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62A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62A
KR20150004162A KR20130077285A KR20130077285A KR20150004162A KR 20150004162 A KR20150004162 A KR 20150004162A KR 20130077285 A KR20130077285 A KR 20130077285A KR 20130077285 A KR20130077285 A KR 20130077285A KR 20150004162 A KR20150004162 A KR 2015000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bottom plate
reinforcing
longitudinal dire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527B1 (ko
Inventor
박윤영
이동우
신동련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527B1/ko
Priority to US14/024,492 priority patent/US9472746B2/en
Priority to CN201310449943.8A priority patent/CN104283455B/zh
Publication of KR2015000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B06B1/064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of rectangular sh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장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부분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일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는 보강앰보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 {VIBRAT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휴대전화 등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모바일 기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발생장치 또한 기존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나아가, 휴대폰 중에서 스마트폰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서, 터치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진동모터 채용이 증가되어 왔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시 진동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동작수명시간의 증가를 요구하게 되고, 둘째 화면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응답속도도 빨라져야 사용자가 터치시 진동을 체감하는데 있어서 만족감을 높일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피에죠 햅틱 액추에이터(Piezo Haptic Actuator)가 있다. 피에죠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변위가 발생하는 역압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발생된 변위로 가동자의 웨이트를 움직이도록 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이 구조를 갖는 진동자의 특징으로는, 일정수준이상의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대역폭이 넓어서 안정적인 진동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과, 일정한 주파수범위에서 단일주파수가 아닌 낮고 높은 주파수의 진동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빠른 동작응답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서,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의 햅틱 진동 구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피에죠 소자는 탄성부재에 장착되어 진동하게 되는데, 외부 충격시(특히, 축방향 충격)에 상기 탄성부재에 장착된 질량체의 관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장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부분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일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는 보강앰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피에죠 액추에이터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일면에 장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연장판은,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중량체를 가이드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피에죠 액추에이터보다 짧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양단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양단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양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삼각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보강앰보는 폭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변형시키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일면에 장착되는 바닥판,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중량체를 가이드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보강앰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간단한 구성의 추가로 탄성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중량체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중량체 커버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탄성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는 상기 중량체와 상기 압전소자의 사이에 접착력을 가지는 완충재를 개재하여 상기 중량체가 상기 압전소자에 부착된 형상을 갖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전소자가 탄성부재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외부 충격시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탄성부재와의 접촉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상기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동발생장치(100)는 상부 케이스(122)와 하부 케이스(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20), 탄성부재(140), 압전소자(160), 중량체(180), 회로기판(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상부 케이스(122)와 하부 케이스(1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22)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3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120)의 상부 케이스(1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2)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22)는 전면판(123), 측면판(124,125), 배면판(129) 및 상면판(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양 측면판(124,125)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판(123)과 배면판(129)보다 높이 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123)과 배면판(129)에는 하부 케이스(13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면판(126)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밴트홀(12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방향은 도 3에서 X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은 도 3에서 Y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높이 방향은 도 3에서 Z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정의한 용어는 이하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즉, 각 구성들에 대하여 상기한 용어는 동일한 방향을 나타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하부 케이스(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30)의 양단부 측에는 탄성부재(140, 도 1 참조)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2)는 덴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예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30)의 양단부에는 상부 케이스(122, 도 3 참조)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결합벽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30)의 양측면에는 상부 케이스(122)의 홈(127, 도 3 참조)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40)는 바닥판(142)과 연장판(144)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탄성부재(140)의 바닥판(142)에 대하여 살펴보면, 바닥판(142)에는 압전소자(160, 도 1 참조)의 설치를 위한 복수개의 지지돌기(142a,142b)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돌기(142a)는 압전소자(160)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나머지 지지돌기(142b)는 압전소자(160)의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두 측면(전면과 배면)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60)는 일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판(142)으로부터 압전소자(16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42)에는 회로기판(200, 도 1 참조)과 압전소자(16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개구부(142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42c)와 바닥판(142)의 양측 단부 사이에는 바닥판(142)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강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탄성변형보조홀(142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변형보조홀(142d)은 바닥판(142)의 양측단부와 인접한 영역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홀로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바닥판(142)의 양단부에는 상기한 하부 케이스(122)의 돌출부(132, 도 4 참조)에 지지되는 지지부(142e)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판(144)은 중량체(180)의 전면과 배면에 접촉되는 지지판부(146)와 바닥판(142)을 연결하는 연결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148)는 바닥판(142)의 전면과 배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1,2 연결부(148a,14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지지판부(146)는 중량체(18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146)의 하단에는 상기 중량체(180) 내지는 중량체 커버(170)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턱(146a)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146a)은 상기 중량체(180)의 높이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량체(180) 내지는 중량체 커버(170)는 상기 지지턱(146a)에 걸림된 상태로 접착제 본딩, 용접 등 추가 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판부(146)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142)에서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가 연결되는 부분은 진동발생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동발생장치(100)에 기타 이유에 의해 축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바닥판(142)에서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가 연결되는 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닥판(142)에서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에 의해 바닥판(142)의 밴딩이 잘 되지 않아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바닥판(142)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60)가 장착되는 중앙 부분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60)가 장착되는 일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는 보강앰보(14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반대면으로 가압하여 보강앰보(1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앰보(145)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피에죠 액추에이터(160)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의 양단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앰보(145)는 양단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의 양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닥판(142)에서 상기 제1,2 연결부(148a,148b)가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0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탄성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보강앰보의 형상이 개시된다. 도 10a 내지 도 10c의 보강앰보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바닥판(14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앰보는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앰보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0a는 상기 보강앰보(142a)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된 것이고, 도 10b는 상기 보강앰보(142b)가 삼각 형상으로 구비된 것이며, 도 10c는 상기 보강앰보(142b)가 둥근 형상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보강앰보의 형상이 개시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의 보강앰보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바닥판(142)에서 이중으로 보강앰보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상기 바닥판(142)을 일면으로 1차 압착한 후 재차 상기 1차 압착된 부분을 타면으로 2차 압착하여 보강앰보가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1차 압착된 형상을 기본적으로 사각 형상을 이루고, 상기 2차 압착된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사각(도 11a), 삼각(도 11b) 또는 둥근(도 11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전소자(1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 도 5 참조)의 바닥판(142, 도 5 참조)에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60)의 저면에는 전극(162)이 구비될 수 있다. 전극(162)은 압전소자(16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 전극(162a)과 '-' 전극(16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중량체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량체(180)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80)의 저면에는 압전소자(160, 도 1,6 참조)와 대면하는 접촉방지홈(18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160)의 양측 단부에는 탄성부재(140, 도 4 참조)의 탄성변형시 중량체(180)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184)가 탄성부재(140)의 바닥판(142) 단부에 접촉되어 중량체(180)의 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체(180)와 바닥판(142)의 양단부 내측 영역에서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중량체(180)의 스토퍼부(184)와 접촉방지홈(182) 사이에 배치되도록 중량체(180)에는 지지턱 삽입홈(186)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 삽입홈(186)에 탄성부재(140)의 지지턱(146a)이 삽입 배치되도록 중량체(180)가 탄성부재(16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80)는 지지턱(146a)에 의해 높이 방향의 설치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한편, 중량체(180)의 저면에는 중량체(180)의 접촉방지홈(182)으로부터 경사면(188)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88)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변형시 바닥판(142)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사면(188)은 바닥판(142)의 탄성변형시 바닥판(142)의 최대로 변형된 형상이 가지는 기울기의 절대값과 동일하거나 작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80)의 저면에는 이하 설명할 중량체 커버(170)에 거치되는 커버 안착부(189)가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중량체(180)의 길이 방향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중량체 커버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량체 커버(170)는 내부에 중량체(180)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체(18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바닥판(172)과 거치판(173)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172)과 거치판(173)에서 상기 중량체(18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지지판(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75)은 상기 중량체(180)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는 전면 및 후면 지지판(176)(177)과 단부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판(17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지지판(178)은 상기 전면 및 후면 지지판(176)(177)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중량체(180)의 단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판(173)의 상부에는 상기 중량체(180)의 커버 안착부(189)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바닥판(172)과 상기 거치판(173)이 길이방향으로 불연속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일체로 구비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로기판(200)은 압전소자(160, 도 1 참조)에 연결되며, 탄성부재(140)와 연동하여 진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로기판(200)에는 압전소자 연결부(20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 연결부(202)에는 압전소자(160)의 전극(162, 도 5 참조)이 삽입되는 삽입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 연결부(202)는 탄성부재(140)의 바닥판(142, 도 4 참조)에 형성되는 개구부(142c)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60)와 회로기판(200)의 연결을 위한 솔더가 바닥판(142)의 개구부(142c) 내에 배치될 수 있어 솔더에 의한 두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 연결부(202)는 바디(206)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압전소자 연결부(202)와 바디(206)는 경사부(20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205)에는 바닥판(142)의 지지돌기(142a)가 삽입되는 지지돌기 삽입홀(20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206)에는 바닥판(142)과 연동하여 보다 원활하게 진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200)에는 전원연결단자(208a)가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122, 도 1 참조)의 외부로 인출되어 배치되는 외부노출부(208)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노출부(208)는 바디(206)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100 : 진동발생장치
120 : 하우징
140 : 탄성부재
160 : 압전소자
180 : 중량체
200 : 회로기판

Claims (12)

  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장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부분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일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는 보강앰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피에죠 액추에이터보다 짧게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일면에 장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장판을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은,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중량체를 가이드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피에죠 액추에이터보다 짧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양단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양단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양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사각 형상인 진동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삼각 형상인 진동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둥근 형상인 진동발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앰보는 폭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12.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변형시키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일면에 장착되는 바닥판,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중량체를 가이드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보강앰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30077285A 2013-07-02 2013-07-02 진동발생장치 KR10151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85A KR101514527B1 (ko) 2013-07-02 2013-07-02 진동발생장치
US14/024,492 US9472746B2 (en) 2013-07-02 2013-09-11 Vibrator
CN201310449943.8A CN104283455B (zh) 2013-07-02 2013-09-27 振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85A KR101514527B1 (ko) 2013-07-02 2013-07-02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62A true KR20150004162A (ko) 2015-01-12
KR101514527B1 KR101514527B1 (ko) 2015-04-22

Family

ID=5213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85A KR101514527B1 (ko) 2013-07-02 2013-07-02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2746B2 (ko)
KR (1) KR101514527B1 (ko)
CN (1) CN104283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922B1 (ko) * 2012-12-12 201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US9579691B2 (en) * 2013-05-21 2017-02-28 Mplus Co., Ltd.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KR20150089474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38335B1 (ko) * 2014-01-28 2020-07-27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KR101653641B1 (ko) * 2014-10-08 2016-09-02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JP2017108595A (ja) * 2015-12-11 2017-06-15 日本電産株式会社 振動モータ
CN105665265A (zh) * 2016-03-18 2016-06-15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压电振动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468A (en) * 1990-10-22 1997-03-11 Seiko Epson Corporation Ultrasonic step motor
CN1714597B (zh) 2002-11-21 2011-05-11 Nxp股份有限公司 包括带有含加强槽的中间区的膜片的电声换能器
CN100377489C (zh) 2003-09-17 2008-03-26 华南农业大学 面内复合模态直线压电微电机
JP4576214B2 (ja) * 2004-11-26 2010-11-0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超音波モータおよびレンズ鏡筒
JP2009017735A (ja) * 2007-07-06 2009-01-22 Olympus Corp 超音波モータ
KR101250798B1 (ko) * 2009-10-27 2013-04-04 주식회사 로브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KR101044130B1 (ko) 2010-01-04 2011-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액츄에이터 모듈
KR20110094464A (ko) * 2010-02-16 201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액추에이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 시스템
JP2011230067A (ja) 2010-04-28 2011-11-17 Alps Electric Co Ltd 振動発生装置
JP2012044832A (ja) * 2010-08-23 2012-03-01 Canon Inc 振動波駆動装置及び画像振れ補正装置
JP5839919B2 (ja) * 2011-09-28 2016-01-06 エスアイアイ・クリスタ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圧電振動片、圧電振動子、発振器、電子機器、および電波時計
KR101250291B1 (ko) 2012-04-12 2013-04-03 주식회사 하이소닉 압전소자가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KR101157868B1 (ko) * 2012-04-10 2012-06-22 주식회사 블루콤 피에조 진동 모터
KR101241030B1 (ko) 2012-07-11 2013-03-11 주식회사 로브 복수의 진동전달경로를 갖는 진동 증폭형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자기기
KR101320185B1 (ko) * 2012-09-19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3455B (zh) 2017-03-01
US20150008793A1 (en) 2015-01-08
CN104283455A (zh) 2015-01-14
US9472746B2 (en) 2016-10-18
KR101514527B1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527B1 (ko) 진동발생장치
JP5843371B2 (ja) 振動発生装置
US9431926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40137722A (ko) 진동발생장치
KR102138323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89440A (ko) 진동발생장치
KR10162917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80720B1 (ko) 진동발생장치
US20140346927A1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160794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48863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89474A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569007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343214B1 (ko) 압전진동모듈
KR10203060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59102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53641B1 (ko) 진동발생장치
US9827594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2003372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89336A (ko) 진동발생장치
KR10200336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45551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53644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59018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105810A (ko) 진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