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13U -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13U
KR20150003413U KR2020140001794U KR20140001794U KR20150003413U KR 20150003413 U KR20150003413 U KR 20150003413U KR 2020140001794 U KR2020140001794 U KR 2020140001794U KR 20140001794 U KR20140001794 U KR 20140001794U KR 20150003413 U KR20150003413 U KR 20150003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sh
ventilation
inner skin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현
Original Assignee
정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현 filed Critical 정국현
Priority to KR2020140001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13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신체가 가압되는 부분의 통기성 및 지지성이 개선되어 사용편의감이 향상되도록, 본 고안은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통기커버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통풍외피; 외면이 상기 통풍외피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되, 격자형태의 다수개의 통풍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망사내피; 및 상기 신체를 일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망사내피의 내부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되, 외력에 의한 가압시 상기 신체의 굴곡부위에 따라 탄발변형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복수개의 플렉시블 각편을 포함하는 쿠션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poromeric cushion apparatus for patient}
본 고안은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가 가압되는 부분의 통기성 및 지지성이 개선되어 사용편의감이 향상된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창이라고 말하는 압박궤양은 의식이 없는 환자, 뇌신경이나 척수신경 손상이 있는 환자, 위중한 환자, 노인 환자,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만성적으로 쇠약해 있는 환자, 침대에 누워서 지내는 환자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환자는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있어도 압력을 받는 곳에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며, 불쾌감을 느낀다 하더라도 환자 자신이 자세를 바꿀 기력이 없기 때문에 압력에 의한 손상을 입기 쉽다.
이러한, 상기 압박궤양은 크게 압박과 쏠리는 힘에 의해 발생한다. 압박에 의한 궤양은 뼈 돌출부에 오랫동안 압박을 줄 때 연조직의 혈액순환이 부족해지고 작은 혈관에 혈전이 생겨 조직이 괴사하게 된다. 즉, 상기 압박궤양은 뼈가 튀어나온 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깊은 곳에 있는 조직에서 시작되며 피부 표면에 꼭지점을 갖는 원뿔 모양의 궤양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피부 위에서 쏠리는 힘이 발생하면 뼈를 덮고 있는 피부가 뼈 위에서 미끄러진다. 이때, 근육을 덮고 있는 근막 사이의 당기는 힘으로 인해 작은 혈관들이 접히고, 당겨지거나 찢어져 궤양이 일어나며 이러한 궤양에 세균이 자라 감염될 경우 궤양은 더욱 악화된다. 실제로, 상기한 환자들을 침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침상 머리 쪽을 조금만 올려도 천골 위의 피부가 미끄러져 천골 부위의 얕은 근막과 깊은 근막 사이에 혈류 장애가 초래되어 조직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땀과 같은 습기는 피부를 붓고 짓무르게 하고, 피부가 부풀고 짓무른 상태가 지속되면 잡균 등이 서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압박궤양의 방지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압박궤양은 여름철에 특히 그 발병 빈도가 높은데, 피부의 압박을 최소화하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몸을 가급적 자주 바꿔주면서 통풍이 잘 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간병인에 의해서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접촉면 변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환자와 침상의 접촉면 사이의 통풍성이 개선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스펀지가 구비된 매트가 일부 개시되었으나, 상기한 스펀지의 경우 과도하게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는 성질에 의해 환자의 체중에 의해 수축되므로 상기 통기공이 협소화되어 통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스펀지가 신축되면서 상기 환자의 신체와 밀착되어 접촉되므로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땀에 의해 습한 상태가 지속되어 환부가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환자와 침상의 접촉면 사이에 통풍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침상을 에어매트로 구비하고 상기 에어매트의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방법도 일부 개시되었으나, 상기의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공기압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므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에어매트는 구비하는데 상당한 비용과 설비가 필요로 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1995호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가 가압되는 부분의 통기성 및 지지성이 개선되어 사용편의감이 향상된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통기커버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통풍외피; 외면이 상기 통풍외피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되, 격자형태의 다수개의 통풍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망사내피; 및 상기 신체를 일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망사내피의 내부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되, 외력에 의한 가압시 상기 신체의 굴곡부위에 따라 탄발변형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복수개의 플렉시블 각편을 포함하는 쿠션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각편은 중공입체형 외면을 가지는 구조체로 형성되며, 상기 망사내피의 내부에 탄발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망사내피에 장력을 가하도록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망사내피에 충진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직경은 5~8mm로 형성되고, 두께는 0.1~0.3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망사내피에 충진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망사내피를 상하로 관통하여 조임 연결하는 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망사내피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망사내피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된 장력조절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통풍외피는 상기 쿠션제공수단이 내설된 상기 망사내피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감싸도록 분할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직물지 테두리부를 동시에 파이핑 재봉하되, 상기 파이핑 재봉되는 테두리부 외측은 바이어스테이프로 커버되며, 상기 직물지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통기커버부와, 상기 망사내피의 표면과 접촉하는 내피부와, 상기 통기커버부와 상기 내피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지지섬유층이 구비된 통기간극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는 통풍외피 및 망사내피가 통풍성 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중공입체형 외면을 가지는 플렉시블 각편이 충적됨으로써 종래에 개시된 환자용 쿠션에 비해 땀과 같은 수분 증발력 및 공기 순환력이 현저히 개선되어 환자가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상기 플렉시블 각편은 중공입체형 외면을 가지는 구조체로 형성되며, 상기 망사내피의 내부에 탄발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망사내피에 장력을 가하도록 충진되므로 상기 통풍 쿠션장치의 외형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환자의 자세를 일측으로 변경하여 지탱하는 지지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망사내피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장력조절끈을 이용하여 상기 망사내피 사이 간격이 협소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각편 간의 밀집력이 향상되어 더욱 탄탄한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풍외피를 분리한 상태의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풍외피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풍외피를 분리한 상태의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더불어,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풍외피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는 통풍외피(10), 망사내피(20) 그리고 쿠션제공수단(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지지하거나 자세를 변경시 상기 환자와 침상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쿠션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침상은 침대뿐만 아니라 의자, 휠체어와 같이 환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는 대상체로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의자 또는 휠체어에 앉아있는 환자의 엉덩이 혹은 등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방석과 등받이, 그리고 무릎이나 팔꿈치같이 접철되는 관절부위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재도 본 고안의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범위에 속한다.
즉, 상기 환자의 신체가 압박되는 부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분산함과 동시에 압박되어 밀착되는 부위에 집중되는 습기와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환자와 침상 사이 또는 환자의 신체 일측에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의자 등받이 및 방석, 침구매트 등에도 상기한 통풍 쿠션장치(10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활용예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세히, 상기 통풍외피(10)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가장 외곽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외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2a)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개구된 통기커버부(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기커버부(12)는 상기 통기공이(12a) 교차하여 개구됨에 따라 협소한 폭의 면부(1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공(12a)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어 땀이나 습기에 의해 압박되는 부위가 짓무르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다수개의 통기공(12a)이 개구됨에 따라 상기 면부(12b)는 상대적으로 협소한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세히,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을수록 피부가 가압되는 부위도 넓어질 뿐만 아니라 땀과 같은 수분을 흡수하고 있는 면적도 넓어지게 되어 위생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구비되는 상기 통기커버부(12)는 다수개의 통기공(12a)이 개구되어 공기순환이 원활하고 수분을 흡수하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땀이 증발하기 용이하고 위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항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만족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개구된 통기공(12a)에 대비하여 상기 신체와 접촉하게 되는 면은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도 대기 중에 노출되는 면적은 증가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풍외피(10)는 더블라셀 방식으로 직조된 직물지(11)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더블라셀 방식이란 두 장의 원단이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직조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직물지(11)는 일반적으로 에어매쉬 원단이라고도 한다.
상세히, 상기 통풍외피(10)는 내측에 수납공간(17)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형태로 분할되어 재단된 한 쌍의 직물지(11)를 테두리부(15)를 재봉하여 제작된다. 상기한 수납공간(17)에는 후술되는 쿠션제공수단(30)이 충적된 상기 망사내피(20)가 수납된다. 이때, 상기 직물지(11)는 통기커버부(12), 내피부(14), 그리고 상기 통기커버부(12)와 내피부(14) 사이에 형성되는 통기간극부(1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기커버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다수개의 상기 통기공(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통기공(12a)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되므로 환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피부(14)는 상기 망사내피(20)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통풍외피(10)의 가장 내측에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통기커버부(12)와 내피부(14) 사이에는 상기 통기간극부(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간극부(13)는 공기가 소통되고 수분이 증발할 수 있는 공간부(13a)가 형성되도록 지지섬유층(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섬유층(13b)은 상기 통기커버부(12)와 내피부(14)를 상호 연결하되 소폭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드한 소재의 섬유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섬유층(13b)이 상기 통기공(1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언더래핑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섬유층(13b)을 구비하는 섬유가 상기 통기커버부(12)와 내피부(14)의 각각의 내면으로 위치하도록 직조됨으로써 지지섬유층(13b)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환자가 편안한 감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환자가 사용함에 따라 외면이 마찰되더라도 상기 지지섬유층(13b)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직물지(11)는 상기 지지섬유층(13b)에 의해 상기 공간부(13a)가 형성되므로 원단 자체에 쿠션감이 있으면서도 형상복원력이 뛰어나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통풍외피(10)는 더블라셀 구조의 직물지(11)를 사용하되, 외면에 구비되는 상기 통기커버부(12)에 다수개의 통기공(12a)이 개구되어 땀배출이 원활하고 공기순환이 용이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통기공(12a)에 의해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최소화되므로 압박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풍외피(10)를 제조시 사용되는 직물지(11)를 무독성 원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항균처리하여 환자의 생활환경을 더욱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15)는 파이핑 재봉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이핑 재봉이라함은 두 장의 원단이 재봉되어 연결되는 부분의 외측을 바이어스테이프(16)로 감싸서 정리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바이어스테이프(16)는 기설정된 폭으로 재단한 후 연결하여 길이(L1)방향으로 연장된 테이프 형상의 원단을 의미하며, 상기 바이어스테이프(16)로 상기 테두리부(15)를 동시에 감싸 내측으로 커버되도록 재봉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풍외피(10)는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이 수용되는 상기 망사내피(20)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감싸도록 분할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직물지(11) 테두리부(15)를 동시에 파이핑 재봉하되, 상기 테두리부(15) 외측을 상기 바이어스테이프(16)로 커버함으로써 재봉되는 부분이 깔끔하게 정리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마무리되어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직물지(11) 테두리부(15)를 동시에 재봉하여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통풍외피(10)의 내측으로 상기 망사내피(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망사내피(20)는 표면이 상기 통풍외피(10)의 내면, 즉 내피부(14)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7)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망사내피(20)에는 격자형태의 다수개의 통풍홀(21)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풍외피(10) 뿐만 아니라 상기 망사내피(20)도 통풍홀(21)이 형성됨으로써 통풍성 및 수분 증발력이 개선되어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사내피(20)의 내측으로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은 상기 망사내피(20)의 내측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며 외력에 의한 가압시 상기 신체의 굴곡부위에 따라 탄발변형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복수개의 플렉시블 각편(31)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다양한 형태의 중공입체형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상기한 단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합성수지 재질을 길이방향으로 압출 또는 인발하여 제조한 후 기설정된 길이(L1)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로는 유연성 및 탄력성이 좋고 연화점이 낮아 작업성이 좋은 에틸렌 초산비닐 중공합 수지가 적합하나, 그 외의 유사한 성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중공입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의 중공부를 따라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고 이로 인해 땀과 같은 수분의 증발이 용이하므로 환자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입체적 형상에 의해 단위체가 조합됨에 따라 각각의 외면과 상호 밀착되고 지지됨으로써 더욱 탄탄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적되도록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충적이라 함은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상기 망사내피(20)의 내부에 탄발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망사내피(20)에 장력을 가하도록 충진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상기 망사내피(20)의 내측에 수용가능한 최대양으로 수용됨으로써 입체중공형 구조체의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집합체가 상기 망사내피(20)를 바깥쪽으로 밀도록 장력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망사내피(20)가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팽창되어 기설정된 형상의 지지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입체적인 형상에 의해 각각의 단위체가 서로 밀착되고 지지되는 상태로 수용되므로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는 것만으로도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망사내피(20)에 충진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바람직하게는 직경(D1)은 5~8mm로 형성되고, 두께(W1)는 0.1~0.3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환자의 신체굴곡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탄발변형 되는데, 두께(W1)가 0.3mm보다 두꺼울 경우 상기 신체굴곡에 따라 탄발변형되지 못하므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어 상처가 발생하고 압박궤양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두께(W1)가 0.1mm보다 얇을 경우 상기 환자의 체중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고, 원래 모습으로 복원도 어려워 환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두께(W1)가 0.1~0.3mm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자의 신체굴곡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직경(D1)은 5~8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직경(D1)이 5mm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크기가 작아져서 생산하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는 양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이, 크기가 작은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적될 경우 작은 크기의 각편이 과도하게 밀집됨에 따라 상기 신체 굴곡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못하여 딱딱한 촉감에 의해 환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직경(D1)이 8mm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두께(W1)에 비해 상기 직경(D1)이 과도하게 커짐으로써 압박을 받는 표면적이 커져서 환자의 체중에 의해 쉽게 찌그러질 수 있으며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는 양이 너무 적어서 환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직경(D1)이 5~8mm로 형성되고, 두께(W1)가 0.1~0.3mm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자의 신체굴곡에 대응되어 탄성적으로 탄발변형되면서도 체중에 의해 찌그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감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플렉시블 각편(31)은 시중에 유통되는 식음용 스트로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스트로를 사용하므로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수급이 용이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중공형 플렉시블 각편(31)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질에 게르마늄분말, 옥분말 또는 자성체 등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을 혼합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환자가 편안하면서도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회복력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망사내피(20)에 형성되는 통풍홀(21)의 내경(D2)은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직경(D1) 및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는데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를 사용하는 환자가 움직일 때마다 각각의 플렉시블 각편(31) 단위체가 서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상기 통풍홀(21)보다 작게 형성된다면 상기 통풍홀(21)을 통해 이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풍홀(21)을 통해 이탈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이탈되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망사내피(20)에 형성된 통풍홀(21)의 내경(D2)이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망사내피(20)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환자가 뒤척이거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를 움직이더라도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상기 통풍홀(21)을 통해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망사내피(20)는 경우에 따라 상기 통풍외피(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통풍외피(10)의 일측에는 파스너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스너부재는 지퍼나 벨크로부재와 같이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스너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망사내피(20)를 분리하여 상기 망사내피(20) 내측의 플렉시블 각편(31)을 교체하거나 상기 통풍외피(10)를 세탁후 건조가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망사내피(20)는 신축성이 최소화된 섬유사(22)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의 압박에도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변형이 제한되고 오직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충진됨에 따라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환자의 신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망사내피(20)에 충진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망사내피(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조임 연결하는 장력조절부(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부(40)는 관통공(41)과, 장력조절끈(4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망사내피(20)에는 다수개의 통풍홀(21)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사내피(20) 내측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중공형 플렉시블 각편(31)이 충적되도록 수용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통풍홀(21)의 내경(D2)은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의 직경(D1) 및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망사내피(20) 내측으로 수용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망사내피(20)의 내측에서 이동되어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장력조절부(40)가 상기 망사내피(20)를 상하측으로 가로질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망사내피(20)의 일면에는 관통공(41)이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41)은 상기 망사내피(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풍홀(21) 중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관통공(4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41)이 관통된 망사내피(20)의 대응되는 타면으로 상기 장력조절끈(4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끈(42)의 일단은 상기 망사내피(20)의 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41)을 관통하여 바깥으로 노출된다.
상세히, 상기 망사내피(20)의 타면에 고정된 상기 장력조절끈(42)의 일단이 상기 관통공(41)을 관통하도록 연결하면 상기 장력조절끈(42)을 잡아당겨 상기 망사내피(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끈(42)을 잡아당기는 힘에 따라 그 내측에 수용된 상기 플렉시블 각편(31)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탄탄한 구조의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충적되도록 수용된 상기 망사내피(20)의 외면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조여주는 상기 장력조절부(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각편(31)간의 간격을 좁혀주고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의 장력을 조절하여 환자의 신체 일부가 지지되더라도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고 고른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관통홀을 을 관통하는 상기 장력조절끈(42)과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관통공(41) 주변을 커버하는 캡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41)의 테두리를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캡부재로 감싸되, 상기 캡부재의 외면을 매끄럽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끈(42)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이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개선되면서도 선택적으로 당겨지는 상기 장력조절끈(42)의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끈(42)을 당기는 힘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망사내피(20)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장력조절부(40)의 일단이 외부로 많이 노출되도록 잡아당길 경우 상기 망사내피(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내측으로 수용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이 더욱 탄탄하게 고정되어 견고한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장력조절부(4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L1)를 짧게 할 경우 망사내피(2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환자의 신체 굴곡에 대응되어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는 부드러운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끈(42)의 일단은 경우에 따라 매듭을 지은 후 상기 매듭이 상기 관통홀의 단부에 걸림 고정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홀의 단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고정단추(4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장력조절부(40)는 단지 상기 관통공(41)을 통해 관통된 상기 장력조절끈(42)의 일단을 매듭짓거나 상기 고정단추(43)을 달아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로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이 제공하는 쿠션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환자의 상태 및 환자가 원하는 하는 정도의 쿠션력을 상기 장력조절끈(42)을 당긴 후 상기 관통공(41)의 단부에 걸리도록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감이 개선되고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부(40)는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전면이 균일하게 탄성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망사내피(20)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제공수단(30)은 상기한 중공형 플렉시블 각편(31)과 함께 옥, 세라믹, 자석 등과 같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부재가 더 혼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장력조절부의 조절상태를 제외한 기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망사내피(220)는 복수개의 장력조절부(240)에 의해 그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쿠션제공수단의 장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되, 상기 장력조절부(240)는 각각이 상이한 폭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200)는 상기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지지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200) 자체를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으나, 상기 장력조절부(240)를 조절하여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200)를 기울어진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일측에 구비된 상기 장력조절부(240)는 상기 망사내피(2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장력조절끈(242)을 조절한 후 상기 고정단추(243)에 의해 고정하고, 타측을 향할수록 상기 망사내피(220) 사이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기 장력조절끈(242)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각각의 장력조절부(240)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200)를 평평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망사내피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도록 상기 장력조절부를 조절하여 방석 또는 매트 형태(100)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사내피 사이의 간격이 일측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상기 장력조절부를 조절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등 구부러지는 관절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거나 목 뒤의 오목한 부분을 지지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되어 기울어진 형태(200)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조절할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등 쪽을 지지하여 손쉽게 자세 변경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망사내피(220) 내부에 충적된 상기 플렉시블 각편은 각각의 단위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망사내피(220)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손쉽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장력조절부(40,24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200)를 평평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는 통풍외피(10) 및 망사내피(20)가 통풍성 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중공입체형 외면을 가지는 플렉시블 각편(31)이 충적됨으로써 종래에 개시된 환자용 쿠션에 비해 땀과 같은 수분 증발력 및 공기 순환력이 현저히 개선되어 환자가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각편(31)은 중공입체형 외면을 가지는 구조체로 형성되며, 상기 망사내피(20)의 내부에 탄발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망사내피(20)에 장력을 가하도록 충진되므로 상기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100)의 외형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환자의 자세를 일측으로 변경하여 지탱하는 지지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사내피(2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장력조절끈(42)을 이용하여 상기 망사내피(20) 사이 간격이 협소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각편(31) 간의 밀집력이 향상되어 더욱 탄탄한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장력조절부(40)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내피(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환자가 원하는 크기의 쿠션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장력조절부(40)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자세변경이 용이하고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풍외피(10)는 더블라셀 구조의 직물지(11)를 사용하되, 외면에 구비되는 상기 통기커버부(12)에 다수개의 통기공(12a)이 개구되어 땀배출이 원활하고 공기순환이 용이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다수개의 통기공(12a)에 의해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최소화되므로 압박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 통풍외피 11 : 직물지
12 : 통기커버부 12a : 통기공
13 : 내피부 14 : 통기간극부
15 : 테두리부 16 : 바이어스테이프
17 : 수납공간 20 : 망사내피
21 : 통풍홀 30 : 쿠션제공수단
31 : 중공형 플렉시블 각편 40 : 장력조절부
41 : 관통공 42 : 장력조절끈
43 : 고정단추 100 :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Claims (5)

  1.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통기커버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통풍외피;
    외면이 상기 통풍외피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되, 격자형태의 다수개의 통풍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망사내피; 및
    상기 신체를 일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망사내피의 내부에 충적되도록 수용되되, 외력에 의한 가압시 상기 신체의 굴곡부위에 따라 탄발변형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복수개의 플렉시블 각편을 포함하는 쿠션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각편은 중공입체형 외면을 가지는 구조체로 형성되며, 상기 망사내피의 내부에 탄발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망사내피에 장력을 가하도록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내피에 충진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직경은 5~8mm로 형성되고, 두께는 0.1~0.3mm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내피에 충진되는 상기 플렉시블 각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망사내피를 상하로 관통하여 조임 연결하는 장력조절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망사내피의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망사내피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된 장력조절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외피는 상기 쿠션제공수단이 내설된 상기 망사내피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감싸도록 분할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직물지 테두리부를 동시에 파이핑 재봉하되, 상기 파이핑 재봉되는 테두리부 외측은 바이어스테이프로 커버되며,
    상기 직물지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통기커버부와,
    상기 망사내피의 표면과 접촉하는 내피부와,
    상기 통기커버부와 상기 내피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지지섬유층이 구비된 통기간극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KR2020140001794U 2014-03-06 2014-03-06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KR201500034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94U KR20150003413U (ko) 2014-03-06 2014-03-06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94U KR20150003413U (ko) 2014-03-06 2014-03-06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13U true KR20150003413U (ko) 2015-09-16

Family

ID=5434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94U KR20150003413U (ko) 2014-03-06 2014-03-06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90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이엠텍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90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이엠텍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717A (en) Pillow for arm of person holding a child
JP4680057B2 (ja)
KR200483330Y1 (ko) 기능성 베개
US63831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ure management
RU2607968C1 (ru) Постель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варианты)
RU183681U1 (ru) Подушка на сидение
JP2006346218A (ja) 局部高さ調節機能付き敷き布団
JP2016202485A (ja) 乳児用ベッド
KR101737588B1 (ko)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KR20150003413U (ko)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JP2005312649A (ja) マットレス本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
JP2006304824A (ja) 下肢安定用具
JP3612646B2 (ja) 医療用枕
JP2005185739A (ja) 枕一体型抱き枕
JP2009022317A (ja) 頸椎を前湾状態に湾曲させる枕
KR101913999B1 (ko) 라텍스 누빔 매트
JP4737110B2 (ja) 枕カバー
KR100584040B1 (ko) 건강베개
CN211533505U (zh) 一种座椅靠垫
JP2886073B2 (ja) 敷 物
JP2004242797A (ja) 布団装置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JP3417923B2 (ja) 猫用ベッド
WO2017142700A1 (en) Leu's pillow
JP2000279301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