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846B1 -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6846B1 KR101276846B1 KR1020110037843A KR20110037843A KR101276846B1 KR 101276846 B1 KR101276846 B1 KR 101276846B1 KR 1020110037843 A KR1020110037843 A KR 1020110037843A KR 20110037843 A KR20110037843 A KR 20110037843A KR 101276846 B1 KR101276846 B1 KR 1012768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a
- user
- gui object
- data
- media p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제어방법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제1 GUI 객체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제2 GUI 객체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재생장치 사이의 연결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홈네트워크(home-network) 서비스나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디바이스간 데이터 공유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기술들을 응용한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홈네트워크 상용화를 위한 공식적 협력체로서,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젼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DLNA에 현재 도입된 가이드라인은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사이의 유무선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브랜드와 제품 간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설계 원칙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Media Contents)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되고,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해 실시간으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되어 미디어 재생장치로 공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DLNA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재생장치 간을 상호 연결 시키기 위한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재생장치 사이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재생장치 사이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제어방법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제1 GUI 객체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제2 GUI 객체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명령 및 제2 명령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제1 명령은 제1 GUI 객체를 길게 누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이고, 제2 명령은 제1 GUI 객체를 제2 GUI 객체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미디어 재생장치는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 및 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미디어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제2 GUI 객체는 미디어 출력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GUI 객체는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를 포함하고,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GUI 객체를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장치는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장치 및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제1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 및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를 표시하며,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 및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비디오 출력장치와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제2 GUI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장치는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를 포함하고,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그룹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에 의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GUI 객체는 인식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와,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제1 GUI 객체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고, 제2 GUI 객체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1 명령 및 제2 명령에 따라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의하면, 미디어 서버 기기와 미디어 재생장치들에 대한 보다 직관적인 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기기들 간의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시스템은 사진, 음악,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재생장치(200) 및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미디어 서버(100), 미디어 재생장치(200) 및 미디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들 중 2 이상의 역할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재생장치(200), 미디어 재생장치(200)와 미디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각각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정해진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동일한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미디어 서버(100) 및 미디어 재생장치(200)를 검색하여 접속하고, 미디어 서버(100)에 존재하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 제공된 GUI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와 재생할 미디어 재생장치(200)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한 UI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제스처, 음성 등과 같은 다른 UI 수단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스트리밍 제어 시스템에 기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하는 단계(S100),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12)를 표시하는 단계(S102), 제1 GUI 객체(12)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104),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단계(S106),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14)를 표시하는 단계(S108), 제2 GUI 객체(14)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110),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S114),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S116(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한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한다.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같은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미디어 서버(100)를 검색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검색된 미디어 서버(100)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미디어 서버(100)는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정보, 해당 장치가 미디어 서버(100)인지 또는 미디어 재생장치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장치의 이름, 웨이크 온 랜(wake on lan, WOL)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장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 출력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지원 가능한 미디어 형식에 대한 정보, 제공 가능한 특수 기능에 대한 정보 등을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미디어 서버(100)는 이외에도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미디어 서버(100)에 대한 검색이 끝나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미디어 서버(100) 리스트를 나타내는 GUI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서버(100)를 선택하면 미디어 서버(100) 내의 컨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파일 브라우저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10)를 표시부(342)에 표시하고, 표시된 제1 GUI 객체(10)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10)를 길게 터치하는 제스처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한 제1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제1 명령에 따라 썸네일(Thumbnail) 형태의 제1 GUI 객체(12)를 표시부(342)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을 수행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14)를 표시부(342)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동일한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여 접속하고,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재생장치는 해당 장치가 미디어 서버(100)인지 또는 미디어 재생장치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장치의 이름, 웨이크 온 랜(wake on lan, WOL)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장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 출력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지원 가능한 미디어 형식에 대한 정보, 제공 가능한 특수 기능에 대한 정보 등을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미디어 재생장치는 이외에도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지원 가능한 미디어 형식에 대한 정보와 같은 미디어 재생장치의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나타내는 GUI 객체(16)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제2 GUI 객체(14)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썸네일 형태의 제1 GUI 객체(12)를 재생하고자 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상기와 같은 제2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제2 명령을 통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썸네일 형태의 제1 GUI 객체(12)를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나타내는 GUI 객체(16)로 드래그 앤드 드롭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되고,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미디어 재생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제공되는 직관적인 UI에 따라 사용자는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재생장치 사이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9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들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은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14)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그 외 다른 단계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들에서 제2 GUI 객체(14)를 표시하는 단계 및 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설명이 생략된 나머지 단계에 대하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서는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로 TV(14)와 TV(14)에 연결되는 DVD 플레이어(18) 및 BD 플레이어(20)가 검색되어 이에 대한 GUI 객체들이 표시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DVD 플레이어(18)와 BD 플레이어(20)에서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과 같은 신호처리만이 이루어지고 실제 미디어 데이터는 TV를 통해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중 실제 출력장치인 TV만이 제2 GUI 객체(14)로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표시부(342) 상에 표시되고, 나머지 기기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가 TV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TV, DVD 플레이어, BD 플레이어 중 가장 적합한 재생장치를 선택하여 재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별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제 재생이 수행되는 재생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재생장치들간의 연결 정보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검색 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미디어 데이터의 처리가 어떠한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보다 어떠한 출력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것에 보다 더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출력장치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함에 따라 재생기기들을 그룹화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키고 다수의 재생장치의 존재에 따른 UI의 복잡성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GUI 객체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표시부(342) 상에 배열된다. 또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디어 재생장치들을 나타내는 GUI 객체들이 표시된다.
도 9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 거실에 위치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들에 대한 GUI 객체를 표시부(342)에 표시한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미디어 재생장치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GUI 객체들이 표시부(342) 상에 배열된다. 도 9에서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기준으로 정면에 위치하는 TV를 나타내는 GUI 객체(14), 좌측에 위치하는 PC를 나타내는 GUI 객체(22), 우측에 위치하는 전자액자를 나타내는 GUI 객체(24)가 표시부(342)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거실에서 침실로 이동한 경우,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주변 무선 신호의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침실로의 이동을 인지하고 침실에 존재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들을 검색하여 이에 대응하는 GUI 객체들을 표시한다.
도 10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침실에 위치하는 경우, 침실에 위치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들에 대한 GUI 객체를 표시부(342)에 표시한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에서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기준으로 정면에 위치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내는 GUI 객체(26), 좌측에 위치하는 오디오를 나타내는 GUI 객체(28), 우측에 위치하는 타블렛 PC(tablet PC)를 나타내는 GUI 객체(30)가 표시부(342)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실제 미디어 재생장치들의 상대적 위치 및 장소에 기반하여 GUI 객체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인 UI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재생장치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때,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는 복수의 그룹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들(32, 34, 36)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은 모바일 기기간 스트리밍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친구, 직장동료, 가족에 속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모바일 기기)들을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그룹에 대응하는 GUI 객체들(32, 34, 36)이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로서 표시부(342)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원하는 그룹의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카메라(352)에 의해 촬영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에 의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식하고,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는 인식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으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352) 기반 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식 모드를 설정하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 구비되는 카메라(352)가 켜지고, 전방에 있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이 촬영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표시부(342)에는 카메라(35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촬영화면 표시창(38)이 표시된다.
이때,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과 미디어 재생장치의 위치 등에 기반하여 미디어 재생장치들을 인식하고, 촬영화면 표시창(38)을 통해 그에 대한 GUI 객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GUI 객체들은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들의 촬영 영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사용자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12)를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GUI 객체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여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제 미디어 재생장치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GUI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또는 해당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최적화 여부에 따라 선호도가 높거나 최적화된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GUI 객체를 다른 미디어 재생장치의 GUI 객체보다 부각하여 표시한다.
특히,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개인의 모바일 기기로 구성되는 경우, 각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를 기억하고 이에 근거하여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호도 모드를 설정하면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순서대로 대응되는 GUI 객체를 부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최적화 모드를 설정하면 해당 미디어 데이터를 가장 최적화하여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응되는 GUI 객체를 부각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최적화 장치는 각 미디어 재생장치의 검색 시 수신되는 장치정보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선호도 또는 최적화의 순서에 따라 각 GUI 객체들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한 것을 예시하였다. 도 13에서는 선호도 또는 최적화의 순서가 높은 순서대로 TV(40), 오디오(42), 노트북 컴퓨터(44)에 대응되는 GUI 객체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 13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GUI 객체의 색상, 투명도, 배열 순서 등과 같은 다른 요소를 조절하여 GUI 객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재생장치의 검색 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장치에 대한 정보로서 지원 가능 파일 형식 및 WOL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GUI 객체(46)만을 표시하고, 재생이 불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GUI 객체(48, 50)를 흐리게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재생장치가 현재 꺼져 있는 경우라도 WOL이 지원되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GUI 객체(54)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미디어 재생장치를 켜는 동작이 수행되고,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수행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제2 GUI 객체(56)가 배열된다. 즉,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 구비되는 센싱부를 통해서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 미디어 재생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위치 즉, 표시부(342)에서 제1 GUI 객체(12)의 상부에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56)를 배열한다.
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후면에 미디어 재생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위치 즉, 표시부(342)에서 제1 GUI 객체(12)의 하부에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58)를 배열한다. 이와 같은 GUI 객체의 배열에 의해 사용자에 보다 직관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재생장치는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장치 및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고,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분리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12)를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하고 두 손가락을 벌리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분리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GUI 객체(12)를 클릭하고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통해 분리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2)에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로서,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디오 GUI 객체(60)와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디오 GUI 객체(62)가 표시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비디오 GUI 객체(60) 및 오디오 GUI 객체(62)를 비디오 출력장치와 오디오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GUI 객체(64, 66, 68)로 드래그 앤드 드롭하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별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영화와 같은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시, 사용자는 홈시어터 시스템(home theater system)을 이용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사운드를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성과 영상의 출력을 별개의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와 같은 UI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영상과 음성을 분리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제어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 출력부(340), A/V 입력부(350), 센싱부(360), 이동통신 모듈(370), 위치정보 모듈(380)을 포함한다. 다만, 본원 발명과 관련하여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무선 인터넷 모듈(322)과 근거리 통신 모듈(324)을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2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고,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322)은 이동통신 모듈(370)의 일종으로 이해 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2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출력부(340)는 표시부(342), 음향 출력 모듈(344), 알람모듈(346) 및 햅틱 모듈(348)을 포함한다.
표시부(342)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어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부(342)는 이를 위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342)는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12)와,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14)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34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입체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표시부(342)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는 복수의 표시부(342)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344)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92)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44)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44)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모듈(346)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모듈(346)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표시부(342)나 음성 출력 모듈(3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표시부(342) 및 음성출력모듈(352)은 알람모듈(346)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48)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48)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3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제1 GUI 객체(12)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고, 제2 GUI 객체(14)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를 구비하여 표시부(34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가 표시부(342)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제1 명령 및 제2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제1 GUI 객체(12)를 길게 누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제1 명령을 수신하고, 제1 GUI 객체(12)를 제2 GUI 객체(14)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제2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34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342)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1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10)는 표시부(34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1 명령 및 제2 명령에 따라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31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12)은 제어부(31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1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장치로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선택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고, 멀티미디어 모듈(312)에 의해 해당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어 표시부(342)와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재생된 미디어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A/V 입력부(3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A/V 입력부(350)는 카메라(352)와 마이크(354)를 포함한다. 카메라(352)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342)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52)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92)에 저장되거나 네트 워크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52)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352)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354)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70)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54)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7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380)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380)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센싱부(360)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개폐 상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방위,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360)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360)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310)는 이에 근거하여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를 표시부(342)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60)는 전원 공급부(390)의 전원 공급 여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3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360)는 근접 센서(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362)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36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근접 센서(362)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392)는 제어부(3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392)에는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92)에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310)는 이에 근거하여 선호도에 기초하여 제2 GUI 객체(14)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92)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92)는 플래시 메모리(392)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392)(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392)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392),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392)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31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392)에 저장되고, 제어부(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100)에 접속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같은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미디어 서버(100)를 검색하여 접속하고, 검색된 미디어 서버(100)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서버(100)는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정보, 해당 장치가 미디어 서버(100)인지 또는 미디어 재생장치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장치의 이름, 웨이크 온 랜(wake on lan, WOL)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장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 출력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지원 가능한 미디어 형식에 대한 정보, 제공 가능한 특수 기능에 대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미디어 서버(100)는 이외에도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92)는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에 대한 검색이 끝나면 표시부(34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서버(100) 리스트를 나타내는 GUI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서버(100)를 선택하면 미디어 서버(100) 내의 컨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파일 브라우저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2)는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12)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표시된 제1 GUI 객체(12)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12)를 길게 터치하는 제스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제1 명령에 따라 썸네일(Thumbnail) 형태의 제1 GUI 객체(12)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제어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의 검색결과에 따라 표시부(342)는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14)를 표시부(342)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같은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여 접속하고,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미디어 재생장치는 해당 장치가 미디어 서버(100)인지 또는 미디어 재생장치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장치의 이름, 웨이크 온 랜(wake on lan, WOL)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장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 출력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지원 가능한 미디어 형식에 대한 정보, 제공 가능한 특수 기능에 대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미디어 재생장치는 이외에도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메모리(392)는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지원 가능한 미디어 형식에 대한 정보와 같은 미디어 재생장치의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2)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나타내는 GUI 객체(16)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제2 GUI 객체(14)를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썸네일 형태의 제1 GUI 객체(12)를 재생하고자 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상기와 같은 제2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제2 명령에 따라, 제어부(3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 서버(10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가 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되고, 전송된 미디어 데이터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다. 다만, 미디어 서버(100)와 미디어 재생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없이 해당 장치 내에서 재생이 수행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썸네일 형태의 제1 GUI 객체(12)를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나타내는 GUI 객체(16)로 드래그 앤드 드롭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로 TV(14)와 TV(14)에 연결되는 DVD 플레이어(18) 및 BD 플레이어(20)가 검색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DVD 플레이어(18)와 BD 플레이어(20)에서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과 같은 신호처리만이 이루어지고 실제 미디어 데이터는 TV(14)를 통해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2)는 이 중 실제 출력장치인 TV(14)만이 제2 GUI 객체(14)로서 표시하고, 나머지 기기들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가 제2 GUI 객체(14)를 통해 사용자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TV(14), DVD 플레이어(18), BD 플레이어(20) 중 가장 적합한 재생장치를 선택하여 재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제어부(31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제 재생이 수행되는 재생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재생장치들간의 연결 정보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검색 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미디어 데이터의 처리가 어떠한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보다 어떠한 출력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것에만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출력장치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함에 따라 재생기기들을 그룹화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키고 다수의 재생장치의 존재에 따른 UI의 복잡성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시부(342)는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GUI 객체를 배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42)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디어 재생장치들을 나타내는 GUI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 거실에 위치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들에 대한 GUI 객체를 표시부(342)에 표시한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각각의 미디어 재생장치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GUI 객체들이 배열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기준으로 정면에 위치하는 TV(14)를 나타내는 GUI 객체, 좌측에 위치하는 PC를 나타내는 GUI 객체(22), 우측에 위치하는 전자액자를 나타내는 GUI 객체(24)가 표시부(342)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거실에서 침실로 이동한 경우,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의 제어부(310)는 주변 무선 신호의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침실로의 이동을 인지하고 침실에 존재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들을 검색하여 이에 대응하는 GUI 객체들을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한다.
도 10은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침실에 위치하는 경우, 침실에 위치하는 미디어 재생장치들에 대한 GUI 객체를 표시부(342)에 표시한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에서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기준으로 정면에 위치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내는 GUI 객체(26), 좌측에 위치하는 오디오를 나타내는 GUI 객체(28), 우측에 위치하는 타블렛 PC를 나타내는 GUI 객체가 표시부(342)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미디어 재생장치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342)는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를 복수의 그룹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친구, 직장동료, 가족을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각각의 그룹에 대응하는 GUI 객체가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로서 표시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원하는 그룹의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는 구비된 카메라(352)에 의해 촬영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에 의해 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식하고,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는 인식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352) 기반 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식을 설정하면 미디어 재생장치의 선택 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카메라(352)를 동작시켜 전방에 있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표시부(342)는 촬영화면 표시창(38)에 카메라(35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이미지 프로세싱과 미디어 재생장치의 위치 등에 기반하여 미디어 재생장치들을 인식하고, 표시부(342)는 촬영화면 표시창(38)을 통해 그에 대한 GUI 객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GUI 객체들은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들의 촬영 영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사용자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12)를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GUI 객체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여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제 미디어 재생장치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GUI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310)는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또는 해당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가장 최적화된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GUI 객체를 다른 미디어 재생장치의 GUI 객체보다 부각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스트리밍 제어장치(300)가 개인의 모바일 기기로 구성되는 경우, 각 사용자의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사용 히스토리를 메모리(392)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310)는 이에 근거하여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호도 모드를 설정하면, 표시부(342)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순서대로 대응되는 GUI 객체를 부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최적화 모드를 설정하면, 표시부(342)는 해당 미디어 데이터를 가장 최적화하여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응되는 GUI 객체를 부각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각 미디어 재생장치의 검색 시 수신되는 장치정보로부터 최적화된 장치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선호도 또는 최적화의 순서에 따라 각 GUI 객체들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한 것을 예시하였다. 도 13에서는 선호도 또는 최적화의 순서가 높은 순서대로 TV(40), 오디오(42), 노트북 컴퓨터(44)에 대응되는 GUI 객체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 13과 달리, 표시부(342)는 GUI 객체의 색상, 투명도, 배열 순서 등과 같은 다른 요소를 조절하여 GUI 객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재생장치의 검색 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장치에 대한 정보로서 지원 가능 파일 형식 및 WOL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는 메모리(392)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10)는 현재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한 GUI 객체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2)는 미디어 재생장치가 현재 꺼져 있는 경우라도 WOL이 지원되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GUI 객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이 미디어 재생장치로 입력되고, 이에 따라, 미디어 재생장치가 켜지고 해당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수행된다.
한편, 제어부(310)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제2 GUI 객체(14)가 배열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스트리밍 제어장치(300)에 구비되는 센싱부를 통해서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미디어 재생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 미디어 재생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표시부(342)는 이에 대응하여, 제1 GUI 객체(12)의 상부에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를 배열할 수 있다. 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후면에 미디어 재생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표시부(342)는 제1 GUI 객체(12)의 하부에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제2 GUI 객체(14)를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GUI 객체의 배열에 의해 사용자에 보다 직관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디어 재생장치는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장치 및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고,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분리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12)를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하고 두 손가락을 벌리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분리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GUI 객체(12)를 클릭하고 스트리밍 제어장치(300)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통해 분리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명령을 통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2)에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GUI 객체로서,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60)와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디오 GUI 객체(62)가 표시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60) 및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62)를 각각 비디오 출력장치와 오디오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GUI 객체(64, 66, 68)로 드래그 앤드 드롭하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별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 입력할 수 있다.
영화와 같은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시, 사용자는 홈시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사운드를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성과 영상의 출력을 별개의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와 같은 UI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영상과 음성을 분리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20)
-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접속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상기 표시된 제1 GUI 객체를 통해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접속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상기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상기 표시된 제2 GUI 객체를 통해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제어장치가 상기 선택된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 및 상기 제2 명령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은 상기 제1 GUI 객체를 길게 누르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명령은 상기 제1 GUI 객체를 상기 제2 GUI 객체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인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미디어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GUI 객체는 상기 미디어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 객체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GUI 객체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장치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를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는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상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그룹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를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GUI 객체는 상기 인식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으로서 표시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을 수행하고,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재생장치를 검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1 GUI 객체와, 상기 검색된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1 GUI 객체를 통해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2 GUI 객체를 통해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명령 및 제2 명령에 따라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상기 제1 명령 및 상기 제2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GUI 객체를 길게 누르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GUI 객체를 상기 제2 GUI 객체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미디어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GUI 객체가 상기 미디어 출력장치를 나타내도록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 객체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GUI 객체를 배열하여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장치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를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GUI 객체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GUI 객체를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는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디어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GUI 객체를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식된 미디어 재생장치의 영상으로서 상기 제2 GUI 객체를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843A KR101276846B1 (ko) | 2011-04-22 | 2011-04-22 |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US13/323,208 US9678650B2 (en) | 2011-04-22 | 2011-12-12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843A KR101276846B1 (ko) | 2011-04-22 | 2011-04-22 |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2750A KR20130052750A (ko) | 2013-05-23 |
KR101276846B1 true KR101276846B1 (ko) | 2013-06-18 |
Family
ID=4702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7843A KR101276846B1 (ko) | 2011-04-22 | 2011-04-22 |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678650B2 (ko) |
KR (1) | KR1012768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00555B2 (en) * | 2008-10-10 | 2016-07-26 | Internet Servic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haptic data and media data |
US10248278B2 (en) * | 2011-12-30 | 2019-04-02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uitive multitasking |
US8918453B2 (en) * | 2012-01-03 | 2014-12-23 | Qualcomm Incorporated | Managing data representation for user equipments in a communication session |
KR101932270B1 (ko) * | 2012-01-04 | 2018-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9258380B2 (en) | 2012-03-02 | 2016-02-09 | Realtek Semiconductor Corp. | Cross-platform multimedia interaction system with multiple displays and dynamically-configured hierarchical servers and related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US9052802B2 (en) * | 2012-03-02 | 2015-06-09 | Realtek Semiconductor Corp. | Multimedia interaction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capable of filtering multimedia interaction commands |
JP6016413B2 (ja) * | 2012-04-02 | 2016-10-26 |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情報処理システム、設定画面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 |
US9002930B1 (en) * | 2012-04-20 | 2015-04-07 | Google Inc. | Activity distribu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
US10547713B2 (en) | 2012-11-20 | 2020-01-28 | Nvidia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of transmitting state based input over a network |
US20140195594A1 (en) * | 2013-01-04 | 2014-07-10 | Nvidia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processing, rendering, and displaying of content |
KR102211212B1 (ko) | 2013-03-15 | 2021-02-03 | 비데리 인코포레이티드 | 디지털 아트 및 이미징을 디스플레이하고, 배포하고, 뷰잉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US20140281559A1 (en) * | 2013-03-15 | 2014-09-18 | Marc Trachtenberg |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Displaying, Viewing, and Controlling Digital Art and Imaging |
KR20150057277A (ko) * | 2013-11-19 | 2015-05-28 | (주)휴맥스 |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US9614894B1 (en) * | 2014-02-05 | 2017-04-04 |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 On-the-fly media-tagging, media-uploading and media navigating by tags |
US9916839B1 (en) * | 2014-03-27 | 2018-03-13 | Amazon Technologies, Inc. | Shared audio functionality based on device grouping |
US20150339024A1 (en) * | 2014-05-21 | 2015-11-26 | Aniya's Production Company |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WO2016007426A1 (en) | 2014-07-07 | 2016-01-14 | Immersion Corporation | Second screen haptics |
US20160182627A1 (en) * | 2014-12-18 | 2016-06-23 | Apollo Education Group, Inc. | Application hibernation |
US9959658B2 (en) * | 2015-02-26 | 2018-05-01 | Rovi Guide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holographic animations |
USD757082S1 (en) | 2015-02-27 | 2016-05-24 | Hyland Software, Inc. |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5430468A (zh) * | 2015-11-30 | 2016-03-23 |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 一种电视机顶盒的遥控方法及装置 |
US10616633B2 (en) | 2016-02-29 | 2020-04-07 | T1V, Inc. |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and a common display |
US11825164B2 (en) * | 2022-03-22 | 2023-11-21 | Lenovo (Singapore) Pte. Ltd. | Media playback device sele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4912A (ko) * | 2003-03-07 | 2006-01-16 | 오픈픽 인크. | 주거 또는 비주거 제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KR20070040592A (ko) * | 2005-10-12 | 2007-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00054514A (ko) * | 2008-11-14 | 2010-05-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홈 미디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KR20100127416A (ko) * | 2009-05-26 | 2010-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기기 검색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63503B1 (en) * | 1999-05-26 | 2001-07-17 | Neal Margulis |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wireless television system |
US6678064B2 (en) * | 2001-02-14 | 2004-01-1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inter document viewer |
US7155305B2 (en) * | 2003-11-04 | 2006-12-26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
US7751805B2 (en) * | 2004-02-20 | 2010-07-06 | Google Inc. | Mobile image-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US7599710B2 (en) * | 2005-04-15 | 2009-10-06 | Magix Ag |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a remote server to create movies and slide shows for viewing on a cellular telephone |
KR100782824B1 (ko) * | 2005-11-03 | 2007-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트워크상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와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US20080295012A1 (en) * | 2007-05-23 | 2008-11-27 | Microsoft Corporation | Drag-and-drop abstraction |
US8789131B2 (en) * | 2010-05-14 | 2014-07-22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
US20120154679A1 (en) * | 2010-12-21 | 2012-06-21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User-controlled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
-
2011
- 2011-04-22 KR KR1020110037843A patent/KR1012768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12 US US13/323,208 patent/US967865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4912A (ko) * | 2003-03-07 | 2006-01-16 | 오픈픽 인크. | 주거 또는 비주거 제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KR20070040592A (ko) * | 2005-10-12 | 2007-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00054514A (ko) * | 2008-11-14 | 2010-05-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홈 미디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KR20100127416A (ko) * | 2009-05-26 | 2010-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기기 검색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272149A1 (en) | 2012-10-25 |
KR20130052750A (ko) | 2013-05-23 |
US9678650B2 (en) | 2017-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6846B1 (ko) |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
KR10175787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908147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881925B1 (ko) | 복수의 휴대 단말들을 이용하여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942392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EP2744216B1 (en) |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 |
US9207853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160134942A1 (en) | Multimedia playing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0008318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context based coordination of information among multiple devices | |
AU2018415397B2 (en) | Video preview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TWI555390B (zh) | 控制電子設備的方法與電子裝置 | |
KR20130113983A (ko) |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 |
CN104508699B (zh) |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 |
JP2014528122A (ja) | 装置及び装置のコンテンツ実行方法 | |
US20170147129A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CN106464976B (zh) |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 |
KR2013000182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09851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10128487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 |
KR20120105318A (ko) |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97364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771458B1 (ko)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40147599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