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442A -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442A
KR20130040442A KR1020110105215A KR20110105215A KR20130040442A KR 20130040442 A KR20130040442 A KR 20130040442A KR 1020110105215 A KR1020110105215 A KR 1020110105215A KR 20110105215 A KR20110105215 A KR 20110105215A KR 20130040442 A KR20130040442 A KR 2013004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otating body
blade
cutting blad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연수
Original Assignee
한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연수 filed Critical 한연수
Priority to KR102011010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442A/ko
Publication of KR2013004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10Pre-cultivated sod or turf; Apparatus therefor
    • A01G20/12Apparatus for cutting sods or tur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1)의 작업봉(2)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절단하는 와이어형 절단날의 구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작업봉(2)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결합구(11)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12)을 개재하는 날개편(15)을 구비하는 회전체(10); 상기 회전체(10)의 날개편(15)에 결합되도록 결착부(21)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터(25)를 구비하는 절단날(20); 및 상기 회전체(10)의 결합홈(12)에 절단날(2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조에 있어 비교적 경박단소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최소화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함과 함께 절단날의 구조 개선으로 절단력과 수명을 대폭 증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에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The wire-cutter type device for grass eliminator}
본 발명은 예초기의 작업봉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절단하는 와이어형 절단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에 있어 비교적 경박단소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최소화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함과 함께 절단날의 구조 개선으로 절단력과 수명을 대폭 증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에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예초기는 풀과 같은 잡초를 베기 위한 것으로 음력 팔월 추석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잡초를 베고 묘 주위를 정리하는 벌초나, 경작지에 자생하거나 번성하여 작물에 해를 주는 식물을 제거하는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예초기는 농사를 업으로 하는 사람에게 있어 필수장치이면서 명절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에 남자라면 일년에 한번쯤은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 우리에게 친숙하면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한편, 예초기는 풀을 베기 위해 작업봉의 일단에 결합되는 절단날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절단날은 2도날, 안전날, 톱날, 와이어날 등이 시중에 보급되고 있다. 2도날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논둑, 밭둑 잡풀제거 및 과수원 예초작업, 벌초작업등의 잡초의 종류에 상관없이 작업능률이 가장 높은 날이지만,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위험한 무기가 될 수 있는 위험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안전날은 금속으로 이루지나, 작업 중 돌멩이나 단단한 물체에 부딪히면 날이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해를 방지 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날이지만, 불필요하게 날이 접히는 등의 문제로 인해 작업에 상당한 불편한 단점이 있다.
여기서, 와이어날은 절단날 중에서 가장 안전한 날로서, 금속이 아닌 나일론(합성수지), 줄(와이어)로 잡초를 베기 때문에 상해 위험이 가장 낮고, 거의 모든 잡초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도가 가장 높다. 하지만, 금속이 아니기 때문에 마모로 인한 잦은 교체를 해야 되는 불편한 문제가 있어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0766호의 "예초기의 절단구"에 의하면, 절단구 몸체(1)의 하부에 요입부(1a)를 형성하고, 이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에는 역방향 나사산으로 형성된 장너트(7)가 나사 끼움되고 상기 장너트(7)의 일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턱(5)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구 몸체(1)의 외주연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인출공(2)과 공구 끼움공(3)을 형성하며, 상기한 요입부(1a)에는 덮개(8)가 끼움되어 상기한 걸림턱(5)에 걸림된 회전 절단끈(9)을 역방향 나사산으로 된 체결볼트(6)에 의해 체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절단구를 제안하고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346호의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예초기의 구동수단에 연결된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원반의 테두리에 형성된 환형 측벽부에 하나 이상의 인출구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부 커버; 상기 인출구를 통하여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도록 와이어형 수지 커터가 권취되며, 상기 상부 커버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인출구에서 상기 와이어형 수지 커터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커터 인출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전자의 경우, 다수의 절단끈을 방사선상으로 끼움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을 지니고는 있지만, 단순히 기존에 절단끈의 개수를 늘리는 구조를 통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것에 불과하고, 특히 마모로 인한 교체시엔 별도의 공구를 통하여 체결볼트를 풀어야 되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어셈블리 내에 권취된 와이어를 회전노브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전자에 비해 작업능률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 장점은 있지만, 전자의 공구를 이용한 체결볼트 방식에서 단순히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노브 방식으로 변경시킨 것에 불과하고, 와이어의 회전방향의 반대인 왼나사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회전력에 의해 높은 토크로서 풀어야 됨에 따라 사용자의 많은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됨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작업효율에 비하여 구입비용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0766호 "예초기의 절단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346호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에 있어 비교적 경박단소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최소화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함과 함께 절단날의 구조 개선으로 절단력과 수명을 대폭 증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에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초기의 작업봉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절단하는 와이어형 절단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업봉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개재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날개편에 결합되도록 결착부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터를 구비하는 절단날; 상기 회전체의 결합홈에 절단날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날의 커터는 탄성력을 지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하되, 그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육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합수단은 절단날의 결착부상에 절개되는 절개홈과 함께 결착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형 절단기구는 제조에 있어 비교적 경박단소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최소화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함과 함께 절단날의 구조 개선으로 절단력과 수명을 대폭 증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에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형 절단기구가 적용된 예초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형 절단기구를 예초기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형 절단기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날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초기(1)의 작업봉(2)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절단하는 와이어형 절단기구와 관련되며, 회전체(10), 절단날(20), 결합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에 관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절단기구는 도 1처럼 예초기(1)의 작업봉(2)에 결합되는 것으로, 특정 예초기(1)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와 구조에 관계없이 결합이 가능함을 자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10)는 상기 작업봉(2)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결합구(11)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12)을 개재하는 날개편(15)을 구비한다. 회전체(10)는 예초기(1)의 작업봉(2)의 일단에 결합되어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중ㆍ고속으로 회전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체(10)는 중앙에 관통된 결합구(11)를 구비하여 작업봉(2)의 일단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볼트와 함께 결합된다. 여기서 예초기(1)의 종류별로 다르지만, 볼트의 죔에 의한 회전체(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판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예초기(1)가 보조판을 기본적으로 구성하는 여부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지 별도로 회전체(10)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구성은 아니다.
이러한 회전체(10)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12)을 개재하는 날개편(15)을 구비한다. 날개편(15)은 회전체(10)의 외주면에 회전운동에 방해되지 않는 범주인 최소 2개소에서 4개소 이상 방사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일단에는 결합홈(12)을 각각 개재한다. 결합홈(12)은 후술하는 절단날(20)이 결합되는 것으로 날개편(15)의 일단의 상측 또는 하측 및 상ㆍ하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한다.
즉, 날개편(15)이 회전체(10)의 외주면으로 개수를 많이 형성하면 회전관성이 크게 적용되어 작업시에 작업봉(2)의 방향전환 및 회전에 부담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지만 절단날(20)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많이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날개편(15)이 회전체(10)의 외주면으로 개수를 적게 형성하면 상대적으로 원활한 작업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절단날(20)의 개수를 적게 결합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물론, 날개편(15)을 위와 같이 적게 형성하고 결합홈(12)을 2개 이상으로 구비하면 후자의 단점을 극복할 수는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조의 효율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절단날(20)은 상기 회전체(10)의 날개편(15)에 결합되도록 결착부(21)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터(25)를 구비한다. 절단날(20)은 와이어 형태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회전체(10)의 날개편(15)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실질적으로 절단시킨다.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절단날(20)은 일단에 날개편(15)에 개재된 결합홈(12)에 결합되도록 결착부(21)를 구비하고, 타단에 일정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터(2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날(20)의 커터(25)는 탄성력을 지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하되, 그 형상이 원형(25a), 삼각(25b), 사각(25c), 육각(25d)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한다. 절단날(20)은 회전체(10)의 날개편(15)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실질적으로 절단시키는 것으로, 결착부(21)와 함께 커터(25)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4와 같이 커터(25)는 휨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면서 단면 형상이 원형(25a), 삼각(25b), 사각(25c), 육각(25d) 중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커터(25)의 단면이 원형(25a)일 경우엔 비교적 적절한 휨력을 지니면서 잡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커터(25)의 단면이 삼각(25b), 사각(25c), 육각(25d)일 경우엔 휨력이 다소 강하면서 외주면이 각을 지니기에 우수한 절단력을 지닌다. 이러한 경우엔 절단력이 우수하여 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을 지니지만 원형(25a)보다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초보자용으론 적합하지 않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라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커터(25)의 단면형상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음을 자명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30)은 상기 회전체(10)의 결합홈(12)에 절단날(2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결합수단(30)은 회전체(10)의 결합홈(12)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20)을 교체되도록 유도한다. 즉, 도 5처럼 결합수단(30)은 작업도중 절단날(20)의 마모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교체가 필요로 할 경우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교체가 가능하도록 절단날(20)의 결착부(21)상에 회전체(10)의 결합홈(12)과 연동하도록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합수단(30)은 절단날(20)의 결착부(21)상에 절개되는 절개홈(31)과 함께 결착턱(32)을 구비한다. 결합수단(30) 회전체(10)의 결합홈(12)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20)을 교체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절단날(20)의 결착부(21)상에 회전체(10)의 결합홈(12)과 연동하도록 절개홈(31)과 함께 결착턱(32)을 구비한다. 절개홈(31)은 결착부(21)를 2분할시키면서 중앙에 공간을 형성하고 결착턱(32)은 결착부(21)의 양단에 일방향으로 구배진 형태로 돌출된다.
즉, 절개홈(31)은 결착부(21)가 결합홈(12)으로 삽입시에 결착턱(32)으로 인한 크기차이를 극복하도록 오므라지게 변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결착턱(32)은 결함홈(12)으로 결착부(21)가 완전히 삽입되면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여기서 결착부(21)는 자체적인 탄성력을 지니기 때문에 결합홈(12)으로 삽입시 크기가 변형되더라도 결착턱(32)이 결합홈(12)을 통과하는 순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만일, 작업도중 절단날(20)의 마모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할 경우, 마모된 절단날(20)의 결착부(21)를 손으로 쥐어 오므린 상태에서 결합홈(12)으로부터 인출시키고, 교체할 절단날(20)의 결착부(21)를 결합홈(12)으로 삽입하게 되면 교체가 완료된다. 한편, 결착부(21)는 결합홈(1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 삼각, 사각, 육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조에 있어 비교적 경박단소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최소화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함과 함께 절단날의 구조 개선으로 절단력과 수명을 대폭 증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에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날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예초기 2: 작업봉
10: 회전체 11: 결합구
12: 결합홈 15: 날개편
20: 절단날 21: 결착부
25: 커터 25a: 원형
25b: 삼각 25c: 사각
25d: 육각 30: 결합수단
31: 절개홈 32: 결착턱

Claims (3)

  1. 예초기(1)의 작업봉(2)에 결합되어 잔디나 잡초를 절단하는 와이어형 절단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업봉(2)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결합구(11)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12)을 개재하는 날개편(15)을 구비하는 회전체(10);
    상기 회전체(10)의 날개편(15)에 결합되도록 결착부(21)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터(25)를 구비하는 절단날(20); 및
    상기 회전체(10)의 결합홈(12)에 절단날(2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20)의 커터(25)는 탄성력을 지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하되, 그 형상이 원형(25a), 삼각(25b), 사각(25c), 육각(25d)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은 절단날(20)의 결착부(21)상에 절개되는 절개홈(31)과 함께 결착턱(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KR1020110105215A 2011-10-14 2011-10-14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KR20130040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215A KR20130040442A (ko) 2011-10-14 2011-10-14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215A KR20130040442A (ko) 2011-10-14 2011-10-14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442A true KR20130040442A (ko) 2013-04-24

Family

ID=4844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215A KR20130040442A (ko) 2011-10-14 2011-10-14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59A (ko) * 2013-12-23 2015-07-01 권준범 예초기용 커터
US20220183228A1 (en) * 2020-12-14 2022-06-16 Kubota Corporation Removable insert for mower blad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59A (ko) * 2013-12-23 2015-07-01 권준범 예초기용 커터
US20220183228A1 (en) * 2020-12-14 2022-06-16 Kubota Corporation Removable insert for mower blad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877535B2 (en) * 2020-12-14 2024-01-23 Kubota Corporation Removable insert for mower blad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7727C (en) Integrated string and blade trimmer system
US8387261B2 (en) Root resurfacing attachment for hand held gas powered edgers
US7882774B1 (en) Brushcutter blade
US20090293290A1 (en) Cutting Head for a Brush Cutter, Edge Trimmer or Similar
US20100122516A1 (en) Adapter for landscape trimmers
CN109688799A (zh) 改良式修枝机
WO2013038497A1 (ja) 草刈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
KR20130040442A (ko)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KR20140120731A (ko) 와이어가 장착된 예초기 커터날
US20110253399A1 (en) Soil and vegetation tool
US7743845B2 (en) Combination garden tiller and sprinkler head grass trimmer
US9661804B1 (en) Vegetation trimmer
KR101345034B1 (ko) 예초기 칼날
KR20130040443A (ko) 예초기용 안전기구
KR200474925Y1 (ko) 예초기 절단장치
KR200292421Y1 (ko) 예초기 커터날 보호장치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US20200008349A1 (en) Replaceable component rotary lawnmower blade
JP2011045266A (ja) 園芸用器具の継手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園芸用器具
DE10345927B4 (de) Motorisch angetriebenes tragbares Gerät zum Bearbeiten landwirtschaftlicher Flächen
KR200439573Y1 (ko) 예취기용 안전장치
KR20140041303A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101260383B1 (ko) 예초기용 안전커터
KR200455207Y1 (ko)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절단체가 펼쳐지는 휨강도가 우수한 바퀴식 예초기의 안전 절단장치
JP2012228240A (ja) 刈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