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277A -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277A
KR20150057277A KR1020130140402A KR20130140402A KR20150057277A KR 20150057277 A KR20150057277 A KR 20150057277A KR 1020130140402 A KR1020130140402 A KR 1020130140402A KR 20130140402 A KR20130140402 A KR 20130140402A KR 20150057277 A KR20150057277 A KR 2015005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icon
control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3014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277A/ko
Priority to US14/251,459 priority patent/US20150143423A1/en
Priority to EP20140164758 priority patent/EP2874401A1/en
Priority to AU2014213532A priority patent/AU2014213532A1/en
Publication of KR2015005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Abstract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콘텐트 선택부를 선택하는 신호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reflecting User's Inten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표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연동된 디바이스의 콘텐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 보편화되고 있다. IPTV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TV는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 데이터 통신 규격 및 단말기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디바이스의 스마트화가 실현되면서, 다수 개의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을 상호 연동시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홈 네트워크이다. 통상 홈 네트워크는 그 상용화를 위한 공식적인 협력체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기반으로 한다. 가전 제품, 무선 기기, PC 관련 기기 등의 개발 업체들은 홈 네트워크와 관련되는 DLNA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상품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는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있는 디바이스 간 및 서비스 간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호 연동시킨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연동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연동된 다른 디바이스에서의 콘텐트 재생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국특허공개 제2006-0074369호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트를 TV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연동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관건 중의 하나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 디바이스, 예컨대 DLNA에서의 DMC(Digital Media Controller)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대중화되고 있어, 디바이스 간의 연동에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DMR(Digital Media Renderer) 또는 DMP(Digital Media Player) 등에 의한 콘텐트 재생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74369호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표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연동된 다른 디바이스의 콘텐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선택하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는 상기 재생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며,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정해진 패턴에 따라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터치하면 상기 재생 화면으로부터 상기 선택 아이콘이 분리되는 형태로 표시됨에 의하여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은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를 기반으로 표시되되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3 제어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전송부는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3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형과 상기 제 3 도형은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과; 상기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되 상기 제 2 도형과 다른 크기의 제 3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도형 또는 상기 제 3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제 2 도형 또는 상기 제 3 도형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제 2 도형 및 상기 제 3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숨길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콘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와;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모드로 표시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표시 모드 정보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상기 콘텐트의 스크린 사이즈를 나타내는 스크린 사이즈 정보;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콘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공 방법은,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트 선택부가 선택됨을 감지하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선택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는 상기 재생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며,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정해진 패턴에 따라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터치하면 상기 재생 화면으로부터 상기 선택 아이콘이 분리되는 형태로 표시됨에 의하여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콘은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를 기반으로 표시되되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3 제어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3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형과 상기 제 3 도형은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 2 도형 및 상기 제 3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숨기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및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콘텐트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의 정보,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 및 서브 스크린의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및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콘텐트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선택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의 정보,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 및 서브 스크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의도에 따라 직관적으로 표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콘텐트가 선택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제 2 제어 아이콘을 선택한 후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의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제 1 디바이스의 전송부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제 1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제 2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이 PIP 모드로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제 1 디바이스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제 1 디바이스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도형의 영역으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도형의 영역으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통합한 형태의 제어 아이콘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10) 및 제 2 디바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제 2 디바이스(20)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의 DMC(Digital Media Controller)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2 디바이스(20)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가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제 2 디바이스(2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기반의 포터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제 2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10)의 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는 멀티미디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콘텐트를 재생하고, 스크린에 표시하는 콘텐트 재생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0)는 DLNA에서의 DMP(Digital Media Player) 또는 DMR(Digital Media Render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디바이스(20)는 스마트 TV, TV셋과 연동하는 셋탑박스 등일 수 있다.
상기 제 1 디바이스(10) 및 제 2 디바이스(20)는 정해진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상호 간에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10)와 제 2 디바이스(20)는 DLNA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호 간에는 물론이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과도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바이스(10)는 무선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로 접속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10)는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 2 디바이스(2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바이스(20)는 IPTV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IPT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RF 통신,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 1 디바이스(1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바이스(10)는 콘텐트를 선택 및 재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제 2 디바이스(20)를 의도에 따라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12)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는 시각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로서, 예컨대 멀티미디어, 동영상,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디바이스(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10)는 터치스크린(12) 및 디바이스 제어부(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2)과 디바이스 제어부(100)는 상호 간에 신호를 교환함에 의하여 연동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2)은 정보의 표시 기능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입력 기능을 구비한다. 터치스크린(12)은 표시 기능 기능을 위하여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100)는 상기 터치스크린(12)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제 2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제어부(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 및 전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터치스크린(12)을 제어하여,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여 제 2 디바이스(2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복수 개의 제어 아이콘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1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선택하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1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2) 상에서, 선택 아이콘을 원하는 제어 아이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송부(1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디바이스(20)를 제어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120)는 상기 생성된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선택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되는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에 의하여 제 1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12)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1)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콘텐트 선택부(CS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트 선택부(CS1)는 사용자가 제 2 디바이스(20)를 통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1)에 마련되는 그래픽 아이템이다. 상기 콘텐트 선택부(CS1)를 사용자가 선택, 예컨대 터치스크린(12)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하고 있으면 콘텐트가 선택되게 된다.
이러한 콘텐트 선택부(CS1)는 콘텐트 리스트 또는 콘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콘텐트 선택부(CS1)가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 및 레코딩 콘텐트 리스트의 형태로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콘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콘텐트 선택부를 구성하는 실시예는 예컨대 추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는 TV 방송 프로그램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 내의 각각의 콘텐트(즉, TV 방송 프로그램)은 외부의 서버 단의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는 예컨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들의 정보를 시간 별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레코딩 콘텐트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아이템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코딩 콘텐트 리스트는 제 1 디바이스(10), 제 2 디바이스(20) 또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아이템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즉, 상기 레코딩 콘텐트 리스트는 홈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DMS(Digital Media Server)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아이템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S는 제 1 디바이스(10)일 수도 있고, 제 2 디바이스(20)일 수도 있고, 또는 홈 네트워크 내의 제 3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1)에 표시되는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 또는 레코딩 콘텐트 리스트를 사용자가 열람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트를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하면, 터치된 콘텐트가 선택될 수 있다. 콘텐트가 선택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콘텐트가 선택됨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SI)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콘텐트가 선택됨에 따라 콘텐트 리스트의 콘텐트로부터 분리되어 튀어 나오는 듯한 형태로 표시되며,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선택 아이콘(SI)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1)의 화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Top Gear Season 2'의 2편(Two)을 선택하면, 해당 콘텐트가 TV 방송 콘텐트 리스트로부터 튀어 나오듯 선택 아이콘(SI)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 선택 아이콘(SI)을 선택한 상태에서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CI1, CI2)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CI1, CI2)은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에서 특정 표시 모드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1)는 제 1 제어 아이콘(CI1) 및 제 2 제어 아이콘(CI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은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가 재생하되 풀 스크린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 풀 스크린 모드는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 전체를 사용하여 콘텐트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 아이콘(CI2)은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가 PIP(Picture In Picture)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 PIP 모드는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 일부에 서브 스크린으로서 콘텐트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래픽적인 측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 및 제 2 제어 아이콘(CI2)이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CI2)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제 1 제어 아이콘(CI1)으로 드래그하여 정해진 기간(예컨대 수 밀리 초(sec)~ 수 초) 동안 제 1 제어 아이콘(CI1) 상에 위치시키면, 전송부(120)는 선택된 콘텐트를 풀 스크린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는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트를 풀 스크린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제 2 제어 아이콘(CI2)으로 드래그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제 2 제어 아이콘(CI2) 상에 위치시키면, 전송부(120)는 선택된 콘텐트를 PIP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는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트를 PIP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콘텐트는 TV 방송 프로그램이나 레코딩 콘텐트와 같은 멀티미디어 동영상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콘텐트는 멀티미디어는 물론이고, 이미지나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시각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콘텐트 선택부(CS2)로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콘텐트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 예컨대 터치스크린(12)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함에 의하여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콘텐트가 선택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콘텐트가 선택됨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SI)을 성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콘텐트가 선택됨에 따라 콘텐트 리스트의 콘텐트로부터 분리되어 튀어 나오는 듯한 형태로 표시되며,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선택 아이콘(SI)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2)의 화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MAXDOME'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해당 아이템이 튀어 나오듯 선택 아이콘(SI)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 선택 아이콘(SI)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를 유지하면서 제 1 제어 아이콘(CI1) 및 제 2 제어 아이콘(CI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제 1 제어 아이콘(CI1)으로 드래그하여 정해진 기간(예컨대 수 밀리 초(sec)~ 수 초) 동안 제 1 제어 아이콘(CI1) 상에 위치시키면, 전송부(12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풀 스크린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는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풀 스크린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제 2 제어 아이콘(CI2)으로 드래그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제 2 제어 아이콘(CI2) 상에 위치시키면, 전송부(12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PIP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는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PIP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S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콘텐트 선택부 및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제 1 디바이스(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3)의 일 측에는 콘텐트 리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콘텐트 리스트에서 원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콘텐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타 측, 예컨대 좌측 상단에 구비된 재생 콘텐트 표시부(R1)를 사용하여 선택된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0)에 표시되는 콘텐트를 제 1 콘텐트라고 하고, 이때 제 2 디바이스(20)에서는 제 2 콘텐트를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재생 콘텐트 표시부(R1)에서 재생되는 콘텐트의 재생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제 2 디바이스(20)에서 재생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콘텐트 선택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앞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콘텐트 리스트에 콘텐트 선택부가 구현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에는 콘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콘텐트 선택부가 구성된다.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콘텐트를 시청하던 중 그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를 사용하여 시청하기 위하여, 콘텐트 선택부, 즉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터치하고 정해진 시간이상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2)에서는 사용자가 콘텐트 선택부를 상기 정해진 시간이상 터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한다. 발생된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디바이스(10)는 제 1 디바이스(10)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트, 예컨대 제 1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0)로 재생을 요청할 콘텐트로서 선택하고(단계:S2), 선택 아이콘(SI)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S3). 상기 선택 아이콘(SI)이 생성되어 표시됨과 동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3)에는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제 1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콘텐트가 선택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콘텐트가 선택됨에 따라 재생 콘텐트 표시부(R1)에 의하여 표시되는 콘텐트 재생 화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튀어 나오는 듯한 형태로 표시되며,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재생 콘텐트 표시부(R1)에서 표시되고 있는 콘텐트의 재생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선택 아이콘(SI)에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트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콘텐트 표시부(R1) 및 선택 아이콘(SI)이 동일하게 제 1 콘텐트의 실시간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콘(SI)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3)의 화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터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선택 아이콘(SI)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터치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3)의 화면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선택 아이콘(SI)이 이동하는 사용자의 터치포인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3)는 선택 아이콘(SI)이 표시되면, 숨겨져 있던 제 1 제어 아이콘(CI1) 및 제 2 제어 아이콘(CI2)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CI2)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CI2)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를 인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제 1 제어 아이콘(CI1)으로 드래그한 후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제어 아이콘(CI1) 상에 정해진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12)은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제어 아이콘(CI1)의 영역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을 감지한다(단계:S4).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의 전송부(120)는 제 1 콘텐트를 재생하되 풀 스크린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5). 그러면, 제 2 디바이스(20)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 2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 1 콘텐트를 재생하여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사용자가 선택 아이콘(SI)을 제 2 제어 아이콘(CI2)으로 드래그한 후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제어 아이콘(CI2) 상에 정해진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12)은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제어 아이콘(CI2)의 영역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을 감지한다(단계:S6).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10)의 전송부(120)는 제 1 콘텐트를 재생하되 PIP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7). 그러면, 제 2 디바이스(20)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 2 콘텐트의 재생은 유지하면서 스크린에 표시하되,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화면 내의 일부 영역에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제 2 제어 아이콘(CI2)을 선택한 후 제 1 디바이스(10)와 제 2 디바이스(20)의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는 기존에 제 2 디바이스(20)가 재생하던 제 2 콘텐트가 표시되고,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제 1 디바이스(10)가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요청한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이 서브 스크린에서 표시된다.
도 9는 제 1 디바이스(10)의 전송부(120)로부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는 "Target Content URI", "Display Mode", "Start Ti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rget Content URI"는 타겟 콘텐트, 예컨대 제 1 콘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Display Mode"는 타겟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표시 모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Start Time"은 상기 제 2 디바이스(20)에서 상기 콘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 시점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타겟 콘텐트가 주문형 비디오 콘텐트 또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의 경우, 타겟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10) 및 제 2 디바이스(20)에서 각각 재생될 때 양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내용이 재생되도록 동기화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제 1 디바이스(10)에서 제 1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 2 디바이스(20)에서 심리스하게 타겟 콘텐트를 재생하는 경우 등에서는 상기 재생 시점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Start Time"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예컨대 타겟 콘텐트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등인 경우 "Start Time"이 필요 없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Start Time"의 값은 Null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DLNA에서는 DMC(Digital Media Controller)가 DMR(Digital Media Renderer) 또는 DMP(Digital Media Player)로 전송하는 콘텐트 재생 요청 메시지를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타겟 콘텐트 URI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디바이스(10)는 이러한 DLNA 메시지에서 실시환경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특정 필드를 상기 "Display Mode", "Start Time"로 각각 정하거나, DLNA 메시지에 새롭게 "Display Mode", "Start Time" 추가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제 1 디바이스(10)의 요청에 따라 제 2 디바이스(2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PIP 모드로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제 2 제어 아이콘으로 드래그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제 2 제어 아이콘 상에 위치시키면, 전송부(12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PIP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는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PIP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1, UI2, UI3, …)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1, UI2, UI3, …)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트를 풀 스크린 모드 또는 PIP 모드를 사용하여 타겟 디바이스인 제 2 디바이스(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의도에 따라 직관적으로 표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TV를 사용하여 콘텐트를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콘텐트로의 전환 의지가 명확할 경우 스마트패드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콘텐트를 풀 화면으로 재생할 것을 TV로 지시할 수도 있고, 다른 콘텐트로의 전환 의지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PIP 모드를 사용하여 재생할 것을 스마트패드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TV로 지시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함께 TV를 시청하다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콘텐트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TV에 PIP 모드로 재생하도록 지시한 후 다른 사용자의 동가 시청 콘텐트의 전환에 동의하면 풀 스크린으로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제어 아이콘(CI1) 및 제 2 제어 아이콘(CI2)을 기반으로 하여, 제 1 디바이스(10)가 타겟 디바이스인 제 2 디바이스(20)로 풀 스크린 모드 또는 PIP 모드를 지정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더 나아가 제 1 디바이스(10)가 타겟 디바이스인 제 2 디바이스(20)의 PIP 모드에서의 서브 스크린 사이즈를 지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제 1 디바이스(10)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는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들(CI1, CI2, CI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는 제 1 제어 아이콘(CI1), 제 2 제어 아이콘(CI2) 및 제 3 제어 아이콘(CI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은 풀 스크린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2 제어 아이콘(CI2)은 서브 스크린이 제 1 사이즈인 PIP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CI3)은 서브 화면이 제 2 사이즈인 PIP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2)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4) 상에서 선택 아이콘(SI)을 드래그하여,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제어 아이콘(CI1), 제 2 제어 아이콘(CI2) 및 제 3 제어 아이콘(CI3) 중 어느 하나로 진입시킨 상태를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만약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콘텐트를 풀 스크린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CI2)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디바이스(20)는 재생되던 콘텐트는 풀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하고,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요청된 콘텐트는 풀 스크린 내에의 일 측에 표시되는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CI3)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디바이스(20)는 재생되던 콘텐트는 풀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하고,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요청된 콘텐트는 풀 스크린 내에의 일 측에 표시되는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는 "Target Content URI", "Display Mode", "Screen Size", "Start Ti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rget Content URI"는 타겟 콘텐트, 예컨대 제 1 콘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Display Mode"는 타겟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표시 모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Start Time"은 상기 제 2 디바이스(20)에서 상기 콘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 시점 정보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어 메시지는 도 10에 도시된 제어 메시지에 "Screen Size"가 추가된다. 상기 "Screen Size"는 PIP 모드에서의 서브 스크린의 사이즈를 지정하는 서브 스크린 사이즈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된 "Display Mode", "Screen Size"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해서도 풀 스크린 모드, 다수 개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PIP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타겟 콘텐트를 풀 스크린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모드를 풀 스크린 모드, 타겟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모드를 제 1 PIP 모드, 타겟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모드를 제 2 PIP 모드 등으로 설정하고, 제 1 디바이스(10)는 제어 메시지의 "Display Mode"의 값으로서 상기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모드에 따라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제 2 디바이스(2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Screen Size"는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Screen Size"를 타겟 콘텐트를 표시하는 스크린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정하고, 예컨대 "Screes Size"가 100%면 풀 스크린 모드, 50%이면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타겟 콘텐트를 표시하는 PIP 모드, 25%이면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타겟 콘텐트를 표시하는 PIP 모드로 설정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제어 메시지의 "Screen Size"만을 사용해서도 풀 스크린 모드, 제 1 PIP 모드, 제 2 PIP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암시하는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Display Mode"는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앞서도 언급한 바 있듯이, 예컨대 DLNA에서는 DMC가 DMR 또는 DMP로 전송하는 콘텐트 재생 요청 메시지를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타겟 콘텐트 URI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디바이스(10)는 이러한 DLNA 메시지에서 실시환경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상기 "Display Mode", "Screen Size" 중 적어도 하나로 각각 정하거나, DLNA 메시지에 새롭게 "Display Mode", "Screen Size"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제 1 디바이스(10)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5)는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들(CI1, CI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UI5)는 제 1 제어 아이콘(CI1) 및 제 2 제어 아이콘(CI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CI1)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풀 스크린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CI4)은 복수 개의 PIP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 아이콘이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아이콘(CI4)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내에,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P1) 및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3 도형(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도형(P2)의 영역으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선택 아이콘(SI)의 우측 상단부 포인트가 제 2 제어 아이콘(CI4)의 제 3 도형(P2) 내로 진입하면 제 3 도형(P2)은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 상태가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디바이스(20)는 재생되던 콘텐트는 풀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하고,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요청된 콘텐트는 제 2 디바이스(20)의 풀 스크린 내에의 일 측에 표시되는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도형(P1)의 영역으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선택 아이콘(SI)의 우측 상단부 포인트가 제 2 제어 아이콘(CI4)의 제 2 도형(P1) 내에 위치하면 제 2 도형(P1)은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때, 제 2 도형(P2) 내의 제 3 도형(P3)은 하이라이트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가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디바이스(20)는 재생되던 콘텐트는 풀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하고,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요청된 콘텐트는 제 2 디바이스(20)의 풀 스크린 내에의 일 측에 표시되는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통합한 형태의 제어 아이콘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통합된 형태의 제어 아이콘(CI6)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아이콘(CI6)은 하나의 아이콘으로 풀 스크린 모드 및 다수 개의 서브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PIP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아이콘(CI6)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내에,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4 도형(P3) 및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5 도형(P4)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선택 아이콘(SI)의 우측 상단부 포인트가 제 1 도형 내에 표시되면 제 1 도형은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 상태가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풀 스크린 모드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선택 아이콘(SI)의 우측 상단부 포인트가 제어 아이콘(CI6)의 제 4 도형(P3) 내로 진입하면 제 4 도형(P3)은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아이콘(CI6) 내에 다른 부분들은 하이라이트되지 않는다. 이 상태가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선택 아이콘(SI)의 우측 상단부 포인트가 제어 아이콘(CI6)의 제 5 도형(P4) 내로 진입하면 제 5 도형(P4)은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아이콘(CI6) 내에 다른 부분들은 하이라이트되지 않는다. 이 상태가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제 1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에서 언급된 하이라이트는 도형 내 또는 도형의 경계 부분의 색상을 다른 부분과 구별되도록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5 도형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숨겨져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도형은 숨겨져 있다가 하이라이트 시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110)는 선택 아이콘(SI)의 적어도 일부분이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제 1 디바이스
12 : 터치스크린
100 : 디바이스 제어부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
120 : 전송부
20 : 제 2 디바이스

Claims (24)

  1.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선택하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는 상기 재생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며,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정해진 패턴에 따라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터치하면 상기 재생 화면으로부터 상기 선택 아이콘이 분리되는 형태로 표시됨에 의하여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은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를 기반으로 표시되되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3 제어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3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도형과 상기 제 3 도형은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상기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되 상기 제 2 도형과 다른 크기의 제 3 도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도형 또는 상기 제 3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제 2 도형 또는 상기 제 3 도형을 하이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제 2 도형 및 상기 제 3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숨기고,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콘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모드로 표시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표시 모드 정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상기 콘텐트의 스크린 사이즈를 나타내는 스크린 사이즈 정보;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콘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12.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 선택부가 선택됨을 감지하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선택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는 상기 재생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며,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정해진 패턴에 따라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터치하면 상기 재생 화면으로부터 상기 선택 아이콘이 분리되는 형태로 표시됨에 의하여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은 미리 설정된 사이즈 및 투명도를 기반으로 표시되되 상기 콘텐트의 재생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3 제어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및 상기 제 3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3 도형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도형과 상기 제 3 도형은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은 풀 스크린을 나타내는 제 1 도형;
    상기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나타내는 정해진 크기의 제 2 도형; 및
    상기 제 2 제어 아이콘의 제 1 도형 내에 배치되며 제 2 사이즈의 서브스크린을 나타내되 상기 제 2 도형과 다른 크기의 제 3 도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1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3 도형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사이즈의 서브 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형 및 상기 제 3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숨기는 단계;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진입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숨겨진 어느 하나의 도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콘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모드로 표시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표시 모드 정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상기 콘텐트의 스크린 사이즈를 나타내는 스크린 사이즈 정보;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콘텐트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2.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 선택부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제어 아이콘 및 제 2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여 정해진 기간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풀 스크린 모드 및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23.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및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콘텐트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의 정보,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 및 서브 스크린의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24.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콘텐트 선택부 및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1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콘텐트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선택 아이콘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 개의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으로 진입하여 정해진 이상 경과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의 정보, 풀 스크린 모드 및 PIP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 및 서브 스크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30140402A 2013-11-19 2013-11-19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7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02A KR20150057277A (ko) 2013-11-19 2013-11-19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4/251,459 US20150143423A1 (en) 2013-11-19 2014-04-11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that reflects user's intention
EP20140164758 EP2874401A1 (en) 2013-11-19 2014-04-15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that reflects user's intention
AU2014213532A AU2014213532A1 (en) 2013-11-19 2014-08-14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that reflects user’s int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02A KR20150057277A (ko) 2013-11-19 2013-11-19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277A true KR20150057277A (ko) 2015-05-28

Family

ID=5062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402A KR20150057277A (ko) 2013-11-19 2013-11-19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43423A1 (ko)
EP (1) EP2874401A1 (ko)
KR (1) KR20150057277A (ko)
AU (1) AU20142135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70A (ko) * 2015-09-11 201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604156A (zh) * 2016-07-26 2018-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8261A1 (ja) * 2015-08-28 2017-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212481B2 (en) * 2015-09-04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menu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viewing options
GB2542777A (en) * 2015-09-28 2017-04-05 Sony Corp A first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econd apparatus
US9615124B1 (en) * 2015-12-23 2017-04-04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media viewing experiences
US10341737B2 (en) * 2016-09-23 2019-07-02 DISH Technologies L.L.C. Integrating broadcast media streams with user media streams
CN106791894B (zh) * 2016-11-26 2018-08-31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直播视频的方法和装置
WO2018146982A1 (ja) * 2017-02-13 2018-08-1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61907B1 (ko) * 2017-06-26 2019-03-25 (주)모멘터스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CN107992369B (zh) * 2017-11-24 2021-08-3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及装置、终端装置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58680A (zh) * 2018-05-24 2018-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显示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22497B (zh) * 2020-04-16 2022-09-13 深圳市颍创科技有限公司 Pip模式中触摸控制显示设备子画面大小和位置的方法
CN114063785A (zh) * 2021-11-23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输出方法、头戴式显示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32B1 (ko) 2004-12-27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티브이에서의 동영상 재생 장치
US20080295012A1 (en) * 2007-05-23 2008-11-27 Microsoft Corporation Drag-and-drop abstraction
US20100201879A1 (en) * 2009-02-12 2010-08-12 Echostar Technologies L.L.C. Customizable Picture-in-Picture
WO2011019154A2 (en) * 2009-08-14 2011-02-17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11090461A (ja) * 2009-10-21 2011-05-0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9632688B2 (en) * 2011-03-31 2017-04-25 France Telecom Enhanced user interface to transfer media content
KR101276846B1 (ko) * 2011-04-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70A (ko) * 2015-09-11 201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604156A (zh) * 2016-07-26 2018-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3423A1 (en) 2015-05-21
AU2014213532A1 (en) 2015-06-04
EP2874401A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7277A (ko)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U2013360531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KR10221612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56642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バイスの制御方法
US9015758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728227B2 (ja) サービス配信プラットフォームへの接続性を有するデバイスのた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2575230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493906B1 (ko) 영상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40359522A1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913256B1 (ko)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US936357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hared home screen
CN103905866B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1182277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with contextual controls
US20140215514A1 (en) Apparatus of rendering user interface for playing broadcast programs and the method thereof
TW201334514A (zh) 遠端觸控操作的電視系統
KR101911249B1 (ko)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
JPWO2017208839A1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536662B2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21044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2156A (ko)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CN113347482B (zh) 一种播放数据的方法及显示设备
KR10205616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4203926A1 (ja) 放送受信装置、拡張機能実行装置、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TW201136305A (en) A mehtod and system for audio/video selection and playback
KR101800010B1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