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845A -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845A
KR20150003845A KR20147032496A KR20147032496A KR20150003845A KR 20150003845 A KR20150003845 A KR 20150003845A KR 20147032496 A KR20147032496 A KR 20147032496A KR 20147032496 A KR20147032496 A KR 20147032496A KR 20150003845 A KR20150003845 A KR 20150003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apsule
narrow side
wa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872B1 (ko
Inventor
알프레드 폰 슈크만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폰 슈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폰 슈크만 filed Critical 알프레드 폰 슈크만
Publication of KR2015000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31) 내에 포함된 특히 의학적 성질의 가루 물질(46)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이 가루 물질은 평평한 하우징(2) 내에서 위치 변경할 수 있는 수용부(A)에 의해 비움 위치로 보내질 수 있고, 이 비움 위치에서는 마우스피스 채널(5)을 통해 캡슐 내용물을 모두 흡입할 목적으로 캡슐 벽이 이동 가능한 니들(34)에 의해서 관통될 수 있으며, 이 마우스피스 채널은 캡슐 챔버(28)의 축 방향 연장부 내에서 연장된다. 언급되고 있는 유형의 장치를 특히 이용자 친화적인 조작 및 이 장치의 이용과 관련해서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수용부(A)는 축(y)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밖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상기 평평한 하우징(2)의 좁은 측벽(17)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좁은 측벽 평면(E)의 일 부분 영역은 상기 부분 영역이 좁은 측벽(17)의 평면(E) 내부까지 최대로 뒤로 이동되도록 니들 베어링(35)을 위한 스프링식 푸시 버튼(36)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INHALING POWDERY SUBSTANCES}
본 발명은 캡슐 내에 포함된 특히 의학적 성질의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가루 물질은 평평한 하우징 내에서 위치 변경할 수 있는 수용부에 의해 비움 위치로 보내질 수 있고, 이 비움 위치에서는 마우스피스 채널을 통해 캡슐 내용물을 모두 흡입할 목적으로 캡슐 벽이 이동 가능한 니들에 의해서 관통될 수 있으며, 이 마우스피스 채널은 캡슐 챔버의 축 방향 연장부 내에서 연장된다.
본원에서 언급되고 있는 유형의 장치들은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도 "캡슐 흡입기"라는 용어로 계속 사용될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주로 캡슐 내부에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의약적인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캡슐은 망원경 형태로 서로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2개의 부분, 즉 캡슐 바디 및 캡슐 캡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특히 흡입 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캡슐은 매우 작은 물 흡수 능력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거나 대안적으로는 젤라틴으로 이루어진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10 016549 A1호에는 본원에서 언급되고 있는 유형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흡입할 물질을 수용하는 캡슐이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위치 변경될 슬라이드에 의해 캡슐 챔버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드는 캡슐 수용 위치에서 평평한 하우징의 좁은 측벽 위로 돌출한다. 슬라이드가 하우징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동으로 위치 변경됨으로써, 캡슐은 흡입 준비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흡입 준비 위치에서는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챔버가 마우스피스 채널까지의 축 방향 연장부 내에 놓여 있다. 캡슐 챔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내에는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푸시 버튼 형태의 추가 슬라이드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추가 슬라이드의 작동면은 접촉을 위해 장치의 비-사용 위치에서도 하우징의 좁은 측벽 위로 돌출한다. 푸시 버튼 형태의 슬라이드를 추가로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캡슐 벽은 상기 푸시 버튼 형태의 슬라이드에 고정된 니들에 의해서 관통되며, 이와 같은 관통 동작은 니들 및 푸시 버튼 형태의 슬라이드를 비-하중 위치로 역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극복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흡입을 위해, 니들 및 푸시 버튼 형태의 슬라이드는 재차 역방향으로 자신의 스프링 하중 기본 위치로 이동된다.
전술된 선행 기술과 관련된 본 발명의 한 가지 기술적인 문제점은, 본원에서 언급되고 있는 유형의 장치를 특히 이용자 친화적인 조작 및 이 장치의 이용과 관련해서 더욱 개선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의 한 가지 가능한 해결책은 본 발명의 제 1 아이디어에 따라, 수용부가 축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밖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평평한 하우징의 좁은 측벽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좁은 측벽 평면의 일 부분 영역이 니들 베어링을 위한 스프링식 푸시 버튼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분 영역이 좁은 측벽의 평면 내부까지 최대로 뒤로 이동되도록 설계된 장치에서 제시된다. 이와 같은 형성의 결과로서, 특히 하중을 받지 않은 기본 위치에서는, 즉 더 상세하게 비-사용 위치에서는 둘레가 폐쇄된 상기 장치의 구조적인 형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비-사용 위치에서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부분이 안으로 피봇팅 된 상태에서 평평한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부분은 특히 이 장치의 비-사용 위치에서는 좁은 측벽의 적어도 일 섹션을 형성하고, 상기 좁은 측벽은 바람직하게 마주 놓인 좁은 측벽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특히 슬라이드 형태로 위치 변경할 수 있고 캡슐 챔버 내에 있는 캡슐을 관통하는 위치로 니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식 푸시 버튼은 특히 사용자에 의해서 하중을 받지 않은 기본 위치에서는 좁은 측벽의 평면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오히려 푸시 버튼을 형성하는 부분 영역이 좁은 측벽의 평면 내부까지 최대로 뒤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달성된, 특히 전체적으로 폐쇄된 이 장치의 구조적 형상은 특히 마우스피스가 더욱 바람직하게 캡에 의해 폐쇄된 위치에서는 주머니 또는 그와 유사한 주머니, 예를 들어 재킷 주머니 또는 바지 주머니 속에 이 장치를 휴대할 때에 특별한 장점들을 제공해준다. 이와 같은 장치의 보존 위치에서는 바람직하게 공기 기술적으로 관련된 이 장치의 모든 개구가 하우징 섹션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특히 마우스피스를 동시에 덮는 캡에 의해서 폐쇄되었으며, 이로써 예를 들어 먼지 입자 또는 오염물 입자가 특히 공기 유입구 내부로 또는 더 나아가서는 캡슐 챔버 내부로 침투하는 상황이 저지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이하에서, 또한 도면 설명부에서, 때로는 청구항 1의 대상 또는 추가 청구항들의 특징부의 바람직한 도면 설명부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특징은 또한 청구항 1 또는 개별 추가 청구항의 개별 특징부의 설명부에서도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도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대략 손바닥 크기의 다루기 쉬운 평평한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은 본 장치의 유리한 조작을 가능케 한다. 이 경우에 횡단면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2:1에 해당하는 평평한 하우징의 폭 대 깊이 비율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 제공되었고 마우스피스를 덮은 캡을 포함한 이 장치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높이에 대하여 가로로 관찰된 폭의 3배 내지 5배에 해당한다. 수용부를 형성하는 그리고 제한적으로 외부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부분은 더욱 바람직하게 평평한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연장되는 피봇팅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다. 장치의 비-사용 위치에서 마우스피스를 덮는 캡이 더욱 바람직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평평한 하우징에 분실되지 않도록 피봇팅 동작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면, 그 피봇팅 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부를 구비하는 부분의 피봇팅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캡슐 챔버의 삽입 횡단면이 수용부의 개방 위치에서는 예각의 스톱 위치에 정지해 있다. 그에 상응하게, 캡슐을 장착할 목적으로 캡슐 챔버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수용부를 형성하는, 평평한 하우징의 좁은 측벽의 부분은 평평한 하우징의 좁은 측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예각의 위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밖으로의 피봇팅 위치는 더욱 바람직하게 안으로 피봇팅 된 기본 위치와 마찬가지로 스토퍼에 의해서 제한되었다. 이 경우 밖으로 피봇팅 된 위치에서는 바람직하게 특히 캡슐 챔버를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이 좁은 측벽에 의해 비-사용 위치에서 규정된 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15 내지 60°까지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까지의 예각을 형성한다. 이로써, 캡슐 챔버는 사용자에게 유리하게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 위치에서는 상응하는 새로운 캡슐의 장착 과정 또는 비워진 캡슐의 배출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좁은 측벽이 피봇팅 볼트를 구비하는 바닥부를 포함한 거의 절반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부와 함께 밖으로 피봇팅 동작하는 방식도 제공되었다. 이때 상기 피봇팅 볼트는 바람직하게 밖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된 특히 절반의, 박스 형태의 추가 하우징부과 상호작용 한다. 이 경우에 밖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부분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하우징부 내부로 서랍 형태로 안으로 피봇팅 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에 상응하게 양측이 실질적으로 고정된 하우징부의 하우징 벽에 접한다.
스프링식의 푸시 버튼은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푸시 버튼이 좁은 측벽의 나머지 영역과 함께 하나의 평면에 놓이게 되는 위치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가이드 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한 방식에서 전체적으로 장치의 기본 위치에서는, 다시 말해 하우징부가 안으로 피봇팅 된 위치 및 외부로부터 하중을 받지 않은 푸시 버튼의 기본 위치에서는 이와 관련이 있는 좁은 측벽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은 특히 밖으로 피봇팅 될 수 있는 하우징부의 영역에서 푸시 버튼이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상태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푸시 버튼에 작용을 하는 스프링은 형상 결합 방식의 가이드 과정에서 제공된 스토퍼를 향해 푸시 버튼을 밀어준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푸시 버튼에 배치된 니들과 함께 푸시 버튼의 의도한 바대로의 위치 변경, 즉 캡슐 벽-관통 위치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그리고 뒤에서 지시된 영역들 혹은 값 범위들 또는 다중 영역들은 기술상으로 전체 중간 값들도 포함하는데, 한 편으로는 전술된 범위 한계들을 아래로 그리고/또는 위로 제한하기 위하여, 그러나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는 개별적으로 지시된 범위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단수 값을 기술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특히 개별 치수의 1/10-단계로,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치수 없이, 특히 1.01배 등으로 전체 중간 값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 설명:
도 1은 커버에 의해 폐쇄된 비-사용 위치와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사용-준비 위치와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단 평면 Ⅲ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캡슐 챔버를 구비하는 하우징부가 흡입 위치로 위치 변경된 것과 관련된 도 3에 상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마우스피스를 덮는 캡이 아래로 피봇팅 되고 공기 유입 개구가 노출된 후에 그리고 캡슐 챔버 내에 수용된 캡슐이 좁은 측벽 섹션의 슬라이딩 위치 변경에 의해 관통되는 과정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도 4에 뒤이은 연속도이며;
도 6은 캡이 아래로 피봇팅 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니들을 지지하는 좁은 측벽의 부분이 역방향으로 위치 변경된 후에 흡입 과정과 관련된 도 5에 뒤이은 연속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가장 먼저 도시되고 기술된 것은 캡슐 흡입기 형태로 형성되어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1)로서, 이 장치(1)는 수월하게 운반할 수 있는 주머니 장치로서 구현되었다.
장치(1)는 실질적으로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평평한 하우징(2)을 구비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특히 손으로 잡았을 때에 거의 고정되는 하우징부(2') 및 상기 하우징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게 위치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2")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 특히 고정된 하우징부(2')에는 커버 형태의 캡(3)이 일체로 힌지(hinge) 결합되어 있다.
캡슐 폐쇄 위치, 특히 도 1에 따른 비-사용 위치에서 장치(1)는 대략 1:2의 폭 대 높이 비율을 갖고, 높이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다시 말해 특히 상평면(image plane)에 대하여 수직으로 예를 들어 도 3에서 관찰된, 대략 하우징(2)의 절반의, 폭 연장 치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장치(1)의 부분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로서 구현되었다.
하우징(2), 특히 고정된 하우징부(2')는 우선 마우스피스(4)를 형성하며, 이 마우스피스가 하우징(2)의 폭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는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2)의 높이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는 양측에서 이웃하는 상기 고정된 하우징부(2')의 하우징 벽에 대하여 융기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마우스피스(4)는 편안하게 입술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게 된다.
마우스피스(4) 내부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볼 때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리고 외부로 개방된 마우스피스 출구(6) 영역에 있는 마우스피스 채널(5)이 삽입된다. 이때 마우스피스 채널(5)은 마우스피스 출구(6)로부터 출발하여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수직 높이의 거의 1/3 이상 연장되고, 마우스피스 출구(6)에 마주 놓여 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2) 내부에 형성된 공간(7) 내에서 끝난다. 이 공간은 실질적으로 고정된 하우징부(2') 및 넓은 측벽(8)을 한 측의 단부 측에서 제한하는 좁은 측벽(9)의 넓은 측벽(8)에 의해 측면에서 제한되었다. 이 좁은 측벽은 마우스피스(4)에 대하여 마주 놓인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바닥부 섹션(10)으로 넘어간다.
캡(3)은 좁은 측벽(9) 쪽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된 하우징부(2')에 일체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캡(3)은 2개의 마주 놓인, 실질적으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섀클(11)(shackle)을 구비하며, 이들 섀클은 상응하게 할당된 넓은 측벽(8)의 표면 홈(12) 내부에 맞물린다. 벽 내측으로, 다시 말해 개별 넓은 측벽(8) 쪽으로 상기 섀클(11)에는 바람직하게 팩 홀 형태의 상응하는 핀 수용부(14)에 결합시키기 위한 핀(12)이 제공되어 있다. 그에 상응하게 캡(3)의 피봇팅 축(x)은 하우징(2)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캡(3)의 아래 방향으로의 피봇팅 동작이 외부로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위치까지 가능해지며, 이 위치에서는 캡 벽이 마주하는 좁은 측벽(9)의 외부 면을 향해 이동한다(도 5 참조).
또한, 장치(1)는 고정된 하우징부(2')의 좁은 측벽(9) 쪽으로 공기 유입 개구(15)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유입 개구는 -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관찰했을 때 - 이웃해서 그리고 마우스피스(4)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변위 된 상태에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는 대략 마우스피스 채널(5)의 절반의, 축 방향 연장 치수만큼 좁은 측벽(9)의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공기 유입 개구(15)는 전술된 공간(7)으로 넘어간다.
도 1에 따른 캡 폐쇄 위치에서 캡(3)은 마우스피스 출구(6)를 갖는 마우스피스(4) 뿐만 아니라 공기 유입 개구(15)까지도 보호해준다(flashing). 그에 상응하게 장치(1)의 비-사용 위치에서는 특히 마우스피스(4) 및/또는 공기 유입 개구(15)를 통해 오염물이 장치(1) 내부로 침투될 수 없다.
고정된 하우징부(2')는 실질적으로 절반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 섹션을 형성하며, 이 하우징 섹션은 특히 좁은 측벽(9)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 쪽으로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바닥의 방향으로도 개방된다. 고정된 하우징부(2')에 대하여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는 바람직하게 절반의, 박스 형태의 추가 하우징 섹션을 형성하며, 이 경우에는 특히 2개의 넓은 측벽(16) 및 이 2개의 넓은 측벽(16)을 연결시키는 하나의 좁은 측벽(17)을 구비한다.
하우징부(2')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넓은 측벽(16)의 간격은 - 외부로 향하는 상기 넓은 측벽의 면을 참조했을 때 - 실질적으로 하우징부(2')의 넓은 측벽(8)의 서로를 향하는 내부 면들의 내부 간격에 상응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깊이 방향으로 관찰된 좁은 측벽(17)의 연장부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장치(1)의 비-사용 위치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부(2')의 마주 놓인 좁은 측벽(9)의 연장부에 상응하며, 이로써 피봇팅 동작 가능한 하우징부(2")에 형성된 좁은 측벽(17)은 고정된 하우징부(2')의 넓은 측벽(8)의 관련 수직 외측 에지와 스토퍼 제한 방식으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더 나아가,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는 일체로 형성된 바닥부(18)를 구비하며, 이 바닥부는 장치(1)의 비-사용 위치에서는 고정된 하우징부(2')의 바닥부 섹션(10)과 함께 장치(1) 혹은 하우징(2)을 아래로 폐쇄한다.
바닥부(18) 영역에서는, 넓은 측벽(16)의 벽 외측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피봇팅 볼트(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피봇팅 볼트는 상응하게 위치 설정되고 치수 설계된 홈(20) 내부에 또는 고정된 하우징부(2')의 넓은 측벽(8)의 서로를 향하는 내부 면 영역에 있는 관통 개구 내부에 결합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하우징부(2')의 피봇팅 축(y)은 상응하게 바람직하게는 캡(3)의 피봇팅 축(x)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총 1개의 수용부(A)를 형성하고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 내에는 슬라이드 공간(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공간은 수직 횡단면을 참조했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내지는 정사각형까지 형성되었다. 슬라이드 공간(21)은 넓은 측벽(16)의 내부 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을 갖는다. 이 슬라이드 공간 바닥은 - 좁은 측벽(17)을 향하여 - 좁은 측벽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좁은 측벽(17)에 연결된 영역으로부터는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이 바람직하게 하우징(2)의 바닥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또는 장치(1)를 바람직하게 중앙에서 관통하는 체축(z)(body axis)이 공간(7)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연장된다. 단부 측에서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에는 장치(1)의 기본 위치에서 수직으로 정렬된 슬라이드 공간 벽(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공간 벽의 수직 위로 향하는 외측 에지는 도 4에 따른 기본 위치에서 마우스피스 채널(5)의 관련 하부 가장자리 섹션에 접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드 공간(21)은 실질적으로 마우스피스 채널(5)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로 개방되어 있고, 측면으로, 본 경우에는 좁은 측벽(17)을 관통해서 개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공간(21)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에서 슬라이드 공간 벽(23)에는 각각 고정된 하우징부(2')의 마주하는 넓은 측벽(8)의 내부 면에 접하는, 넓은 측벽(8)을 수평으로 투영하여 관찰했을 때 원 세그먼트 형태의 블레이드 섹션(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 세그먼트 형태의 블레이드 섹션(24)의 반경은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공간 벽(23)의 수직 연장 치수에 상응하며, 이 경우 반경 선은 대략 슬라이드 공간 벽(23)으로부터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으로 넘어가는 영역으로부터 출발한다. 그에 상응하게, 개별 블레이드 섹션(24)의 실질적으로 위로 향하는 원곡선 섹션 형태의 외측 에지는 바람직하게 연속으로, 위로 향하는 상기 슬라이드 공간 벽(23)의 외측 에지 내부로 삽입된다. 블레이드 섹션(24)으로부터 슬라이드 공간 벽(23)으로 넘어가는 영역에는, 상부 측에서 상기 블레이드 섹션(24)의 만곡부를 수용하는, 고정된 하우징부(2')의 좁은 측벽(9)의 내부 면 방향으로 향하는 커버 섹션(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공간(21) 내부에서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에는 넓은 측벽(16)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벽(26)이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그리고 재료 통일적으로 형성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벽은 각각 관련 넓은 측벽(16)의 평면에 대하여 변위 된 상태로 제공되었고, 특히 양측에서 서로에 대하여 균일하게 변위 된 상태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장치(1)의 기본 위치에서 고정된 하우징부(2)의 마주보는 넓은 측벽(8)과 가이드 벽(26) 사이에서는 슬롯 형태의 가이드부가 나타나게 된다.
가이드 벽(26)은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커버(27)를 지지하며, 이 커버는 전술된 커버 섹션(25)으로 넘어간다.
커버(27) 하부 면에는 수평 횡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원판 모양의 캡슐 챔버(2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캡슐 챔버의 주변을 둘러싸는 제한 벽은 부분적으로 슬라이드 공간 벽(23)에 의해서 형성되었고, 추가 부분은 커버(27)에 속한 벽(29)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캡슐 챔버(28)는 커버(27)가 관통된 상태에서 위로 개방된다.
아래쪽으로 캡슐 챔버(28)는 폐쇄된 챔버 바닥(30)에 의해서 제한되었으며, 이 챔버 바닥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공간 바닥(22)에 대하여 수직 간격을 두고서 연장된다.
캡슐 챔버(28)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이 직경이 캡슐 직경의 대략 1.2배 내지 1.4배에 상응하도록 선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캡슐 챔버(28) 내부로 삽입된 캡슐(31)은 챔버 바닥(30)에 서있는 상태로 느슨하게 지지가 된다. 캡슐 챔버(28)의 수직 높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캡슐 길이의 대략 1.05배 내지 1.2배에 상응한다.
캡슐 챔버(28)는 더욱 바람직하게 - 적어도 기본 위치에서는 - 마우스피스 채널(5)에 대한 축 방향 연장부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마우스피스 채널(5)의 푸트(foot) 측에서 거의 마우스피스 채널(5)과 캡슐 챔버(28) 사이의 분할 평면에는 구속 격자(32)가 제공되어 있다.
캡슐 챔버(28)의 벽(29)은 수직으로 위·아래로 놓인 그리고 좁은 측벽(17)의 평면 방향으로 향하는 2개의 가이드 부시(33)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부시(33)를 상응하게 관통하는 보어는 좁은 측벽(17)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뿐만 아니라 캡슐 챔버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도 개방된다. 부시(33)는 니들(34)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 니들의 니들 팁은 캡슐 챔버 내부 방향으로 향한다.
니들(34)은 니들 베어링(35) 내부에 파지되어 있다. 이 니들 베어링(35)은 스프링식 푸시 버튼(36)에 형성되어 있다.
푸시 버튼(36)은 좁은 측벽(17)의 깊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고, 그리고 슬라이드 공간(21)의 노출된 수직 높이에 상응하는 수직 높이를 갖는다.
푸시 버튼(36)에는 내부 면에서 슬라이드 공간(21) 내부로 돌출하는 대응 가이드 벽(3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대응 가이드 벽은 장치(1)의 깊이 방향으로 관찰했을 때, 상기 대응 가이드 벽이 고정된 하우징부(2)의 넓은 측벽(8)과 가이드 벽(26) 사이의 슬롯 모양 공간 내부에 잠기도록 서로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서로를 향하고 있는 대응 가이드 벽(37)의 면과 가이드 벽(26)의 면 사이에는 형상 결합 가이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벽 내부 면에는 상응하게 내부로 그리고 서로를 향한 상태로, 대응 가이드 벽(37)에 핀(3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핀은 가이드 벽(26)의 벽 외부 면에 형성된 그루브 형태의 홈(40) 내부에 맞물린다.
푸시 버튼(36)의 스프링 하중은 푸시 버튼(36)과 벽(29) 사이에 지지된 압축 스프링(41)에 의해서 얻어진다. 이 압축 스프링은 상응하게 외부로, 좁은 측벽(17)의 방향으로 푸시 버튼(36)에 하중을 가하며, 이 경우 상기 푸시 버튼(36)의 위치 변경 방향은 핀(39)을 위한 홈(40)을 가로지르는 웨브(42)(web)로 인해 스토퍼 방식으로 제한되었다.
이때 형상 결합 가이드부(38) 내에서 이루어지는 스토퍼 제한 방식은 압축 스프링 하중을 받은 기본 위치에서 푸시 버튼(36)의 외부로 향하는 면이 좁은 측 평면(E)에 놓이게 되도록, 이 경우에는 상응하게 좁은 측벽(17)의 연장부 혹은 일 부분을 전체적으로 형성하도록 선택되었다.
슬라이드 공간 벽(23) 내에서 챔버 바닥(30) 쪽을 향해서는, 공간(7) 쪽으로 개방된 관류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류 개구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구(43)를 통해 흡입된 공기 흐름이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캡슐 챔버(28)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장치 형상에 의해 이 장치는 도 1에 따른 비-사용 위치에서는, 다시 말해 특히 이 장치의 관리 위치에서는 전체적으로 폐쇄된 구조적 형상으로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적 형상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면의 평면에 대하여 특히 돌출부 없는 형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또한 특히 장치(1)를 몸에 가까운 주머니에 휴대할 때에 안락감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적 형상에 의해서는 푸시 버튼(36)이 좁은 측벽 평면(E)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이 푸시 버튼이 아무런 제약 없이 제멋대로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도 1에 따른 캡 폐쇄 위치에서는 마우스피스(4) 혹은 마우스피스 채널(5) 및 공기 유입 개구(15) 외에 캡슐 챔버(28)도 오물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되었다.
흡입 과정을 준비하기 위하여, 하우징부(2")는 장치(1)를 고정 하우징부(2')의 영역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축(y)을 중심으로 외부로 피봇팅 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외부로 피봇팅 된 위치는 바람직하게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의 제한은 특히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의 바닥부(18)의 외측 에지가 벽 내부 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넓은 측벽(8)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 스탠드(44)에서 정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부(2")의 피봇팅 위치에서는 커버 섹션(25)이 공간(7)에 대한 자유로운 액세스 가능성을 덮게 되며, 이 경우에는 또한 일체로 형성된 블레이드 섹션(24)이 고정 하우징부(2') 내에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의 가이드를 제공해준다.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의 파지는 좁은 측벽(17)의 방향으로 개방된, 고정 하우징부(2')의 넓은 측벽(8) 내부에 형성된 윈도우 형태의 함몰부(45)에 의해서 수월해진다. 그에 상응하게,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2")는 상기 윈도우 형태의 함몰부(45)에 의해 양측에서 2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될 수 있다. 이때 윈도우 형태 함몰부(45)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푸시 버튼(36)의 높이에 상응하며, 이 경우에는 또한 푸시 버튼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관찰된 그리고 좁은 측벽(17) 쪽을 향하는 넓은 측벽(8)의 외측 에지로부터 출발하는 각각의 함몰부(45)의 폭은 푸시 버튼(36)의 가능한 위치 변경 경로에 적응되었다.
하우징부(2")가 밖으로 피봇팅 된 위치에서는 캡슐 챔버(28)의 삽입 횡단면이 예각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되었으며, 이와 같은 정지 동작은 바람직하게 체축(z)에 대하여 30 내지 45°의 예각(α)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진다(이 내용은 또한 캡슐 챔버(28)를 중앙에서 관통하는 세로 축에 대해서도 적용됨).
상기 위치에서는 캡슐(31)이 캡슐 챔버(28) 내부로 삽입되며, 그 다음에는 하우징부(2") 혹은 수용부(A)가 재차 역으로, 하우징부(2')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기는 위치로 역으로 위치 변경된다. 그 다음에 도 4에 따른 흡입 준비 위치가 나타난다.
흡입 과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마우스피스(4)를 노출시킬 목적으로 캡(3)이 아래로 피봇팅 되기 전에 또는 피봇팅 된 후에 캡슐(31)의 벽이 관통되며, 이와 같은 관통 동작은 압축 스프링(41)의 힘에 대항하는 푸시 버튼(36)의 상응하는 선형 위치 변경으로 인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함께 위치 변경되는 니들(34)은 상응하게 캡슐 벽을 관통한다. 니들(34)은 자신이 캡슐 챔버(28)의 방향으로 위치 변경하는 동안에는, 니들 팁이 캡슐 내부에 잠기는 동안에 뿐만 아니라 캡슐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올 때에도 캡슐 벽을 관통한다. 이때 니들(34)의 배열 상태는 바람직하게 상기 니들이 대략 원통형 중앙 섹션으로부터 캡슐 단부 섹션으로 넘어가는 영역에서 각각 캡슐(31)을 관통하도록 선택되었다.
사용자가 푸시 버튼(36)에 대한 접촉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푸시 버튼이 스스로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기본 위치로 역으로 위치 변경된다.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4)가 입술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에 따라 숨을 들이마심으로써 공기 흐름(화살표 c)이 발생된다. 이 공기 흐름은 공기 유입 개구(15)를 통해 공간(7) 안으로 유입되고, 관류 개구(43)를 통해 캡슐 챔버(28) 내부로 흡입된다. 그와 동시에, 바람직한 접선 방향으로의 유입으로 인해 캡슐 챔버(28)를 와류 형태로 관통하는 공기는 이곳에 저장된 물질(46)을 비우기 위하여 상기 관통된 캡슐(31)을 통해서 흐른다. 공기와 물질의 혼합물은 마우스피스 출구(6)를 통해 흡입되며, 이 경우 캡슐(31) 혹은 캡슐 벽은 격자(32)에 의해서 공기 흐름과의 동반 이동이 저지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특히 수용부(A) 혹은 하우징부(2")가 위로 피봇팅 된 위치에서는 흡입 흐름에 의해 관통된 영역의 환기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는데, 특히 공기 유입 개구(15) 및/또는 마우스피스 채널(5) 및/또는 공간(7)과 관련하여 양호한 환기가 이루어진다.
개시된 모든 특징은 (그 자체로) 본 발명에 중요하다. 이로써, 본 출원 공개문에는 또한 관련/첨부된 우선권 서류(예비 출원서의 등본)의 공개 내용도 완전히 함께 포함되며, 또한 본 출원서의 청구범위에 상기 우선권 서류의 목적, 특징들을 함께 수용하기 위해서 포함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특히 이 종속 청구항들을 토대로 분할 출원을 실시하기 위하여, 임의 선택적으로 나열된 텍스트에서 종래 기술의 독자적이고 진보적인 개선 예들을 특징으로 삼고 있다.
1: 장치 2: 하우징
2': 고정된 하우징부 2":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하우징부
3: 캡 4: 마우스피스
5: 마우스피스 채널 6: 마우스피스 출구
7: 공간 8: 넓은 측벽
9: 좁은 측벽 10: 바닥부 섹션
11: 섀클 12: 홈
13: 핀 14: 핀 수용부
15: 공기 유입 개구 16: 넓은 측벽
17: 좁은 측벽 18: 바닥부
19: 피봇팅 볼트 20: 홈
21: 슬라이드 공간 22: 슬라이드 공간 바닥
23: 슬라이드 공간 벽 24: 블레이드 섹션
25: 커버 섹션 26: 가이드 벽
27: 커버 28: 캡슐 챔버
29: 벽 30: 챔버 바닥
31: 캡슐 32: 구속 격자
33: 가이드 부시 34: 니들
35: 니들 베어링 36: 푸시 버튼
37: 대응 가이드 벽 38: 형상 결합 가이드부
39: 핀 40: 홈
41: 압축 스프링 42: 웨브
43: 관류 개구 44: 스톱 스탠드
45: 함몰부 46: 물질
c: 화살표 x: 피봇팅 축
y: 피봇팅 축 z: 체축
A: 수용부 E: 좁은 측벽 평면
α: 각

Claims (4)

  1. 캡슐(31) 내에 포함된 특히 의학적 성질의 가루 물질(46)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가루 물질은 평평한 하우징(2) 내에서 위치 변경할 수 있는 수용부(A)에 의해 비움 위치로 보내질 수 있고, 이 비움 위치에서는 마우스피스 채널(5)을 통해 캡슐 내용물을 모두 흡입할 목적으로 캡슐 벽이 이동 가능한 니들(34)에 의해서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 채널은 캡슐 챔버(28)의 축 방향 연장부 내에서 연장되는,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A)는 축(y)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밖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는 상기 평평한 하우징(2)의 좁은 측벽(17)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좁은 측벽 평면(E)의 일 부분 영역은 상기 부분 영역이 좁은 측벽(17)의 평면(E) 내부까지 최대로 뒤로 이동되도록 니들 베어링(35)을 위한 스프링식 푸시 버튼(36)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 또는 특히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 챔버(28)의 삽입 횡단면이 수용부(A)의 개방 위치에서는 예각의 스톱 위치에 정지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 또는 특히 그 항(들)에 있어서,
    좁은 측벽(17)은 피봇팅 볼트(19)를 구비하는 바닥부(18)를 포함한 거의 절반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부(2")와 함께 밖으로 피봇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 또는 특히 그 항(들)에 있어서,
    스프링식 푸시 버튼(36)의 형상 결합 가이드부(38)는 상기 푸시 버튼(36)이 좁은 측벽(17)의 나머지 영역과 함께 일 평면(E)에 놓이게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KR1020147032496A 2012-04-20 2013-04-09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KR10207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3482A DE102012103482A1 (de) 2012-04-20 2012-04-20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DE102012103482.6 2012-04-20
PCT/EP2013/057344 WO2013156339A1 (de) 2012-04-20 2013-04-09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45A true KR20150003845A (ko) 2015-01-09
KR102073872B1 KR102073872B1 (ko) 2020-02-05

Family

ID=4808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496A KR102073872B1 (ko) 2012-04-20 2013-04-09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010687B2 (ko)
EP (1) EP2838594B1 (ko)
KR (1) KR102073872B1 (ko)
CN (1) CN104245025B (ko)
BR (1) BR112014024990A2 (ko)
CA (1) CA2870589C (ko)
DE (1) DE102012103482A1 (ko)
DK (1) DK2838594T3 (ko)
ES (1) ES2641722T3 (ko)
IN (1) IN2014DN07974A (ko)
PL (1) PL2838594T3 (ko)
WO (1) WO201315633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042A (ko) * 2016-09-14 2019-05-07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리셉터클 섹션
US11253000B2 (en) 2016-09-14 2022-02-2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Receptacle section for an aerosol provision article
US11318264B2 (en) 2017-01-13 2022-05-0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US11589617B2 (en) 2017-01-05 2023-02-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US11623053B2 (en) 2017-12-06 2023-04-11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2123B2 (en) * 2013-12-16 2016-03-01 Esther Gallant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lubricating capsule
US11491288B2 (en) 2014-01-08 2022-11-08 Seroton, Inc. Dispenser for dry-powder inhalation devices
MX2016011003A (es) * 2014-02-25 2016-11-30 Lupin Ltd Inhalador.
US10765821B2 (en) * 2015-03-19 2020-09-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orizer for vaporizing a constituent of a plant material
US10179215B2 (en) 2015-03-19 2019-01-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orizer for vaporizing a constituent of a plant material
CA169756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cigarette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WO2018015712A1 (en) 2016-07-22 2018-01-2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DE202017102334U1 (de) * 2016-08-25 2017-11-29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GB201615603D0 (en) *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CN109922851B (zh) * 2016-11-30 2022-05-2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经大小设定的腔的吸入器
RU2730961C1 (ru) * 2016-12-20 2020-08-26 Эмфэсиз Импортадора Эшпортадора Э Дистрибуидора Лтда. Ингалятор сухого порошка
FR3072313B1 (fr) * 2017-10-12 2019-10-11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GB201717479D0 (en) *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Hatch section for a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80D0 (en)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with seal
GB201717484D0 (en)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86D0 (en)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sm for hatch of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89D0 (en)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CN109821118A (zh) * 2017-11-23 2019-05-31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新型肺部药物输送系统
US11951247B2 (en) 2017-12-13 2024-04-09 Emphasys Lmportadora Exportadora E Distribuidora Ltda. Dry powder inhaler
KR20210003152A (ko) * 2018-04-17 2021-01-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11864587B2 (en) * 2018-06-15 2024-01-09 Valley Product Concepts, LLC Capsules for use in personal vaporizers
DE102018008344B4 (de) * 2018-10-23 2021-02-25 Mematec Products Gmbh Inhalator zum aktiven Einsaugen pulverförmiger Trockensubstanzen
DE102020100550A1 (de) * 2019-01-14 2020-07-16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Substanzbehälter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füll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DE102020100551A1 (de) * 2019-01-14 2020-07-16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JP1644159S (ko) * 2019-02-15 2019-12-23
WO2020214593A1 (en) * 2019-04-15 2020-10-22 Seroton, Inc. Dispenser for dry-powder inhalation devices
USD1010101S1 (en) 2020-09-18 2024-01-02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Holding chamber
USD983354S1 (en) 2020-12-21 2023-04-11 Rpc Formatec Gmbh Inhaler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US11910826B2 (en) 2021-01-18 2024-02-2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
CN117839005A (zh) * 2021-04-20 2024-04-09 苏州新劢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吸入装置
WO2023016926A1 (en) * 2021-08-12 2023-02-16 Jt International Sa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of manipulating a portable device
WO2024095105A1 (de) * 2022-11-04 2024-05-10 Skietta Ag Vaporizer zur verdampfung eines inhalationsmediu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9357A1 (en) * 2003-11-08 2005-12-2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US20080105256A1 (en) * 2004-11-10 2008-05-08 Cipla Limited Inhaler
KR20090056928A (ko) * 2006-02-24 2009-06-03 아하 쿤스트스트오프테크니크 게엠베하 건조 분말 흡입기
US20100192949A1 (en) * 2009-01-30 2010-08-05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Inhaler
US20110232637A1 (en) * 2009-10-02 2011-09-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US20130255679A1 (en) * 2010-12-06 2013-10-03 Laboratorios Liconsa, S.A. Inhal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7170A1 (de) * 1989-08-17 1991-02-21 Boehringer Ingelheim Kg Inhalator
US6606992B1 (en) * 1999-06-30 2003-08-19 Nektar Therapeutics Systems and methods for aerosoliz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DE102010016549A1 (de) 2010-04-21 2011-10-27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FR2962343B1 (fr) * 2010-07-07 2012-08-03 Valois Sas Inhalateur de poudre sech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9357A1 (en) * 2003-11-08 2005-12-2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US20080105256A1 (en) * 2004-11-10 2008-05-08 Cipla Limited Inhaler
KR20090056928A (ko) * 2006-02-24 2009-06-03 아하 쿤스트스트오프테크니크 게엠베하 건조 분말 흡입기
US20100192949A1 (en) * 2009-01-30 2010-08-05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Inhaler
US20110232637A1 (en) * 2009-10-02 2011-09-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US20130255679A1 (en) * 2010-12-06 2013-10-03 Laboratorios Liconsa, S.A. Inhal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042A (ko) * 2016-09-14 2019-05-07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리셉터클 섹션
US11213635B2 (en) 2016-09-14 2022-01-0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Receptacle section
US11253000B2 (en) 2016-09-14 2022-02-2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Receptacle section for an aerosol provision article
US11589617B2 (en) 2017-01-05 2023-02-2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US11318264B2 (en) 2017-01-13 2022-05-0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US11623053B2 (en) 2017-12-06 2023-04-11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8594B1 (de) 2017-09-20
PL2838594T3 (pl) 2018-02-28
CA2870589A1 (en) 2013-10-24
KR102073872B1 (ko) 2020-02-05
CA2870589C (en) 2020-04-28
ES2641722T3 (es) 2017-11-13
IN2014DN07974A (ko) 2015-05-01
DK2838594T3 (en) 2018-01-08
EP2838594A1 (de) 2015-02-25
US20150059747A1 (en) 2015-03-05
US10010687B2 (en) 2018-07-03
BR112014024990A2 (pt) 2017-07-11
CN104245025A (zh) 2014-12-24
CN104245025B (zh) 2016-12-21
WO2013156339A1 (de) 2013-10-24
DE102012103482A1 (de)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845A (ko) 가루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
US9579473B2 (en) Device for inhaling pulverulent substances
JP5177891B2 (ja) 乾燥粉末吸入器
US20140014677A1 (en) Hermetically sealed test strip container
CA2390111C (en) Breathing-controlled inhalation device for dry powder and method for the even distribution of said dry powder in the air
KR102637174B1 (ko) 건조 분말 흡입기
EP3019225B1 (en) Inhaler
HU220974B1 (hu) Kapszulanyitó szerkezet porbelélegző készülékhez, valamint porbelélegző készülék
US20060060194A1 (en) Single dose inhaler
CA2791149A1 (en) Two piece capsule-based inhaler having capsule cutting means
US20090260626A1 (en) Inhaler for Powdery, Especially Medical Substances
CN103068427B (zh) 干粉末吸入器
KR20110018349A (ko) 분리 팩 내에 함유된 미분 화합물용 분배기
JPH05504707A (ja) ロッド状カプセルに入った粉末状物質の吸入用装置
MY152647A (en) Powder inhaler
JP2013502247A (ja) カプセルから活性成分を吸入するための吸入デバイス及び方法
ITMO20110051A1 (it) Inalatore portatile di sostanze in polvere
CN215309298U (zh) 吸入装置
CN217138881U (zh) 吸入装置
WO2011095762A1 (en) Dispenser
KR102631314B1 (ko) 흡입기 디바이스
JP4879705B2 (ja) 吸引式投薬器
CN115137925A (zh) 吸入装置
IT201600095707A1 (it) Dispositivo inalatore
IT201600095634A1 (it) Dispositivo inalat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