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08U - 패널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08U
KR20150003308U KR2020140001504U KR20140001504U KR20150003308U KR 20150003308 U KR20150003308 U KR 20150003308U KR 2020140001504 U KR2020140001504 U KR 2020140001504U KR 20140001504 U KR20140001504 U KR 20140001504U KR 20150003308 U KR20150003308 U KR 201500033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edge portion
slide
bolt
trus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587Y1 (ko
Inventor
신용활
Original Assignee
신용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활 filed Critical 신용활
Priority to KR202014000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8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을 형성하고, 몸체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는 하향하여 굽어 형성되며 제1 요철부가 형성되는 트러스바 및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 저면과 상기 트러스바의 내부 바닥면에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면에 적층되어 측면이 상기 한 쌍의 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는 벌어짐방지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에서 상기 벌어짐방지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설치 장치를 제공하여, 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에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널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anel}
본 고안은 패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패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벽면에는 단열, 방음, 방수 등을 위해 마감재가 설치되거나 실내 장식을 위해 장식 패널이 외장재로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은 별도의 설치 구조물을 통해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1137960호(2012.04.26.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트러스 조립체를 기재하고 있다. 본 문헌의 트러스 조립체는 개구부를 구비한 트러스바를 구비하고 트러스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트러스바는 앵커볼트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고정되어 벽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문헌의 트러스바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가 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러스바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 단부가 볼트의 조임에 의해 변형될 위험이 매우 크다. 또한, 패널에 의해 하중이 지속적으로 부가되기 때문에 트러스바에 고정된 볼트가 미끄러지면서 패널이 떨어지거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1137960호(2012.04.26. 공고)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큰 하중이 부가되어도 변형이 적으며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패널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을 형성하고, 몸체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는 하향하여 굽어 형성되며 제1 요철부가 형성되는 트러스바;및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 저면과 상기 트러스바의 내부 바닥면에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면에 적층되어 측면이 상기 한 쌍의 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는 벌어짐방지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에서 상기 벌어짐방지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설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지부의 끝 단면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에는 패널을 지지하는 패스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를 형성하는 에지부가 하향하여 굽어 형성되고, 에지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벌어짐방지블록이 에지부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에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벌어짐방지블록의 측면과 에지부의 측면에 상호 맞물리는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드블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트러스바의 에지부가 볼트의 조임에 따라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벌어짐방지블록이 에지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를 도시한 도면이,
도 5는 패널이 결합되어 벽면에 설치된 패널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 장치는 트러스바(100)와, 결합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바(100)는 벽면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설치되는 부재로서, 패널의 설치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트러스바(100)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트러스바(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몸체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상호 떨어져 형성되는 에지부(110)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에지부(110)를 따라 결합부재(20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에지부(110)는 각각 하향하여 굽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지부(110)의 단부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부재(200)와 밀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결합부재(200)는 에지부(11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패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재(200)는 슬라이드블록(210)과, 스프링(220)과 벌어짐방지블록(230)과, 볼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210)은 단면이 사각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되며, 트러스바(100)의 슬라이드 공간(s)에 삽입되어 트러스바(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프링(220)은 압축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드블록(210)에 대하여 에지부(110) 쪽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프링(220)은 슬라이드블록(210)에 저면과 트러스바(100)의 내측 바닥면에 개재될 수 있다.
벌어짐방지블록(230)은 슬라이드블록(210)이 볼트(240)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트러스바(100)의 에지부(110)가 윗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트러스바의 에지부가 볼트의 조임에 따라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벌어짐방지블록이 에지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210)이 조여짐에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에지부(110)가 변형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블록(210)의 상승에 따른 도 1의 F1과 같은 외력에 의해 에지부(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어짐방지블록(230)의 측면에서 에지부(110)와 맞닿아 이를 방지하는 반력(도 3의 F1)을 제공한다. 때문에, 벌어짐방지블록(230)은 슬라이드블록(210)이 조여지는 과정에서 에지부(110)가 위쪽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벌어짐방지블록(230)은 단면이 사각인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슬라이드블록(210)의 상면에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벌어짐방지블록(230)의 측면이 에지부(110)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한편, 벌어짐방지블록(230)에는 볼트(230)가 나사 체결되어 관통할 수 있도록 나사탭이 형성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230)는 슬라이드블록(210)에서 벌어짐방지블록(23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볼트(230)에는 패스너(도 5의 30)가 결합된다.
도 4는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부(110)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요철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벌어짐방지블록(230)의 양 측면에는 제1 요철부(111)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철부(111) 및 제2 요철부(231)는 상호 결합되어 벌어짐방지블록(230)과 연결된 슬라이드블록(210)이 에지부(110)를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길이 방향으로 상호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패널의 하중에 크게 영향을 받는 세로 방향 트러스바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도 5는 패널이 결합되어 벽면에 설치된 패널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패널 연결 장치(10)는 벽면(1)에 브라켓(20)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연결 장치(10)에는 패스너(30)가 연결된다. 연결된 패스너(30)에는 패널(A)이 고정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러스바
110: 에지부
200: 결합부재
210: 슬라이드블록
220: 스프링부
230: 벌어짐방지블록
240: 볼트

Claims (3)

  1. 내부에 슬라이드 공간을 형성하고, 몸체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는 하향하여 굽어 형성되며 제1 요철부가 형성되는 트러스바;및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 저면과 상기 트러스바의 내부 바닥면에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면에 적층되어 측면이 상기 한 쌍의 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는 벌어짐방지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에서 상기 벌어짐방지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패널 설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의 끝 단면은 둥글게 형성되는 패널 설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패널을 지지하는 패스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장치.
KR2020140001504U 2014-02-26 2014-02-26 패널 연결 장치 KR200479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04U KR200479587Y1 (ko) 2014-02-26 2014-02-26 패널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04U KR200479587Y1 (ko) 2014-02-26 2014-02-26 패널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08U true KR20150003308U (ko) 2015-09-03
KR200479587Y1 KR200479587Y1 (ko) 2016-02-15

Family

ID=5434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504U KR200479587Y1 (ko) 2014-02-26 2014-02-26 패널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570A (zh) * 2017-09-12 2017-11-24 芜湖凡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工程室内木饰面板的安装结构
CN110761514A (zh) * 2018-07-25 2020-02-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1677224A (zh) * 2020-06-12 2020-09-18 泉州台商投资区品新装潢设计工作室 一种装潢工程隐式装配墙板连接节点
CN112459382A (zh) * 2020-11-13 2021-03-09 重庆建工住宅建设有限公司 一种快装集成墙面系统及全屋装配式装修系统
KR102547017B1 (ko) * 2022-03-11 2023-06-26 최환령 받침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438B1 (ko) * 2009-04-16 2010-07-07 (주)부흥석재트러스 볼트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KR101016632B1 (ko) * 2010-06-29 2011-02-23 브릿지스톤(주) 트러스 바 체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570A (zh) * 2017-09-12 2017-11-24 芜湖凡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工程室内木饰面板的安装结构
CN110761514A (zh) * 2018-07-25 2020-02-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761514B (zh) * 2018-07-25 2020-12-22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1677224A (zh) * 2020-06-12 2020-09-18 泉州台商投资区品新装潢设计工作室 一种装潢工程隐式装配墙板连接节点
CN111677224B (zh) * 2020-06-12 2022-04-01 泉州盛协科技有限公司 一种装潢工程隐式装配墙板连接节点
CN112459382A (zh) * 2020-11-13 2021-03-09 重庆建工住宅建设有限公司 一种快装集成墙面系统及全屋装配式装修系统
KR102547017B1 (ko) * 2022-03-11 2023-06-26 최환령 받침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구조
WO2023172095A1 (ko) * 2022-03-11 2023-09-14 최환령 받침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하지트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87Y1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587Y1 (ko) 패널 연결 장치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10472817B2 (en) Panel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use with the same
JP2018500511A (ja) チャンネルフレームのための継手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WO2014166849A2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JP2010229785A (ja) 固定クリップ
JP3202842U (ja) 振れ止め金具
KR20190001595U (ko) 논코킹 시스템 실링과 논코킹 시스템 벽체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US20060169849A1 (en) Quick joint without bolts or accessories for cable hangers
KR20160000774U (ko)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JP6156701B2 (ja) 上端固定金物
KR102474426B1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KR101943014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KR102532942B1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JP2015190117A5 (ko)
JP6516982B2 (ja) 天井落下防止器具
KR20140040814A (ko) 그레이팅 클램프 및 지지체에 그레이팅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JP6215599B2 (ja) 落下防止のための野縁取付金具
JP7017997B2 (ja) 煙突支持構造
JP6302699B2 (ja) 天井下地構造
JP6493892B2 (ja) 他物固定具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