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65U -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 Google Patents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65U
KR20150003665U KR2020140002515U KR20140002515U KR20150003665U KR 20150003665 U KR20150003665 U KR 20150003665U KR 2020140002515 U KR2020140002515 U KR 2020140002515U KR 20140002515 U KR20140002515 U KR 20140002515U KR 20150003665 U KR20150003665 U KR 201500036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ing
wing portion
groove
lef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40002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665U/ko
Publication of KR20150003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상자는 제1,2 날개부의 지지면적이 넓기 때문에 하중이 큰 물건이 수납될 수 있고, 뒤틀림이 방지되며, 기존 상자와 동일한 양의 종이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Box having enhanced load bearing capacity}
본 고안은 상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2 날개부의 지지면적이 넓기 때문에 하중이 큰 물건이 수납될 수 있고 뒤틀림이 방지되며 기존 상자와 동일한 양의 종이로 만들어질 수 있는 상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그 내부에 소정 물건을 수납하는 도구이다. 상자는 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두꺼운 종이 예를 들어, 골판지 등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도 1과 도 2는 종이로 만들어진 통상적인 상자를 보여주고 있는데, 상기 상자(100)는 네 개의 측면(11)(12)(13)(14)과, 측면(11)(12)(13)(1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20)(30)(40)(50) 및, 상단부(15)를 포함한다.
날개부(20)(30)(40)(50)는 상자(100)의 바닥을 이루고, 측면(11)(13)에는 손잡이부(16)가 형성된다.
상자(100)가 조립되면 날개부(20)(30)(40)(50) 중에서 제1,2 날개부(20)(3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고, 제3,4 날개부(40)(5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도면에서 제1 날개부(20)의 테두리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고 제2 날개부(30)의 테두리를 파란 색으로 표시하였다.
제1 날개부(20)는 제1 좌측 날개부(21)와, 제1 우측 날개부(22) 및, 제1 돌출부(23)를 포함한다. 제2 날개부(30)는 제2 좌측 날개부(31)와, 제2 우측 날개부(32) 및, 제2 돌출부(33)를 포함한다.
도 3은 상자의 바닥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3에서 점선은 은선(隱線, hidden line)을 나타낸다. 상자(100)가 조립되면 제1,2 날개부(20)(30)는 서로 마주보게 되어 겹쳐지게 된다.
즉, 제1 좌측 날개부(21)는 제2 우측 날개부(32)의 위(상자 안쪽)에 배치되고, 제4 날개부(50)가 제1 좌측 날개부(21)와 제2 돌출부(3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좌측 날개부(31)는 제1 우측 날개부(22)의 위(상자 안쪽)에 배치되고, 제3 날개부(40)는 제2 좌측 날개부(31)와 제1 돌출부(23)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좌측 날개부(21)가 상자(100)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2 우측 날개부(32)가 바깥쪽에 위치하며, 제2 좌측 날개부(31)가 상자(100)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1 우측 날개부(22)가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이로 만들어진 상자(100)는 제1,2 날개부(20)(30)가 조립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하중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한편, 종이 상자(100)의 하중 지지력은 제1,2 날개부(20)(30)의 겹쳐지는 부분의 면적 즉, 빗금친 부분의 면적에 비례한다.
그런데,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날개부(20)(30)(40)(50)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종이 사용량을 증가시켜 제조단가의 상승을 가져온다. 한편, 하중 지지력이 큰 종이 예를 들어,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조단가가 상승된다.
또한, 종이상자(100)는 뒤틀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제1 좌측 날개부(21)와 제1 우측 날개부(22)의 사이에 턱(25)이 존재하고 제2 좌측 날개부(31)와 제2 우측 날개부(32)의 사이에 턱(35)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자(100)의 측면(11)(13)에 화살표(62)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상자(100)가 뒤틀리지 않지만 화살표(60)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상자(100)가 뒤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종이상자와 비교하여 동일한 양의 종이를 사용하면서도 하중 지지력이 더 증가된 상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상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자는 상자의 바닥을 이루는 제1,2 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날개부는, 그 선단 테두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제1 요홈; 제1 요홈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좌측 날개부; 및 제1 요홈의 우측에 형성된 제1 우측 날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날개부는, 그 선단 테두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제2 요홈; 제2 요홈의 좌측에 형성된 제2 좌측 날개부; 및, 제2 요홈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우측 날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요홈이 제2 요홈에 끼워지도록 제1,2 날개부가 결합되며, 제1 좌측 날개부와 제1 우측 날개부는 제1 요홈 보다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고, 제2 좌측 날개부와 제2 우측 날개부는 제2 요홈 보다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상자가 조립될 때, 제1,2 날개부는 제1 좌측 날개부가 제2 우측 날개부의 위에 위치하고 제2 좌측 날개부가 제1 우측 날개부의 위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2 우측 날개부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좌측 날개부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요홈은 제1 좌측 날개부와 제1 우측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계단턱이고, 제2 요홈은 제2 좌측 날개부와 제2 우측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계단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날개부가 결합된 경우에 제1,2 계단턱이 서로 마주보며 접하고 제1,2 우측 날개부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에 의해서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종이상자와 비교하여 동일한 양의 종이를 사용하면서도 하중 지지력은 더 크다.
둘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자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3은 도 1의 상자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5는 도 4의 상자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7은 도 6의 상자를 보여주는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상자의 하중 지지력이 증가되고, 뒤틀림이 방지되며, 종이 사용량은 기존의 경우와 동일하다는 것에 그 특징이 있고, 이러한 특징은 상자의 바닥을 구성하는 날개부의 구조에서 비롯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보여주는 전개도이고, 도 5는 상기 상자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의 상기 전개도는 상자(200)의 안쪽면을 보여준다. 도 4에서 점선은 상자로 조립되기 위해서 접히는 선을 나타내고, 도 5에서 점선은 은선(隱線, hidden line)을 나타낸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도면에서 제1 날개부(120)의 테두리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고 제2 날개부(130)의 테두리를 파란 색으로 표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자(100)는 네 개의 측면(11)(12)(13)(14)과, 네 개의 날개부(120)(130)(140)(150) 및, 상단부(15)를 구비한다.
측면(11)(12)(13)(14)은 상자(200)의 네 측면을 이룬다. 측면(11)(13)에는 손잡이부(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11)(12)(13)(14)과 손잡이부(16)는 도 1의 상자(100)에 구비된 측면(11)(12)(13)(14) 및 손잡이부(16)와 동일하고 통상적인 상자에도 구비되어 있어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가 쉽게 그 구조를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날개부(120)(130)(140)(150)는 상자(200)의 바닥을 이룬다. 상자(200)가 조립되면 날개부(120)(130)(140)(150) 중에서 제1,2 날개부(120)(130)는 서로 마주보게 되어 결합되고 제3,4 날개부(140)(15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1 날개부(120)는 제1 요홈(125)과, 제1 요홈(125)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좌측 날개부(121)와, 제1 요홈(125)의 우측에 형성된 제1 우측 날개부(122) 및, 제1 돌출부(123)를 포함한다. 제1 요홈(125)은 제1 날개부(120)의 선단 테두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홈으로서, 상자(200)가 조립되면 제1 요홈(125)은 제2 요홈(135)에 끼워진다.
제2 날개부(130)는 제2 요홈(135)과, 제2 요홈(135)의 좌측에 형성된 제2 좌측 날개부(131)와, 제2 요홈(135)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우측 날개부(132) 및, 제2 돌출부(133)를 포함한다. 제2 요홈(135)은 제2 날개부(130)의 선단 테두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홈이다.
제1 좌측 날개부(121)와 제1 우측 날개부(122)는 제1 요홈(125) 보다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더 연장된다. 또한, 제2 좌측 날개부(131)와 제2 우측 날개부(132)는 제2 요홈(135) 보다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더 연장된다.
상자(200)가 조립되면, 제1 좌측 날개부(121)는 제2 우측 날개부(132)의 위(상자 내부쪽)에 배치되고, 제4 날개부(150)가 제1 좌측 날개부(121)와 제2 돌출부(133) 사이에 배치된다. 제4 날개부(150)는 제2 돌출부(133)와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제2 좌측 날개부(131)는 제1 우측 날개부(122)의 위(상자 내부쪽)에 배치되고, 제3 날개부(140)는 제2 좌측 날개부(131)와 제1 돌출부(123)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날개부(140)는 제1 돌출부(123)와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좌측 날개부(121)가 상자(200)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2 우측 날개부(132)가 바깥쪽에 위치하며, 제2 좌측 날개부(131)가 상자(200)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1 우측 날개부(122)가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1,2 우측 날개부(22)(32)의 선단 테두리가 직선인 상자(100)에 비하여, 제1,2 날개부(120)(130)가 겹치는 부분(빗금친 부분)의 면적이 더 커지고, 이에 따라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자(200)가 조립되면 제1 좌측 날개부(121)는 제2 우측 날개부(132)와 부분적으로 겹쳐지고 제2 좌측 날개부(131)는 제1 우측 날개부(122)와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되는데, 상기 겹쳐지는 부분(빗금친 부분)의 면적은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가 제1,2 우측 날개부(22)(32)의 선단 테두리가 직선인 경우에 비하여 더 커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자(200)는 증가된 하중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제조에 소요되는 종이량은 기존의 상자(100)와 동일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증가된 종이면적 부분은 기존 상자(100)의 제조시에 버려지던 부분이기 때문에 별도의 종이 사용량이 증가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요홈(125)은 제1 좌측 날개부(121)와 제1 우측 날개부(122) 사이에 형성된 제1 계단턱이고, 제2 요홈(135)은 제2 좌측 날개부(131)와 제2 우측 날개부(132) 사이에 형성된 제2 계단턱이다. 상기 계단턱은 상자(200)가 조립된 경우에 서로 마주보며 접하게 되는데,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이고 제1,2 요홈(125)(135)이 계단턱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상자(200)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즉, 상자(도 3의 100)는 측면(11)(13)에 화살표(62)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지만 화살표(60)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뒤틀림이 발생하였으나, 상자(200)는 측면(11)(13)에 힘이 어느 쪽(60)(62)으로 작용하더라도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보여주는 전개도이고, 도 7은 상기 상자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의 상기 전개도는 상자(300)의 안쪽면을 보여준다. 도 6에서 점선은 상자로 조립하기 위해서 접히는 선을 나타내고, 도 7에서 점선은 은선(隱線, hidden line)을 나타낸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도면에서 제1 날개부(120a)의 테두리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고 제2 날개부(130a)의 테두리를 파란 색으로 표시하였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5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자(300)는 네 개의 측면(11)(12)(13)(14)과, 네 개의 날개부(120a)(130a)(140)(150) 및, 상단부(15)를 구비한다.
측면(11)(12)(13)(14)과 상단부(15)는 제1 실시예의 측면(11)(12)(13)(14) 및 상단부(15)와 각각 동일하다.
날개부(120a)(130a)(140)(150)는 상자(300)의 바닥을 이룬다. 상자(300)가 조립되면 날개부(120a)(130a)(140)(150) 중에서 제1,2 날개부(120a)(130a)는 서로 마주보게 되어 결합되고 제3,4 날개부(140)(15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1 날개부(120a)는 제1 요홈(125)과, 제1 요홈(125)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좌측 날개부(121a) 및, 제1 요홈(125)의 우측에 형성된 제1 우측 날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날개부(120a)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1 요홈(125)과 제1 우측 날개부(122)는 제1 실시예의 제1 요홈(125) 및 제1 우측 날개부(122)와 각각 동일하다.
한편, 제1 실시예의 제1 좌측 날개부(121)는 그 선단 테두리가 직선임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제1 좌측 날개부(121a)는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날개부(130a)는 제2 요홈(135)과, 제2 요홈(135)의 좌측에 형성된 제2 좌측 날개부(131a) 및, 제2 요홈(135)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우측 날개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날개부(130a)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2 요홈(135)과 제2 우측 날개부(132)는 제1 실시예의 제2 요홈(135) 및 제2 우측 날개부(132)와 각각 동일하다.
제1 실시예의 제2 좌측 날개부(131)는 그 선단 테두리가 직선임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제2 좌측 날개부(131a)는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자로 조립된 경우에 제1,2 날개부(120a)(130a)의 겹치는 부분의 면적(빗금친 부분의 면적)이 상자(100)의 경우보다 넓기 때문에 하중 지지력이 더 크다. 또한,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더라도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증가된 면적 부분은 기존에 버려지던 부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중 지지력을 크게 하면서도 종이 사용량은 기존 상자(100)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1,2 우측 날개부(122)(132)의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형상을 갖고 제1,2 요홈(125)(13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11)(13)에 힘이 어느 방향(60)(62)으로 작용하더라도 상자(30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자가 종이로 만들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상자는 접혀질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얇은 플라스틱 등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11, 12, 13, 14 : 측면 15 : 상단부
16 : 손잡이부 20, 120, 120a : 제1 날개부
30, 130, 130a : 제2 날개부 40, 140 : 제3 날개부
50, 150 : 제4 날개부
100, 200, 300 : 상자

Claims (5)

  1. 상자의 바닥을 이루는 제1,2 날개부를 포함하고,
    제1 날개부는,
    그 선단 테두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제1 요홈;
    제1 요홈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좌측 날개부; 및
    제1 요홈의 우측에 형성된 제1 우측 날개부;를 포함하며,
    제2 날개부는,
    그 선단 테두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제2 요홈;
    제2 요홈의 좌측에 형성된 제2 좌측 날개부; 및
    제2 요홈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우측 날개부;를 포함하고,
    제1 요홈이 제2 요홈에 끼워지도록 제1,2 날개부가 결합되며,
    제1 좌측 날개부와 제1 우측 날개부는 제1 요홈 보다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고, 제2 좌측 날개부와 제2 우측 날개부는 제2 요홈 보다 그 선단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좌측 날개부는 제2 우측 날개부의 위에 위치하고, 제2 좌측 날개부는 제1 우측 날개부의 위에 위치하도록 제1,2 날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제1,2 우측 날개부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제1,2 좌측 날개부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요홈은 제1 좌측 날개부와 제1 우측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계단턱이고, 제2 요홈은 제2 좌측 날개부와 제2 우측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계단턱이며,
    제1,2 날개부가 결합된 경우에 제1,2 계단턱이 서로 마주보며 접하고 제1,2 우측 날개부의 선단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에 의해서 뒤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KR2020140002515U 2014-03-28 2014-03-28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KR201500036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515U KR20150003665U (ko) 2014-03-28 2014-03-28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515U KR20150003665U (ko) 2014-03-28 2014-03-28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65U true KR20150003665U (ko) 2015-10-07

Family

ID=5434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515U KR20150003665U (ko) 2014-03-28 2014-03-28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6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99B1 (ko) * 2020-12-10 2021-06-24 주식회사 나우스 내부구획이 분리되는 햄버거 딜리버리 포장상자
KR20220082719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나우스 상하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99B1 (ko) * 2020-12-10 2021-06-24 주식회사 나우스 내부구획이 분리되는 햄버거 딜리버리 포장상자
KR20220082719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나우스 상하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7479S1 (en) Package having a window
USD836449S1 (en) Box for food packaging
USD829563S1 (en) Box for food packaging
USD907478S1 (en) Package having a window
US20190061993A1 (en) Packing case
KR20150003665U (ko)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 상자
KR200482322Y1 (ko) 피자 박스
JP2009173086A (ja) 樹脂製パネル
KR200455187Y1 (ko) 이탈방지형 내부케이스를 갖는 포장 박스조립체
JP6775352B2 (ja) 棚板
JP6315424B2 (ja) 笠木カバー部材
JP2009214891A (ja) 段ボール箱
TWM577261U (zh) Bilateral snap-on paper lunch box
JP3199354U (ja) 紙弁当箱の構造
JP3199645U (ja) 折り畳み式箱型ファイル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JP7188699B2 (ja) 梱包体
KR101626841B1 (ko) 포장용 박스
KR20220103248A (ko) 포장용 상자
JP3196105U (ja) 事務用トレーのスタッキング構造
KR200484314Y1 (ko) 슬리브 원터치 상자
JP3191596U (ja) パッケージ構造
KR200483615Y1 (ko) 수납상자
TW201641373A (zh) 包裝盒
WO2013084876A1 (ja) 紙片の包装用容器及び紙片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