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22B1 -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922B1 KR101588922B1 KR1020120144477A KR20120144477A KR101588922B1 KR 101588922 B1 KR101588922 B1 KR 101588922B1 KR 1020120144477 A KR1020120144477 A KR 1020120144477A KR 20120144477 A KR20120144477 A KR 20120144477A KR 101588922 B1 KR101588922 B1 KR 101588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zoelectric actuator
- displacement
- electrode layer
- horizontal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451 lead zirconate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FGPZNIAWCZYJU-UHFFFAOYSA-N lead zirconate titanate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i+4].[Zr+4].[Pb+2] HFGPZNIAWCZY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2—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longitudinal or thickness displacement combined with bending, shear or torsion displacemen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1—Single-layered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e.g. internal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방향전환 부재; 상기 방향전환 부재에 수평방향 변형이 구속되도록 고정되고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부재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압전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향전환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수직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교호하도록 상하로 반복 적층되는 전극층;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전소자층;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을 관통하여 상기 양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양극접속기둥; 및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을 관통하여 상기 음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음극접속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진동자가 고정되는 변위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면서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전화에 부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휴대전화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발생장치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LCD 화면이 큰 휴대전화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 터치 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진동발생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진동발생장치는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으므로 동작수명시간이 증가되어야 하며, 둘째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빠른 응답속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명 및 응답성의 요구에 맞추어 현재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휴대전화에는 리니어 진동자가 사용되고 있다.
리니어 진동자는 모터의 회전원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진동자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용하여 코일과 마그넷의 전자기력으로 스프링에 매달린 가동자를 직선공진운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압전소자를 액추에이터로 하여 압전소자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가동자를 직선공진운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소자를 이용한 압전 액추에이터를 진동발생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양측으로 길이가 변형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상하로 적층 구비되는 전극들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길이가 변화하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상하로 적층 구비되는 전극들을 상호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상하로 적층 구비되는 전극들의 연결이 실질적으로 변화가 적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중심 부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방향전환 부재; 상기 방향전환 부재에 수평방향 변형이 구속되도록 고정되고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부재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압전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향전환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수직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교호하도록 상하로 반복 적층되는 전극층;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전소자층;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을 관통하여 상기 양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양극접속기둥; 및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을 관통하여 상기 음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음극접속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진동자가 고정되는 변위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에 수직방향 상면 및 수평방향 양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향전환 부재가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덮어주고 상기 브라켓과 합체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은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상기 양극접속기둥 및 상기 음극접속기둥은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양의 전극층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양의 전극층과 분리된 양극 더미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음의 전극층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타측에 상기 음의 전극층과 분리된 음극 더미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접속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음극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타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되고, 상기 음극접속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양극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일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양극 더미패턴과 상기 음극 더미패턴은 세로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세로변은 상기 가로변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은 더미패턴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에는 해당 전극층에 해당하는 극성의 접속기둥 만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전극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은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상기 양극접속기둥 및 상기 음극접속기둥은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양의 전극층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양의 전극층과 분리된 양극 더미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음의 전극층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타측에 상기 음의 전극층과 분리된 음극 더미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접속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음극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타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되고, 상기 음극접속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양극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일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양극 더미패턴과 상기 음극 더미패턴은 세로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세로변은 상기 가로변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은 더미패턴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에는 해당 전극층에 해당하는 극성의 접속기둥 만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전극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상하로 적층 구비되는 전극들을 상호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상하로 적층 구비되는 전극들의 연결이 실질적으로 변화가 적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중심 부분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압전 액추에이터의 성능 향상 및 수명 연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A-A'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A-A'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A-A'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상기 진동발생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판(120), 전원 공급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하는 압전 액추에이터(130),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장착되는 방향전환 부재(140) 및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에 고정되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수직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진동자(150) - 웨이트 - 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수평방향은 도 2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즉 압전 액추에이터(130) 또는 진동자(15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즉,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은 도 2에서 볼 때, 상,하 방향, 즉, 압전 액추에이터(130) 또는 진동자(150)의 저면에서부터 상면을 향하는 방향(즉,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평방향은 특정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수평으로 향하는 방향이라면 어느 방향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방향은 상기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라면 어느 방향이라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폭 방향은 가로와 세로 중 어느 하나가 더 긴 부재에 대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가로가 세로보다 긴 경우에 세로 방향이 폭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 방향은 상술한 수평방향(즉,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주면은 소정 부재, 가령 압전 액추에이터(130) 또는 진동자(150)에서 가장 넓은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외측은 상기 진동자(150)의 대략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소정 부재의 내측은 반대로 수평 방향으로 좌,우에서 상기 진동자(150)의 대략 중심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진동발생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브라켓(112)과 케이스(1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2)에는 방향전환 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2)에는 기판(12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4)는 상기 브라켓(112)을 덮어주고 상기 브라켓(112)과 합체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112)에 기판(120) 또는 방향전환 부재(140)가 장착되는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기판(120) 또는 방향전환 부재(140)는 상기 케이스(114)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12)은 내부에 부재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4)는 상기 브라켓(112)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면이 오픈된 박스 형상, 즉,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라켓(112) 또는 상기 케이스(114)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브라켓은 원형의 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원형의 판을 덮어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2)에는 기판(12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장착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은 인쇄회로기판, 더욱 상세하게는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판(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기판(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 연결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단자 연결부(1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114a)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114)의 수평방향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12)에는 상기 관통홀(114a)이 구비되는 위치와 상응한 위치에 외부로 돌출 구비되는 단자 받침부(112a)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 받침부(112a)의 상면으로 상기 단자 연결부(121)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20)은 상기 브라켓(112)의 상면에 고정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진동자는 내부공간에서 진동하므로 상기 기판(120)은 상기 진동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된 상태로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2)은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가 고정 장착되는 연결부(112b)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의 구성 중 이하 설명할 고정단(142)이 상기 연결부(11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2b)는 상기 브라켓(112)의 대략 중심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상기 브라켓(112)의 폭방향 양측에 수직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단(142)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2b)와 상기 고정단(142)은 용접, 접착제 접착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방향전환 부재(140)가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는 상부에 이하 설명할 진동자(150) - 웨이트 -가 장착된다.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는 내부에 장착된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수평방향 변형 - 팽창 또는 수축 - 에 따라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자(150)의 수직방향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부재(140)는 대략 상기 진동발생장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사익 탄성부재에 장착되는 압전소자의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수직방향으로 변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는, 일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고정단(142)과, 상기 고정단(142)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수평부(144)와, 상기 수평부(144)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46) 및 상기 수직부(146)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진동자(150)가 고정되는 변위확장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에 구비되는 압전소자는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수직부(146)가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수평부(144)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144)에서 연장 구비되는 수직부(146) 및 변위확장부(148)도 동일하게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수평부(144)가 2개 구비된 것을 예시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고정단(142)과, 상기 고정단(142)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44)와, 상기 수평부(144)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46) 및 상기 수직부(146)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진동자(150)가 고정되는 변위확장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42)는 상기 브라켓(112)에 구비되는 연결부(112b)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42)은 상기 연결부(112b)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4)는 상기 고정단(142)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4)는 휨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4)는 수평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부(146)은 상기 수평부(144)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4)는 상기 수직부(146)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수직부(146)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수직부(146)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평방향 변형이 구속되도록 고정되어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수평부(144)에 수직방향 상부가 부착될 수 있다 - 도 2b 참조 -. 또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수직부(146)에 수평방향 양단이 부착될 수 있다 - 도 2c 참조 -. 또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수평부(144) 및 상기 수직부(146)에 수직방향 상부 및 수평방향 양단이 부착될 수도 있다 - 도 2a 참조 -.
한편, 상기 변위확장부(148)은 상기 수직부(146)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 외측에 상기 진동자(15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변위확장부(148)는 상기 수직부(146)의 수직방향 하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구비되어 상기 진동자(150)의 수직방향 변위가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146)는 상기 수평부(144)와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144)는 수직방향으로 휨 변형이 발생하므로 상기 수직부(146)에서 최대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수직방향으로 휨 변형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확장부(148)는 소형으로 구비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144)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진동자(150)에 고정되는 부분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낮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변위확장부(148)가 상기 수직부(144)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수직방향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확장부(148)의 수평방향 외측에는 상기 진동자(15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변위확장부(148)는 상기 진동자(150)가 고정되는 수평방향 외측이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결합부(148a)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상기 수평부(144)와 수직부(146)에 결합되는 구조에 따른 수평부(144)의 휨 변형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상기 수평부(144)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직방향 상부가 부착되는 경우 - 도 2b의 경우 - 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변형되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구속된 상기 수평부(144)에 휨 변형이 발생할 있다. 즉,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변형되는 경우 길이가 변형되지 않는 상기 수평부(144)에 휨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평부(144)의 휨 변형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단이 수직방향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도록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수평부(144)의 양단이 수직방향 상부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수평부(144)의 양단이 수직방향 하부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46)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평방향 양단이 부착되는 경우 - 도 2c의 경우 - 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변형되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구속된 상기 수직부(146)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양측으로 밀리거나 당겨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직부(146)는 상기 수평부(144)의 외측단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구비되므로, 상기 수평부(144)에는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수직부(146)가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돌림힘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수평부(144)에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부(144)의 휨 변형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단이 수직방향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도록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수직부(146)가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상기 수평부(144)의 양단이 수직방향 상부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수직부(146)가 내측으로 당겨지므로 상기 수평부(144)의 양단이 수직방향 하부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4) 및 상기 수직부(146)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직방향 상부 및 수평방향 양단이 부착되는 경우 - 도 2a의 경우 - 는 상술한 2가지 경우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평방향 변형 차이에 따른 상기 수평부(144)의 휨 변형과 수직부(146)의 양측으로의 변위에 따른 상기 수평부(144)의 휨 변형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의 수직방향 변형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5a의 경우에는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수평방향으로 팽창한 형상을 보여주고 있고, 도 5b는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수평방향으로 수축한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수평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상기 수평부(144)의 수평방향 외측단이 수직방향 상부로 휨 변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144)에 수직부(146)를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변위확장부(148)의 수평방향 외측이 수직방향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위확장부(148)의 수평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진동자(150)가 수직방향 상측으로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수평방향으로 수축함에 따라 상기 수평부(144)의 수평방향 외측단이 수직방향 하부로 휨 변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144)에 수직부(146)를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변위확장부(148)의 수평방향 외측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위확장부(148)의 수평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진동자(150)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수평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의 상단에 장착되는 진동자(150)는 수직방향 하측 또는 상측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수직부(146)가 형성하는 공간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한다. 이 경우,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수평방향 중심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각 부분 중에서 유일하게 수평방향 중심만 어느 방향으로든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진동발생장치(100)에 장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평방향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에 구비되는 전극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진동발생장치(100)에 장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에 구비되는 전극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가 위치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와 같이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대략 중심 부분에 해당하는 방향전환 부재(140)가 브라켓(114)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대략 수평방향 중심 부분에서 수평방향 양쪽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극연결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수평방향 양단부에 해당하는 방향전환 부재가 브라켓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대략 수평방향 양단부 부분에서 수평방향 안쪽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극연결구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와 같이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대략 중심 부분에 해당하는 방향전환 부재(140)가 브라켓(114)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대략 수평방향 중심 부분에서 수평방향 양쪽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극연결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수평방향 양단부에 해당하는 방향전환 부재가 브라켓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대략 수평방향 양단부 부분에서 수평방향 안쪽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극연결구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극연결구조가 구비되면 전극연결구조가 구비되는 부분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대적으로 변형이 작은 부분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극연결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에는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수직부(144)와 상기 수평부(146)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전극과 압전소자가 수직방향으로 반복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극에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가 수평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전원은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된 상기 기판(120)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144)와 상기 수직부(146)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평방향 변형이 구속되도록 고정되어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144)에 수직방향 상부가 부착될 수 있다 - 도 2b 참조 -. 또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직부(146)에 수평방향 양단이 부착될 수 있다 - 도 2c 참조 -. 또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144) 및 상기 수직부(146)에 수직방향 상부 및 수평방향 양단이 부착될 수도 있다 - 도 2a 참조 -.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 -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변위확장부(148)의 외측단인 결합부(148a) - 의 상부에는 진동자(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자(150)는 고비중 재질의 웨이트일 수 있다. 상기 진동자(150)는 황동 등의 동계나 텅스텐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진동자(15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자(150)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보다 길게 배치되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외측단 바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150)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외측단 바깥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중량추가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량추가부(152)는 상기 진동자(150)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변위확장부(148)는 수평방향 외측인 결합부(148a)이 대략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중심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구비될 수 있다. 그래야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의 수직방향 변위를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진동자(150)에서 수평방향으로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결합부(148a)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중량추가부(152)가 구비되는 부분이 상기 결합부(148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자(150)와 상기 방향전환 부재(140) -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변위확장부(148)의 외측단인 결합부(148a) - 사이에는 홀더(15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홀더(155)는 상기 진동자(15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양의 전극층(131)과 음의 전극층(133)이 교호하도록 상하로 반복 적층되는 전극층과, 상기 양의 전극층(131)과 상기 음의 전극층(133)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전소자층(132)과,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132)을 관통하여 상기 양의 전극층(131)을 상호 연결하는 양극접속기둥(134) 및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132)을 관통하여 상기 음의 전극층(133)을 상호 연결하는 음극접속기둥(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대략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중심 부분에 양극접속기둥(134)과 음극접속기둥(135)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끝단부,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부분 등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이라면 이러한 부분에 양극접속기둥(134)과 음극접속기둥(13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의 도시에서는 상기 양극접속기둥(134)과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이 분해사시도로 표현된 상태에서 최상부층과 최하부층을 모두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층간의 연결구조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지 실질적으로 길이가 이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실제 길이는 최상부층과 최하부층까지를 모두 부착한 상태의 두께 - 즉, 수직방향 길이 - 와 동일하다.
즉,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직방향 - 즉, 상하 - 으로 양의 전극층(131), 압전소자층(132) 및 음의 전극층(133)이 반복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양의 전극층(131), 압전소자층(132) 및 음의 전극층(133)은 동일한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132)은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상기 양극접속기둥(134) 및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은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각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132)은 원형, 또는 사각 이외의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에 적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세로변이 가로변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양의 전극층(131), 음의 전극층(133), 양극 접속기둥(134) 및 음극 접속기둥(135)은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금속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물질이라면 어느 재질이라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압전소자층(132)은 압전 물질, 바람직하게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의 전극층(131)은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양의 전극층(131)과 분리된 양극 더미패턴(136)을 구비하고, 음의 전극층(133)은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타측에 상기 음의 전극층(133)과 분리된 음극 더미패턴(137)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양의 전극층(131) 및 음의 전극층(133)은 각각 각 층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양극 더미패턴(136)과 음극 더미패턴(137)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음극접속기둥(135)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음의 전극층(133)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은 음의 전극층(133)과 양의 전극층(131)과 동일한 층에 구비되나 상기 양의 전극층(131)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양극 더미패턴(136)을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더미패턴(136)이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이 상기 양의 전극층(131)과 동일한 층을 관통해서 지나가더라도 상기 양의 전극층(131)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은 양극 더미패턴(136)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일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나, 상기 양극 더미패턴(136)은 반복 적층되는 각각의 상기 양의 전극층(131)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양의 전극층(131)에서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이라면 다른 층에 구비되는 양극 더미패턴(136)은 가로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를 전체적으로 관통하여 일직선으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양극 더미패턴(136)의 위치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 내부의 소정 음의 전극층(133)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극접속기둥(134)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양의 전극층(13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접속기둥(134)은 양의 전극층(131)과 음의 전극층(133)과 동일한 층에 구비되나 상기 음의 전극층(133)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음극 더미패턴(137)을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음극 더미패턴(137)이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양극접속기둥(134)이 상기 음의 전극층(133)과 동일한 층을 관통해서 지나가더라도 상기 음의 전극층(133)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양극접속기둥(134)은 음극 더미패턴(137)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타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나, 상기 음극 더미패턴(137)은 반복 적층되는 각각의 상기 음의 전극층(133)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음의 전극층(133)에서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이라면 다른 층에 구비되는 음극 더미패턴(137)은 가로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상기 양극접속기둥(134)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를 전체적으로 관통하여 일직선으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음극 더미패턴(137)의 위치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양극접속기둥(134)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 내부의 소정 양의 전극층(131)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양극 더미패턴(136)과 음극 더미패턴(137)은 세로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 이외의 다각 형상, 또는 라운드 - 특히, 반원 -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양극 더미패턴(136)과 상기 음극 더미패턴(137)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양극 더미패턴(136)과 상기 음극 더미패턴(137)은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이라면 가로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더미패턴(136)과 상기 음극 더미패턴(137)은 필수적으로 동일한 형상이 아니라도 무방하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양의 전극층(131)과 음의 전극층(133)에 사각 형상의 양극 더미패턴(136)과 음극 더미패턴(137)보다 사이즈가 큰 양극 더미패턴 형성부(133a)와 음극 더미패턴 형성부(131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양의 전극층(131)과 음의 전극층(133)과 동일한 층에서 수평방향으로 대략 중심 부분에 양의 전극층(131)과 음의 전극층(133)이 생략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 액추에이터(130)를 구성하면, 양의 전극층(131)에는 양극 더미패턴(136)이, 음의 전극층(133)에는 음극 더미패턴(13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최상면 또는 최하면에 구비되는 전극층에도 더미패턴(136)(137)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라면 양극접속기둥(134)과 음극접속기둥(135)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최상부 층에서 최하부 층까지 모든 층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직방향 상면과 하면의 구분이 없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직방향 상면과 하면에 모두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이 동시에 노출되므로 수직방향 상면과 하면 중 어느 곳이라도 외부전극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방향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외부전극을 기판의 전극 접속부와 연결하더라도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전극도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구동시 최대 변위의 5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별도의 외부전극 없이 기판의 전극 접속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가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이 더미패턴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와 차별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직방향 상면과 하면이 구분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와 차별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의 도시에서는 상기 양극접속기둥(134)과 상기 음극접속기둥(135)이 분해사시도로 표현된 상태에서 최상부층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소정 층을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층간의 연결구조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지 실질적으로 길이가 이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실제 길이는 최상부층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소정 층까지를 모두 부착한 상태의 두께 - 즉, 수직방향 길이 - 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최하부 층에는 더미패턴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최하부 층은 양의 전극층(131) 또는 음의 전극층(133)일 수 있다.
최하부 층이 양의 전극층(131)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양극접속기둥(134) 만이 최상부 층에서 최하부 층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음극접속기둥(135)은 최하부 층으로 구비되는 양의 전극층(131)까지 연결되지 않고, 압전소자층(132)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구비되는 음의 전극층(133)까지만 연결될 수 있다.
최하부 층이 음의 전극층(133)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음극접속기둥(135) 만이 최상부 층에서 최하부 층까지 연결될 수 있다. 양극접속기둥(134)은 최하부 층으로 구비되는 음의 전극층(133)까지 연결되지 않고, 압전소자층(132)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구비되는 양의 전극층(131)까지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직방향 상면과 하면이 구분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수직방향 상면에는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이 동시에 노출되므로 수직방향 상면에 외부전극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하지만, 수직방향 하면에는 양의 전극 또는 음의 전극 중 어느 하나만이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직방향 상면에 구비되는 외부전극을 기판의 전극 접속부와 연결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수직방향 하면으로 노출되는 어느 한 전극과 연결되는 외부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수직방향 상면에 구비되는 수직방향 하면으로 노출되는 전극과 다른 전극과 연결되는 외부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30)는 별도의 외부전극 없이 기판의 전극 접속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100: 진동발생장치
110: 하우징
120: 기판
130: 압전 액추에이터
140: 방향전환 부재
150: 진동자
110: 하우징
120: 기판
130: 압전 액추에이터
140: 방향전환 부재
150: 진동자
Claims (21)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방향전환 부재;
상기 방향전환 부재에 수평방향 변형이 구속되도록 고정되고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부재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압전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향전환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수평방향 변형에 의해 수직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교호하도록 상하로 반복 적층되는 전극층;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전소자층;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을 관통하여 상기 양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양극접속기둥; 및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을 관통하여 상기 음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음극접속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수평방향 외측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진동자가 고정되는 변위확장부;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에 수직방향 상면 및 수평방향 양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이 부착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향전환 부재가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덮어주고 상기 브라켓과 합체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을 더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압전소자층은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상기 양극접속기둥 및 상기 음극접속기둥은 가로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전극층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양의 전극층과 분리된 양극 더미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음의 전극층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타측에 상기 음의 전극층과 분리된 음극 더미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접속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음극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타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되고,
상기 음극접속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양극 더미패턴이 구비되는 세로 방향 일측에서 상하로 관통 연결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더미패턴과 상기 음극 더미패턴은 세로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변은 상기 가로변보다 짧은 진동발생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은 더미패턴을 구비하지 않는 진동발생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중 가장 하부에 구비되는 층에는 해당 전극층에 해당하는 극성의 접속기둥 만이 연결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전극은, 구동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소 변위의 지점과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최대 변위의 50%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477A KR101588922B1 (ko) | 2012-12-12 | 2012-12-12 |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JP2013022211A JP5555962B2 (ja) | 2012-12-12 | 2013-02-07 | 圧電アクチュエータを含む振動発生装置 |
US13/766,022 US20140159546A1 (en) | 2012-12-12 | 2013-02-13 | Piezoelectric actuator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including the same |
CN201310081581.1A CN103872240A (zh) | 2012-12-12 | 2013-03-14 | 压电致动器以及包括该压电致动器的用于产生振动的装置 |
US14/755,302 US20150303370A1 (en) | 2012-12-12 | 2015-06-30 | Piezoelectric actuator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477A KR101588922B1 (ko) | 2012-12-12 | 2012-12-12 |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193A KR20140076193A (ko) | 2014-06-20 |
KR101588922B1 true KR101588922B1 (ko) | 2016-01-26 |
Family
ID=5088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4477A KR101588922B1 (ko) | 2012-12-12 | 2012-12-12 |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20140159546A1 (ko) |
JP (1) | JP5555962B2 (ko) |
KR (1) | KR101588922B1 (ko) |
CN (1) | CN10387224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61058B2 (ja) * | 2014-10-17 | 2017-01-18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電子装置 |
KR20170011067A (ko) * | 2015-07-21 | 2017-02-02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압전진동모듈 |
CN113654583B (zh) * | 2021-08-31 | 2022-05-06 | 西安交通大学 | 剪切式振动-超声复合传感器及测量装置 |
CN113938803A (zh) * | 2021-09-28 | 2022-01-14 | 瑞声开泰科技(武汉)有限公司 | 扬声器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91450A (ja) | 2003-12-26 | 2005-07-14 | Tdk Corp | 積層型圧電素子 |
JP4567440B2 (ja) * | 2002-05-06 | 2010-10-20 |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
KR101157868B1 (ko) *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1256A (en) * | 1982-06-14 | 1984-09-11 | Nippon Soken, Inc. | Piezoelectric actuator, and valve apparatus having actuator |
JPS59148697A (ja) * | 1983-02-15 | 1984-08-25 | Mitsubishi Paper Mills Ltd | 熱転写記録材 |
US5973442A (en) * | 1996-02-22 | 1999-10-26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Piezo-resonator, filter and AM receiving circuitry using piezo-resonator |
JP3331893B2 (ja) * | 1996-02-22 | 2002-10-0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圧電共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およびam受信回路 |
JP3080153B2 (ja) * | 1997-08-15 | 2000-08-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圧電トランス |
JP2000299515A (ja) * | 1999-04-14 | 2000-10-24 | Murata Mfg Co Ltd | 圧電トランス、圧電インバータ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
JP4697929B2 (ja) * | 2003-11-13 | 2011-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積層圧電素子及び振動波駆動装置 |
JP4576185B2 (ja) * | 2004-09-22 | 2010-11-0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超音波振動子 |
JP5012512B2 (ja) * | 2005-12-27 | 2012-08-29 | 日本電気株式会社 |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子機器 |
JP5298999B2 (ja) * | 2009-03-19 | 2013-09-25 | Tdk株式会社 | 積層型圧電素子 |
JPWO2011074579A1 (ja) * | 2009-12-15 | 2013-04-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アクチュエータ、圧電アクチュエータ、電子機器、並びに振動減衰及び振動方向変換方法 |
JP5429141B2 (ja) * | 2010-01-19 | 2014-02-26 | Tdk株式会社 |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
KR20110094464A (ko) * | 2010-02-16 | 2011-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압전 액추에이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 시스템 |
JP5465274B2 (ja) * | 2012-05-28 | 2014-04-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積層圧電素子の製造方法 |
KR101452055B1 (ko) * | 2012-12-03 | 2014-10-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발생장치 |
KR101514527B1 (ko) * | 2013-07-02 | 2015-04-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발생장치 |
KR20150097276A (ko) * | 2014-02-18 | 2015-08-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와 이의 제작 방법 |
KR101639373B1 (ko) * | 2014-03-19 | 2016-07-13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진동발생장치 |
-
2012
- 2012-12-12 KR KR1020120144477A patent/KR1015889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
- 2013-02-07 JP JP2013022211A patent/JP555596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2-13 US US13/766,022 patent/US201401595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3-14 CN CN201310081581.1A patent/CN103872240A/zh active Pending
-
2015
- 2015-06-30 US US14/755,302 patent/US20150303370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67440B2 (ja) * | 2002-05-06 | 2010-10-20 |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
JP2005191450A (ja) | 2003-12-26 | 2005-07-14 | Tdk Corp | 積層型圧電素子 |
KR101157868B1 (ko) *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4120753A (ja) | 2014-06-30 |
KR20140076193A (ko) | 2014-06-20 |
CN103872240A (zh) | 2014-06-18 |
US20140159546A1 (en) | 2014-06-12 |
US20150303370A1 (en) | 2015-10-22 |
JP5555962B2 (ja) | 2014-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055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932659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9636708B2 (en) |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 |
KR101432438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41291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88922B1 (ko) |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
US9660172B2 (en) | Vibrator | |
KR20140118570A (ko) | 압전진동모듈 | |
US9815086B2 (en)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130177182A1 (en) | Vibration speaker | |
KR101316782B1 (ko) | 압전소자가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 |
KR100910011B1 (ko) | 압전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압전 엑츄에이터 | |
US20130177183A1 (en) | Vibration speaker | |
KR20170011067A (ko) | 압전진동모듈 | |
US20130101145A1 (en) | Transducer module | |
KR10203060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68773B1 (ko) | 압전진동발생기 | |
KR10200336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39216A (ko) | 압전진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46412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071722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53644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59018A (ko) | 진동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