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68U - 예초기용 회전판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회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68U
KR20160001068U KR2020140006903U KR20140006903U KR20160001068U KR 20160001068 U KR20160001068 U KR 20160001068U KR 2020140006903 U KR2020140006903 U KR 2020140006903U KR 20140006903 U KR20140006903 U KR 20140006903U KR 20160001068 U KR20160001068 U KR 201600010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tary
fixing
lawn m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근
Original Assignee
이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근 filed Critical 이태근
Priority to KR2020140006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068U/ko
Publication of KR20160001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용 회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회전줄날이 관통 구비되고, 상기 회전줄날이 케이스에서 고정되도록 탄성적인 고정부가 케이스 내에 밀착되어 구비됨으로써, 예초 작업 중 회전줄날 손상 시, 회전 케이스 전체를 분해 조립하여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손상된 줄날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고정부의 탄성력 및 원심력에 의해 회전줄날을 꽉 잡아주기에 작업 중에 줄날이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종래의 칼날이 부러져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줄날로 사용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부상의 염려 없이 안심하고 작업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예초기용 회전판{Tumblers for lawn mower}
본 고안은 예초기용 회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회전줄날이 관통 구비되고, 상기 회전줄날이 케이스에서 고정되도록 탄성적인 고정부가 케이스 내에 밀착되어 구비됨으로써, 예초 작업 중 회전줄날 손상 시, 회전 케이스 전체를 분해 조립하여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손상된 줄날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고정부의 탄성력 및 원심력에 의해 회전줄날을 꽉 잡아주기에 작업 중에 줄날이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종래의 칼날이 부러져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줄날로 사용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부상의 염려 없이 안심하고 작업 할 수 있는 예초기용 회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에 메고 다니는 예초기는 소형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하여 고속 회전하는 동력을 와이어로 전달하여 작업대 단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하고, 소형 엔진의 동력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예초기 칼날을 잡초나 잡목 등에 접근시켜 칼날의 회전력을 이용해 이들을 절단함으로써 예초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잡초나 잡목 등이 많이 자란 곳에서 예초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박혀있는 돌이나 기타 단단한 이물 등을 쉽게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초(刈草)작업 과정에서 칼날이 지면의 돌이나 지면 바닥에 부딪쳐 부러지면 부러진 칼날, 돌 등의 파편이 자중에 의해 날아가 작업자에게 튀어 상해를 입는 등 안전사고가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칼날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예초작업중 돌 등의 단단한 물체에 부딪칠 경우, 칼날이 손상되어 예초기를 벗어 내려놓고 회전 케이스를 분해하여 칼날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교체 작업의 번거로운 문제점 및 교체 비용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783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772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에 회전줄날이 관통 구비되고, 상기 회전줄날이 케이스에서 고정되도록 탄성적인 고정부가 케이스 내에 밀착되어 구비됨으로써, 예초 작업 중에 회전줄날 손상 시, 회전 케이스 전체를 풀고 줄날을 새로이 끼우고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손상된 줄날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고정부의 탄성력 및 원심력에 의해 회전줄날을 꽉 잡아주기에 작업 중에 줄날이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종래의 칼날이 부러져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줄날로 사용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부상의 염려 없이 안심하고 작업 할 수 있는 예초기용 회전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엔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면서 잡초 등을 베어낼 수 있는 회전줄날이 예초기에 연결시키는 회전판에 있어서,
상기 예초기의 작업봉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 유니트에 결합되도록 하단면의 중앙부에 조립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회전줄날이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원주방향으로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며, 상부측이 회전 유니트 결합 및 고정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대가 중앙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회전줄날을 고정하도록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시, 회전줄날의 끝단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홈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판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예초기용 회전판은 케이스에 회전줄날이 관통 구비되고, 상기 회전줄날이 케이스에서 고정되도록 탄성적인 고정부가 케이스 내에 밀착되어 구비됨으로써, 예초 작업 중에 회전줄날 손상 시, 회전 케이스 전체를 풀어 줄날을 새로이 끼우고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예초기를 멘 상태에서 손상된 줄날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고정부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줄날을 꽉 잡아주기에 작업 중에 줄날이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종래의 칼날이 부러져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줄날로 사용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부상의 염려 없이 안심하고 작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엔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면서 잡초 등을 베어낼 수 있는 회전줄날이 예초기에 연결시키는 회전판에 있어서,
상기 예초기의 작업봉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 유니트에 결합되도록 하단면의 중앙부에 조립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회전줄날이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원주방향으로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며, 상부측이 회전 유니트 결합 및 고정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대가 중앙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회전줄날을 고정하도록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시, 회전줄날의 끝단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홈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예초기용 회전판(40)은 엔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면서 잡초 등을 베어낼 수 있는 회전줄날(30)을 예초기(1)에 연결시키는 장치로써, 케이스(10)와, 고정부(20)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예초기(1)는 도 1에서처럼,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예초기와 같은 것으로써, 일반적인 하나의 예초기이기에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을 생략하고, 본 고안에서는 핵심구성인 회전판(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초기(1)의 작업봉(2)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 유니트(3)에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 유니트(3)와 연결되면서 회전줄날(30)과도 연결되어 회전 유니트(3)의 회전력을 회전줄날(3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상부측으로 회전 유니트(3) 결합 및 고정부(20)가 탈부착되도록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20)가 케이스(10)의 상부측으로 투입된 상태에서 쉽게 케이스(10)의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스(10)의 상부측이 케이스(10)의 중앙부 중심점으로 경사지게 고정대(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대(11)는 케이스(10)의 중앙부 안쪽으로 오므려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측이 상부측과는 반대로 하단면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데, 상기 하단면의 중앙부에는 회전 유니트(3)와 연결되기 위한 조립공(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외주연)에는 회전줄날(30)이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13)이 원주방향으로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3)은 본 고안에서 두방면 즉 2개로 형성되지만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줄날(30)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일측 끝단부가 관통홀(13)을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돌출된 회전줄날(30)의 반대측에는 회전줄날(30)이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부가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연결된 회전줄날(30)을 고정하도록 케이스(10) 내에 탈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20)는 고무링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는 케이스(10) 내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줄날(30)의 끝단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1)은 고정부(2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하나의 고정홈(21)이 고정부(2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결 형성됨으로써, 회전줄날(30)의 수량과 위치에 상관없이 회전줄날(30)에 제약이 없어 편리하고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측은 도 3에서처럼, 고정부(20)가 케이스(10) 내부에 부착시,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케이스(10)의 고정대(11)의 경사각도에 맞춰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0)의 경사면이 케이스(10)의 고정대(11) 면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진 고정부(20)의 상부면 즉, 케이스(10)의 고정대(11)보다 돌출된 상부 일측면에는 고정부(20)를 케이스(10) 내에 탈부착시, 기구, 장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압착할 수 있도록 고정부 당김홈(22)이 고정홈(21)에 맞춰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20)를 케이스(10) 내에 부착시, 고정부 당김홈(22)에 장치끼움 또는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을 끼워 고정부(20)의 중앙부로 압착한 상태에서 케이스(10) 내에 억지끼워 넣고, 장치 또는 사용자가 손을 떼면 고정부(20)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면서 외주연측으로 밀어내어 회전줄날(30)을 압착하며, 그로 인해 회전줄날(30)이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상기 회전줄날(30)의 교체시, 고정부(20)의 일측만(회전줄날을 교체해야하는 부분) 당겨서 회전줄날(30)을 교체한 뒤, 당겼던 고정부(20)의 일측을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가서 고정부(20)가 회전줄날(3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는 하드한 고무 재질보다는 사용자가 쉽게 당길 수 있도록 소프트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0)가 소프트한 고무 재질로 형성됐다 하더라도 회전판(4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줄날(30)을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10 : 케이스 11 : 고정대
12 : 조립공 13 : 관통홀
20 : 고정부 21 : 고정홈
22 : 고정부 당김홈 30 : 회전줄날
40 : 회전판

Claims (2)

  1. 엔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면서 잡초 등을 베어낼 수 있는 회전줄날(30)을 예초기(1)에 연결시키는 회전판(40)에 있어서,
    상기 예초기(1)의 작업봉(2) 끝단부에 형성되는 회전 유니트(3)에 결합되도록 하단면의 중앙부에 조립공(12)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회전줄날(30)이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13)이 원주방향으로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며, 상부측이 회전 유니트(3) 결합 및 고정부(20)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대(11)가 중앙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연결된 회전줄날(30)을 고정하도록 케이스(1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 내에 구비시, 회전줄날(30)의 끝단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홈(21)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측은 케이스(10)의 고정대(11)의 경사각도에 맞춰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일단면에는 고정부(20)를 케이스(10) 내에 탈부착시, 압착할 수 있도록 고정부 당김홈(22)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판.
KR2020140006903U 2014-09-23 2014-09-23 예초기용 회전판 KR201600010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03U KR20160001068U (ko) 2014-09-23 2014-09-23 예초기용 회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03U KR20160001068U (ko) 2014-09-23 2014-09-23 예초기용 회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68U true KR20160001068U (ko) 2016-04-01

Family

ID=5579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903U KR20160001068U (ko) 2014-09-23 2014-09-23 예초기용 회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06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832B1 (ko) 예초기 칼날
US9010078B2 (en) Weed trimmer with a wingnut plate
US10470367B2 (en) Cutting web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618734B1 (ko) 안전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예초기용 칼날세트
US7617661B2 (en) Tri-wheeled modular housing telescopic grass trimmer
KR101581916B1 (ko) 농기구 및 수공구용 각도 조절 연결부
KR20140120731A (ko) 와이어가 장착된 예초기 커터날
KR20140040925A (ko)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101658165B1 (ko)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187290B1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으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교체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KR20160001068U (ko) 예초기용 회전판
KR200485564Y1 (ko) 예취기
KR20140041303A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200474925Y1 (ko) 예초기 절단장치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KR20160000827U (ko) 예초기용 회전줄날
KR101864629B1 (ko) 칼날의 절단날이 가변하는 예초기 칼날세트
JP2015012850A (ja) 草刈り機用回転刃のための接地体、この接地体の取付け構造、および草刈り機
KR200385267Y1 (ko) 예초기용 칼날 지지부
KR20160004422U (ko) 예초기용 회전판 장치
KR20130040442A (ko)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KR20140099664A (ko) 부양력을 갖는 예초기 회전날
KR20140080060A (ko) 예취기용 커버
KR101270059B1 (ko) 예초기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