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811A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811A
KR20150006811A KR20140142755A KR20140142755A KR20150006811A KR 20150006811 A KR20150006811 A KR 20150006811A KR 20140142755 A KR20140142755 A KR 20140142755A KR 20140142755 A KR20140142755 A KR 20140142755A KR 20150006811 A KR20150006811 A KR 2015000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fastening
mounting groove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750B1 (ko
Inventor
양동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광
Priority to KR102014014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7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6Mounting or replacement of th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7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축이 체결될 수 있도록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와, 회전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커터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바디와, 체결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커터유닛을 구비하며, 커터장착부는 체결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장착홈과, 제1 장착홈으로부터 회전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장착홈과, 제2 장착홈의 단부로부터 회전본체의 외주면까지 폭이 점점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3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바디에는 지지고리가 형성된 고리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커터는 고리부재에 체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예초기 {GRASS CUTTER}
본 발명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 가능한 사슬형태의 커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부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휘발유와 오일을 혼합한 혼합연료를 통해 구동하는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하고, 이 엔진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금속재의 칼날을 체결하여 칼날이 회전하면서 잡초나 잡목 등을 베어 제거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러한 형태의 통상적인 예초기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종래의 예초기는 엔진(11)을 구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작업자의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부(10)와, 상기 동력부(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20)와, 상기 전달부(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원형칼날(31)을 회전시키는 절단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10)에는 멜빵(13)이 마련되어 있어, 작업자는 엔진(11)이 마련된 동력부(10)를 등에 짊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동력부(10)에는 엔진(11)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연료탱크(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10)로부터 절단부(30)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전달부(20)의 중단에는 상기 동력부(10)의 엔진(11)을 시동시키는 시동스위치(14) 및 상기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레버스위치(15)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달부(20)의 중단에는 손잡이(21)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21)를 잡고 상기 전달부(20)의 하측에 형성된 절단부(30)의 위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부(30)에는 칼날(31)이 회전하게 되어 잡초나 잡목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예초기는 잡초나 잡목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금속의 칼날로 이루어져 있어 돌과 같은 이물질과 충돌했을 때, 파편이 튀어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날이 손상되는 경우 커터의 교체비용이 비싸 유지비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5-0042716호 : 예초기 등록특허 제10-0015682 : 예초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슬 형태의 커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중 돌이나, 기타 지면상의 이물질의 파편이 튀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체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저렴한 예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는 구동축이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절단부재들이 사슬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사슬형 커터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본체는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통과할 수 있게 제1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제1 축장착홀에 대응하는 제2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사슬형 커터가 상기 회전본체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커터연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슬형 커터의 일측을 지지하는 커터지지부재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체결볼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나사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체결나사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해 상기 커터지지부재의 나사체결홈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하부바디가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본체는 중앙에 상기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슬형 커터는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관통구가 상기 결합하우징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관통구간과, 상기 제1 관통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관통구간보다 하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간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관통구간을 통해 결합하우징의 내측 단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 단부를 통해 돌출된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 단부 외면에 걸려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결합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결합부재의 걸림부가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결합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걸림부를 가압할 수 있게 노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와 걸림부의 하면과 상기 제2 관통구간의 하단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림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결합하우징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는 사슬 형태의 커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커터부재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고, 교체가 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종래의 커터에 비해 부상발생 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예초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사슬형 커터와 커터지지부재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예초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커터지지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6의 예초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커터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본체의 단면도,
도 12는 커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예초기(100)는 회전본체(110)와, 회전본체(110)에 설치되는 사슬형 커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본체(110)는 구동축(40)과 결합되어 구동축(40)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본체(110)에 결합되는 사슬형 커터(15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커버플레이트(111)와, 커버플레이트(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바디(120)와, 하부바디(120)에 형성되어 있는 커터지지부재(130)를 구비한다.
커버플레이트(111)는 구동축(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1 축장착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축장착홀(112)을 중심으로 제1 축장착홀(112)보다 직경이 큰 장착가이드홈(113)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홈(113)은 구동축(40)을 비롯한 핸들부의 단부가 장착되는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1 축장착홀(112)을 중심으로하는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세 개의 체결홀(1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바디(120)는 커버플레이트(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며, 중앙에는 상기 제1 축장착홀(112)에 대응하는 제2 축장착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서 외주면 사이는 하방으로 만곡지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커버플레이트(111)가 상부에 결합되면 후술하는 사슬형 커터(150)가 보관되거나 장착될 수 있는 소정의 내부공간(122)이 형성된다.
하부바디(120)에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커터연장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터연장홀(123)은 사슬형 커터(150)가 연장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커터지지부재(130)는 하부바디(120)의 내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둥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사슬형 커터(1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가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상기 커터지지부재(130)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나사체결홈(131)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커터지지부재(130)의 형성위치는 상기 커버플레이트(111)의 체결홀(114)들의 형성위치에 대응하고, 나사체결홈(131)이 체결홀(114)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볼트(140)를 통해 상기 커버플레이트(111)를 관통해 나사체결홈(131)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11)를 하부바디(120)에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플레이트(111)와 하부바디(1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체결볼트(140)가 적용되었으며, 사슬형 커터(150)를 지지하기 위한 커터지지부재(130)에 체결볼트(14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홈(131)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체결볼트(14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구조를 하부바디(120)에 더 형성할 수도 있고, 체결볼트(140)가 아닌 다른 형태의 결합수단을 통해 커버플레이트(111)와 하부바디(12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사슬형 커터(150)는 복수개의 절단부재(151)들이 이어져 형성된 것이다.
절단부재(151)들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환형의 고리부(152)가 있고, 이 고리부(152)들을 연결하는 연장부(153)로 이루어져 있는데,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절단부재(151)들을 고리부(152)들이 상호 사슬형태가 되도록 연결한다. 이렇게 절단부재(151)를 연결하여 형성한 사슬형 커터(150)는 각 절단부재(151)의 고리부(152)가 관절 역할을 하면서 꺾어지거나 접힐 수 있기 때문에 절단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위나 돌 또는 강성이 큰 금속재와 충돌하더라도 사슬형 커터(150)가 깨지거나 파편이 주변으로 튀어 오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커터지지부재(130)는 상단의 높이가 커버플레이트(111)의 체결시 커버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접촉하거나 매우 가깝게 인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플레이트(111)에는 상기 커터지지부재(13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스커트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바디(120)의 상부에 커버플레이트(111)가 체결되면 커터지지부재(130)의 상단은 상기 스커트부(115)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므로 커터지지부재(130)에 설치되어 있는 사슬형 커터(150)의 일측 단부가 커터지지부재(130)로부터 분리되지 못한다.
본 실시예의 예초기(100)는 사슬형 커터(150)를 하부바디(1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터지지부재(130)에 끼워 고정한 것이므로 커버플레이트(111)를 분리한 후 커터지지부재(130)에서 사슬형커터를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사슬형 커터(150)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하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부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는 사슬형 커터(150)의 파손 발생시 이를 교체할 수 있는 예비용 사슬형 커터(150)를 장착해둘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예초기(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예초기(200)는 회전본체(210)가 메인바디(211)와, 메인바디(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하우징(220)과, 결합하우징(2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결합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211)는 중앙에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축장착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네 개의 하우징장착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장착홈(213)은 결합하우징(22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인데, 메인바디(2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어 있고, 상기 축장착홀과 인접하는 하우징장착홈(213)의 일측에는 노출홈(214)이 메인바디(2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220)은 상술한 것처럼 하우징장착홈(213)에 끼워져 메인바디(211)와 결합되며, 내부에 메인바디(211)의 외주면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하우징(220)을 메인바디(211)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나사가 적용되었는데, 결합하우징(220)과 메인바디(211)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은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2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221)는 결합하우징(220)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관통구간(222)과, 제1 관통구간(222)으로부터 결합하우징(220)의 내측 단부로 연장되는 제2 관통구간(223)을 포함하는데, 제2 관통구간(223)의 하단부가 제1 관통구간(222)의 하단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간(222)과 제2 관통구간(223)의 경계하 하단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결합하우징(2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제1 관통구간(222)으로 삽입되는 체결부(231)와, 체결부(231)로부터 결합하우징(220)의 내측 단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32)와, 연장부(2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231)는 제1 관통구간(222)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즉, 제1 관통구간(222)의 내부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하우징(220)에 설치할 때 체결부(231)가 제1 관통구간(222)으로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231)는 제2 관통구간(223)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단턱에 걸려 결합하우징(220)의 내측으로 진입이 제한된다.
상기 연장부(232)는 제2 관통구간(223)을 따라 연장되는데, 연장부(232)의 하면은 제2 관통구간(223)의 하단부와 이격되어 있다. 즉, 연장부(232)의 두께는 제2 관통구간(223)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연장부(232)과 제2 관통구간(223)의 하단부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232)는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게 탄성력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33)는 연장부(23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230)가 결합하우징(220)에 체결될 때, 걸림부(233)가 결합하우징(220)의 내측단부의 단면에 걸려 결합부재(230)가 결합하우징(220)으로부터 인출되어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걸림부(233)는 결합하우징(220)의 외부로 돌출되지만 상기 메인바디(211)에 형성되어 있는 노출홈(214)에 의해 메인바디(211)의 상부로 노출된다. 아울러 걸림부(233)의 하면 역시 연장부(232)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노출부의 바닥면과 걸림부(233)의 하면 사이에도 걸림부(233)가 하강할 수 있게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33)는 연장부(232)와 연결되는 일측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경사져 있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결합하우징(220)에 체결될 때 상기 걸림부(233)와 연장부(232)가 먼저 결합하우징(220)의 일측을 통해 관통구(221)로 삽입되며, 결합부재(230)를 계속 밀어 넣으면 체결부(231)는 제1 관통구간(222)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부(233)가 결합하우징(220)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결합하우징(220)의 단면에 걸려 결합부재(230)가 결합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결합부재(230)를 결합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하고 싶을 때에는 손이나 별도의 가압수단을 이용해 노출홈(214)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걸림부(233)를 하방으로 눌러 걸림부(233)가 결합하우징(220)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고, 체결부(231)의 단부를 잡고 결합하우징(220)으로부터 인출하여 분리한다.
상기 사슬형 커터(240)는 단부가 체결부(231)에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바디(2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슬형 커터(240)의 파손 발생시 해당 사슬형 커터(240)가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230)만 인출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이 역시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저렴하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예초기(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예초기(300)는 회전본체(310)와, 회전본체(310)에 결합되는 커터유닛(3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본체(310)는 중앙에 축장착홀(31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축장착홀(311)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커터유닛(320)이 결합될 수 있는 커터결합부(312)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터장착부는 회전본체(3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제1 장착홈(313)과, 상기 제1 장착홈(313)의 단부에서 회전본체(310)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회전본체(31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된 제2 장착홈(314)과, 제2 장착홈(314)의 단부에서 회전본체(31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며 폭이 점점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3 장착홈(3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장착홈(313)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4 장착홈(316)이 마련되어 있는데, 제4 장착홈(316)은 회전본체(310)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장착홈(313)에 비해 전후방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장착홈(313)과 제4 장착홈(316)의 경계부에 안착턱(317)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장착홈(314)은 제1 장착홈(313)보다 폭이 좁으며, 후술하는 커터유닛(320)의 지지고리(330)가 연장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제3 장착홈(315)은 회전본체(310)의 외주며을 향해 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지지고리(330)에 걸리게 되는 사슬형커터(334)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본체(310)의 하면에는 상기 커터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회전본체(31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살빼기홈(3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살빼기홈(318)의 형태나 위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유닛(320)은 커터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커터유닛(320)은 체결바디(321)와, 체결바디(321)에 고정되는 지지고리(330)와, 지지고리(330)에 결합되는 사슬형커터(334)들로 이루어진다.
체결바디(321)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1 바디(322)와 제2 바디(323)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 바디(322)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고정홈(324)이 제2 바디(323)와 결합되는 결합면으로부터 이에 대향되는 대향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바디(322)의 결합면에는 상기 고정홈(324)의 상단으로부터 제1 바디(322)의 단부 즉, 체결바디(321)가 회전본체(310)에 결합될 때 회전본체(31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체결가이드홈(3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바디(3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두 개의 결합홈(326)이 상기 체결가이드홈(325)이 연장되는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바디(323)는 제1 바디(322)와 결합되어 제1 바디(322)와 함께 지지고리(330)를 수용 및 고정하는 것이다. 제2 바디(323)에는 결합홈(326)에 대응하는 결합홀(3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나 나사를 이용해 제2 바디(323)를 제1 바디(32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바디(322)와 제2 바디(323)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체결바디(321)는 폭과 길이가 상기 제1 장착홈(313)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바디(321)를 제1 장착홈(313)에 끼워 회전본체(310)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체결바디(32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28)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328)는 제4 장착홈(316)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본체(310)의 제1 장착홈(313)과 제4 장착홈(316)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안착턱(317)에 체결바디(321)가 안착되고, 돌출부(328)가 제4 장착홈(316)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체결바디(321)의 체결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고리(330)는 제1 바디(322)와 제2 바디(32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324)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재(331)들과, 제1 삽입부재(331)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삽입부재(332)와, 제2 삽입부재(332)들을 상호 연결하는 고리부재(3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재(331)는 상술한 것처럼 고정홈(324)으로 삽입되고, 제2 삽입부재(332)는 체결가이드홈(325)을 따라 체결바디(32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제1 삽입부재(331)와 제2 삽입부재(332)는 제1 바디(322)와 제2 바디(323)의 체결을 통해 체결바디(321)의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리부재(333)는 두 개의 제2 삽입부재(332)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체결바디(32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체결바디(321)의 외부로 노출된 지지고리(330)에 사슬형 커터가 장착되어 커터유닛(320)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예초기(300)는 회전본체(310)를 구동축에 장착하고, 각 커터장착부에 커터유닛(320)을 끼워 사용하게 된다.
상기 커터유닛(320)은 장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므로 예초 작업 중 커터의 파손 등의 이유로 커터유닛(320)을 교체해야 할 때, 체결바디(321)를 커터장착부로부터 쉽게 들어올려 분리한 다음 새 커터유닛(320)의 체결바디(321)를 상기 제1 장착홈(313)을 통해 삽입하여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커터유닛(320)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의 커터유닛(320)은 지지고리(330)와 사슬형 커터 대신 와이어형 커터(3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형 커터(340)는 체결바디(321)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341)로부터 연장되는 커팅와이어(342)를 포함하는데, 커팅와이어(342)는 다수의 철사를 꼬아 형성한 것으로서,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사슬형 커터와 마찬가지로 예초 작업 중 장애물과 충돌했을 때, 변형됨으로써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와이어(3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가압부재(34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압부재(343)는 커팅와이어(342)가 예초작업 중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가압부재(343)에 의해 풀림이 진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와이어는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와이어의 단부가 풀리게 되면 꼬여있는 철사들이 풀리게 되면서 예초기의 칼날로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가압부재(343)들을 커팅와이어(342)에 형성해 둠으로써 철사들이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형 커터(340)는 앞선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예초기에도 사슬형 커터 대신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15에는 예초기(4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예초기(400)는 회전본체(410)와 커터유닛(44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본체(410)는 구동축(40)이 결합되는 상부바디(411)와, 상부바디(41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바디(420)와, 하부바디(420)에 대하여 상부바디(41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베어링(4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바디(411)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중앙에는 구동축(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축장착홀(412)이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축장착홀(412)을 중심으로 축장착홀(412)보다 직경이 큰 안착홈(413)이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바디(411)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인입되어 하부바디(420)가 결합되는 체결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바디(411)의 상면에는 또한 후술하는 커터유닛(440)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장착홈(415)이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장착홈(415)은 커터유닛(440)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부바디(411)의 상면 중심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세 개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 방사상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장착홈(415)의 단부에는 제1 장착홈(415)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좀은 제2 장착홈(4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 장착홈(416)의 단부는 상부바디(411)의 가장자리에서 축장착홀(412)을 향해 만곡지게 인입되어 있는 제3 장착홈(4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3 장착홈(417)은 커터유닛(440)의 커터부재(448)가 회전과정에서 상부바디(411)와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하부바디(420)는 상부바디(411)의 하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홈(414)으로 삽입되는 중앙체결부(421)와, 중앙체결부(421)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곡면돌출부(422)를 포함한다.
중앙체결부(421)는 외경이 상기 체결홈(41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구동축(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체결부(421)의 내부측 상단에는 구동축(40)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후술하는 베어링(430)을 지지하는 지지턱(4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돌출부(422)는 중앙체결부(421)의 하단에서 연장되는데, 하방으로 돌출된 곡면형상을 취하며, 단부가 중앙체결부(421)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돌출부(422)는 예초작업 중 회전본체(410)가 지면에 인접할 때, 지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접촉면의 최소화를 위해 곡면형상으로형성한다.
상기 베어링(430)은 하부바디(420)와 상부바디(411)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베어링(430)은 상기 외륜부(432)가 상기 중앙체결부(421)의 내부측 상단 지지턱(423)에 상단이 지지되고, 외륜부(432)의 하부는 중앙체결부(421)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지지링(42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베어링(430)의 내륜부(431)의 상부는 상부바디(411)에 지지되어 있고, 내륜부(431)의 하부는 구동축(40)과의 체결을 위한 와셔(60)에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축(40)과 연결되는 와셔(60)와 상부바디(411)는 베어링(430)의 내륜부(431)에 지지되고, 하부바디(420)는 베어링(430)의 외륜부(43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바디(420)에 대해서 상부바디(411)만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터유닛(440)은 체결바디(441)와, 체결바디(441)로부터 돌출되는 연결고리(446)와, 연결고리(446)에 결합되는 커터부재(448)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바디(441)는 제1 장착홈(415)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장착홈(415)에 끼워진다. 상기 제1 장착홈(415)의 단부로부터 축장착홀(412)까지의 거리는 구동축(40)이 연장되는 커버판(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바디(441)를 제1 장착홈(415)에 설치한 후 구동축(40)을 체결하면 커버판(50)이 체결바디(441)의 후방부를 덮어 체결바디(441)가 상부바디(4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결고리(446)는 상기 제2 장착홈(416)을 통해 상부바디(41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이 연결고리(446)에 커터부재(448)가 결합된다. 커터부재(448)는 연결고리(446)를 감싸도록 단부가 밴딩되어 있다.
커터유닛(440)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바디(441)는 분할된 세 개의 부재 즉, 제1 내지 제3 부재(442~444)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부재(442)와 제3 부재(44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재(443)에는 연결고리(446)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홀(445)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고리(446)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안착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고리(446)는 제1 부재(442)와 제2 부재(443)의 사이에 끼워지며,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447)가 상기 고정홀(445)에 끼워진다. 연결고리(446)가 제1 부재(442)와 제2 부재(443)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결나사를 통해 제1 부재(442)와 제2 부재(443) 및 제3 부재(444)를 상호 연결하여 체결바디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커터부재(448)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44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두께보다 폭이 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커터부재(448)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사슬이 연결되어 있는 사슬형 커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예초기(400)는 구동축(40)의 구동으로 상부바디(411)가 회전하면, 상부바디(411)의 회전력에 의해 커터부재(448)가 회전하면서 잡촉을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예초 작업 중 하부바디(420)가 지면에 닿게 되면, 베어링(430)에 의해 하부바디(420)에 대하여 상부바디(411)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바디(420)는 회전이 정지되더라도 상부바디(411)가 회전하면서 예초작업을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 구동축
100; 예초기
110; 회전본체
111; 커버플레이트 112; 제1 축장착홀
113; 장착가이드홈 114; 체결홀
115; 스커트부
120; 하부바디
121; 제2 축장착홀 122; 내부공간
123; 커터연장홀
130; 커터지지부재
131; 나사체결홈
140; 체결볼트
150; 사슬형 커터
151; 절단부재 152; 고리부
153; 연장부
200; 예초기
210; 회전본체
211; 메인바디
212; 축장착홀 213; 하우징장착홈
214; 노출홈
220; 결합하우징
221; 관통구 222; 제1 관통구간
223; 제2 관통구간
230; 결합부재
231; 체결부 232; 연장부
233; 걸림부
240; 사슬형 커터
300; 예초기
310; 회전본체
311; 축장착홀 312; 커터결합부
313; 제1 장착홈 314; 제2 장착홈
315; 제3 장착홈 316; 제4 장착홈
317; 안착턱 318; 살빼기홈
320; 커터유닛
321; 체결바디 322; 제1 바디
323; 제2 바디 324; 고정홈
325; 체결가이드홈 326; 결합홈
327; 결합홀 328; 돌출부
330; 지지고리 331; 제1 삽입부재
332; 제2 삽입부재 333; 고리부재
334; 사슬형커터
340; 와이어형 커터
341; 베이스부재 342; 커팅와이어
343; 가압부재
400; 예초기
410; 회전본체
411; 상부바디 412; 축장착홀
413; 안착홈 414; 체결홈
415; 제1 장착홈 416; 제2 장착홈
417; 제3 장착홈
420; 하부바디
421; 중앙체결부 422; 곡면돌출부
423; 지지턱 424; 지지링
430; 베어링
431; 내륜부 432; 외륜부
440; 커터유닛
441; 체결바디 442; 제1 부재
443; 제2 부재 444; 제3 부재
445; 고정홀 446; 연결고리
447; 고정부 448; 커터부재

Claims (4)

  1. 구동축이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축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에 상기 축장착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터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바디와, 상기 체결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커터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커터장착부는 상기 회전본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체결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장착홈과, 상기 제1 장착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장착홈과, 제2 장착홈의 단부로부터 회전본체의 외주면까지 폭이 점점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3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터유닛의 체결바디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제2 바디와 결합되는 결합면으로부터 대향되는 면을 향해 인입되며 상하로 이격된 두 개의 고정홈과, 상기 각 고정홈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바디의 결합면을 따라 상기 회전본체의 외주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체결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디에는 지지고리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고리는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제1 삽입부재와, 상기 각 제1 삽입부재로부터 상기 체결가이드홈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삽입부재와, 상기 제2 삽입부재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고리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고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체결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3장착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터는 상기 고리부재를 통해 상기 제3장착홈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는 상기 커터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1020140142755A 2014-10-21 2014-10-21 예초기 KR10150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55A KR101508750B1 (ko) 2014-10-21 2014-10-21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55A KR101508750B1 (ko) 2014-10-21 2014-10-21 예초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568A Division KR101514057B1 (ko) 2013-06-17 2013-07-09 예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11A true KR20150006811A (ko) 2015-01-19
KR101508750B1 KR101508750B1 (ko) 2015-04-07

Family

ID=5257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755A KR101508750B1 (ko) 2014-10-21 2014-10-21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22U (ko) * 2015-06-15 2016-12-26 이태근 예초기용 회전판 장치
WO2018004282A1 (ko) * 2016-06-29 2018-01-04 전문배 예초기 컷팅날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301B1 (ko) 2016-01-04 2018-07-17 강재원 예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339U (ko) * 1997-07-01 1999-02-05 이상윤 예초기 칼날 교체구조
JP3170246B2 (ja) * 1998-09-10 2001-05-28 バクマ工業株式会社 刈刃体
KR101054940B1 (ko) * 2009-09-23 2011-08-08 박상준 예초기
KR101285493B1 (ko) * 2012-08-31 2013-07-12 남병덕 예초기용 일자 관절형 커터날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22U (ko) * 2015-06-15 2016-12-26 이태근 예초기용 회전판 장치
WO2018004282A1 (ko) * 2016-06-29 2018-01-04 전문배 예초기 컷팅날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750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057B1 (ko) 예초기
EP1997364B1 (en) Ground surface slide guide of lawn mower and lawn mower
KR101508750B1 (ko) 예초기
KR102209461B1 (ko)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CN201119296Y (zh) 一种绳式打草机的可更换固定绳长打草头
US8291599B2 (en) Universal mowing head for flexible cutter
US6032369A (en) Portable trimmer including means for securely retaining stick that prevents rotation of cutting member
KR20140120731A (ko) 와이어가 장착된 예초기 커터날
KR20130133982A (ko) 부상 팬을 구비한 예초기
CA2990512C (en) Rotary cutter unit
KR20130031185A (ko) 슬라이딩식 커버형 안전 베이스가 구비된 예초기
KR200413466Y1 (ko) 예초기용 칼날
KR101360533B1 (ko) 조립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예초기
JP6143328B2 (ja) 線状カッター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刈払機の接地体
JP4979782B2 (ja) 刈払機
KR20140005018A (ko) 예초기용 보호장치
JP2019004704A (ja) 草刈機用の線状カッター式ヘッド
KR200253772Y1 (ko) 예초기의 교체형 회전칼날
JP2018007568A (ja) 刈払機用の回転刈刃
AU2012100209A4 (en) Brush cutter assembly
EP3120682B1 (en) Rotary cutter unit
KR101186790B1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101448297B1 (ko) 예초기용 베어링유닛 결합구조
KR20160001068U (ko) 예초기용 회전판
JPH0560229U (ja) 刈払機の刈刃回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