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004A -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004A
KR20150007004A KR1020130080747A KR20130080747A KR20150007004A KR 20150007004 A KR20150007004 A KR 20150007004A KR 1020130080747 A KR1020130080747 A KR 1020130080747A KR 20130080747 A KR20130080747 A KR 20130080747A KR 20150007004 A KR20150007004 A KR 2015000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
state
communication device
cab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648B1 (ko
Inventor
김용우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648B1/ko
Priority to US14/293,964 priority patent/US9248754B2/en
Priority to JP2014120726A priority patent/JP5735684B2/ja
Priority to EP14172877.4A priority patent/EP2837522A3/en
Priority to CN201410328375.0A priority patent/CN104283254B/zh
Publication of KR2015000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Abstract

애드-온 통신 장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된다. 무선 통신부는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한다. 적외선 수신 다이오드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부착 체크부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부착 체크부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IN-CABL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가정 등에 구비된 소켓이 제공하는 60Hz의 상용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가 사용된다.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소켓에 연결되는 플러그, 이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를 연결하는 전력 선을 포함한다.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되므로,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하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과 일체로서 부착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 자체가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요구 사항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더 이상 앞서 언급한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므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충전 상태를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에 관한 정보나 고장 정보를 소정의 색상의 LED를 통해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이러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를 직접 눈으로 보아야만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비가 오거나 춥거나 더운 날씨 상황에서 더욱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싶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날씨 상황에서 밖을 나가서 직접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를 눈으로 보아야 한다는 사실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제1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제1 적외선을 수신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장치로부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제2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다이오드;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부착 체크부; 및 상기 제2 디지털 패턴으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제3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은 상기 부착 체크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소정의 시간 패턴에 따라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1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1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는 제2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는 제2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휴면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휴면 상태에서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량은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를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를 통신 불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불가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력 소모량은 상기 통신 가능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제어 유닛과는 별도의 하드웨어이고,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유닛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의 상태를 정상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의 상태를 동작 중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중지 상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의 전력 소모량은 상기 정상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휴면 상태에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휴면 상태에서, 상기 부착 체크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장치로부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의 특성을 유지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의 교체 시 비용 부담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되지 않는 애드-온 통신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지 않는 때에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동작을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은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소켓(30), 및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소켓(30)은 교류(AC) 전원을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1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통해 소켓(30)과 연결되어, 소켓(30)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제공받는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소켓(30)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전력 선(23)은 전력을 전달한다.
전기자동차 커넥터(21)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에 삽입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120)과 결합하며,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플러그(25)는 소켓(30)에 삽입되어, 소켓(30)과 결합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2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23)과 일체로서 부착되며,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이동 단말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 없이 고정형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단말 장치(3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 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100)는 배터리(110), 배터리 충전 장치(115), 전기 자동차 인렛(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을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외부로부터 배터리(11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기 위한 커넥터이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을 통해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한다.
통신부(1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또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기 자동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단말 장치 통신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의 차단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220)가 턴오프되면,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을 차단한다. 릴레이(220)가 턴온되면,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을 제공한다.
감지부(230)는 후술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모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지는 않고,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30)는 릴레이 융착 감지부, 전류 감지부, 내부 온도 감지부, 내부 습도 감지부, 외부 온도 감지부, 외부 습도 감지부, 누전 감지부, 및 단선 감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융착 감지부는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는 전력 선(23)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온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습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온도 감지부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외부 습도 감지부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한다. 누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선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의 통신부(130)와 통신한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 선(23)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5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통신부(250)는 단말 장치(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부(3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2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 장치(320),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한다.
입력 장치(32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입력 장치(320)는 터치 스크린, 물리 버튼, 음성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단말 장치(300)의 움직임 제스처를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도형 또는 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 방법 또는/및 음향을 포함하는 청각적 표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입력 장치(320)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명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101).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을 통신부(31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103).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통해 명령을 수신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을 수행한다(S105).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오프된 릴레이(220)를 턴온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온된 릴레이(220)를 턴오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더 이상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을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107).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응답은 수집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는, 초기 충전 상태(state), 현재 충전 상태(state),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실제 충전 종료 시간,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status information)와,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 전기 자동차(100)에 공급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10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충전 상태와 현재 충전 상태는 배터리(110)의 총 용량 대비 현재의 충전량의 비율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가 충전중 또는 충전 대기중인지 또는 충전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 정보는 릴레이(220)의 상태에 관한 정보와,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2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릴레이(220)가 턴온되었는지 턴오프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정보는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와 주변의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수신한 응답을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한다(S109).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참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입력 장치(32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가 단말 장치(300)를 통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 여부 및 고장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및 상용 전원 사이의 접지선이 단락된 경우에, 종래에는 이를 별도로 감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230)가 단선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을 중단시키고, 단선된 부분을 수리하거나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으로부터 단말 장치(300)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고장 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에 의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의 미실행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사용 이력이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수명을 미리 예측하여 별도의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를 준비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잦은 수리 및 교체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비교적 고가인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포함하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를 가지는 경우에,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특성 상 수리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고, 교체 시 비용 부담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단말 장치 통신부를 별도의 장치로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은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소켓(30), 단말 장치(300), 및 애드-온 통신 장치(400)를 포함한다.
소켓(30), 전기 자동차(100)는 도 1의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소켓(30)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전력 선(23), 전기자동차 커넥터(21), 플러그(25)는 도 1의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제공하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2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23)과 일체로서 부착되며,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부착된다. 이때,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7에 도시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가격과 수리 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나, 다양한 응용에서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제어부(270)의 동작은 도 3의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후술된다.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 생성부(410), 부착 체크부(420),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 단말 장치 통신부(450), 저장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와 통신한다.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와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를 포함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의 위치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의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매칭된다.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단말 장치(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450)와 통신부(3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4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4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전력을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애드-온 통신 장치(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다음은 도 9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 변화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동작을 보여준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휴면 상태(idle state)(ST100)와 활성 상태(active state)(ST200)를 가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면 상태(ST100)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력 소모량은 활성 상태(ST200)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다.
휴면 상태(ST100)는 부착 체크 상태(ST110)와 부착 체크 대기 상태(ST120)를 가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체크 상태(ST110)의 시간적 길이에 해당하는 응답 대기 시간은 부착 체크 대기 상태(ST120)의 시간적 길이는 부착 체크 대기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부착 체크 대기 상태(ST120)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력 소모량은 부착 체크 상태(ST110)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다.
휴면 상태(ST100)의 부착 체크 상태(ST110)에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소정의 시간 패턴에 따라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패턴은 일정한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주기적으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이후에도,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소정의 시간 패턴에 따라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이전과 이후 모두에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동일한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조사에 이용되는 디지털 패턴의 생성은 부착 체크 요청 신호 생성부(410)가 담당할 수 있다. 부착 체크 요청 신호 생성부(410)는 제어부(470)와는 별도의 하드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되기 이전에 조사되는 적외선이 가지는 디지털 패턴은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이후에 조사되는 적외선이 가지는 디지털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되기 이전에 조사되는 적외선이 가지는 디지털 패턴의 생성은 부착 체크 요청 신호 생성부(410)가 담당할 수 있다. 또,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2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이후에 조사되는 적외선이 가지는 디지털 패턴의 생성은 제어부(470)가 담당할 수 있다. 부착 체크 요청 신호 생성부(410)는 제어부(470)와는 별도의 하드웨어일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하고,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다.
부착 체크부(420)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에 기초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인 응답 대기 시간 내에 정상적인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인 응답 대기 시간 내에 정상적인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부착 체크 상태(ST110)에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활성 상태(ST200)로 변경할 수 있다.
부착 체크 상태(ST110)에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부착 체크 대기 상태(ST120)로 변경할 수 있다.
부착 체크 대기 상태(ST120)로 진입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부착 체크 상태(ST110)로 변경할 수 있다.
활성 상태(ST200)에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인 응답 대기 시간 내에 정상적인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활성 상태(ST200)로 유지할 수 있다.
활성 상태(ST200)에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인 응답 대기 시간 내에 정상적인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휴면 상태(ST100)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휴면 상태(ST100) 중 부착 체크 대기 상태(ST120)로 변경할 수 있다.
활성 상태(ST200)에서, 부착 체크부(420)는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상태를 통신 가능 상태로 두고, 제어부(470)의 상태를 정상 동작 상태로 둘 수 있다. 휴면 상태(ST100)에서, 부착 체크부(420)는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상태를 통신 불가 상태로 두고, 제어부(470)의 상태를 동작 중지 상태로 둘 수 있다.
통신 불가 상태에서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전력 소모량은 통신 가능 상태에서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다. 동작 중지 상태에서 제어부(470)의 전력 소모량은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제어부(470)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다.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상태를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단말 장치 통신부(450)의 상태를 통신 불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부착 체크부(420)는 제어부(470)과는 별도의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이때,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제어부(47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470)의 상태를 정상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470)의 상태를 동작 중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활성 상태(ST200)에서, 제어부(470)는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다양한 정보를 교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상태(ST200)에서 교환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의 1비트의 길이는 휴면 상태(ST100)에서 교환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의 1비트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휴면 상태(ST100)에서 교환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의 1비트의 길이는 활성 상태(ST200)에서 교환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의 1비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휴면 상태(ST100)에서 교환되는 정보는 부착 체크 요청과 부착 체크 응답에 해당하므로, 정보의 양이 많지 않다.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길이를 줄이면, 주파수가 높아져 전력 소모량이 커지므로, 휴면 상태(ST100)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활성 상태(ST200)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양은 상대적으로 크므로, 디지털 패턴의 1비트의 길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휴면 상태(ST100)에 있다(S301).
휴면 상태(ST100)에서 부착 체크 상태(ST110)가 도래하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부착 감지 신호 생성부(410)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S302). 부착 감지 신호 생성부(410)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를 생성할 수 있다.
휴면 상태(ST100)의 부착 체크 상태(ST110)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03). 실시예에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휴면 상태(ST100)의 부착 체크 상태(ST110)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S305). 실시예에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부착 체크부(420)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는지를 체크한다(S30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인 응답 대기 시간 내에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인 응답 대기 시간 내에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소정의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부착 체크부(4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부착 체크부(420)가 부착 체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부착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부착 체크부(42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를 활성 상태(ST200)로 변경한다(S309).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가 활성 상태(ST200)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311).
단말 장치(30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상태가 활성 상태(ST200)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제어가 가능함을 디스플레이한다(S313).
한편,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입력 장치(320)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명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315).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을 통신부(310)를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317). 활성 상태에 있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 있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수신한 명령을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319).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을 수행한다(S321). 단계(S105)에서 설명한 동작이 단계(S321)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단계(S321)의 동작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을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323).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에 해당하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 있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07)에서 설명한 동작이 단계(S323)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단계(S323)의 동작을 위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활성 상태에 있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수신한 응답을 단말 장치 통신부(45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325).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수신한 응답을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한다(S327). 단계(S109)에서 설명한 동작이 단계(S327)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단계(S327)의 동작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제품에 개별로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통해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제품에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제1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제1 적외선을 수신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장치로부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제2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다이오드;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부착 체크부; 및
    상기 제2 디지털 패턴으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제3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은 상기 부착 체크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애드-온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소정의 시간 패턴에 따라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1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1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상기 제3 적외선을 조사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는 제2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3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는 제2 디지털 패턴의 1 비트의 시간적 길이보다 긴
    애드-온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상태를 휴면 상태로 변경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상태에서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량은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은
    애드-온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를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를 통신 불가 상태로 변경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불가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력 소모량은 상기 통신 가능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은
    애드-온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제어 유닛과는 별도의 하드웨어이고,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유닛의 상태를 변경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체크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의 상태를 정상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의 상태를 동작 중지 상태로 변경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중지 상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의 전력 소모량은 상기 정상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은
    애드-온 통신 장치.
  15.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휴면 상태에서, 부착 체크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휴면 상태에서, 상기 부착 체크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부착 체크 응답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애드-온 통신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장치로부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80747A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6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47A KR101769648B1 (ko)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4/293,964 US9248754B2 (en) 2013-07-10 2014-06-02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device
JP2014120726A JP5735684B2 (ja) 2013-07-10 2014-06-11 ケーブルインストール型充電制御装置に付着さ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EP14172877.4A EP2837522A3 (en) 2013-07-10 2014-06-18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device
CN201410328375.0A CN104283254B (zh) 2013-07-10 2014-07-10 附着于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的附加通信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47A KR101769648B1 (ko)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004A true KR20150007004A (ko) 2015-01-20
KR101769648B1 KR101769648B1 (ko) 2017-08-18

Family

ID=5094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747A KR101769648B1 (ko)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8754B2 (ko)
EP (1) EP2837522A3 (ko)
JP (1) JP5735684B2 (ko)
KR (1) KR101769648B1 (ko)
CN (1) CN1042832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463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아이젠 빛을 이용한 정보출력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377A (ko) * 2011-10-20 2014-10-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USD733046S1 (en) * 2013-06-04 2015-06-30 Lsis Co., Ltd. Body of electric automobile charger
EP3616977A1 (de) * 2018-08-31 2020-03-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dekabel für ein elektrofahrzeug
FR3118187B1 (fr) * 2020-12-18 2022-12-23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pour un organe de charge, de détermination de l’état de santé d’une batterie d’un véhicule électrique.
EP4264302A1 (fr) * 2020-12-18 2023-10-25 Electricité de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rmination de l'etat de sante d'une batterie d'un vehicule electriqu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949A (ja) 1992-05-14 1993-11-26 Koito Ind Ltd 車両センサ
JPH0846710A (ja) 1994-07-29 1996-02-16 Toyo Sangyo Kk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9457791B2 (en) 2009-01-06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rging cable with controller
WO2010022059A1 (en) 2008-08-18 2010-02-25 Austin Christopher B Vehicular battery charger, charging system, and method
JP4821833B2 (ja) 2008-10-28 2011-11-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充電システム
JP2010148283A (ja) 2008-12-19 2010-07-01 Mazda Motor Corp 電気自動車用蓄電池制御装置
US20100306033A1 (en) 2009-06-01 2010-12-02 Dror Oved Electrical power metering and billing network
JP5347773B2 (ja) 2009-07-02 2013-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ケーブル
US8558504B2 (en) 2010-01-11 2013-10-1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with timer
WO2011127446A2 (en) * 2010-04-09 2011-10-13 Aerovironment, Inc. Portable charging cable with in-line controller
JP5459074B2 (ja) 2010-05-28 2014-04-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給電ケーブル装置
CN103298644B (zh) 2010-10-27 2016-12-14 Aes有限公司 使用电气装置来管理能量服务的方法、适配器和装置
PT2455924E (pt) 2010-11-09 2014-07-15 Aidon Oy Fornecimento sem fios de dados de medição de electricidade de um evento de carregamento elétrico
WO2012078921A2 (en) 2010-12-08 2012-06-14 Aerovironment, Inc. Electric vehicle charger diagnostic extension cable
US8896265B2 (en) * 2011-01-31 2014-11-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harge transfer devices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US8829852B2 (en) * 2011-04-28 2014-09-09 Lg Chem, Ltd.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battery
CN102523351B (zh) * 2011-12-27 2013-12-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触摸屏防误触发电路及其实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463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아이젠 빛을 이용한 정보출력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8754B2 (en) 2016-02-02
JP5735684B2 (ja) 2015-06-17
EP2837522A3 (en) 2015-07-22
US20150015200A1 (en) 2015-01-15
KR101769648B1 (ko) 2017-08-18
EP2837522A2 (en) 2015-02-18
CN104283254A (zh) 2015-01-14
CN104283254B (zh) 2017-05-31
JP2015019564A (ja)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221B2 (ja) ケーブル一体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5969646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779637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69648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0994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158873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16003180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20160033511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1873B1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40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8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6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3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41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