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637B1 -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637B1
KR101779637B1 KR1020130080746A KR20130080746A KR101779637B1 KR 101779637 B1 KR101779637 B1 KR 101779637B1 KR 1020130080746 A KR1020130080746 A KR 1020130080746A KR 20130080746 A KR20130080746 A KR 20130080746A KR 101779637 B1 KR101779637 B1 KR 10177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add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003A (ko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637B1/ko
Priority to US14/285,392 priority patent/US9769741B2/en
Priority to JP2014123178A priority patent/JP5890474B2/ja
Priority to EP14172875.8A priority patent/EP2823988A3/en
Priority to CN201410325870.6A priority patent/CN104283253A/zh
Publication of KR2015000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제1 통신 모듈을 결정한다.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의 수신이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재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제2 통신 모듈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IN-CABL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가정 등에 구비된 소켓이 제공하는 60Hz의 상용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가 사용된다.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소켓에 연결되는 플러그, 이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를 연결하는 전력 선을 포함한다.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되므로,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하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과 일체로서 부착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 자체가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요구 사항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더 이상 앞서 언급한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므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충전 상태를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에 관한 정보나 고장 정보를 소정의 색상의 LED를 통해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이러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를 직접 눈으로 보아야만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비가 오거나 춥거나 더운 날씨 상황에서 더욱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싶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날씨 상황에서 밖을 나가서 직접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를 눈으로 보아야 한다는 사실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제1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의 수신이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재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제2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의 다음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로부터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관련 이벤트의 발생을 체크하고, 상기 충전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충전 관련 이벤트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련 이벤트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완료,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오류 발생, 상기 전기 자동차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고장 발생,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 내의 릴레이의 ON/OFF 상태 변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 내의 릴레이에 융착 발생,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온도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누전 발생,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단선 발생,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주변의 환경 팩터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련 정보는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전송 직전에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수신된 통신 모듈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의 특성을 유지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의 교체 시 비용 부담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할당된 데이터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종종 WWAN 통신 모듈을 턴오프한 경우나 사용자가 홈 영역을 벗어나서 WLAN 통신 모듈의 사용이 불가한 경우에도 애드-온 통신 장치가 적응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모듈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가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가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은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소켓(30), 및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소켓(30)은 교류(AC) 전원을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1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통해 소켓(30)과 연결되어, 소켓(30)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제공받는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소켓(30)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전력 선(23)은 전력을 전달한다.
전기자동차 커넥터(21)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에 삽입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120)과 결합하며,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플러그(25)는 소켓(30)에 삽입되어, 소켓(30)과 결합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2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23)과 일체로서 부착되며,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 장치(300)는, 이동 단말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 없이 고정형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단말 장치(3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 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100)는 배터리(110), 배터리 충전 장치(115), 전기 자동차 인렛(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을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외부로부터 배터리(11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기 위한 커넥터이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을 통해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한다.
통신부(1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또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기 자동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단말 장치 통신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의 차단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220)가 턴오프되면,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을 차단한다. 릴레이(220)가 턴온되면,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을 제공한다.
감지부(230)는 후술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모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지는 않고,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30)는 릴레이 융착 감지부, 전류 감지부, 내부 온도 감지부, 내부 습도 감지부, 외부 온도 감지부, 외부 습도 감지부, 누전 감지부, 및 단선 감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융착 감지부는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는 전력 선(23)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온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습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온도 감지부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외부 습도 감지부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한다. 누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선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의 통신부(130)와 통신한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 선(23)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5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통신부(250)는 단말 장치(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부(3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2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 장치(320),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한다. 특히 통신부(310)는 복수의 통신 모듈(3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통신 모듈(311)은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WI-FI와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통신을 위한 WLAN 통신 모듈 및 IEEE 802.16이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규격에서 규정하는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통신을 위한 WWAN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32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입력 장치(320)는 터치 스크린, 물리 버튼, 음성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단말 장치(300)의 움직임 제스처를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도형 또는 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 방법 또는/및 음향을 포함하는 청각적 표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입력 장치(320)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명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101).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을 통신부(31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103).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통해 명령을 수신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을 수행한다(S105).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오프된 릴레이(220)를 턴온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온된 릴레이(220)를 턴오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더 이상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을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107).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응답은 수집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는, 초기 충전 상태(state), 현재 충전 상태(state),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실제 충전 종료 시간,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status information)와,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 전기 자동차(100)에 공급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10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충전 상태와 현재 충전 상태는 배터리(110)의 총 용량 대비 현재의 충전량의 비율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가 충전중 또는 충전 대기중인지 또는 충전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 정보는 릴레이(220)의 상태에 관한 정보와,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2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릴레이(220)가 턴온되었는지 턴오프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정보는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와 주변의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수신한 응답을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한다(S109).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참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입력 장치(32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가 단말 장치(300)를 통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 여부 및 고장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및 상용 전원 사이의 접지선이 단락된 경우에, 종래에는 이를 별도로 감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230)가 단선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을 중단시키고, 단선된 부분을 수리하거나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으로부터 단말 장치(300)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고장 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에 의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의 미실행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사용 이력이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수명을 미리 예측하여 별도의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를 준비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잦은 수리 및 교체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비교적 고가인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포함하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를 가지는 경우에,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특성 상 수리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고, 교체 시 비용 부담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단말 장치 통신부를 별도의 장치로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은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소켓(30), 단말 장치(300), 및 애드-온 통신 장치(400)를 포함한다.
소켓(30), 전기 자동차(100)는 도 1의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소켓(30)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전력 선(23), 전기자동차 커넥터(21), 플러그(25)는 도 1의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제공하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2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23)과 일체로서 부착되며,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부착된다. 이때,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23), 및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7에 도시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가격과 수리 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나, 다양한 응용에서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제어부(270)의 동작은 도 3의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후술된다.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 단말 장치 통신부(450), 저장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와 통신한다.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와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를 포함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의 위치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의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매칭된다.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단말 장치(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450)와 통신부(3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IEEE 802.11에서 규정하는 WI-FI와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및 IEEE 802.16이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규격에서 규정하는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450)는 복수의 통신 모듈(45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통신 모듈(451)은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WI-FI와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통신을 위한 WLAN 통신 모듈 및 IEEE 802.16이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규격에서 규정하는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통신을 위한 WWAN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46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전력을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애드-온 통신 장치(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입력 장치(320)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명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315).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을 통신부(310)를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317).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단말 장치 통신부(450)를 통해 단말 장치(300)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명령이 나타낼 수 있는 값들의 세트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318).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명령, 현재 위치, 설정 정보, 후술하는 모니터링 결과인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이 나타낼 수 있는 값들의 세트는 충전 개시,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명령이 충전 개시이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개시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명령이 충전 중단이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중단을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이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생성한 제어 명령을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319).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생성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S321).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오프된 릴레이(220)를 턴온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온된 릴레이(220)를 턴오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더 이상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을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323).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에 해당하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응답은 수집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복수의 통신 모듈(451) 중에서 어떠한 통신 모듈을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전송할 지를 결정한다(S324). 통신 모듈의 결정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수신한 응답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결정된 통신 모듈(451)을 통해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325).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 내의 응답을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한다(S331). 단계(S109)에서 설명한 동작이 단계(S331)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단계(S331)의 동작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응답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 ACK)를, 복수의 통신 모듈(311) 중에서 상기 응답이 수신된 통신 모듈(311)을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333).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된 통신 모듈(451)을 통해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정상적인 수신을 체크한다(S335).
상기 응답이 전송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응답에 대한 ACK가 상기 응답이 전송된 통신 모듈(451)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수신이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이 전송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응답에 대한 ACK가 수신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이 전송된 후 상기 응답에 대한 ACK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이 전송된 후 상기 응답에 대한 ACK가 상기 응답이 전송된 통신 모듈(451)이 아닌 다른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수신이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응답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응답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을 다시 결정하여 상기 응답을 재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511).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는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메시지에 해당하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충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513).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515).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디지털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를 통해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및 수신을 통해 충전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충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0)에 보고할 충전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한다(S521).
실시예에서, 충전 관련 이벤트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완료,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오류 발생, 전기 자동차(10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고장 발생, 릴레이(220)의 ON/OFF 상태 변화, 릴레이(220)에 융착 발생,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온도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누전 발생,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단선 발생,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팩터(온도, 습도)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복수의 통신 모듈(451) 중에서 어떠한 통신 모듈을 통해 발생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지를 결정한다(S324).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의 결정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이벤트 메시지를 결정된 통신 모듈(451)을 통해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325).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발생한 이벤트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한다(S331).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이벤트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 ACK)를, 복수의 통신 모듈(311) 중에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된 통신 모듈(311)을 통해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전송한다(S333).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가 전송된 통신 모듈(451)을 통해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ACK의 정상적인 수신을 체크한다(S335).
상기 이벤트가 전송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가 상기 이벤트가 전송된 통신 모듈(451)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의 수신이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전송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가 수신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전송된 후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전송된 후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가 상기 이벤트가 전송된 통신 모듈(451)이 아닌 다른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의 수신이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대한 ACK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상기 이벤트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을 다시 결정하여 상기 응답을 재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메시지가 최초 전송을 위한 메시지인지, 아니면 재전송을 위한 메시지인지를 체크한다(S70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는 응답 메시지일 수도 있고 이벤트 메시지일 수도 있다.
메시지가 최초 전송을 위한 메시지이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복수의 통신 모듈(451)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통신 모듈(451)을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451)로 결정한다(S703).
메시지가 재전송을 위한 메시지이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이전 메시지의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된 통신 모듈을(451)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451)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통신 모듈(451)을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451)로 결정한다(S705).
실시예에서, 전송할 메시지의 전송 직전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다면,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그 직전 메시지(immediately previous message)가 수신된 통신 모듈(451)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제어부(470)는 복수의 통신 모듈(451)에 미리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데, 제어부(470)는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WLAN 통신 모듈, WWAN 통신 모듈의 순서로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장치(300)가 WLAN 통신 모듈, WWAN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고, 애드-온 통신 장치(400) 또한 WLAN 통신 모듈, WWAN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할당된 데이터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종종 WWAN 통신 모듈을 턴오프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는 홈 영역을 벗어나서 WLAN 통신 모듈의 사용이 불가한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적응적으로 WLAN 통신 모듈 및 WWAN 통신 모듈 중에서 메시지를 전송할 모듈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벤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긴급하게 알려져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벤트 메시지의 정확한 전달은 매우 중요한데,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이벤트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에 일체로서 부착된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단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제1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의 수신이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재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제2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결정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의 다음 우선 순위가 부여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인
    애드-온 통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로부터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관련 이벤트의 발생을 체크하고,
    상기 충전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충전 관련 이벤트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련 이벤트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완료,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오류 발생, 상기 전기 자동차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고장 발생,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 내의 릴레이의 ON/OFF 상태 변화, 상기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 내의 릴레이에 융착 발생,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온도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누전 발생,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단선 발생,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주변의 환경 팩터가 정상적인 범위 밖에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련 정보는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메시지의 전송 직전에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수신된 통신 모듈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애드-온 통신 장치.
KR1020130080746A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9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46A KR101779637B1 (ko)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4/285,392 US9769741B2 (en) 2013-07-10 2014-05-22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14123178A JP5890474B2 (ja) 2013-07-10 2014-06-16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EP14172875.8A EP2823988A3 (en) 2013-07-10 2014-06-18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1410325870.6A CN104283253A (zh) 2013-07-10 2014-07-09 附接到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的附加通信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46A KR101779637B1 (ko)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003A KR20150007003A (ko) 2015-01-20
KR101779637B1 true KR101779637B1 (ko) 2017-09-18

Family

ID=5094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746A KR101779637B1 (ko) 2013-07-10 2013-07-10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9741B2 (ko)
EP (1) EP2823988A3 (ko)
JP (1) JP5890474B2 (ko)
KR (1) KR101779637B1 (ko)
CN (1) CN1042832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1186A (ja) * 2011-10-20 2014-11-20 エルエス産電株式会社Lsis Co., Ltd. 電気自動車および電気自動車の動作方法
WO2016126112A1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지오라인 사용자인증 콘센트 또는 커넥터, 전력중개용 모듈 및 전력수요장치
CN105644382B (zh) * 2015-12-30 2018-09-14 普天新能源车辆技术有限公司 充电电缆
KR101838508B1 (ko) * 2016-01-07 201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장치
US10464670B2 (en) * 2017-02-22 2019-11-05 Gopro, Inc. Variable condition motor controller
CN112181030B (zh) * 2020-10-19 2021-11-05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管理系统
FR3120581B1 (fr) * 2021-03-12 2023-06-09 Seifel Système de distribution électrique comportant un système d’identification d’un utilisateur
DE102022207918A1 (de) * 2022-08-01 2024-02-0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Laden eines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eines elektrisch antreibbaren Fahrzeugs mit einem intelligenten Ladekabel
DE102022208145B3 (de) * 2022-08-04 2023-11-3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Authentifizieren eines Nutzers an einer Ladeinfrastruktur, Computerprogramm, Maschinenlesbares Speichermedium, Ladekabel und 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857A (ja) 2000-10-31 2002-05-17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携帯端末
GB0621433D0 (en) * 2006-10-27 2006-12-06 3G Scene Ltd Networking application
US9457791B2 (en) 2009-01-06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rging cable with controller
JP2009296244A (ja) 2008-06-04 2009-12-17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2329559A4 (en) * 2008-08-18 2017-10-25 Christopher B. Austin Vehicular battery charger, charging system, and method
JP5177664B2 (ja) 2008-09-05 2013-04-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2010087876A (ja) 2008-09-30 2010-04-15 Nec Corp 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4821833B2 (ja) 2008-10-28 2011-11-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充電システム
KR101004484B1 (ko) 2008-12-31 2010-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통신모듈의 데이터 중계장치
US20100306033A1 (en) 2009-06-01 2010-12-02 Dror Oved Electrical power metering and billing network
US8558504B2 (en) 2010-01-11 2013-10-1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with timer
JP5459074B2 (ja) 2010-05-28 2014-04-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給電ケーブル装置
US20120039248A1 (en) 2010-08-10 2012-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in-vehicle wireless connectivity
WO2012058421A2 (en) 2010-10-27 2012-05-03 Aes Corporation Methods, adapters, and apparatus for use with electric devices to manage energy services
PT2455924E (pt) 2010-11-09 2014-07-15 Aidon Oy Fornecimento sem fios de dados de medição de electricidade de um evento de carregamento elétrico
US8896265B2 (en) * 2011-01-31 2014-11-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harge transfer devices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KR101245540B1 (ko) 2011-05-23 2013-03-21 한국전기연구원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JP5461478B2 (ja) * 2011-06-15 2014-04-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5641006B2 (ja) 2011-08-31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蓄電装置
JP5472246B2 (ja) 2011-09-22 2014-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装置
CN104010872B (zh) * 2011-10-20 2016-10-26 Ls产电株式会社 电动车和操纵该电动车的方法
KR101387698B1 (ko) 2011-11-01 2014-04-25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통신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일체형 제어박스 및 충전 제어 방법
JP2014072061A (ja) * 2012-09-28 2014-04-21 Panasonic Corp 電動車両用の電気接続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19358A (ja) 2015-01-29
JP5890474B2 (ja) 2016-03-22
US20150017921A1 (en) 2015-01-15
KR20150007003A (ko) 2015-01-20
US9769741B2 (en) 2017-09-19
EP2823988A3 (en) 2015-07-22
CN104283253A (zh) 2015-01-14
EP2823988A2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637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785221B2 (ja) ケーブル一体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5969646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820994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3180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101769648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100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20160033511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1873B1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40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8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6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41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3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