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52U -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52U
KR20150003452U KR2020140001896U KR20140001896U KR20150003452U KR 20150003452 U KR20150003452 U KR 20150003452U KR 2020140001896 U KR2020140001896 U KR 2020140001896U KR 20140001896 U KR20140001896 U KR 20140001896U KR 20150003452 U KR20150003452 U KR 20150003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knob
main body
safety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강성원
김동호
김정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1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52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공압에 의한 포설력을 발생하는 견인기(22)를 탑재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에 인입되는 공압을 단속하도록 노브(38)를 지니는 안전밸브(30); 및 상기 안전밸브(30)의 노브(38)를 가압하도록 본체(20)에 결합되는 덮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양공사 현장이나 해양 관련 구조물의 케이블 트레이에 장착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의 설치나 점검 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Safe operation of the appliance-based cabling}
본 고안은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선박 및 해양 공사현장에서 케이블의 포설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포설에 있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전로(트레이)와 케이블 간의 마찰에 의한 저항으로 케이블 포설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점이다. 이러한 케이블은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다단의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내에 설치되어 선박에 고정된다.
근래 들어, 포설 작업은 배선 작업자의 수동력에 의존하기보다 포설기를 비롯한 각종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이때, 유공압을 이용한 자동화 장비는 수동력을 최소화하도록 마찰을 감소시켜 케이블의 이송을 원활하게 만들고 결국 생산성을 향상한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공압을 이용한 케이블 포설 장치는 주요부의 왕복 운동 중 점검을 하기 위해 손을 넣을 경우 실린더의 임의적 작동에 의해 끼이는 위험이 있다. 설사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별도의 보호 덮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설치하지 않을 시 여전히 위험에 노출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141호는 중·대형 프레스기의 상부 금형 및 슬라이드와 하부 금형 사이에 공압으로 전·후진하는 공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체인 안전지지 바를 자동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프레스기를 정지하였을 때나 1공정이 끝났을 때 작업자가 투입되어 또 다른 공정을 준비하는 준비작업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공정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프레스기의 자동 안전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는 주로 중·대형 프레스기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경비가 증대되고, 안전장치의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중하중의 선박용 케이블 포설 장치에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1241호 "프레스의 자동 안전바 장치"(공개일자 : 2001. 6. 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덮개의 착탈 여부에 따라 작동용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덮개의 미부착 시 공압공급이 차단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공압에 의한 포설력을 발생하는 견인기를 탑재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인입되는 공압을 단속하도록 노브를 지니는 안전밸브; 및 상기 안전밸브의 노브를 가압하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전밸브는 공압의 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입구공과 출구공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공압의 경로를 단속하도록 노브에 연결된 스플상에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측 면에 상기 스풀의 가압에 의해, 공압 경로를 차단하도록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덮개는 상기 노브를 가압하여 공압 경로를 개방하도록 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해양공사 현장이나 해양 관련 구조물의 케이블 트레이에 장착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의 설치나 점검 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밸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덮개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의 행거에 장착되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는 트레이 또는 행거에 장착되어, 포설 대상의 케이블을 파지한 상태로 공압에 의해 일정 거리씩 이송시킨다. 이때, 통상 공압을 단속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포설 장치의 점검이나 분리 시 임의적으로 작동하는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공압에 의해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에 공압에 의한 포설력을 발생하는 견인기(22)를 탑재하는 본체(2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견인기(22)는 공압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그리퍼(미도시)에 파지된 케이블을 일정 간격으로 당겨서 케이블을 이송하는 구성을 지닌다. 상기 본체(20)의 선단과 후단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이웃하는 행거 사이에 긴밀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대(25)를 구비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20)에 인입되는 공압을 단속하도록 노브(38)를 지니는 안전밸브(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밸브(3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선단이나 후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안전밸브(30)의 노브(38)는 상기 안전밸브(30)의 작동을 단속하는 부분으로서 본체(20)의 선단이나 후단에서 장착대(25)의 하방향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안전밸브(30)의 노브(38)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견인기(22)에 공압이 인가되어 설정된 주기로 정상적 포설 작동이 수행된다.
본 고안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안전밸브(30)는 공압의 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입구공(35)과 출구공(36)을 형성한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 내에서 공압의 경로를 단속하도록 노브(38)에 연결된 스플(34)상에 블록(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31)은 마치 유공압 실린더처럼 스풀(34)의 피스톤 운동을 수행하도록 챔버를 구비하고, 챔버는 공압의 유입 경로인 입구공(35)과 배출 경로인 출구공(36)을 각각 다른 면에 구비하여 공압 전달경로를 형성한다. 하우징(31)의 챔버에 수용된 스풀(34)은 이격된 위치에 직경이 확장된 형태의 블록(33)을 구비한다. 블록(33)은 스풀(34)과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면서 공압의 전달경로인 입구공(35) 또는 출구공(36)을 차단할 수 있다. 스플(34)의 단부는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브(38)와 연결된다. 결국 노브(38)를 누르는 작동으로 스풀(34)과 블록(33)의 왕복운동이 유발되면서 공압 전달경로가 단속된다.
본 고안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스풀(34)의 가압에 의해, 공압 경로를 차단하도록 탄성부재(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2)는 상기 블록(33)의 일측과 하우징(31)의 내부 사이에 구비되어, 노브(38)에 가압력이 없는 평상 상태에서 블록(33)의 일측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공압의 인입 경로인 상기 출구공(36)을 차단한다. 공압 경로가 차단되면 견인기(22)의 작동은 정지 상태에 있다. 물론 외력으로 노브(38)를 가압시키면 탄성부재(32)가 압축되면서 공압 경로가 개방되어 견인기(22)가 정상적인 포설작동을 개시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밸브(30)의 노브(38)를 가압하도록 본체(20)에 결합되는 덮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40)는 견인기(22)의 작동을 위한 공압 경로 상의 안전밸브(30)에 설치된 노브(38)를 가압상태로 유지하는 요소이다. 즉, 덮개(40)를 본체(20)에 장착하는 순간 노브(38)가 가압 되어 정상 작동 상태 또는 정상 작동을 위한 대기상태로 되고, 덮개(4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전밸브(30)의 정상적인 작동이 차단된다.
본 고안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덮개(40)는 상기 노브(38)를 가압하여 공압 경로를 개방하도록 압착부(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착부(41)는 본체(20)의 일면에 노출된 노브(38)를 가압하도록 덮개(40)의 일면에 평탄하게 형성된다. 덮개(40)가 본체(2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부(43)를 형성한다. 결합부(43)는 압착부(41)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본체(20)의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절곡부와 통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43)의 절곡부는 본체(2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부분이고 통공부는 볼트를 체결하는 부분이다.
작동에 있어서, 도 2(a)처럼 본체(20)에 덮개(4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서 안전밸브(30)의 하우징(31)에서 블록(33)이 공압 경로를 차단하여 포설작동이 정지되고, 도 2(b)처럼 덮개(40)가 본체(20)에 설치되는 순간 노브(38)가 블록(33)을 밀어서 공압 경로를 개방하므로 포설작동의 개시 또는 대기 상태로 된다. 대기 상태란 안전밸브(30) 외에 또 다른 작동개시 스위치가 설치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덮개(40)를 미설치한 상태로 점검이나 수리를 수행하는 경우 설사 노브(38)가 실수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 되더라도 순간적으로 작동하다 멈추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20: 본체 22: 견인기
25: 장착대 30: 안전밸브
31: 하우징 32: 탄성부재
33: 블록 34: 스풀
35: 입구공 36: 출구공
38: 노브 40: 덮개
41: 압착부 43: 결합부

Claims (4)

  1.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공압에 의한 포설력을 발생하는 견인기(22)를 탑재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에 인입되는 공압을 단속하도록 노브(38)를 지니는 안전밸브(30); 및
    상기 안전밸브(30)의 노브(38)를 가압하도록 본체(20)에 결합되는 덮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30)는 공압의 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입구공(35)과 출구공(36)을 형성한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 내에서 공압의 경로를 단속하도록 노브(38)에 연결된 스플(34)상에 블록(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은 내측 면에 상기 스풀(34)의 가압에 의해, 공압 경로를 차단하도록 탄성부재(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는 상기 노브(38)를 가압하여 공압 경로를 개방하도록 압착부(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KR2020140001896U 2014-03-10 2014-03-10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KR201500034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96U KR20150003452U (ko) 2014-03-10 2014-03-10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96U KR20150003452U (ko) 2014-03-10 2014-03-10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52U true KR20150003452U (ko) 2015-09-18

Family

ID=5434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896U KR20150003452U (ko) 2014-03-10 2014-03-10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6755B1 (en) Method of operating a hydrodynamic compression tool and hydrodynamic compression tool
MX2013008280A (es) Dispositivo para la alimentacion automatizada de elementos de union a una unidad de manipulacion y manga de alimentacion para los elementos de union.
CN105610031B (zh) 线缆加工装置
TWI636846B (zh) O型環安裝裝置、多關節型機器人、及o型環安裝方法
CN203973183U (zh) 一种编制软管自动装配机
CN106736579B (zh) 一种汽车拉索加工设备
US20050177991A1 (en) Gap se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A29704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act forming a cotter pin
KR20120043838A (ko) 스프링 삽입장치
CN208408217U (zh) 一种管件双头冲弧机
KR20150003452U (ko) 케이블 포설기의 안전작동기구
KR101870756B1 (ko) 그로멧 확장기
KR101451949B1 (ko)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CN106044118A (zh) 一种工件有序转移系统及方法
KR101401425B1 (ko) 차량 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CN110640038B (zh) 转移装置、冲压系统及冲压方法
US10369614B2 (en) Die clamp assembly for a press machine having a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press machine
US11103961B2 (en) Weld coupon destructive test device
MX2018005930A (es) Control de carretel automatizado.
SE1850544A1 (en) Intelligent hose handling
KR102617066B1 (ko) 연결기 및 그 분리 도구
KR102227886B1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73111B2 (en) Molding device for pulling open elongated holes in pipes or sheets
US20160072245A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rimping of end fittings onto a cable
KR102479963B1 (ko) 편조 케이블에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