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318A - 차량용 컵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318A
KR20150005318A KR1020130079123A KR20130079123A KR20150005318A KR 20150005318 A KR20150005318 A KR 20150005318A KR 1020130079123 A KR1020130079123 A KR 1020130079123A KR 20130079123 A KR20130079123 A KR 20130079123A KR 20150005318 A KR20150005318 A KR 2015000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discharge duct
air dischar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7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318A/ko
Publication of KR2015000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Abstract

차량용 컵 홀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컵을 수납하는 컵 홀더부, 일측이 컵 홀더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차량의 열 교환 유니트에 연결되는 열 전달부, 및 컵 홀더부 및 열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 장치{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차량의 주행 중 충격 또는 흔들림 등에 의해 탑승자가 들고 있는 컵의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컵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컵 홀더는 단지 컵을 보관하는 역할만 할 뿐이어서 음료의 온도가 주변의 온도에 의해 변하게 되며, 그로 인해 탑승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섭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07423(1998.04.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수납된 컵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컵을 수납하는 컵 홀더부; 일측이 상기 컵 홀더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차량의 열 교환 유니트에 연결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컵 홀더부 및 상기 열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부를 일측이 차량 내 열 교환 유니트와 연결된 열 전달부와 접촉시킴으로써, 별도의 냉온 발생 수단 없이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으로 전달하여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전달부가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과 직접 접촉하도록 하면, 컵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전 소자를 열 전달부 및 컵 홀더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하면,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컵 홀더부 자체를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함으로써, 컵 홀더부를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직접 노출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컵 홀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컵 홀더부(102)는 예를 들어,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센터 콘솔, 대시 보드, 글로브 박스, 앞 도어, 뒷 도어, 암레스트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컵 홀더부(102)는 컵 수납부(111), 하우징부(113), 컵 고정부(115), 열선(117), 및 미끄럼 방지부(119)를 포함한다.
컵 수납부(111)는 내부에 컵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컵 수납부(111)는 컵만을 수납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음료캔 또는 물병 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컵 수납부(111)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는 대향하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의 마주 대하는 부분은 그 측면이 각각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21)에는 열 전달부(104)가 삽입된다. 컵 수납부(111)의 상단에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안착되는 안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컵 수납부(111)가 2개의 컵 수납부(즉,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수납부(111)는 1개의 컵 수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컵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113)는 컵 수납부(111)를 수납한다. 하우징부(113)는 컵 수납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13)에도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13)에서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부분에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컵 수납부(111)와 하우징부(113)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컵 고정부(115)는 컵 수납부(111)의 내부에서 컵 수납부(1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컵 고정부(115)는 컵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될 때, 하부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컵 고정부(115)는 컵 수납부(111) 내에서 컵을 압박하여 컵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와 하우징부(113)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에 컵이 수납되었을 때 동작할 수 있다.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에 열을 전달하여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을 따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열선(117-1)이 제1 컵 수납부(111-1)의 외면에 형성되고, 제2 열선(117-2)이 제2 컵 수납부(111-2)의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선(117-1) 및 제2 열선(117-2)은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열선(117)이 컵 수납부(11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선(117)은 열 전달부(10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열선(117)은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온기가 배출될 때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열선(117)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열 발생 수단(예를 들어,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의 하단에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 내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이 컵 수납부(111)와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미끄럼 방지부(119)가 컵 수납부(111)와 별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열 전달부(104)의 일측은 컵 홀더부(102)에 연결되고, 열 전달부(104)의 타측은 차량 공조 장치의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열 전달부(104)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와 컵 홀더부(102) 간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 전달부(104)로는 예를 들어, 히트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전달부(104)는 그 이외의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 전달부(104)의 일측은 삽입홀(121)에 삽입되어 컵 홀더(102)에 연결될 수 있다. 열 전달부(104)가 삽입홀(121)에 삽입되는 경우, 열 전달부(104)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의 개방된 부분에서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에 각각 수납된 컵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열 전달부(104)를 통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컵에 직접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컵 홀더부(10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열 전달부(104)를 통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컵에 직접 전달되므로, 컵 홀더부(102)는 열 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해도 무관하다. 이 경우, 컵 홀더부(102)를 경량화 할 수 있고, 컵 홀더부(102)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삽입홀(121)은 컵 홀더부(102)의 일측부터 컵 홀더부(102)의 타측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홀(121)은 컵 홀더부(102)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유입된 공기를 냉매에 의해 열 교환하여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유입된 공기를 엔진 냉각수의 냉각열에 의해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운 날씨에 에어컨을 동작시키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를 통해 열 교환하여 냉각하며, 열 교환된 냉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냉기가 열 전달부(104)를 통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컵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운 날씨에 히터를 동작시키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히터를 통해 열 교환하여 가열하며, 열 교환된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온기가 열 전달부(104)를 통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컵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전달부(104)의 타측은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열 전달부(104)의 타측은 증발기 또는 히터에 의해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부(102)를 일측이 차량 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와 연결된 열 전달부(104)와 접촉시킴으로써, 별도의 냉온 발생 수단 없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으로 전달하여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전달부(104)가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과 직접 접촉하도록 하면, 컵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컵 수납부(111)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를 포함한다.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는 대향하면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삽입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홀(121)에는 열 전달부(104)가 삽입되어 컵 홀더부(102)와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의 마주 대하는 부분은 그 측면이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개방되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는 각각 그 측면이 일부 개방됨이 없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열 전달부(104)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에 수납된 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을 통해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가 열 전달부(104)와 각각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재질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열 전달부(104)가 삽입홀(121)에 삽입되어 컵 홀더부(1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전달부(104)는 컵 홀더부(102)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달부(104)는 컵 홀더부(102)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부(102), 열 전달부(104), 열전 소자(106), 및 방열부(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열전 소자(106)의 일면은 열 전달부(104)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열전 소자(106)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말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06)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때 열전 소자(106)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열 전달부(104)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방열부(108)는 열전 소자(106)의 타면에 형성된다. 방열부(108)는 열전 소자(106)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부(108)는 열전 소자(106)의 타면에 형성되는 방열 블럭(131) 및 방열 블럭(131)에 형성되는 방열 파이프(13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108)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는 경우, 열전 소자(106)가 열 전달부(104)를 냉각하도록 하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는 경우, 열전 소자(106)가 열 전달부(104)를 가열하도록 하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을 더욱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06)가 열 전달부(104)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 소자(106)는 컵 홀더부(1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는 분리 플레이트(151)가 형성된다. 분리 플레이트(151)로 인해 공기 배출 덕트(150)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로 구분되게 된다. 이때,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가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분리 플레이트(151)의 전단에는 개폐 조절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조절부(154)는 입력되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 중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개폐 조절부(154)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부(102)에 컵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개폐 조절부(154)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각각 열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를 통해 각각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부(102)에 컵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각각 열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개폐 조절부(154)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부(102)에 컵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가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면, 컵 홀더부(102)가 직접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에 접촉하게 되므로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을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열 전달부(104)를 통해 컵 홀더부(102)로 전달되므로 열 전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는 각각 열 접촉 면적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 중 적어도 하나에 열 전도 블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부(10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컵 홀더부(102) 내로 유입되어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부(102) 자체를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 형성함으로써, 컵 홀더부(102)를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직접 노출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컵 홀더부(102)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150)와 컵 홀더부(102)를 연결하는 유입 덕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덕트(160)는 공기 배출 덕트(150)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컵 홀더부(102)에는 유입 덕트(160)와 연통되는 연결홀(1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배출 덕트(150)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으로 직접 전달하여 컵을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유입 덕트(160)가 공기 배출 덕트(150)와 제1 컵 수납부(111-1)를 연결하며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입 덕트(160)가 제2 컵 수납부(1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 덕트(160) 내에는 공기 배출 덕트(150)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팬(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 전달부(104)의 일측은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02 : 컵 홀더부
104 : 열 전달부 106 : 열전 소자
108 : 방열부 111 : 컵 수납부
111-1 : 제1 컵 수납부 111-2 : 제2 컵 수납부
113 : 하우징부 115 : 컵 고정부
117 : 열선 119 : 미끄럼 방지부
121 : 삽입홀 123 : 안착부
131 : 방열 블럭 134 : 방열 파이프
150 : 공기 배출 덕트 150-1 : 제1 공기 배출 덕트
150-2 : 제2 공기 배출 덕트 151 : 분리 플레이트
154 : 개페 조절부 160 : 유입 덕트
171 : 연결홀

Claims (14)

  1. 컵을 수납하는 컵 홀더부;
    일측이 상기 컵 홀더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차량의 열 교환 유니트에 연결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컵 홀더부 및 상기 열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열 전달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열전 소자에 형성되고, 상기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의 내측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컵 홀더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컵과 접촉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는,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컵 수납부 및 제2 컵 수납부; 및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열 전달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는, 상호 마주대하는 부분이 각각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의 개방된 부분에서 상기 컵과 접촉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 전달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와 각각 접촉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부 및 상기 열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는,
    상기 컵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
    상기 컵 수납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컵 수납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일측이 상기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컵 홀더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컵 홀더부 내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덕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유입 덕트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유입 덕트 내로 흡입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는,
    상기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와 접촉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 덕트를 제1 공기 배출 덕트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로 구분하는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전단에 형성되고, 개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공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제2 공기 배출 덕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부는, 상기 제1 공기 배출 덕트 또는 상기 제2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컵 홀더부 내로 유입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KR1020130079123A 2013-07-05 2013-07-05 차량용 컵 홀더 장치 KR20150005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23A KR20150005318A (ko) 2013-07-05 2013-07-05 차량용 컵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23A KR20150005318A (ko) 2013-07-05 2013-07-05 차량용 컵 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18A true KR20150005318A (ko) 2015-01-14

Family

ID=5247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123A KR20150005318A (ko) 2013-07-05 2013-07-05 차량용 컵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3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86A (ko) * 2018-05-14 2019-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86A (ko) * 2018-05-14 2019-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KR101319434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US7073338B2 (en) Thermally controlled storage space system for an interior cabin of a vehicle
US10166905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897299B1 (ko) 냉온장 컵홀더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KR20120066212A (ko) 자동차의 냉온장고
KR20140141961A (ko) 차량의 수납기구
KR10194105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20150005318A (ko) 차량용 컵 홀더 장치
KR980001411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장치
KR10198026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1349723B1 (ko)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20150005317A (ko) 차량용 컵 홀더 장치
US20220242294A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150044650A (ko) 냉온장 컵홀더
KR20140073137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20040042681A (ko) 차량용 냉온장고
KR101875592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CN211001027U (zh) 一种具有冷热杯托的汽车扶手
KR10055963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냉보온장치
KR20130106615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