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50A - 집어등 - Google Patents

집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50A
KR20150004250A KR20140022638A KR20140022638A KR20150004250A KR 20150004250 A KR20150004250 A KR 20150004250A KR 20140022638 A KR20140022638 A KR 20140022638A KR 20140022638 A KR20140022638 A KR 20140022638A KR 20150004250 A KR20150004250 A KR 2015000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seudo white
r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772B1 (ko
Inventor
유이치 하마데
다이스케 카사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0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21V9/083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의 경우와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꽁치 등의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 LED를 이용한 집어등을 제공한다.
어선에 장치되어, 선상으로부터의 빛으로 어류를 모으는 집어등으로써, 적색LED에 형광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의사백색LED와, 이 의사백색LED의 빛 조사면측에 배치되어 어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적색투과필터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집어등{FISH ATTRACTING LAMP}
본 발명은, 어선에 장치되어, 선상으로부터의 빛으로 꽁치 등의 어류를 모아, 효율적으로 고기잡이를 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어선에 설치된 집어등은, 다수의 광원(자연전구, 메탈헬라이드램프)을 선체의 주변위치에 나란히 설치하여, 선상으로부터 해면을 조사하여 어류를 모으는 동시에 머무르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꽁치잡이나 오징어잡이 등의 어선에 있어서는, 집어등을 야간에 점등시켜 선체 양측의 수면을 비춰, 어류가 선체 가까이에 모이면서 머무르는 습성을 이용하여 포획할 수 있다.
근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메탈헬라이드램프나 자연전구를 대신하여,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LED나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LED를 광원으로 하는 집어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2-84925호 공보 참조).
자연전구에 적색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적색전구를 대신하여, 예를 들어, 적색LED를 이용하면, 같은 빛 강도를 훨씬 낮은 전력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을 크게 아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조업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적색전구를 대신하여 적색LED를 이용한 LED집어등으로 인해, 실제로 꽁치잡이를 해보면, 꽁치는 이 종류의 LED집어등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를 이용한 집어등에 대한 것과 똑같이 반응하지 않고, 종래와 같은 수법으로 고기잡이를 실행한 경우에, 반대로 어획량이 크게 줄어드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의 경우와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동등한 반응을 얻을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꽁치 등의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 LED를 이용한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선에 장치된, 선상으로부터의 빛으로 어류를 모으는 집어등에 있어서, 청색LED에 형광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의사백색LED와, 이 의사백색LED의 빛 조사면측에 배치된 어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적색투과필터를 갖춘 집어등이 제공된다.
의사백색LED와 이 특수한 적색투과필터와의 조합으로 인해, 종래의 적색전구와 마찬가지로, 어류의 시감도의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방사조도가 거의 제로가 되며, 또, 적색영역에 있어서는,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가 된다. 이 때문에,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를 대신하는 동시에 그 수법과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론 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수명도 상당히 길다.
복수의 의사백색LED를 배치한 LED기판과, 적어도 복수의 의사백색LED 및 LED기판을 내부로 수용하는 하우징체와, 하우징체의 전면에 밀봉적으로 장치된 투명한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적색투과필터는 커버부재와는 별개로 복수의 의사백색LED의 빛 조사면측에 배치된 적색투과평판상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의사백색LED를 배치한 LED기판과, 적어도 복수의 의사백색LED 및 LED기판을 내부로 수용하는 하우징체와, 하우징체의 전면에 밀봉적으로 장치된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적색투과필터는 적색투과평판상필터를 겸용하는 상술한 커버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투과평판상필터는 적색의 투명아크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투과평판상필터는 적색의 염화비닐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투과평판상필터는 적색의 투명판 위로 적색투과필터층을 피착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의사백색LED를 배치한 LED기판과, 적어도 복수의 의사백색LED 및 LED기판을 내부로 수용하는 하우징체와, 하우징체의 전면에 밀봉적으로 장치된 투명한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적색투과필터는 의사백색LED의 각각의 전면에 피착된 적색투과필터층인 것도 바람직하다.
적색투과필터층이 적색도료를 도포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를 대신하는 동시에 그 수법과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론, 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수명도 상당히 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로써의 집어등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 정면도, 및 (C)는 (B)의 C-C선 단면도,
도 2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집어등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제 1의 실시형태의 LED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4는 제 1의 실시형태의 백색LED의 발광강도의 스펙트럼분포특성도,
도 5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를 투과한 백색LED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특성도,
도 6은 집어등에 이용되는 여러 광원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한 특성도,
도 7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집어등의 어선으로의 장치예를 설명한 도,
도 8은, 해수의 빛 투과율의 스펙트럼분포를 0.5m, 1m, 5m 및 10m의 각 심도별로 표시한 특성도,
도 9는 심도 0.5m의 여러 광원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한 특성도,
도 10은 심도 1m의 여러 광원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1은, 심도 5m의 여러 광원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2는 심도 10m의 여러 광원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를 투과한 백색LED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특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를 투과한 백색LED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특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로써의 집어등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 정면도, 및 (C)는 (B)의 C-C선 단면도, 및
도 16은 제 4의 실시형태의 집어등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로써의 집어등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 1의 실시형태의 집어등은, 이면에 냉각용 핀(10a)이 형성된 본체부재(10)와, 이 본체부재(10)의 전면에 배치된 투명한 평판상의 커버부재(11)와, 커버부재(11)를 본체부재(10)와의 사이에 끼워, 복수의 볼트(13) 및 실부재(14) 등을 이용하여 밀봉적으로 장치한 테두리부재(12)를 갖추고 있다. 본체부재(10) 및 테두리부재(12)는 알루미늄재료를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커버부재(11)는 빛 투과성의 투명한 수지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부재(10) 및 테두리부재(12)는 하우징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하우징체와 커버부재(11)가 밀봉적으로 장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유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하우징체의 내부에는, LED기판(15)이 볼트(16) 등에 의해 본체부재(1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LED기판(15)의 표면 위에는 다수(도 1의 예에서는 105개)의 칩형LED(17)가 도 3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배열로 고착되어 있다. LED기판(15)에는, 이것들 칩형LED(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프린트배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이 프린트배선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저항 및 정전류 IC 등의 전원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이 전원회로들은, 본체부재(10)에 설치된 방수소켓(18)을 거쳐 전원케이블(19)에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체의 내부에 있어서, 칩형LED(17)의 전면에는, 적색투과필터(20)로써 1장의 평판상 필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칩형LED(17)로부터 출사된 빛이 이 평판상 필터를 통과하는데다, 커버부재(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칩형LED(17)는, 청색LED에 형광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의사백색LED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니치아화학 주식회사제의 NS6W183A를 사용하고 있다. 도 4는 이 의사백색LED의 발광강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은 파장(nm), 종축은 상대발광강도이다.
적색투과필터(20)인 평판상필터는, 어류(예를 들어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필터이다. 또, 꽁치는 파장이 470~500nm부근의 빛에 대해 최대의 시감도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20)는, 예를 들어 아크릴선데이 주식회사의 적투명아크릴선데이판과 같은 적색의 투명아크릴평판으로 두께 2.0mm인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5는 적색투과필터(20)로써, 이 적색투명아크릴평판을 이용했을 때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은 파장(nm), 종축은 상대방사조도이다. 광원으로써는, 상술한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은 집어등에 이용하는 여러 광원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A)는 광원이며 의사백색LED로부터 방사되는 빛(적색투과필터 없음)에 의한 방사조도스펙트럼분포, (B)는 광원으로써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적색투과필터(20)로써 제 1의 실시형태의 적색투명아크릴판을 이용한 경우의 방사조도스펙트럼분포, (C)는 광원으로써 종래의 백색전구(500W)로부터 방사되는 빛(적색투과필터 없음)에 의한 방사조도스펙트럼분포, (D)는 광원으로써 백색전구에 적색도료를 도포한 종래의 적색전구(500W)로부터 방사되는 빛에 의한 방사조도스펙트럼분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단, 도 6에 있어서, 횡축은 파장(nm), 종축은 방사조도(μm/c㎡/nm)이다.
도 6의 (B) 및 (D)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의사백색LED) + (적색투명아크릴판)의 조합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B)는, 종래의 적색전구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 분포(D)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470~500nm)에 있어서는 거의 제로이며, 또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를 가지고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집어등을 실제로 어선에 장치하여 사용한 예를 설명하고 있다.
같은 도에 있어서, (70)은, 꽁치 막대브래킷 그물어업의 어선, (71)~(73)은 어선(70)으로부터 늘어나는 폴(74)에 장치된 집어등, (75)는 해중(76) 내의 꽁치, (77)은 막대브래킷 그물망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어선(70)에는, 그 주위를 향해 다수의 폴(74)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폴(74)에 단수 또는 복수의 집어등이 해면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집어등으로써는, 꽁치 막대브래킷 그물어업의 어선(70)의 경우, 메탈헬라이드램프, 청색LED, 백색LED, 할로겐램프 및 백열램프를 각각 광원으로 하는 집어등의 다른, 본 실시형태와 같이 LED를 이용한 적색 집어등이 설치되어 있다. 꽁치잡이의 수법에 의해서는, 대부분의 집어등을 적색집어등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꽁치잡이는 먼저, 메탈헬라이드램프에 의한 집어등이나 서치라이트, 청색LED나 백색LED에 의한 집어등, 할로겐램프나 백열램프에 의한 집어등을 점등시키고, 백색광계의 강한 빛으로 꽁치무리를 모은다. 이어서, 어선 주변의 집어등을 순차소등 및 점등시키는 등의 조작에 의해, 모은 꽁치무리가 어선의 주위를 돌도록 유도하며, 최종적으로 막대브래킷 그물망 내로 유도하여 어획한다. 그 어획 때, 최후에 적색의 집어등을 점등시켜 조사하여, 꽁치무리를 위쪽으로 올리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또, 백색광계의 강한 빛을 계속 조사하면, 꽁치는 흩어져버리기 때문에, 적색의 집어등을 점등시켜 꽁치를 어선 주위의 상층에 길게 머무르게 하는 일도 이루어진다.
꽁치의 시감도는, 전술한 것처럼, 파장이 470~500nm의 청색영역에 대해 높고, 파장이 580nm 이상의 적색영역에 있어서는 꽤 낮아진다. 또, 적색영역의 빛은, 해수중에서는 깊은 부분까지 도달하지 않고, 상층만을 조사하는 경향이 있다.
도 8은 해수의 빛 투과율의 스펙트럼분포를 0.5m, 1m, 5m 및 10m의 각 심도별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도 12는 이 빛 투과율의 스펙트럼분포를 이용하여 구한 여러 광원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9는 심도가 0.5m의 경우, 도 10은 심도가 1m인 경우, 도 11은 심도가 5m인 경우, 도 12는 심도가 10m인 경우이다. 단, 도 9~도 12에 있어서, 횡축은 파장(nm), 종축은 방사조도(μm/c㎡/nm)이다.
도 9~도 12에 있어서, (a)는 광원으로써 적색LED를 이용한 경우, (b)는 광원으로써 종래의 백색전구(500W)를 이용한 경우, (c)는 광원으로써 백색전구에 적색도료를 도포한 종래의 적색전구(500W)를 이용한 경우, (d)는 광원으로써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그 전면에 적색투과필터(20)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 (적색도료)를 이용한 경우(제 3의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a)의 적색LED의 경우는, 어느 심도에 있어서도 방사조도값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꽁치는 어선 부근에 머무르지 않고 도망쳐버린다. 또 (b)의 종래의 백색전구(500W)의 경우는, 심도 5m 및 심도 10m에 있어서도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영역에서 방사조도값이 크고, 꽁치는 위쪽으로 뜨지는 않고, 도망쳐 버린다. 한편, (c)의 종래의 적색전구(500W)의 경우,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 470~500nm의 영역에서의 방사조도값이 어느 심도에서도 비교적 낮기 때문에, 꽁치는 위쪽으로 모이며, 어선 주위로 오랫동안 머문다. (d)의 제 3의 실시형태의 경우, (c)의 종래의 적색전구(500W)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 470~500nm의 영역에서의 방사조도값이 어느 심도에서도 비교적 낮아진다. 심도 10m에 있어서, 파장 480nm 이하의 영역에서의 방사조도값이 높아지지만, 이 영역에 있어서는 꽁치의 시감도가 낮기 때문에,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적색전구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 470~500nm의 영역에 있어서 거의 제로가 되며,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의 방사조도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를 대신하는 동시에 그 수법과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꽁치 등의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론 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 수명도 상당히 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를 투과한 백색LED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색투과필터(20)인 평판상필터의 구성이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할 뿐이며, 그 외의 구성은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양자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또 양 실시형태에 있어서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20)도, 어류(예를 들어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필터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20)는, 예를 들어 주식회사 코에이도의 적색염화비닐판과 같이 적색염화비닐평판으로 두께 0.4mm인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13은 적색투과필터(20)로 하고, 이 적색염화비닐평판을 이용했을 때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은 파장(nm), 종축은 상대방사조도이다. 광원으로써는, 상술한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E)는 광원으로써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적색투과필터(20)로써 제 2의 실시형태의 적색염화비닐판을 이용한 경우의 방사조도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E) 및 (D)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의사백색LED) + (적색염화비닐판)의 조합에 의해 방사조도의 스펙트럼(E)은, 종래의 적색전구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D)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470~500nm)에 있어서는 거의 제로이며, 또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를 갖고 있다. 또 파장(450nm) 부근의 영역에서의 방사조도값이 다소 높아지지만, 이 영역에 있어서는 꽁치의 시감도가 낮기 때문에,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적색전구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470~500nm)의 영역에 있어서 거의 제로가 되며,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의 방사조도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를 대신하는 동시에 그 수법과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꽁치 등의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론 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 수명도 상당히 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를 투과한 백색LED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색투과필터(20)인 평판상필터의 구성이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할 뿐이며, 그 외의 구성은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완전히 같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양자의 상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또, 양 실시형태에 있어서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20)도, 어류(예를 들어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필터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20)는, 예를 들어 아사히가라스 주식회사의 카보 글라스SG-AH와 같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판으로 두께 3.0mm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평판 위에 적색투과필터층을 피착한 것이다. 적색투과필터층은 제 1 및 제 2의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20)와 같은 스펙트럼분포를 갖는 것이면, 예를 들어 도료층, 필름층 등 어떤 것이어도 좋지만, 여기서는, 적색의 인쇄용 잉크를 도포하고 있다. 적색의 인쇄용 잉크로써는, 예를 들어, DIC그래픽 주식회사의 14판 155 마젠타를 이용하고 있다. 도 14는 적색투과필터(20)로써, 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적색도료를 도포한 것을 이용했을 때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은 파장(nm), 종축은 방사조도(μm/c㎡/nm)이다. 광원으로써는, 상술한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F)~(H)는 광원으로써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적색투과필터(20)로써 제 3의 실시형태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판에 적색도료를 도포한 것을 이용한 경우의 방사조도스펙트럼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단, (F)는 적색도료의 도포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 (G)는 적색도료의 도포두께가 중간인 경우, (H)는 적색도료의 도포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이다.
도 6의 (F)~(H)와 (D)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의사백색LED) + (폴리카보네이트판) + (적색도료)의 조합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F)~(H)는, 종래의 적색전구에 의한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D)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470~500nm)에 있어서는 거의 제로이며, 또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를 갖고 있다. 또 파장 450nm 부근의 영역에서의 방사 조도값이 다소 높아지지만, 이 영역에 있어서는 꽁치의 시감도가 낮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백색전구와 마찬가지로 꽁치의 시감도의 높은 파장 470~500nm의 영역에 있어서 거의 제로가 되며, 적색LED와 같이 적색의 영역에 있어서 급격하게 증대하는 일 없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분포의 방사조도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꽁치 등의 어류에 대해 종래의 적색전구를 대신하는 동시에 그 수법과 같은 수법으로 집어등을 조작한 경우에도 꽁치 등의 어류를 양호하게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어획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론 LED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 수명도 상당히 길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로서 집어등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 4의 실시형태의 집어등은, 이면에 냉각용 핀(150a)이 형성된 본체부재(150)와, 이 본체부재(150)의 전면에 배치된 평판상의 커버부재(151)와, 커버부재(151)를 본체부재(150)와의 사이에 끼워, 복수의 볼트(153) 및 실부재(154) 등을 이용하여 밀봉적으로 장치하는 테두리부재(152)를 갖추고 있다. 본체부재(150) 및 테두리부재(152)는 알루미늄재료를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재(151)가 후술하는 적색투과필터를 겸용하고 있다. 본체부재(150) 및 테두리부재(152)는 하우징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하우징체와 커버부재(151)가 밀봉적으로 장치되는 것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유지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하우징체의 내부에는, LED기판(155)이 볼트(156) 등에 의해 본체부재(15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LED기판(155)의 이면 위에는 다수(도 15의 예에서는 105개)의 칩형LED(157)가 전술한 도 3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배열로 고착되어 있다. LED기판(155)에는, 이들 칩형LED(15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프린트배선부가 형성되어 있는데다, 이 프린트배선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저항 및 정전류 IC 등의 전원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이 전원회로들은, 본체부재(150)에 설치된 방수소켓(158)을 거쳐 전원케이블(159)에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체의 내부에 있어서, 칩형 LED(157)의 전면에는, 적색투과필터를 겸용하는 커버부재(151)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며, 칩형LED(157)로부터 출사된 빛이 이 커버부재(151)를 연통하여 외부로 방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칩형LED(157)는, 청색LED에 형광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의사백색LED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니치아공업 주식회사제의 NS6W183A를 사용하고 있다. 이 의사백색LED의 발광강도의 스펙트럼분포는 도 4에서 도시한 대로이다.
적색투과필터를 겸용하는 커버부재(151)는, 어류(예를 들어 꽁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필터이다. 또, 꽁치는 파장이 470~500nm 부근의 빛에 대해 최대의 시감도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색투과필터 겸용 커버부재(151)는, 예를 들어 아크릴선데이 주식회사의 적투명아크릴선데이판과 같이 적색의 투명아크릴평판으로 두께 2.0mm인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 적색투명아크릴평판을 이용했을 때의 방사조도의 스펙트럼분포는 도 5에서 도시한대로이다. 광원으로써는, 상술한 의사백색LED를 이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4의 실시형태의 변경형태로써, 적색투과필터를 겸용하는 커버부재(151)에, 제 2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주식회사 코에이도의 적색염화비닐판과 같이 적색염화비닐평판으로 두께 0.4mm인 것을 이용해도 좋다.
때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판으로 두께 3.0mm인 것으로 이루어진 투명평판 위에 적색투과필터층을 피착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적색투과필터층으로써, 예를 들어 DIC그래픽스 주식회사의 14판 155 마젠타인 적색의 인쇄용 잉크로 이루어진 적색도료를 이용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로써,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의사백색LED의 전면에 상술한 적색도료를 도포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의사백색LED를 대신하여 적색LED, 녹색LED 및 청색LED를 조합하여 의사백색광원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의사백색LED로써 칩형LED를 이용하고 있지만, 포탄형LED 또는 그 외의 종류의 LED를 이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서술한 실시형태는 전부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한정적으로 도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다른 여러 변형상태 및 변경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것이다.
10, 150 : 본체부재
10a, 150a : 냉각용 핀
11, 151 : 커버부재
12, 152 : 테두리부재
13, 16, 153, 156 : 볼트
14, 154 : 실부재
15, 155 : LED기판
17, 157 : 칩형 LED
18, 158 : 방수소켓
19, 159 전원케이블
20 : 적색투과필터
70 : 어선
71, 72, 73 : 집어등
74 : 폴
75 : 꽁치
76 : 해중
76 : 막대브래킷 그물

Claims (9)

  1. 어선에 장치되어, 선상으로부터의 빛으로 어류를 모으는 집어등에 있어서,
    청색발광다이오드에 형광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와, 그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의 빛 조사면측에 배치된 어류의 시감도가 높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높은 빛 감쇠도를 갖는 적색투과필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를 배치한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기판을 내부로 수용하는 하우징체와, 그 하우징체의 전면에 밀봉적으로 장치된 투명한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적색투과필터는 상기 커버부재와는 별개로 상기 복수의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의 빛 조사면측에 배치된 적색투과평판상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를 배치한 발광다이오드기판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기판을 내부로 수용하는 하우징체와, 그 하우징체의 전면에 밀봉적으로 장치된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적색투과필터는 적색투과평판상필터를 겸용하는 상기 커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투과평판상필터가 적색의 투명아크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투과평판상필터가 적색의 염화비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투과평판상필터가 적색의 투명판 위에 적색투과필터층을 피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투과필터층이 적색도료를 도포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8.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를 배치한 발광다이오드기판과, 적어도 상기 복수의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기판을 내부로 수용하는 하우징체와, 그 하우징체의 전면에 밀봉적으로 장치된 투명한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적색투과필터는 상기 의사백색발광다이오드의 각각의 전면에 피착된 적색투과필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투과필터층이 적색도료를 도포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KR1020140022638A 2013-07-02 2014-02-26 집어등 KR10177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8826A JP5778217B2 (ja) 2013-07-02 2013-07-02 集魚灯
JPJP-P-2013-138826 2013-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50A true KR20150004250A (ko) 2015-01-12
KR101770772B1 KR101770772B1 (ko) 2017-08-23

Family

ID=5225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638A KR101770772B1 (ko) 2013-07-02 2014-02-26 집어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78217B2 (ko)
KR (1) KR101770772B1 (ko)
CN (1) CN104279458B (ko)
HK (1) HK1203595A1 (ko)
TW (1) TWI58330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294A (zh) * 2016-08-16 2017-02-01 深圳乐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诱鱼探鱼一体系统
KR102380791B1 (ko) 2022-02-02 2022-03-30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Rgbw led를 구비한 수중용 cctv 카메라 장치
KR20220001832U (ko) * 2021-01-18 2022-07-26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9868B (zh) * 2016-02-17 2017-12-05 东莞市名符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led集鱼灯渔船控制系统
CN106287337B (zh) * 2016-09-27 2019-01-15 深圳市爱图仕影像器材有限公司 一种提高白光led显色品质的照明装置
KR101948552B1 (ko) * 2017-12-12 2019-02-15 대한민국 어류의 시감도가 적용된 조도계
JP7220452B2 (ja) * 2018-09-21 2023-02-10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釣り機
CN111435063A (zh) * 2019-01-12 2020-07-21 西安华科光电有限公司 一种提高单色性和隐蔽性的反射式内红点瞄准镜光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85U (ko) * 1977-06-08 1979-01-08
JPS6060807U (ja) * 1983-10-03 1985-04-27 有限会社清三漁具店 集魚燈装置
JPH02182129A (ja) * 1989-01-09 1990-07-16 Takashi Mori 養魚用光ラジエータ
SU1717046A1 (ru) * 1989-11-21 1992-03-07 Днепр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овли рыбы
JPH0662702A (ja) * 1992-08-21 1994-03-08 Bridgestone Corp 水中照明装置
JP2000184840A (ja) 1998-12-22 2000-07-04 Toyoda Gosei Co Ltd 集魚用釣り具
US6203170B1 (en) * 1999-05-07 2001-03-20 Paul H. Patrick Fish attracting or repelling device comprising diode array
JP2002084925A (ja) * 2000-09-07 2002-03-26 Kensei Okamoto 発光装置および発光用船体
JP2002304903A (ja) * 2001-04-04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JP3597498B2 (ja) * 2001-10-30 2004-12-08 高木綱業株式会社 集魚灯
AU2003221111A1 (en) * 2003-03-19 2004-10-11 Takagi Corporation Fish-gathering lamp
KR100497783B1 (ko) * 2003-05-01 2005-06-29 이준한 수중 집어등용 윈치 및 그 제어 방법
JP4064423B2 (ja) * 2003-09-18 2008-03-19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集魚灯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7195368B2 (en) * 2005-04-15 2007-03-27 Superfishlight, Inc Fish attracting apparatus and method
JP4630160B2 (ja) * 2005-08-31 2011-02-09 国際化工株式会社 集魚灯装置
JP4105745B2 (ja) * 2005-11-30 2008-06-25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集魚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漁法
US7951450B2 (en) * 2006-11-10 2011-05-31 Global Oled Technology Llc Red color filter element
CN101329040B (zh) * 2008-07-25 2010-07-28 西安立明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大功率蓝绿光led船用水下集鱼灯
JP2010200736A (ja) * 2009-03-03 2010-09-16 Yoshiyuki Goto 発光色可変の出来るイカツノと餌木或いは集魚灯
KR101147511B1 (ko) * 2009-09-08 2012-05-21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집어장치
TWM391726U (en) * 2010-05-07 2010-11-01 Color Stars Inc LED lamp with high color rendering structure
JP5070610B2 (ja) * 2010-05-28 2012-11-14 岩手県 サケ科魚類の卵管理方法及びサケ科魚類の卵管理装置
CN202084181U (zh) * 2011-04-19 2011-12-21 陈建国 一种太阳能交通指挥棒
CN102845380A (zh) * 2011-06-28 2013-01-02 罗英华 一种led水下集鱼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294A (zh) * 2016-08-16 2017-02-01 深圳乐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诱鱼探鱼一体系统
KR20220001832U (ko) * 2021-01-18 2022-07-26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KR102380791B1 (ko) 2022-02-02 2022-03-30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Rgbw led를 구비한 수중용 cctv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8217B2 (ja) 2015-09-16
TW201501635A (zh) 2015-01-16
TWI583303B (zh) 2017-05-21
HK1203595A1 (en) 2015-10-30
JP2015008715A (ja) 2015-01-19
CN104279458A (zh) 2015-01-14
CN104279458B (zh) 2017-01-04
KR101770772B1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772B1 (ko) 집어등
JP4105745B2 (ja) 集魚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漁法
JP4732212B2 (ja) 集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集魚灯装置
KR101147511B1 (ko) 집어장치
KR20060036486A (ko) 집어등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JP4234704B2 (ja) 水中照明装置
JP2008305807A (ja) 水中照明体
TWI583304B (zh) Led集魚燈
KR20130008335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와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를 혼합 배치한 어류 집어용 수중 집어등
KR101023642B1 (ko) 집어시스템
KR101685875B1 (ko) 갈치 끌낚시용 led 수중집어등
KR101395477B1 (ko) 채낚기 어선에 장착되는 led 수중집어등장치
KR101794315B1 (ko) 습기제거기가 구비된 안정기 내장형 집어등
KR100930538B1 (ko) 어류 집어용 led 집어등
KR20070088444A (ko) 집어등장치 및 이를 사용한 어획방법
TW201836472A (zh) Led集魚燈
TWM517989U (zh) 交換特定光波長之誘魚燈具
CN111328775A (zh) 集鱼照明系统及其集鱼灯
TWM559065U (zh) 發光二極體集魚燈
KR20090083187A (ko) Led 회로를 이용하여 생물발광을 유도하는 집어기
TWM452619U (zh) 水下集魚燈之改良結構
TW201738498A (zh) 集魚燈裝置
TW201940064A (zh) 誘魚燈
TWM628197U (zh) 集魚燈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