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323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8323B1 KR102138323B1 KR1020130167536A KR20130167536A KR102138323B1 KR 102138323 B1 KR102138323 B1 KR 102138323B1 KR 1020130167536 A KR1020130167536 A KR 1020130167536A KR 20130167536 A KR20130167536 A KR 20130167536A KR 102138323 B1 KR102138323 B1 KR 1021383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piezoelectric element
- elastic member
- generating device
- vibration gen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5—Further connection or lead arrangements, e.g. flexible wiring boards, terminal pi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g. bimorp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06B1/1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the masses being elastically coupl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양단부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회로기판의 연결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휴대전화 등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모바일 기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발생장치 또한 기존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나아가, 휴대폰 중에서 스마트폰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서, 터치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진동모터 채용이 증가되어 왔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시 진동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동작수명시간의 증가를 요구하게 되고, 둘째 화면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응답속도도 빨라져야 사용자가 터치시 진동을 체감하는데 있어서 만족감을 높일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Piezo Haptic Actuator가 있다.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변위가 발생하는 역압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발생된 변위로 가동자의 웨이트를 움직이도록 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이 구조를 갖는 진동자의 특징으로는, 일정수준이상의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대역폭이 넓어서 안정적인 진동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과, 일정한 주파수범위에서 단일주파수가 아닌 낮고 높은 주파수의 진동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빠른 동작응답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서,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의 햅틱 진동 구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피에조 소자에는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외부 전원은 회로기판을 통해 피에조 소자에 제공된다. 그런데, 피에조 소자가 탄성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경우 회로기판은 피에조 소자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회로기판과 피에조 소자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나아가, 구동 시 또는 외부 충격 시 회로기판과 피에조 소자의 접합을 위한 납땜이 떨어지거나 회로기판과 피에조 소자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회로기판의 파손 및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분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양단부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회로기판의 연결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압전소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에는 적어도 한 쌍의 외부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진동량을 증대시키는 중량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부는 상기 압전소자에 접착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중량체 케이스와, 상기 중량체 케이스에 설치되는 중량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압전소자의 저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외부전극에 연결되는 제1 연결전극과, 상기 압저소자의 저면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외부전극에 연결되는 제2 연결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조립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조립되며 양단부에 지지부가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개구부가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차부를 통해 회로기판의 파손 및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분리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탄성부재(120), 압전소자(130), 회로기판(140) 및 중량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12)와 하부 케이스(11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일예로서 상부 케이스(112)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4)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112)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114)가 상부 케이스(112)의 하단부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2)의 양단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로기판(140)의 인출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12)와 하부 케이스(114)의 조립 시 상부 케이스(112)에 형성되는 홈(115)을 통해 회로기판(140)의 일단부가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하부 케이스(114)에는 탄성부재(120)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4a)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부(114a)는 덴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14)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는 상부 케이스(11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판(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114b)은 회로기판(140)의 인출 시 회로기판(140)의 인출된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20)는 양단부가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20)는 양단부에서 고정단을 형성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20)가 하부 케이스(12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부재(120)는 상부 케이스(11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20)에는 압전소자(130)와 회로기판(1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개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2)는 압전소자(130)의 설치 시 압전소자(130)의 저면 일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전소자(130)의 저면 일단부는 개구부(122)에 의해 탄성부재(120)의 하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22)는 일예로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부(122)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
압전소자(130)는 중량체부(150)에 대향 배치되도록 탄성부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압전소자(130)는 탄성부재(1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3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압전소자(13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외부전극(132)이 구비될 수 있다. 외부전극(132)은 +전극과,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소자(130)의 저면 일단부에 한 쌍의 외부전극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기판(140)은 압전소자(130)에 연결되도록 탄성부재(120)에 설치된다. 즉, 회로기판(140)은 탄성부재(12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40)에는 상기한 탄성부재(120)에 형성되는 개구부(122)에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141)는 개구부(1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예로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부(141)에는 압전소자(13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전극(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부(141)가 탄성부재(120)의 개구부(12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회로기판(140)이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로기판(140)에 단차부(14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회로기판(140)의 연결전극(142)과 압전소자(130)의 외부전극(132)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회로기판(140)에 연결전극(142)이 형성된 부분은 절곡되어 탄성부재(120)의 개구부(122)에 삽입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회로기판(140)이 절곡되어 연결전극(142)과 외부전극(132)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동작 시 또는 외부 충격 시 연결전극(142)과 외부전극(132)의 납땜이 떨어지거나 심하게는 회로기판(140)과 압전소자(130)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단차부(141)가 개구부(12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회로기판(140)이 절곡되지 않고도 회로기판(140)과 압전소자(1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시 또는 외부 충격 시 연결전극(142)과 외부전극(132)의 납땜이 떨어지거나 회로기판(140)과 압전소자(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회로기판(140)의 조립 시 조립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140)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량체부(150)는 압전소자(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부재(120)의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중량체부(150)는 압전소자(130)에 접착부재(160)를 통해 연결되는 중량체 케이스(152)와, 중량체 케이스(152)에 설치되는 중량체(154)를 구비할 수 있다.
중량체 케이스(152)는 내부에 중량체(154)가 삽입 배치되며, 저면에 접착부재(160)를 매개로 압전소자(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54)는 비중이 큰 재질, 예를 들어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전소자(13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량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중량체(154)는 중량체 케이스(152)에 설치될 수 있도록 중량체 케이스(15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중량체 캐이스(152) 및 중량체(154)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차부(141)가 개구부(12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회로기판(140)이 절곡되지 않고도 회로기판(140)과 압전소자(1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시 또는 외부 충격 시 연결전극(142)과 외부전극(132)의 납땜이 떨어지거나 회로기판(140)과 압전소자(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회로기판(140)의 조립 시 조립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압전소자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탄성부재(220), 압전소자(230), 회로기판(240) 및 중량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 중량체부(15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탄성부재(220)는 양단부가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220)는 양단부에서 고정단을 형성한다.
한편, 탄성부재(220)에는 압전소자(130)와 회로기판(2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개구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22)는 압전소자(130)의 설치 시 압전소자(130)의 저면 양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20)에 2개의 개구부(222)가 형성되어 있어 압전소자(130)의 저면 양단부는 개구부(222)에 의해 탄성부재(120)의 하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22)는 일예로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부(222)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
압전소자(230)는 중량체부(150)에 대향 배치되도록 탄성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압전소자(2300는 탄성부재(2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23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압전소자(230)의 저면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전극(232)이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전소자(230)의 저면 양단부에는 두 쌍의 외부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압전소자(230)의 저면 일단부에는 제1 외부전극(232a)이 형성되고, 압전소자(230)의 저면 타단부에는 제2 외부전극(232b)가 형성되어 외부전극(232)은 제1,2 외부전극(232a,2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기판(240)은 압전소자(130)에 연결되도록 탄성부재(220)에 설치된다. 즉, 회로기판(240)은 탄성부재(22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40)에는 상기한 탄성부재(220)에 형성되는 개구부(222)에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241)는 개구부(2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예로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241)는 두 개의 개구부(222)에 대응되도록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41)에는 압전소자(23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전극(2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전극(242)은 제1 외부전극(232a)에 연결되는 제1 연결전극(242a)와, 제2 외부전극(232b)에 연결되는 제2 연결전극(242a)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부(241)가 탄성부재(220)의 개구부(22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회로기판(240)이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로기판(240)에 단차부(24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회로기판(240)의 연결전극(242)과 압전소자(230)의 외부전극(232)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회로기판(240)에 연결전극(242)이 형성된 부분은 절곡되어 탄성부재(220)의 개구부(222)에 삽입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회로기판(240)이 절곡되어 연결전극(242)과 외부전극(232)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동작 시 또는 외부 충격 시 연결전극(242)과 외부전극(232)의 납땜이 떨어지거나 심하게는 회로기판(240)과 압전소자(230)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단차부(241)가 개구부(22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회로기판(240)이 절곡되지 않고도 회로기판(240)과 압전소자(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시 또는 외부 충격 시 연결전극(242)과 외부전극(232)의 납땜이 떨어지거나 회로기판(240)과 압전소자(2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회로기판(140)의 조립 시 조립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240)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 진동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0, 220 : 탄성부재
130, 230 : 압전소자
140, 240 : 회로기판
150 : 중량체부
110 : 하우징
120, 220 : 탄성부재
130, 230 : 압전소자
140, 240 : 회로기판
150 : 중량체부
Claims (10)
- 양단부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에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단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개구부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압전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압전소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전극이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에는 적어도 한 쌍의 외부전극이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진동량을 증대시키는 중량체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부는 상기 압전소자에 접착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중량체 케이스와, 상기 중량체 케이스에 설치되는 중량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압전소자의 저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외부전극에 연결되는 제1 연결전극과, 상기 압전소자의 저면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외부전극에 연결되는 제2 연결전극을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조립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536A KR102138323B1 (ko) | 2013-12-30 | 2013-12-30 | 진동발생장치 |
US14/550,819 US9660172B2 (en) | 2013-12-30 | 2014-11-21 | Vib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536A KR102138323B1 (ko) | 2013-12-30 | 2013-12-30 | 진동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8293A KR20150078293A (ko) | 2015-07-08 |
KR102138323B1 true KR102138323B1 (ko) | 2020-08-13 |
Family
ID=5348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7536A KR102138323B1 (ko) | 2013-12-30 | 2013-12-30 | 진동발생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660172B2 (ko) |
KR (1) | KR1021383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31926B2 (en) * | 2013-05-23 | 2016-08-30 | Mplus Co., Ltd.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102138335B1 (ko) * | 2014-01-28 | 2020-07-27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진동발생장치 |
KR20150089474A (ko) * | 2014-01-28 | 2015-08-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1653641B1 (ko) * | 2014-10-08 | 2016-09-02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진동발생장치 |
DE102016208781A1 (de) * | 2016-05-20 | 2017-11-23 | Johnson Matthey Piezo Products Gmbh | Vibrationselement zur Erzeugung eines haptischen Feedback-Signals |
JP7077107B2 (ja) * | 2018-04-04 | 2022-05-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振動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4865B1 (ko) * | 2009-09-24 | 2011-11-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장치 |
KR101157868B1 (ko) *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362B1 (ko) | 2005-08-12 | 2007-04-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KR20080042560A (ko) | 2006-11-10 | 2008-05-15 | 정재호 | 진동파를 이용한 터치패널 |
JP2008211863A (ja) | 2007-02-23 | 2008-09-11 | Seiko Epson Corp | 圧電振動体、電子機器、および圧電振動体の導通実装方法 |
US7969065B2 (en) * | 2008-09-09 | 2011-06-28 | Canon Kabushiki Kaisha | Vibration wave driving device |
KR101250798B1 (ko) | 2009-10-27 | 2013-04-04 | 주식회사 로브 |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
US8643252B2 (en) * | 2010-05-11 | 2014-02-04 | Canon Kabushiki Kaisha | Vibration wave actuator |
EP2482353B1 (de) * | 2011-02-01 | 2014-04-02 | VEGA Grieshaber KG | Kleberverbindung |
US8803373B2 (en) * | 2011-12-05 | 2014-08-12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inear vibration motor |
JP5930526B2 (ja) * | 2012-02-20 | 2016-06-08 |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 圧電振動素子及び圧電デバイス |
US9818925B2 (en) * | 2012-06-14 | 2017-11-14 | Canon Kabushiki Kaisha | Vibrating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vibration type drive device |
-
2013
- 2013-12-30 KR KR1020130167536A patent/KR1021383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1-21 US US14/550,819 patent/US96601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4865B1 (ko) * | 2009-09-24 | 2011-11-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장치 |
KR101157868B1 (ko) *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8293A (ko) | 2015-07-08 |
US9660172B2 (en) | 2017-05-23 |
US20150188027A1 (en) | 2015-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8323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9636708B2 (en) |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 |
KR20140137722A (ko) | 진동발생장치 | |
US9475094B2 (en)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
KR102138335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14527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071184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18570A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629170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9815086B2 (en)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04184359B (zh) | 振动产生装置 | |
KR10160794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8072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69007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203060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2059102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343214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2003372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200336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53644A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645551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59018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89336A (ko) | 진동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