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907B1 -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907B1
KR101961907B1 KR1020170080470A KR20170080470A KR101961907B1 KR 101961907 B1 KR101961907 B1 KR 101961907B1 KR 1020170080470 A KR1020170080470 A KR 1020170080470A KR 20170080470 A KR20170080470 A KR 20170080470A KR 101961907 B1 KR101961907 B1 KR 10196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ime
content
area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76A (ko
Inventor
조형석
Original Assignee
(주)모멘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멘터스 filed Critical (주)모멘터스
Priority to KR102017008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907B1/ko
Priority to PCT/KR2018/007199 priority patent/WO2019004687A1/ko
Priority to US16/480,406 priority patent/US1114417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22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반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가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인식하고, 화면 터치가 인식된 영역의 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동일하게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가 화면이 터치된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팝업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컨텐츠가 상기 팝업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가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지 않으면 터지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팝업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CONTENTS OF A MOBILE TERMINAL BASED ON A DURATION OF A USER'S TOUCH}
본 발명은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이동단말기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상에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시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컨텐츠들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및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을 넘어 인터넷 검색, 쇼핑,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보다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이 필요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으로는 보통 손가락을 이용하여 좌우이동을 통해 조작하는 스와이프(swipe), 두 손가락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핀치 인(pinch-in), 핀치 아웃(pinch-out), 터치 감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3D터치(3D-touch) 등이 있으며,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683868호(명칭: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으나, 접촉 세기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들과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한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및 유지(touch & hold) 동작만으로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가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인식하고, 화면 터치가 인식된 영역의 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동일하게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가 화면이 터치된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팝업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컨텐츠가 상기 팝업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가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지 않으면 터지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팝업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되어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여 보다 간편하게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를 종료하면 바로 링크페이지로 이동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보다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터치 유지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먼저 이동단말기의 터치인식부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 터치를 인식한다(S110).
이동단말기(100)의 터치인식부가 화면 터치를 인식되면, 화면 터치가 인식된 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동일하게 유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실시예에서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정메뉴를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하여 특정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객체를 직접적으로 터치하여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에, 터치가 소정시간동안 동일하게 유지되면, 이동단말기(100)가 화면이 터치된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팝업영역을 설정한다(S130). 팝업영역은 디스플레이부의 중앙부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팝업영역은 특정객체와 겹쳐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이동단말기(100)는 터치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컨텐츠를 상기 팝업영역에 표시한다(S140). 이동단말기(100)는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지 않으면 터지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팝업 영역에 표시한다(S150)
이후에, 이동단말기(100)는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면 링크 페이지로 이동한다(S160). 즉, 터치가 종료되면, 팝업 영역이 닫히고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팝업 영역에서 새로운 컨텐츠가 제공되거나 구매 등을 위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체화한 실시예로서 터치 유지 시간은 기설정된 제1시간, 제2시간, 제3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 제2시간, 제3시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들이 매핑되어 터치유지시간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들이 시계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 상기 제2시간, 상기 제3시간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시간, 상기 제2시간, 상기 제3시간은 최초 터치 입력 이후 유지된 시간으로 상기 제1시간은 1초, 상기 제2시간은 3초, 상기 제3시간은 5초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1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S240), 제2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2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S260), 제n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n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한다(S280). 상기 제1컨텐츠는 광고페이지이고, 상기 제2컨텐츠는 상품정보 및 판매정보 페이지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다수개의 지속 유지 시간과 지속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들이 팝업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후에, 이동단말기(100)는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면 링크 페이지로 이동한다(S160). 즉, 터치가 종료되면, 팝업 영역이 닫히고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페이지가 구매 페이지인 경우 특정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가 종료되면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 없이 상기 팝업 영역에서 새로운 컨텐츠가 제공되거나 구매를 위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이동단말기(100)와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서버(200)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이동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이동단말기(100) 스스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100)는 사물인터넷 기기와 통신하여 컨텐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입력부(110), 터치인식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컨텐츠 처리부(160), 저장부(1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의 이동단말기(100)는 컴퓨팅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처럼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서를 실행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여 이동중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이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0)는 입력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한다.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고, 터치 이벤트를 터치인식부(120)에 전달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1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터치 센서(정압/정전)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는 위치와 터치 유지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인식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터치 인식부(12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터치에 기초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웹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문서,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일 수 있고, 사용자 터치에 기초하여 특정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특정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특정영역을 분할하여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이동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가 표시될 특정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하는 통신 모듈이다. 통신부(150)는 서버(200)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통신부(150)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16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유지 시간은 기설정된 제1시간, 제2시간, 제3시간, 제n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시간, 제2시간, 제3시간, 제n시간 각각에 대응하는 제1컨텐츠, 제2컨텐츠, 제3컨텐츠, 제n컨텐츠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터치 유지 시간, 터치 유지 시간 별 대응하는 컨텐츠들, 링크페이지의 URL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한 손가락만을 이용한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되어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특정 상품(450)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특정 상품과 연관된 정보메뉴(440)를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 지속시간에 따라 특정 개체와 관련 컨텐츠들(예컨대, 특정 상품과 관련된 광고, 판매정보, 상품평)이 시계열적으로 특정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및 유지 동작만으로 특정 상품과 관련된 컨텐츠를 손쉽게 제공받고, 터치를 종료하면 특정 상품의 구매페이지로 이동하여 상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이동하는 페이지의 내용을 한정하는ㄴ 것은 아니며, 별도의 페이지 이동없이 팝업 영역내에 또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정보메뉴(44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개의 정보메뉴가 표시될 수 있고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를 종료하는 경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좌우상하로 이동하거나, 화면을 세게 눌러 또 다른 액션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1시간(t1)에는 제1컨텐츠가 표시되고,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시간(t2)이 도래하면, 제2컨텐츠가 표시되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3시간(t3)이 도래하면 제3컨텐츠가 표시된다. 터치가 종료되는 제4시간(t4)에는 컨텐츠 표시가 종료되고, 저장부에 기저장된 링크페이지 URL에 기초하여 링크페이지로 이동한다. 상기 링크페이지는 선택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텐츠는 광고페이지이고, 상기 제2컨텐츠는 상품정보 및 판매정보 페이지이고, 상기 제3컨텐츠는 상품평페이지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한 손가락만을 이용한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될 뿐 아니라 링크페이지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서버
110; 입력부 120; 터치 인식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컨텐츠 처리부
170; 저장부

Claims (6)

  1. 사용자 터치 유지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이동단말기가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인식하고, 화면 터치가 인식된 영역의 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동일하게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이동단말기가 화면이 터치된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팝업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컨텐츠가 상기 팝업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c) 이동단말기가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지 않으면 터지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팝업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화면 터치가 인식되는 영역은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특정 상품과 연관된 정보메뉴이고,
    상기 (b) 단계는, 터치 유지 시간은 기설정된 제1시간, 제2시간, 제3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 제2시간, 제3시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들이 저장되되, 제1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1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 제2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2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 제3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3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
    이동단말기는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컨텐츠 처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가 표시될 상기 팝업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팝업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팝업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상기 팝업영역을 분할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텐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이동단말기가 터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종료되면 링크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 상기 제2시간, 상기 제3시간은 최초 터치 입력 이후 유지된 시간으로 상기 제1시간은 1초, 상기 제2시간은 3초, 상기 제3시간은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1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1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 제2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2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고, 제3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면 제3컨텐츠를 상기 팝업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는 광고페이지이고, 상기 제2컨텐츠는 상품정보 및 판매정보 페이지이고, 상기 제3컨텐츠는 상품평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의 화면 터치는 한손가락 터치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70080470A 2017-06-26 2017-06-26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96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70A KR101961907B1 (ko) 2017-06-26 2017-06-26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PCT/KR2018/007199 WO2019004687A1 (ko) 2017-06-26 2018-06-26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16/480,406 US11144178B2 (en) 2017-06-26 2018-06-26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for mobile terminal on the basis of user touch and hold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70A KR101961907B1 (ko) 2017-06-26 2017-06-26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76A KR20190001076A (ko) 2019-01-04
KR101961907B1 true KR101961907B1 (ko) 2019-03-25

Family

ID=6474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470A KR101961907B1 (ko) 2017-06-26 2017-06-26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44178B2 (ko)
KR (1) KR101961907B1 (ko)
WO (1) WO2019004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6871B2 (ja) * 2020-07-31 2023-02-01 マーヘル バルモウ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11553805B2 (en) * 2020-12-18 2023-01-17 Apple Inc. Product showcase system
KR102507662B1 (ko) 2022-09-22 2023-03-08 전진효 개인용 클린 에너지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03B1 (ko) * 2016-05-03 2016-09-28 아이피랩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7444B1 (ko) * 2015-10-13 2017-02-16 이재혁 컨텐츠 생성 및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10B1 (ko) * 2011-03-11 2013-02-05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40025940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시간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44826B1 (ko) * 2013-01-02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9298266B2 (en) * 2013-04-02 2016-03-29 Aquif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ree-dimensional (3D) gesture 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that incorporate gesture reactive interface objects
KR102138506B1 (ko) * 2013-07-15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582180B2 (en) * 2013-11-13 2017-02-28 Vmware, Inc. Automated touch screen zoom
KR20150057277A (ko) * 2013-11-19 2015-05-28 (주)휴맥스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166833B1 (ko) * 2014-01-28 2020-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16010B2 (en) * 2014-05-16 2018-03-13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Gesture recognition cloud command platform,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05199A (ko) * 2014-07-03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2555B1 (ko) * 2014-11-10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961239B2 (en) * 2015-06-07 2018-05-01 Apple Inc. Touch accommodation options
KR20180019392A (ko) * 2016-08-1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44B1 (ko) * 2015-10-13 2017-02-16 이재혁 컨텐츠 생성 및 전송 방법
KR101660803B1 (ko) * 2016-05-03 2016-09-28 아이피랩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76A (ko) 2019-01-04
US11144178B2 (en) 2021-10-12
WO2019004687A1 (ko) 2019-01-03
US20210089177A1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7669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9062479B (zh) 分屏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229699B1 (ko)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9007314B2 (en) Method for touch processing and mobile terminal
US20120289290A1 (en)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application windows displayed on mobile terminal
JP6448900B2 (ja) 状況情報基盤の情報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EP26607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CN103635873A (zh) 触摸操作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3210366A (zh) 用于基于邻近的输入的装置和方法
CN105426080A (zh) 一种图片切换方法及终端
KR20140078629A (ko) 인플레이스 방식으로 값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5034691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Content Hierarchy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KR101961907B1 (ko)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CN106445956B (zh) 一种购物数据的管理方法及装置
US20120179963A1 (en) Multi-touch electronic device, graphic display interface thereof and object selection method of multi-touch display
US11455071B2 (en) Layout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window control bars
CN109634487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44611B (zh) 虚拟物品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50234546A1 (en) Method for Quickly Displaying a Skype Contacts List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CN109032441B (zh) 一种界面的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625187B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CN110874141A (zh) 图标移动的方法及终端设备
KR101635978B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 쇼핑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