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반영하여 제1아이템을 표시하고,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반영하여 제2아이템을 표시한다. 제1아이템 및 제2아이템은 하나의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이템들의 목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아이템의 카테고리는 제2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아이템이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에 해당하고, 제2아이템이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에 해당하는 경우, 제1아이템과 제2아이템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 제1아이템이 오늘 날씨 아이템에 해당하며, 제2아이템이 내일 날씨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1아이템과 제2아이템은 모두 날씨 아이템이라는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테고리(category)'는 아이템들을 분류하는 기준 정보로서,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과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지만, 컨텐츠 아이템이라는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오늘 날씨 아이템과 내일 날씨 아이템은 모두 날씨 아이템이라는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지만, 오늘 날씨 아이템과 내일 날씨 아이템을 각각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도 있다.
활성화 정보 영역 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란 각각의 정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템 이미지의 크기, 밝기, 선명도 등 이미지 속성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이미지의 크기가 '3',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크기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 정보 영역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터치 감지 영역의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탭, 드래그, 플릭 등 다양한 터치 동작을 터치스크린부(140)에 입력하며, 터치 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였고, 어떠한 터치 동작을 입력하였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표시되는 제1아이템이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아이템 목록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탭이 입력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 한다. 아이템이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드래그 또는 플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 목록 형태를 변경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 목록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목록이 상하 방향으로 열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상하 방향 또는 하상 방향으로 플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는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203단계의 판단 결과, 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205단계에서 터치 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모든 종류의 터치 동작 입력에 대해 정보 영역 전환이라는 이벤트의 발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탭 동작 입력에 대해서만 정보 영역 전환이라는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터치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한다. 활성화 정보 영역이 비활성화 정보 영역보다 넓은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 을 확대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을 축소하여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크기에 따라 터치 감지 영역의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감지 가능한 터치 동작의 종류도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 정보 영역이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된 경우 터치 감지 영역의 범위가 축소되고 모든 종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탭 만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제1아이템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고 제2아이템을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이미지의 크기가 '3',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템 이미지의 크기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제1아이템을 축소시켜 표시하고 제2아이템을 확대시켜 표시한다. 상기 표시 결과, 제1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범위는 축소되고, 제2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범위는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 정보 영역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터치 감지 영역의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화면에 적어도 두 개의 정보 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정보 영역에 아이템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어느 정보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는지에 따라 아이템에 해당 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통해 화면 표시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표시 화면은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메뉴 화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3의 [a]의 화면은 정보 영역을 구분하여 아이템들을 표시하고 있다. 도 3의 [a]의 화면은 정보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이 중 좌측영역은 활성화 정보 영역이며 우측 영역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해당한다. 활성화 정보 영역에는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어 있으며,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는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어 있다.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은 컨텐츠 서버에 등록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에 해당하며, 해당 컨텐츠의 실제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 서버에 등록된 컨텐츠 목록을 수신한다.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 목록을 수신할 때, 음반 이미지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각각의 컨텐츠에 대해 아이템을 생성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로 컨텐츠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표시할 때, 화면의 중심 영역(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 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기준으로 아이템들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크기를 점차적으로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화면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하이라이트(highlight)하여 표시하거나, 화면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들을 어둡게(dimming)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중심(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은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했을 때, 바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화면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들은 화면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명령이 먼저 입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SHINSEUNGHUN 3'와 앨범 이미지로 구성되는 아이템이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에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을 터치하면, 제어부(16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아이템을 화면의 중심 영역(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이템은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터치를 입력하여,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가 아닌 경우, 사용자는 커서(cursor) 등으로 아이템을 클릭(click)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영역에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최초로 표시하고, 상기 최초로 표시된 아이템을 기준으로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고 있는 다른 아이템들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펼치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할 때, 사용자에 의한 화면 전환 명령 입력 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SHINSEUNGHUN 3'와 앨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템만을 먼저 표시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고 있는 다른 아이템들을 상하 방향으로 펼치면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각각의 아이템들을 프레임에 대한 깊이(depth) 정보를 달리하여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각각의 아이템들에 대해 층(layer)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펼치면서 표시할 때, 상하 수직 방향으로 펼치면서 표시할 수 있지만,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형태의 이동 경로(좌측으로 휘어진 형태)를 따라 펼치면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시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아이템(도 3의 [a]에서 'SHINSEUNGHUN 3'와 앨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템)에 근접하여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의 속성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 부근에 '가 수', '제목', '재생 시간' 등의 음악 컨텐츠의 속성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가수'로서 '신승훈', '제목'으로서 '엄마야', '재생 시간'으로서 '3:51'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의 카테고리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들이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음악'이라는 텍스트와 음표 이미지를 아이템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들이 음악과 관련된 아이템에 해당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활성화 정보 영역의 하부에 '음악'이라는 텍스트와 음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들이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음악 컨텐츠와 관련된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음악 컨텐츠 아이템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화면 전환 없이 아이템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하부에 'FM 라디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정 보 영역을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하고, 활성화 정보 영역을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한다.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탭을 입력하면, 터치 센서부(141)는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어부(160)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동작이 입력된 위치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해당하고, 터치 동작의 종류는 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동작이 입력된 위치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해당하나, 터치 동작의 종류를 드래그나 플릭으로 판단하게 되면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정보 영역을 전환한 후,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즉,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에 따라 아이템들을 변경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원래 활성화 정보 영역에 위치하던 아이템들을 축소시켜 표시하고, 원래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위치하던 아이템들을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탭을 입력한 경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3의 [a]에서 활성화 정보 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아이템들은 축소되어 표시되고,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아이템들은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3의 [b]의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는 'SEOTAIJI & BOYS'와 앨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음악 컨텐츠 아이템의 좌측에는 음악 컨텐츠의 속성 정보인 '가수'('서태지와 아이들'), '제목'('난 알아요') 및 '재생 시간'('4:3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하부에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들의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음악'이 텍스트와 음표 이미지로 표시되어 있으며, 활성화 정보 영역 하부에는 '음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FM 라디오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화 정보 영역에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드래그 또는 플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을 입력하면 아이템들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을 입력하면 아이템들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4는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플릭을 입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b]와 동일한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플릭을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의 [b]는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플릭을 입력한 후, 변경된 표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플릭을 입력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는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플릭의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아이템 목록에 매칭되는 스크롤 바(scroll bar)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크롤 바를 참조하여, 현재 중심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이 아이템 목록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도 4의 [b]에는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 'S.E.S' 및 앨범 이미지로 구성되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음악 컨텐츠 아이템의 좌측에는 '가수'('S.E.S'), '제목'('I'm your girl') 및 '재생 시간'('3:2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악 컨텐츠 아이템의 우측에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 목록에 매칭되는 스크롤 바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중심 영역에 표시되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이 음악 컨텐츠 아이템 목록 중 어느 정도의 위치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알려준다.
본 발명에서 활성화 정보 영역에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탭이 입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때,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하며, 그 이외의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탭이 입력된 아이템을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켜 표시한다. 활성화 정보 영역에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에 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탭이 입력된 온라인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이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 부(142)를 제어하여 다운로드 한 온라인 컨텐츠의 아이템을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에 추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정보 영역에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 목록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에 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탭이 입력된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컨텐츠 아이템이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사운드를 출력한다.
도 5는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b]와 동일한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의 [b]는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탭을 입력한 경우, 변경된 표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c]는 사용자가 동일한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다시 탭을 입력한 경우, 변경된 표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부(14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특정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탭을 입력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해당 사운드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현재 표시 화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사운드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동일한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탭 을 입력하면, 제어부(160)가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사운드 출력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사운드를 출력 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할 수 있으며, 현재 표시 화면 상태에서 '재생' 또는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음악 컨텐츠 아이템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사운드를 출력 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음악 컨텐츠 아이템 부근에 음악 재생 스크롤 바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크롤 바를 통해 음악이 어느 정도 재생되었는지 알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SEOTAIJI & BOYS'와 앨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음악 컨텐츠 아이템 내에 '재생'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음악 컨텐츠 아이템의 좌측에는 음악 재생 스크롤 바가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음악 컨텐츠 아이템 내에 '일시 정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역시 좌측에 음악 재생 스크롤 바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및 '일시 정지' 기능 만을 언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 곡 재생', '이전 곡 재생' 등의 기능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 아이템에 더블 탭을 입력했을 때,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다음 곡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는 아이템 목록 이외 에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아이템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된 아이템을 활성화시켜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보 영역과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프레임을 분리한 후, 프레임에 대한 깊이(depth) 정보를 달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각각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날씨 정보를 표시하는 대기 화면으로서, 좌측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활성화 정보 영역이 위치한다.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는 내일 날씨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으며, 오늘 날씨 아이템 보다 작고 흐리게(dimming) 표시되어 있다. 활성화 정보 영역에는 오늘 날씨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으며, 내일 날씨 아이템보다 크고 밝게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a]에는 오늘 날씨 아이템과 내일 날씨 아이템이 표시되는 프레임이 분리되어 있으며, 오늘 날씨 아이템이 내일 날씨 아이템 보다 상위 층(layer)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a]에는 오늘 날씨 아이템 좌측에 기온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오늘 날씨 아이템 내에는 오늘의 기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구름 이미지-흐림)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정 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창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오늘 날씨 아이템 및 내일 날씨 아이템 하부에 주간 날씨를 나타내는 창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 전환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비활성화 정보 영역의 아이템을 활성화시켜서 표시한다. 즉, 제어부(160)는 활성화 정보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로 아이템을 변경시켜 표시한다.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 사용자가 내일 날씨 아이템에 탭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변경 화면을 나타내며, 도 6의 [b]에서 내일 날씨 아이템은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오늘 날씨 아이템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 오늘 날씨 아이템은 내일 날씨 아이템 보다 하위 층(layer)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화면은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복수 개의 대기 화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화면은 상기 복수 개의 대기 화면들 중 어느 하나의 대기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대기 화면들은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동작 입력을 통해 대기 화면들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의 방향에 따라 동일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다른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터치 동작을 입력하면, 터치 센서부(141)는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송신하고, 제어부(160)는 터치 센 서부(14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동작의 방향을 판단한다. 이 때, 사용자는 방향성이 존재하는 터치 동작(예를 들어, 드래그 또는 플릭)을 터치스크린부(140)에 입력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터치 동작의 방향에 따라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전환시켜 표시한다.
도 7은 복수 개의 대기 화면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대기 화면들은 A, B, C의 3단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도 7에서 동일한 알파벳을 갖는 대기 화면들은 모두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에 해당한다. 즉, 'A1' 내지 'A6'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이며, 'B1' 내지 'B6'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이며, 'C1' 내지 'C6'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이다. 또한 'A1'과 'B1'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대기 화면들 중에서 기준 대기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B1'이 기준 대기 화면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휴대 단말기가 'B1'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방향의 플릭을 입력하면, 'C1'으로 전환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B1'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방향의 플릭을 입력하면, 'A1'으로 전환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B1'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방향의 플릭을 입력하면, 'B6'으로 전환된다. 즉, 휴대 단말기는 상하 방향의 플릭이 입력되면 다른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으로 전환시켜 표시하며, 좌우 방향의 플릭이 입력되면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다른 대기 화면으로 전환시켜 표시한다.
도 8은 사용자가 우측 방향의 플릭을 입력한 후, 상방향의 플릭을 입력했을 때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B1'의 대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 방향의 플릭을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는 사용자가 우측 방향의 플릭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휴대 단말기는 'B6'의 대기 화면으로 전환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 페이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의 플릭은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다른 대기 화면으로의 이동 명령에 해당하는 바,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대기 화면의 개수를 기준으로 대기 화면 페이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8의 [b]에는 화면의 상부에 6개의 막대 형태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대기 화면의 개수가 총 6개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8의 [b]에는 6개의 막대 형태의 이미지들 중 가장 마지막 막대가 다른 막대들 보다 진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현재 대기 화면이 카테고리 내의 여섯 번째 대기 화면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의 [c]는 사용자가 상 방향의 플릭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휴대 단말기는 'C1'의 대기 화면으로 전환시켜 표시한다. 상하방향으로의 플릭은 다른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으로의 이동 명령에 해당하는 바,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카테고리의 개수를 기준으로 대기 화면 페이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8의 [c]에는 화면의 상부에 3개의 막대 형태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카테고리의 개수가 총 3개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도 8의 [c]에는 3개의 막대 형태의 이미지들 중 가장 마지막 막대가 다른 막대들 보다 진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현재 대기 화면이 세 번째 카테고리의 대기 화면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는 모션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90도 기울이는 모션을 입력하면,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대기 화면들을 축소된 형태(예를 들어, 아이템 형태 또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구비해야 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모션을 입력하면, 모션 센서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송신하고, 제어부(160)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90도 기울이는 동작을 입력했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표시되어 있던 대기 화면과 관련된 복수 개의 대기 화면들을 축소된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세로로 긴 방향인 화면(portrait)을 가로로 긴 방향인 화면(landscape)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활성화 대기 화면(사용자가 탭을 입력하였을 때 풀 스크린으로 전환되는 대기 화면)은 다른 대기 화면들 보다 크기를 크게 하거나 하이라이트 효과를 주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플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 때, 활성화 대기 화면 역시 변경된다. 사용자가 활성화 대기 화면에 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탭이 입력된 대기 화면을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한다.
도 9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기울이는 모션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휴대 단말기가 정방향(스피커가 마이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놓여져 있을 때의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휴대 단말기는 'B1'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90도 기울인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휴대 단말기는 'B1' 내지 'B6'의 대기 화면을 축소시켜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9의 [b]에서 휴대 단말기는 'B1' 내지 'B6'를 가로로 긴 방향인 화면(landscape)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B1'은 활성화 대기 화면(사용자가 탭을 입력하였을 때 풀 스크린으로 전환되는 대기 화면)에 해당한다.
도 9의 [c]는 도 9의 [b]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좌측으로 플릭을 입력한 경우의 변경되는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B3'가 활성화 대기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d]는 도 9의 [c]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B3'에 탭을 입력한 경우의 변경되는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B3'이 풀 스크린으로 세로로 긴 방향인 화면(portrait)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에 'B3'가 활성화 대기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B1'에 탭을 입력한 경우, 휴대 단말기는 'B1'이 풀 스크린으로 전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흔들기(shaking) 모션을 입력하여 표시 화면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에는 복수 개의 대기 화면들이 존재하며, 어느 하나의 대기 화면이 기준 대기 화면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40)에 플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전환시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흔들기 모션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흔들기 모션을 인식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된 기준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10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흔들기 모션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B1'이 기준 대기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9의 [a]는 'C1'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흔들기 모션을 휴대 단말기에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표시 화면이다. 도 9의 [b]에서 휴대 단말기는 기준 대기 화면으로 설정된 'B1'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몇 회의 흔들기 동작을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였는지 판단하고, 흔들기 동작의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흔들기 동작만을 언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를 특정 방향으로 기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으로 이동시키는 스내핑(snapping) 동작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면에 적어도 두 개의 정보 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정보 영역에 아이템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어느 정보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는지에 따라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아이템 인식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화면은 휴대 단말기에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인터랙션 또는 모션 인터랙션을 통해 특정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인 아이템 선택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면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 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4는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에 플릭을 입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활성화 정보 영역의 아이템에 탭을 입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활성화 정보 영역 및 비활성화 정보 영역에 각각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복수 개의 대기 화면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우측 방향의 플릭을 입력한 후, 상방향의 플릭을 입력했을 때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기울이는 모션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흔들기 모션을 입력한 경우의 휴대 단말기 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또는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을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들 보다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터치가 입력된 후, 터치 위치의 이동 동작 없이 터치가 해제되는 탭 동작, 터치가 입력된 후, 기 설정된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드래그 동작 및 터치가 입력된 후, 기 설정된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플릭 동작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드래그 동작 또는 플릭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아이템으로의 탭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탭 동작이 감지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탭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터치 동작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 및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정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에 아이템들을 표시하고, 상기 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으로의 터치 동작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활성화 정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11044A 2009-11-17 2009-11-17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054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44A KR20110054415A (ko) 2009-11-17 2009-11-17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2/904,332 US20110115728A1 (en) 2009-11-17 2010-10-14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s in a display system
EP10187853A EP2330808A3 (en) 2009-11-17 2010-10-1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s in a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44A KR20110054415A (ko) 2009-11-17 2009-11-17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15A true KR20110054415A (ko) 2011-05-25

Family

ID=4366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044A KR20110054415A (ko) 2009-11-17 2009-11-17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15728A1 (ko)
EP (1) EP2330808A3 (ko)
KR (1) KR2011005441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061A (ko) * 2013-07-12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5020283A1 (ko) * 2013-08-06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5020284A1 (ko) * 2013-08-05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79605B1 (ko) * 2014-07-29 2015-12-22 네이버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144825A (ko) * 2014-06-10 2015-12-29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아이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00627A (ko) * 2014-06-25 2016-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91949B2 (en) 2011-09-27 2017-10-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1879856B1 (ko) * 2011-12-19 2018-07-18 주식회사 케이티 대기화면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48505A (ko) * 2018-10-30 2020-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리스트 인터페이스의 아이템간 차이점 표시 장치 및 방법
US10712843B2 (en) 2014-07-29 2020-07-14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scrolled content by modifying the content as the content is being scrolled to a designed loc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2112B2 (en) * 2011-07-28 2016-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modal interface
US9031382B1 (en) * 2011-10-20 2015-05-12 Coincident.Tv, Inc. Code execution in complex audiovisual experiences
JP5827109B2 (ja) * 2011-11-28 2015-12-02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82141B2 (en) * 2011-12-22 2019-01-1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itions between screens
US9626742B2 (en) 2011-12-22 2017-04-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itions between screens
EP2632134B1 (en) * 2012-02-27 2016-04-2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ocessing incoming calls
KR101329472B1 (ko) * 2012-03-13 2013-11-13 한국과학기술원 테이블 뷰 컨트롤러 환경에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특성에 따른 추가 콘텐츠 로딩 방법 및 그 시스템
JP6004855B2 (ja) * 2012-09-14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99294B1 (ko) * 2013-05-10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84134B1 (ko) * 2014-05-28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372289B2 (en) 2015-12-31 2019-08-06 Beijing Pico Technology Co., Ltd. Wraparound interface layout method, content switching method under three-dimensional immersive environment, and list switching method
CN105653034A (zh) * 2015-12-31 2016-06-08 北京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沉浸式环境下内容切换方法和装置
CN105677165A (zh) * 2015-12-31 2016-06-15 北京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沉浸式环境下列表切换方法和装置
KR102640281B1 (ko) * 2016-10-13 2024-02-26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감시 시스템
CN109471579B (zh) * 2018-11-13 2023-08-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屏幕信息布局调整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200740B1 (en) * 2020-09-04 2021-12-14 Amazon Technolgoies, Inc. Systems for generating image-based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11B2 (ja) * 1991-12-18 1995-03-1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3次元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5880733A (en) * 1996-04-30 1999-03-0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ndows of an operating system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workspace for a computer system
US5913230A (en) * 1997-01-07 1999-06-15 Richardson; John J. Object and method for providing efficient multi-user access to shared operating system kernal code using instancing
US6434620B1 (en) * 1998-08-27 2002-08-13 Alacritech, Inc. TCP/IP offload network interface device
US7089335B2 (en) * 2000-10-30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Bridging multiple network segments and exposing the multiple network segments as a single network to a higher level networking software on a bridging computing device
US7768522B2 (en) * 2002-01-08 2010-08-03 Apple Inc. Virtualization of graphics resources and thread blocking
US7539853B2 (en) * 2002-11-18 2009-05-26 Arm Limited Handling interrupts in data processing of data in which only a portion of a function has been processed
US7003597B2 (en) * 2003-07-09 2006-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reallocation of data stored in buffers based on packet size
US20070024646A1 (en) * 2005-05-23 2007-02-01 Kalle Saarin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7954064B2 (en) * 2005-10-27 2011-05-31 Apple Inc. Multiple dashboards
KR100746008B1 (ko) * 2005-10-3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US7562312B2 (en) * 2006-01-17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7880728B2 (en) * 2006-06-29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US20080002681A1 (en) * 2006-06-30 2008-01-03 Symbol Technologies, Inc. Network wireless/RFID switch architecture for multi-core hardware platforms using a multi-core abstraction layer (MCAL)
US20080002702A1 (en) * 2006-06-30 2008-01-03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ata packets using a multi-core abstraction layer (MCAL)
US8191003B2 (en) * 2007-02-14 2012-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transparent windows
US8112594B2 (en) * 2007-04-20 2012-02-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Efficient point-to-point enqueue and dequeue communications
US8127254B2 (en) * 2007-06-29 2012-02-28 Nokia Corporation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8055822B2 (en) * 2007-08-21 2011-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ore processor having storage for core-specific operational data
US8194699B2 (en) * 2007-09-21 2012-06-05 Intel Corporation Radio scheduler and data plane interface
FI20085217A0 (fi) * 2008-03-07 2008-03-07 Nokia Corp Tietojenkäsittelyjärjestely
CN101546276B (zh) * 2008-03-26 2012-12-19 国际商业机器公司 多核环境下实现中断调度的方法及多核处理器
KR100977385B1 (ko) * 2008-04-10 2010-08-20 주식회사 팬택 위젯형 대기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대기화면 제어 방법
US8868550B2 (en) * 2009-04-27 2014-10-21 Citysearch,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nswer
US20120093047A1 (en) * 2010-10-14 2012-04-19 Alcatel-Lucent USA Inc. via the Electronic Patent Assignment System (EPAS) Core abstraction layer for tele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US8861434B2 (en) * 2010-11-29 2014-10-14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multi-cell support on a single modem board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1949B2 (en) 2011-09-27 2017-10-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20180029086A (ko) * 2011-09-27 2018-03-19 애플 인크. 측벽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KR101879856B1 (ko) * 2011-12-19 2018-07-18 주식회사 케이티 대기화면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9061A (ko) * 2013-07-12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5020284A1 (ko) * 2013-08-05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836162B2 (en) 2013-08-06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11196B2 (en) 2013-08-06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77536B2 (en) 2013-08-06 2018-05-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25426B2 (en) 2013-08-06 2018-07-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20283A1 (ko) * 2013-08-06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095353B2 (en) 2013-08-06 2018-10-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09511B2 (en) 2013-08-06 2019-1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44825A (ko) * 2014-06-10 2015-12-29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아이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00627A (ko) * 2014-06-25 2016-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83693B2 (en) 2014-06-25 2021-04-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79605B1 (ko) * 2014-07-29 2015-12-22 네이버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712843B2 (en) 2014-07-29 2020-07-14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scrolled content by modifying the content as the content is being scrolled to a designed loc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200048505A (ko) * 2018-10-30 2020-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리스트 인터페이스의 아이템간 차이점 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0808A2 (en) 2011-06-08
US20110115728A1 (en) 2011-05-19
EP2330808A3 (en)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4415A (ko)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137898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settings controls
US11726634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adjusting presentation of audio outputs
US11899925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US11366576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AU2023201816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10956022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EP2732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KR102007023B1 (ko) 오프-스크린 가시 객체들의 표면화
US9513801B2 (en) Accessing electronic notifications and settings icons with gestures
US10140301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d using sets of media player controls
US20130254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oating user interface
AU2018201254B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KR102134882B1 (ko)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