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377A -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377A
KR20140116377A KR1020147013435A KR20147013435A KR20140116377A KR 20140116377 A KR20140116377 A KR 20140116377A KR 1020147013435 A KR1020147013435 A KR 1020147013435A KR 20147013435 A KR20147013435 A KR 20147013435A KR 20140116377 A KR20140116377 A KR 20140116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vehicle
charging
char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사인 샤흐다리사자드
한광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1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44Control modes by parameter esti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 중에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충전 중에,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배터리의 충전의 완료가 감지되면,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충전 완료를 지시하는 제2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20 and G8 국가들에 의해 지구 온난화의 제어를 위하여 CO2의 감소를 위하여 스마트 그리드 솔루션과 전기 자동차의 실시간 사용이 제기되었다.
전기 자동차는 재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이 배터리는 전기 아울렛(electric outlet)에 연결되어 재충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에는 수 시간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여러 정보를 얻기를 원할 수 있다.
한편, 전기 그리드(Electric grids)는 전기 수요가 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CO2 저감에 오히려 방해가 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대용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수요에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시설 등은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홈 영역 네트워크(wireless home area network, W-HAN)나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장치들 간에 짧은 영역에서 무선 주파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한 예로 Zigbee 송수신기를 들 수 있다. Zigbee는 짧은 영역의 무선 주파수 통신을 위해 디자인된 표준 프로토콜이다. Zigbee 송수신기는 IEEE 802.15.4에 기초하여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를 형성한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 WLAN transceiver)는 10m 이상의 떨어진 장치들 간에 무선 주파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한 예로 WI-FI 장치를 들 수 있다. WI-FI 장치는 IEEE 802.11 표준을 따른다.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기술은 전력선을 통해 장치들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기술은 100m까지의 영역에 제한된다.
광대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는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한 예로 표준 프로토콜인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IP)을 들 수 있다. 또한,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로 CDMA나 GSM에 따른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대용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수요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사용자,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시설 등은 서로 정보를 주고 받고자 하는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시설과 같은 전력 이용 주체들 사이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전기 수요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은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 내장 자동차 통신 제어 장치, 가정 전력 저장 장치, 전력 공급 시설과 같은 전력 이용 주체들 사이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전기 수요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환경의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전력 소스(electric power source)는 전력 전송자(electric power transmitter)를 나타내고, 전력 싱크(electric power sink)는 전력 수신자(electric power receiver)를 나타낸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 사용자 단말 장치(500), 전력 공급 시설(600), 및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서버(7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어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를 그 약어인 EV로 칭한다. 또,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를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의 약어인 EVSE로 칭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user terminal device)를 그 약어인 UTD로 언급한다.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서버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자(telematics service provider)의 약자인 TSP로 언급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00)는 배터리(140), 충방전 포인트(150),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를 포함한다. 충방전 포인트(150)는 SAE J1772 인렛(inlet)과 같은 SAE J1772 커넥터에 해당할 수 있다. SAE J1772는 북미 내 EV/PHEV 자동차의 유도 충전을 보조하는 일반적인 물리적, 전기적 요구 사항과 성능 요구 사항을 규정한다. 특히, SAE J1772는 자동차 삽입물 및 그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기능 및 규격 요구 사항 및 운영상의 요구 사항을 비롯한 공통적인 EV/PHEV 및 공급 장비 차량의 유도 충전 방식을 규정한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는 전기 자동차(100)에 내장되며, 디스플레이부(171), 제어부(172),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73)을 포함한다. 제어부(172)는 프로세싱 상태, 통신 상태와 같은 시스템 상태,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140)의 관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73)을 통해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 사용자 단말 장치(500), 전력 공급 시설(600),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서버(7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72)는 충전 관리, 방전 관리, 스케줄링, 가격 비교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73)은 유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부, 무선 광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wide area network transceiver, WWAN transceiver), 무선 홈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home area network transceiver, WHAN transceiver), 전력 선 통신 모듈(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PLC module),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WLAN transceiv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사용자 단말 장치(500)와 통신한다는 것은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EVSE(200)와 TSP(700) 모두를 거쳐 사용자 단말 장치(500)와 통신한다는 것과,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EVSE(200)를 거치지 않고 TSP(700)를 거쳐 사용자 단말 장치(500)와 통신한다는 것과,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TSP(700)를 거치지 않고 EVSE(200)를 거쳐 사용자 단말 장치(500)와 통신한다는 것과,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EVSE(200)와 TSP(700) 모두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단말 장치(500)와 통신한다는 것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한다는 것은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EVSE(200)와 TSP(700) 모두를 거쳐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한다는 것과,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EVSE(200)를 거치지 않고 TSP(700)를 거쳐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한다는 것과,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TSP(700)를 거치지 않고 EVSE(200)를 거쳐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한다는 것과,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가 EVSE(200)와 TSP(700) 모두를 거치지 않고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한다는 것을 커버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는 가정 전력 저장 장치(400)와 전력 공급 시설(6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하거나, 전기 자동차(100)의 전기를 가정 전력 저장 장치(400)와 전력 공급 시설(600)에 공급하여 전기 자동차(100)를 방전하는데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제어부(220),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230), 충방전 포인트(25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230)은 유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부, 무선 광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wide area network transceiver, WWAN transceiver), 무선 홈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home area network transceiver, WHAN transceiver), 전력 선 통신 모듈(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PLC module),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WLAN transceiv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충전 상황(status), 방전 상황(status), 알림 메시지 및 충전 방해 메시지(charging interruption messag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230)을 통해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 가정 전력 저장 장치(400), 사용자 단말 장치(500),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할 수 있다. 충방전 포인트(250)는 SAE J1772 아웃렛(outlet)과 같은 SAE J1772 커넥터에 해당할 수 있다. 충방전 포인트(250)는 사용자에 의해 충방전 포인트(150)에 연결된다.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50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디스플레이부(510), 제어부(520),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530)을 포함한다. 제어부(520)는 빌링(billing), 프라이싱(pricing), 타이밍(timing) 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10)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5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530)을 통해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 전기 자동차 배터리 관리 장치(170), 가정 전력 저장 장치(400), 전력 공급 시설(600)와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530)은 유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부, 무선 광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wide area network transceiver, WWAN transceiver), 무선 홈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home area network transceiver, WHAN transceiver), 전력 선 통신 모듈(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PLC module),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송수신기(wireless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WLAN transceiv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방전 포인트(150)가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방전 포인트(250)에 연결되었는지를 체크한다(S101).
전기 자동차(100)의 충방전 포인트(150)가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방전 포인트(250)에 연결되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와 통신 연결의 설정을 수행한다(S103).
통신 연결의 설정에 실패한 경우에,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시작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와 통신 연결의 설정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140)의 충전을 시작 전에 중단한다.
통신 연결의 설정에 실패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EV(100)와 EVSE(200) 사이의 통신 연결의 설정 실패로 인하여 충전의 시작에 실패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의 설정에 성공하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SAE J2836-1과 SAE J2847-1을 이용하여 설정된 통신 연결을 통해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와 인증을 수행한다(S111). SAE J2836-1 및 SAE J2847-1은 에너지 전송 및 기타 응용을 위해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와 전기 전력 그리드 간 통신에 대한 요구 사항(requirements), 상세(specifications), 및 사용 사례를 규정한다.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시작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와 인증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140)의 충전을 시작 전에 중단한다.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EV(100)와 EVSE(200) 사이의 인증 실패로 인하여 충전의 시작에 실패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를 체크하고(S121),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가 배터리(140)의 최대 충전 용량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한다.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가 배터리(140)의 최대 충전 용량에 해당하는 경우에,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시작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와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가 배터리(140)의 최대 충전 용량에 해당함을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140)의 충전을 시작 전에 중단한다.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가 배터리(140)의 최대 충전 용량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가 배터리(140)의 최대 충전 용량에 해당함으로 인하여 충전의 시작에 실패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배터리(140)의 초기 충전 상태가 배터리(140)의 최대 충전 용량보다 작으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가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S131).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가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시작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와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가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140)의 충전을 시작 전에 중단한다.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가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가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충전의 시작에 실패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력 정책 요청 메시지를 전력 공급 시설(600)에 전송한다(S141).
전력 공급 시설(600)가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전력 정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력 공급 시설(600)은 전력 정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정책 응답 메시지를 전기 자동차(100)에 전송한다(S143). 이때, 전력 정책 에 대한 정보는 전력 판매 가능 시간대에 대한 정보, 전력 구매 가능 시간대에 대한 정보, 및 TOU 전기 가격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판매 가능 시간대는 전력 공급 시설(600)이 외부에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시간대이고, 전력 구매 가능 시간대는 전력 공급 시설(600)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는 시간대이다. TOU 전기 가격은 TOU 전기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와 TOU 전기 구매 가격에 대한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OU 전기 판매 가격은 전력 공급 시설(600)이 외부에 전기를 판매할 때의 가격이고, TOU 전기 구매 가격은 전력 공급 시설(600)이 외부로부터 전기를 구매할 때의 가격이다.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가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있으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한지를 체크한다(S145). 현재 시간에서의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 가격보다 작거나 같으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시간에서의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 가격보다 크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시작 실패를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와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140)의 충전을 시작 전에 중단한다.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충전의 시작에 실패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 시간 전기 가격이 타당하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200)를 통하여 전력 공급 시설(600)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40)를 충전하기를 시작한다(S151).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배터리(140)의 충전 시작 시간을 체크한다(S152).
이후,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한다(S153).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EV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정보는 초기 충전 상태, 현재 충전 상태,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실제 충전 종료 시간,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때, 현재 충전 상태는 초기 충전 상태와 같고,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은 충전 시작을 지시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는 충전 오류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500)가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 내의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59).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초기 충전 상태, 현재 충전 상태,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충전이 시작되었음과 충전에 오류 없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중에 배터리(140)의 현재 충전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S161).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배터리(140)의 현재 충전 상태와 충전 속도에 기초하여 배터리(140)의 예측 충전 종료 시간을 예측한다(S162).
충전 중에,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한다(S163). 전기 자동차(100)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EV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정보는 초기 충전 상태, 현재 충전 상태,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은 충전 중을 지시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는 충전 오류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500)가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 내의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69).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초기 충전 상태, 현재 충전 상태,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충전 중임과 충전 오류 없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배터리(140)의 현재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140)의 충전의 완료를 감지한다(S181).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배터리(140)의 실제 충전 종료 시간을 체크한다(S183).
배터리(140)의 충전의 완료가 감지되면, 전기 자동차(100)의 EV 배터리 관리 장치(170)의 제어부(172)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한다(S185).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EV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정보는 초기 충전 상태, 현재 충전 상태,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실제 충전 종료 시간,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은 충전 완료를 지시하고,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는 충전 오류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500)가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 내의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89).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500)는 초기 충전 상태, 현재 충전 상태,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실제 충전 종료 시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의 완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의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를 지시하는 제2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의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의 실제 충전 종료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의 실제 충전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를 지시하는 배터리 충전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의 초기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임을 지시하는 배터리 충전 상황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초기 충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의 초기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예측 충전 종료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의 예측 충전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SAE J2836-1과 SAE J2847-1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SAE J1772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전력 공급 장치와 통신 연결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연결의 설정에 성공하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충전 정보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동작 방법.
KR1020147013435A 2011-10-20 2012-10-19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16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9253P 2011-10-20 2011-10-20
US201161549266P 2011-10-20 2011-10-20
US61/549,266 2011-10-20
US61/549,253 2011-10-20
US201261606482P 2012-03-05 2012-03-05
US61/606,482 2012-03-05
PCT/KR2012/008632 WO2013058618A2 (ko) 2011-10-20 2012-10-19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377A true KR20140116377A (ko) 2014-10-02

Family

ID=481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435A KR20140116377A (ko) 2011-10-20 2012-10-19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6873B2 (ko)
EP (1) EP2769870A4 (ko)
JP (1) JP2014531186A (ko)
KR (1) KR20140116377A (ko)
CN (1) CN104159777B (ko)
WO (1) WO201305861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664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시스템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9870A4 (en) * 2011-10-20 2016-01-27 Lsis Co Ltd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3001536A4 (en) * 2013-05-23 2016-12-07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SUPPLY, AND NON-TRANSIENT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
TW201535298A (zh) 2014-03-03 2015-09-16 ming-xiu Wu 充電方法、充電系統、充電裝置及電子裝置
US9592742B1 (en) 2014-04-09 2017-03-14 FreeWire Technologie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CN105071481B (zh) * 2015-08-24 2018-02-02 孙源 一种智能可移动式电动力机动车充电装置及充电方法
KR101877602B1 (ko) * 2015-10-20 2018-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의 보안 방법 및 장치
CN105762905B (zh) * 2016-04-25 2018-05-18 河北冀东泰坦科技有限公司 一种居民小区电动汽车充电系统
US10326286B2 (en) * 2016-08-11 2019-06-18 K2 Energy Solutions, Inc. Battery system with shipping mode
CN106828161B (zh) * 2017-02-13 2019-03-26 清华大学 一种应用于多路充电插口电动汽车充电设备及其控制方法
CN107176046B (zh) * 2017-05-10 2019-10-18 华南理工大学 基于充电失败风险排序的电动汽车充放电控制方法
TW201938421A (zh) * 2018-03-12 2019-10-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狀態的通知方法及電池狀態通知系統
JP7063798B2 (ja) * 2018-12-21 2022-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
JP7251437B2 (ja) 2019-10-15 202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CN113561832A (zh) * 2021-06-21 2021-10-29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电量状态获取方法及装置、充电装置与充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5997B1 (en) * 1999-07-07 2005-12-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fficient vehicle allocation in vehicle sharing system
JP2001359203A (ja) 2000-06-12 2001-12-26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立体駐車場の電気自動車充電管理方法及び装置
JP5305504B2 (ja) * 2008-07-04 2013-10-02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監視装置
US8860559B2 (en) * 2009-03-06 2014-10-14 Panasonic Corporation Power supply device
KR101100363B1 (ko) * 2009-03-20 2011-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집합건물 주차장의 하이브리드 차량 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5492451B2 (ja) * 2009-05-14 2014-05-14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蓄電池充放電装置及び蓄電池充放電方法
US8183826B2 (en) * 2009-05-15 2012-05-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s,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s, battery charging apparatuses and rechargeable battery systems
JP5332907B2 (ja) * 2009-05-27 2013-1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US20100306033A1 (en) * 2009-06-01 2010-12-02 Dror Oved Electrical power metering and billing network
US8890473B2 (en) * 2009-07-28 2014-11-18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Llc Sequential charging of multiple electric vehicles
US9121073B2 (en) * 2009-07-28 2015-09-01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Inc. Plug-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with indicators
JP5476872B2 (ja) * 2009-09-04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状態送信装置および外部充電システム
WO2011037322A2 (en) * 2009-09-25 2011-03-3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JP5568772B2 (ja) * 2009-11-10 2014-08-13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退出誘導機能を有する車載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JP5641727B2 (ja) * 2009-11-30 2014-12-1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充電情報表示用携帯機および充電情報表示システム
JP5788636B2 (ja) * 2009-12-16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電動移動体、管理装置、駆動管理方法、及び充電装置
JP2011151891A (ja) * 2010-01-19 2011-08-04 Sony Corp 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CN102770304B (zh) * 2010-02-22 2015-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力供给控制装置以及信息提供装置
US8478452B2 (en) * 2010-04-06 2013-07-0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Grid regulation servic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based on grid frequency
US8025526B1 (en) * 2010-04-21 2011-09-27 Coulomb Technologies, Inc. Self powered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locking system
WO2011156776A2 (en) * 2010-06-10 2011-12-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mart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and grid integration apparatus and methods
DE102010040395A1 (de) * 2010-09-08 2012-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ffizienten Aufladen eines Fahrzeugakkumulators
US8405347B2 (en) * 2010-10-04 2013-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put voltag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vehicle battery
WO2012061522A2 (en) * 2010-11-02 2012-05-10 Global Solar Water And Power Systems, Inc. Grid tie system and method
US20120116955A1 (en) * 2010-11-04 2012-05-10 The Prosser Group LLC Charging purchases to utility accounts
US8321296B2 (en) * 2011-04-08 2012-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solar energy charging capacity to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US20120280653A1 (en) * 2011-05-03 2012-11-08 Green Charge Networks Electric Vehicle Fleet Management Charging St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05318B2 (en) * 2011-05-26 2016-11-29 Sierra Smart Systems, Llc Electric vehicle fleet charging system
US8624719B2 (en) * 2011-06-03 2014-01-07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Llc Smart phone control and notific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20110076858A (ko) * 2011-06-08 2011-07-06 조한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US9597967B2 (en) * 2011-07-19 2017-03-21 Siemens Industry, Inc. Status indic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ightguide assembly and methods
EP2770608A4 (en) * 2011-10-20 2016-01-27 Lsis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MESTIC COMMUNICATION
US9096137B2 (en) * 2011-10-20 2015-08-04 Lsis Co., Lt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battery
KR20140116376A (ko) * 2011-10-20 2014-10-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EP2769870A4 (en) * 2011-10-20 2016-01-27 Lsis Co Ltd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40102188A (ko) * 2011-10-20 2014-08-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내장 자동차 통신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87226B1 (ko) * 2012-06-22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101820994B1 (ko) * 2013-07-10 2018-0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69648B1 (ko) * 2013-07-10 2017-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9637B1 (ko) * 2013-07-10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9153A (ko) * 2014-03-19 2015-10-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664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시스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8618A3 (ko) 2013-07-04
EP2769870A4 (en) 2016-01-27
WO2013058618A2 (ko) 2013-04-25
CN104159777A (zh) 2014-11-19
EP2769870A2 (en) 2014-08-27
US9566873B2 (en) 2017-02-14
CN104159777B (zh) 2016-12-14
JP2014531186A (ja) 2014-11-20
US20150022161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6377A (ko)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16376A (ko)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EP2768695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US10675979B2 (en) In-cable control box mount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US20140354235A1 (en) Embedded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US10778008B2 (en) Method and process for acquiring and delivering electric vehicle owner-operator preference data which is used to schedule and regulate the charging of multiple electric vehicle batteries within a shared local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2014031284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communication
KR20140102189A (ko)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KR102432038B1 (ko) 전기차 충전 케이블에 탑재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140123622A (ko) 전기 이동 수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방법
RU2658348C9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компьютерное программное обеспечение для снаб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е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ей
WO2013123988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ption metering and transfer control
CN114274839B (zh) 通信方法及电动车辆
CN114274837A (zh) 通信方法及电动车辆
KR20220043987A (ko) 전기 차량, 전원 공급 장치 및 전력망 운용 서버 사이의 통신 방법
Pratt et al.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Standards Testing and Validation Phase I: SAE J2847/1
KR20240056440A (ko) 다중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 동적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통신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EP4228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renegotiation in message sequencing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KR20240002968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40015044A (ko) 동적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장치 및 방법
KR20240072070A (ko) 모빌리티 니즈 기능을 지원하는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이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
CN114274838A (zh) 通信方法及内置于电动车辆的电力传输装置
KR20220043990A (ko) 전기 차량, 전원 공급 장치 및 전력망 운용 서버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전기 차량에 내장된 전력 전송 장치
KR20220042906A (ko) 전기 차량, 전원 공급 장치 및 전력망 운용 서버 사이의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