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23A -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23A
KR20150002723A KR1020147030554A KR20147030554A KR20150002723A KR 20150002723 A KR20150002723 A KR 20150002723A KR 1020147030554 A KR1020147030554 A KR 1020147030554A KR 20147030554 A KR20147030554 A KR 20147030554A KR 20150002723 A KR20150002723 A KR 2015000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duit
wall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에프. 마샬렉
마빈 디. 번스
Original Assignee
피니싱 브랜즈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니싱 브랜즈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니싱 브랜즈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or its attachment means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78Gun with a container which, in normal use, is located above the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시스템(10)은 액체를 스프레이 코팅 디바이스에 공급하는데 사용된 컨테이너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시스템은 컨테이너 커버(144)를 포함할 수 있고, 컨테이너 커버(144)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버퍼 챔버(150)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버퍼 챔버로 연장하는 제 1 배출 도관(156)과, 버퍼 챔버로부터 액체 컨테이너로 연장하는 제 2 배출 도관(158)과, 어느 한 도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168)를 갖는다.

Description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배출 시스템{VENT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병합된 2013년 3월 7일에 출원된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라는 명칭의 미국 비-가특허 출원 13/789,528의 우선권 및 이익과,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용으로 병합된 2012년 5월 1일에 출원된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61/641,181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액체 공급 컨테이너용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 코팅 디바이스는 광범위한 목표 물체에 스프레이 코팅을 도포하는데 사용된다. 스프레이 코팅 디바이스는 종종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 상에 액체 코팅 물질(예를 들어, 페인트)을 유지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같이 많은 재활용가능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공교롭게도, 이들 재활용가능 구성요소를 세척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비된다. 더욱이, 액체 코팅 물질은 종종 혼합 컵(mixing cup)을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된 컨테이너로 전달된다. 다시, 액체 코팅 물질을 전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비된다. 추가로, 1회용 또는 재활용가능 구성요소는 액체 코팅 물질을 누출하거나 유출할 수 있어서, 도포하는데 더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고, 불편하게 한다.
다시, 액체 코팅 물질을 전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비된다. 추가로, 1회용 또는 재활용가능 구성요소는 액체 코팅 물질을 누출하거나 유출할 수 있어서, 도포하는데 더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고, 불편하게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커버는 액체 컨테이너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액체 도관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버퍼 챔버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버퍼 챔버로 연장하고 커버의 벽에 결합된 제 1 배출 도관과, 버퍼 챔버로부터 액체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로 연장하고 컨테이너의 벽에 결합된 제 2 배출 도관과, 제 1 및/또는 제 2 배출 도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구비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커버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액체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벽과, 스프레이 디바이스의 액체 입구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액체 컨테이너를 통해 컨테이너의 벽에 결합된 액체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갖는 배출 도관을 통해 커버의 벽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을 구비한다.
제 3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액체 입구를 갖는 스프레이 디바이스와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를 구비하고,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는 액체 컨테이너와, 액체 컨테이너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한다. 추가로, 컨테이너 커버는 내부 부피와 외부 환경 사이에서 배출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갖는다. 컨테이너 커버는 또한 스프레이 디바이스의 액체 입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액체 도관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도를 참조하여 읽혀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첨부도에서 유사한 문자는 도면 전체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액체 코팅 물질을 전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비되고, 1회용 또는 재활용가능 구성요소는 액체 코팅 물질을 누출하거나 유출할 수 있어서, 도포하는데 더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고, 불편하게 하는 것을 해결하는 스프레이 코팅 시스템에 효과적이다.
도 1은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를 갖는 스프레이 코팅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를 이용하는 스프레이 코팅 프로세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1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에 결합된 스프레이 코팅 디바이스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부분 횡단면도로서, 커버 조립체에 결합된 스프레이 건 어댑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로서, 커버 조립체로부터 분해된 스프레이 건 어댑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커버 조립체와, 커버측 위쪽 위치로 배향된 컨테이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커버 조립체와, 커버측 아래쪽 위치로 배향된 컨테이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의 커버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돌출 부분에 인접한 테이퍼링된(tapered) 배출 도관을 갖는 버퍼 챔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커버 조립체와, 커버측 아래쪽 위치로 배향된 컨테이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 도 6, 도 7 및 도 9의 체크 밸브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덕빌(duckbill)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 도 6, 도 7 및 도 9의 체크 밸브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엄브렐러(umbrella)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3, 도 6, 도 7 및 도 9의 체크 밸브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볼(ball) 밸브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체크 밸브(예를 들어, 1-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고유한 모세관 작용 배출 시스템은 액체 누출을 차단하면서 컨테이너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모세관 작용 배출 시스템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와 하나 이상의 모세관 튜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출 시스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 부피를 분리시키는 벽과, 모세관 배출 튜브와,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유체(액체 또는 가스)가 한 방향으로 밸브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1-방향 밸브이다. 체크 밸브는 공기가 공기를 위한 배출 경로가 컨테이너에 들어가게 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차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배출 시스템은 버퍼 챔버와 2개의 모세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세관 튜브는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모세관 튜브의 말단 단부를 포함하는 배출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체크 밸브를 가지고 서로 오프셋(offset)된다. 2개의 모세관 튜브 사이의 오프셋은 또한 모세관 튜브들 중 하나로부터 누출된 임의의 액체를 포함하기 위한 부피를 제공하면서, 공기를 위한 중간 배출 경로를 제공한다. 각 모세관 튜브는 컨테이너로부터의 액체 흐름에 저항하도록 구성되어, 컨테이너 내에 액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모세관 튜브의 말단 개구부(opening)는 메니스커스(meniscus), 즉 표면 장력이 형성으로 인해 액체 흐름에 저항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말단 개구부는 표면 장력으로 인해 액체 흐름에 추가로 저항하기 위해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각 모세관 튜브의 내부는 표면 장력으로 인해 액체 흐름에 저항할 수 있다. 각 모세관 튜브는 원통형 형태 또는 원뿔형 형태와 같이 중공의 고리형 기하학적 구성(geometry)을 가질 수 있다. 원뿔형 모세관 튜브는 더 작은 단부에서의 개구부의 감소된 직경으로 인해 액체 흐름에 추가 저항을 제공한다. 더욱이, 각 모세관 튜브는 튜브의 어느 한 단부 및/또는 튜브를 따라 중간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도 1은 예시적인 스프레이 코팅 시스템(1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이러한 예시적인 스프레이 코팅 시스템(10)은 원하는 코팅 액체를 목표 물체(14)에 도포하기 위한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를 갖는 스프레이 코팅 건(12)을 포함한다. 스프레이 코팅 건(12)은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를 갖는 액체 공급부(16), 공기 공급부(18), 및 제어 시스템(20)과 같이, 다양한 공급 및 제어 시스템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20)은 액체 및 공기 공급부(16 및 18)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스프레이 코팅 건(12)이 목표 물체(14) 상에 허용가능한 품질의 스프레이 코팅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20)은 분무 시스템(22), 위치 지정(positioning) 시스템(24), 액체 공급 제어기(26), 공기 공급 제어기(28), 컴퓨터 시스템(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20)은 또한 위치 지정 시스템(24)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대한 목표 물체(1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스프레이 코팅 시스템(10)은 코팅 액체, 액체 및 공급 흐름 속도, 및 스프레이 패턴의 컴퓨터-제어된 혼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스프레이 코팅 시스템(10)은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광범위하게 다양한 응용, 액체, 목표 물체, 및 유형/구성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이한 코팅 유형, 칼라, 텍스처(textures), 및 금속과 나무와 같은 다양한 물질을 위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코팅 액체(42)로부터 원하는 액체(4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상이한 물질 및 제품 유형과 같이 다양한 상이한 물체(38)로부터 원하는 물체(36)를 선택할 수 있다. 스프레이 코팅 건(12)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목표 물체(14) 및 액체 공급부(16)를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구성요소 및 스프레이 형성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팅 건(12)은 공기 분무기, 회전식 분무기, 정전기식 분무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스프레이 형성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원하는 스프레이 코팅 액체를 목표 물체(14)에 도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스프레이 코팅 프로세스(50)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50)는 원하는 액체의 도포를 위한 목표 물체(14)를 식별함으로써 진행된다(블록 52). 프로세스(50)는 이 후 목표 물체(14)의 스프레이 표면에 도포하기 위한 원하는 액체(40)를 선택함으로써 진행된다(블록 54). 사용자는 이 후 식별된 목표 물체(14) 및 선택된 액체(40)를 위한 스프레이 코팅 건(12)을 구성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블록 56). 사용자가 스프레이 코팅 건(12)을 사용할 때, 프로세스(50)는 이 후 선택된 액체(40)의 분무된 스프레이를 생성하도록 진행된다(블록 58). 사용자는 이 후 목표 물체(14)의 원하는 표면에 걸쳐 분무된 스프레이의 코팅을 도포할 수 있다(블록 60). 프로세스(50)는 이 후 원하는 표면에 걸쳐 도포된 코팅을 경화/건조하도록 진행된다(블록 62). 선택된 액체의 추가 코팅이 질문 블록(64)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게 되면, 프로세스(50)는 선택된 액체(40)의 다른 코팅을 제공하기 위해 블록(58, 60, 및 62)을 통해 진행된다. 사용자가 질문 블록(64)에서 선택된 액체의 추가 코팅을 원하지 않으면, 프로세스(50)는, 새로운 액체의 코팅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게 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질문 블록(66)으로 진행된다. 사용자가 질문 블록(66)에서 새로운 액체의 코팅을 원하면, 프로세스(50)는 블록(54, 56, 58, 60, 62)을 통해 진행되어, 스프레이 코팅을 위한 새로운 선택된 액체를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질문 블록(66)에서 새로운 액체의 코팅을 원하지 않으면, 프로세스(50)는 블록(68)에서 종료된다.
도 3은 액체 공급부(16)에 결합된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코팅 건(12)은 바디(82)에 결합된 스프레이 팁 조립체(80)를 포함한다. 스프레이 팁 조립체(80)는 바디(82)의 용기(86)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스프레이 코팅 디바이스는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를 수용 및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 팁 조립체(80)는 또한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에 결합된 스프레이 형성 조립체(88)를 더 포함한다. 스프레이 형성 조립체(88)는 공기, 회전식, 및 정전기식 분무 메커니즘과 같은 다양한 스프레이 형성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스프레이 형성 조립체(88)는 유지 너트(retaining nut)(92)를 통해 바디(82)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는 공기 분무 캡(90)을 포함한다. 공기 분무 캡(90)은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로부터 액체 팁 출구(96) 주위에 배치된 중앙 분무 오리피스(orifice)(94)와 같은 다양한 공기 분무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공기 분무 캡(90)은, 또한 스프레이가 원하는 스프레이 패널(예를 들어, 평평한 스프레이)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공기 젯(air jets)을 이용하는 스프레이 성형(shaping) 오리피스(9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성형 공기 오리피스를 가질 수 있다.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바디(82)는 스프레이 팁 조립체(80)의 다양한 제어 및 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82)는 액체 입구 결합부(104)로부터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로 연장하는 액체 통로(102)를 갖는 액체 전달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액제 전달 조립체(100)는 또한 액체 통로(102)를 통해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로의 액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액체 밸브 조립체(106)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액체 밸브 조립체(106)는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와 액체 밸브 조정기(110) 사이에서 바디(82)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연장하는 니들(needle) 밸브(108)를 갖는다. 액체 밸브 조정기(110)는 니들 밸브(108)의 후방 섹션(rear section)(114)과 액체 밸브 조정기(110)의 내부 부분(116)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1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정가능하다. 니들 밸브(108)는 또한 방아쇠(118)에 결합되어, 니들 밸브(108)는, 방아쇠(118)가 선회 조인트(120) 주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액체 전달 팁 조립체(84)로부터 안쪽으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개방가능한 밸브 조립체는 본 기술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밸브 조립체(106)는 또한 니들 밸브(108)와 바디(82) 사이에 배치된, 패킹(packing) 조립체(122)와 같은 다양한 패킹 및 밀봉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공급 조립체(124)는 또한 스프레이 형성 조립체(88)에서의 분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디(82)에 배치된다. 도시된 공기 공급 조립체(124)는 공기 통로(128 및 130)를 통해 공기 입구 결합부(126)로부터 공기 분무 캡(90)으로 연장한다. 공기 공급 조립체(124)는 또한 스프레이 코팅 건(12)을 통해 공기압 및 흐름을 유지 및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밀봉 조립체, 공기 밸브 조립체, 및 공기 밸브 조정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공기 공급 조립체(124)는 방아쇠(118)에 결합된 공기 밸브 조립체(132)를 포함하여, 선회 조인트(120) 주위에서의 방아쇠(118)의 회전은 공기 통로(128)로부터 공기 통로(130)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공기 밸브 조립체(132)를 개방한다. 공기 공급 조립체(124)는 또한 공기 분무 캡(90)으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 밸브 조정기(13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118)는 액체 밸브 조립체(106)와 공기 밸브 조립체(132) 모두에 결합되어, 방아쇠(118)가 바디(82)의 핸들(136)쪽으로 잡아당겨질 때 액체 및 공기는 동시에 스프레이 팁 조립체(80)로 흐른다. 일단 맞물리면, 스프레이 코팅 건(12)은 원하는 스프레이 패턴 및 방울 분배를 갖는 분무된 스프레이를 발생시킨다.
도 3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부(18)는 공기 도관(138)을 통해 공기 입구 결합부(126)에 결합된다. 공기 공급부(18)의 실시예는 공기 압축기, 압축된 공기 탱크, 압축된 비활성 가스 탱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부(16)는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직접 장착된다. 도시된 액체 공급부(16)는 컨테이너(142) 및 커버 조립체(144)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조립체(14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42)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진 유연한 컵일 수 있다. 더욱이, 컨테이너(142)는, 사용자가 사용 후에 컨테이너(142)를 폐기할 수 있도록 1회용일 수 있다.
커버 조립체(144)는 액체 도관(146) 및 배출 시스템(148)을 포함한다. 배출 시스템(148)은 외부 커버(152)와 내부 커버(154) 사이에 배치된 버퍼 챔버(150)를 포함한다. 액체 도관(146)은 내부 및 외부 커버(152 및 154)에 결합되고, 버퍼 챔버(150)와 왕래하는 어떠한 액체 개구부 없이 버퍼 챔버(150)를 통해 연장한다. 배출 시스템(148)은 또한, 외부 커버(152)에 결합되고 버퍼 챔버(150) 내에서 종료하는 제 1 배출 도관(156)과, 내부 커버(154)에 결합되고 컨테이너(142) 내에서 버퍼 챔버(150)의 외부에서 종료하는 제 2 배출 도관(158)을 포함한다. 즉,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156 및 158)은 버퍼 챔버(150)를 통해 서로 왕래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배출 도관(156 및 158)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유체 누출을 차단하고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168)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섬유성 또는 셀룰로오스 물질, 비금속 물질,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과 같은 1회용 및/또는 재활용가능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1회용 및/또는 재활용가능 물질로부터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예를 들어, 75, 80, 85, 90, 95, 99%보다 높게)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물질 조성물을 포함한다. 섬유성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천연 섬유(예를 들어, 식물성 섬유, 목질 섬유, 동물성 섬유, 또는 광물성 섬유) 또는 합성/인조 섬유(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광물, 또는 폴리머)로 구성된 물질 조성물을 포함한다. 셀룰로오스 섬유의 예는 모달(modal) 또는 대나무를 포함한다. 폴리머 섬유의 예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올레핀,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탄성 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커버 조립체(144)는 단일 사용 응용을 위해 설계되 수 있는 반면, 컨테이너(142)는 상이한 커버 조립체(144)를 갖는 용도들 사이에 액체(예를 들어, 액체 페인트 혼합물)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42) 및 커버 조립체(144)는 모두 1회용일 수 있고, 폐기 이전에 단일 이용 또는 다수의 이용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중력 공급 구성에서 높이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결합된다. 설정 동안,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스프레이 코팅 건(12)으로부터 분리된 커버측 위쪽 위치에서 코팅 액체(예를 들어, 페인트)로 채워질 수 있고, 그런 후에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스프레이 코팅 건(12)과의 연결을 위해 커버측 아래쪽 위치로 뒤집혀질 수 있다(flipped over). 컨테이너(142)가 뒤집혀질 때, 코팅 액체의 부분은 배출 도관(158)을 통해 버퍼 챔버(150)로 누출되거나 흘러서, 컨테이너(142)에서 제 1 액체 부피(160)와, 버퍼 챔버(150)에서 제 2 액체 부피(162)를 초래한다. 하지만, 액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컨테이너(142)에서의 진공 압력, 배출 도관(158) 내의 표면 장력, 배출 도관(158)의 말단 단부 개구부에서의 표면 장력으로 인해 배출 도관(158)을 유지한다. 버퍼 챔버(150)는, 컨테이너(142)가 커버측 위쪽 위치 및 커버측 아래쪽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때 컨테이너(142)로부터 누출된 액체 부피(162)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이용 동안, 코팅 액체는 유체 흐름경로(164)를 따라 컨테이너(142)로부터 스프레이 코팅 건(12)으로 흐른다. 동시에, 공기는 먼저 체크 밸브(168)를 통해 그리고 계속해서 배출 시스템(148)을 통해 공기 흐름 경로(166)를 경유하여 컨테이너(142)에 들어간다. 즉, 공기는 제 1 배출 도관(156)으로 흐르고, 체크 밸브(168)를 통해, 버퍼 챔버(150)를 통해, 제 2 배출 도관(158)을 통해, 컨테이너(142)로 흐른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168)는 제 1 배출 도관(156)의 말단 단부에 위치되지만, 또한 제 2 배출 도관(158)의 말단 단부와 같은 배출 시스템(148) 내에서, 배출 도관(156 및 158)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 내에서, 버퍼 챔버(150)내에서 어디에서나, 또는 유체 누출을 차단하는데 적합한 배출 시스템(148) 내의 임의의 다른 장소에 실질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치될 수 있다. 아래에 더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168), 버퍼 챔버(150), 및 배출 도관(156 및 158)의 배향은 배출 도관(156 및 158)에서의 개구부로부터 멀어지게 누출된 코팅 액체, 예를 들어, 제 2 액체 부피(162)를 유지하면서, 컨테이너 조립체(140) 및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모든 배향으로 공기 흐름 경로(166)(예를 들어, 배출 경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배출 시스템(148)은, 컨테이너 조립체(140)가 수평 평면, 수직 평면, 또는 임의의 다른 평면에서 대략 0도 내지 360도로 회전될 때 공기 흐름 경로(166)를 유지하고 버퍼 챔버(150)에 액체 부피(162)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커버 조립체(144)에 결합된 스프레이 건 어댑터 조립체(170)를 도시하면서, 도 3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일실시예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레이 건 어댑터 조립체(170)는 테이퍼링된 경계면(181), 배출 정렬 가이드(182), 및 양의 로크(lock) 메커니즘(183)를 통해, 커버 조립체(144)에 결합된 스프레이 건 어댑터(18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테이퍼링된 경계면(181)은 액체 도관(146)의 테이퍼링된 외부 표면(172)(예를 들어, 원뿔형 외부) 및 어댑터(180)의 테이퍼링된 내부 표면(174)(예를 들어, 원뿔형 내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어댑터(180) 상에 배치된 제 1 정렬 특징부(feature)(176)와, 외부 커버(152) 상에 배치된 제 2 정렬 특징부(178)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양의 로크 메커니즘(183)은 액체 도관(146)의 테이퍼링된 외부 표면(172) 상에 배치된 양의 로크 메커니즘(예를 들어, 방사상 돌출부)과, 어댑터(180)의 테이퍼링된 내부 표면(174) 상에 배치된 짝을 이루는(mating) 로크 메커니즘(예를 들어, 방사상 오목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체 도관(146)은 액체 통로(184)와 말단 단부 부분(186)을 포함할 수 있고, 말단 단부 부분(186)은 액체 도관(146)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립(188)을 갖는다. 즉, 립(188)은 테이퍼링된 외부 표면(172)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어댑터(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도관(14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통로(19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90)는 액체 도관(146)의 테이퍼링된 외부 표면(172)과 웨지 설치(wedge fit) 및/또는 마찰 설치를 형성하는 테이퍼링된 내부 표면(174)을 갖는다. 어댑터(180)는 또한 내부 통로(190)를 따라 거리(194)에 걸쳐 배치된 그루브(192)(예를 들어, 고리형 그루브 또는 방사상 오목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립(188)은 어댑터(180)에 대해 액체 도관(146)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그루브(192)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대해, 제 1 배출 도관(156), 제 2 배출 도관(15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특정 실시예에서,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어댑터(180)와 외부 커버(152) 사이에서 서로 정렬하도록 구성된 제 1 정렬 가이드(176) 및 제 2 정렬 가이드(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정렬 가이드(176)는 내부 유지 핑거(197) 및 정렬 탭(198)을 갖는 링(19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유지 핑거(197)는, 링(196)이 어댑터(180) 상에 삽입될 때, 약간 벤딩함으로써 어댑터(180) 주위에 링(196)을 압축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어댑터(180) 상으로 방사상 안쪽의 유지력(예를 들어, 스프링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렬 가이드(178)는 외부 커버(152)에 배치된 정렬 오목부(20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렬 탭(198)은, 어댑터(18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도관(146)에 결합될 때 정렬 오목부(200)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구상된 실시예에서,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정렬 탭(198), 정렬 오목부(200),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링(196)일 수 있다. 배출 정렬 가이드(182)의 그러한 실시예는 별개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부착될 때 컨테이너(142)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제 2 배출 도관(158)을 나아가게 할 수 있다(도 3을 참조). 이러한 특징은 사용 동안 버퍼 부피(150)에 배치된 유체 부피(162)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사용 동안, 어댑터(180)는 액체 도관(146)을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결합시키고,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중력 공급 컨테이너(142)를 중력 공급 스프레이 코팅 건(12)과 정렬시킨다. 즉, 배출 정렬 가이드(182)는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결합되면서, 컨테이너(142) 내의 상부 위치에서 컨테이너(142)에서의 제 2 배출 도관(158)을 배향시킨다(도 3을 참조). 이런 특징은, 공기 흐름 경로(166)가 스프레이 건의 사용 동안 적절히 확립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배출 시스템(148)의 이용가능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동작 동안, 어댑터(180)에서의 그루브(192)는, 컨테이너(142)가 스프레이 코팅 건(12)으로부터 맞물림 해제(disengaged)되기 시작하는 순간 동안 액체 도관(146)의 립(188)과 인터페이싱(interfac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액체 도관(146)이 사용 동안 스프레이 코팅 건(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202)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액체 도관(146)은, 립(188)이 그루브(192)의 단부에 도달할 때 어댑터(180)로부터 움직이는 것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러한 특징은 동작 동안 중력 공급 컨테이너(142)와 중력 공급 스프레이 코팅 건(12) 사이의 연결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커버 조립체(144)로부터 분해된 스프레이 건 어댑터 조립체(170)를 도시하며, 도 3의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일실시예의 부분이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어댑터 조립체(170)는 어댑터(180)(예를 들어, 제 1 부품) 및 제 1 정렬 가이드(176)(예를 들어, 제 2 부품)를 포함한다. 어댑터(180)는 제 1 나사산 형성된(threaded) 부분(214)(예를 들어, 수의 나사산 형성된 고리형 부분), 그루브(192), 육각형 돌출부(218), 예를 들어, 툴 헤드(tool head), 고정 부분(218)(예를 들어, 수의 나사산 형성된 고리형 부분), 및 어댑터(180)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통로(220)를 포함한다. 제 1 나사산 형성된 부분(214)은, 컨테이너(142)가 사용 동안 위치될 때 스프레이 코팅 건(12)에서 짝을 이루는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고정 부분(218)은 제 1 정렬 가이드(17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 1 정렬 가이드(176)는 내부 유지 핑거(197) 및 정렬 탭(198)을 갖는 정렬 링(196)을 포함한다. 내부 유지 핑거(197)는 어댑터(180) 상의 적소에 제 1 정렬 가이드(176)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 부분(218) 주위에 압축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사용 동안, 어댑터 조립체(170)는 스프레이 코팅 건(12)과 컨테이너 조립체(140) 모두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 탭(198)은 정렬 오목부(200)에 위치될 수 있어서, 액체 도관(146), 제 1 배출 도관(156), 제 2 배출 도관(158), 또는 이들의 조합이 스프레이 코팅 건(12)에 대해 정렬된다. 즉, 정렬 탭(198)은 정렬 오목부(200)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스프레이 건 어댑터(180)는 액체 도관(146)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오목부(200)는 액체 도관(146) 및 제 2 배출 도관(158)의 중간에 배치되고, 액체 도관(146)은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156 및 158)의 중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액체 도관(146),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156 및 158), 및 배출 정렬 가이드(182),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176 및 178)는 공통 평면에서와 같이 서로 일직선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배출 시스템(14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반대 배향을 도시하지만, 배출 시스템(148)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임의의 가능한 배향으로 동작가능하다. 도 6은, 커버측 위쪽 위치에 배향된 컨테이너(142) 및 커버 조립체(144)를 갖는 고유한 중렬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를 도시하며, 도 1의 액체 공급부(16)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특히, 커버 조립체(144)는, 컨테이너(142)가 액체 부피(160)로 채워진 후에 컨테이너(142)에 걸쳐 배치된다. 커버 조립체(144)는 액체 도관(146) 및 배출 시스템(148)을 포함하고, 배출 시스템(148)은 내부 및 외부 커버(152 및 154)에 결합되고, 이들 내부 및 외부 커버를 통해 연장한다. 배출 시스템(148)은 외부 커버(152)와 내부 커버(154) 사이에 배치된 버퍼 챔버(150)를 포함한다. 배출 시스템(148)은 또한 외부 커버(152)에 결합된 테이퍼링된 외부 배출 도관(232)과, 내부 커버(154)에 결합된 테이퍼링된 내부 배출 도관(234)을 포함한다. 배출 시스템(148)은 또한 양쪽의 배출 도관(232 및 234), 또한 배출 시스템(148)내의 일부뿐 아니라 모든 가능한 대안적인 장소를 포함하는 말단 단부 상에 위치된 체크 밸브(168)를 포함한다. 특히, 배출 시스템(148)은 각 배출 도관(232 및 234)을 따라 어느 한 단부 및/또는 중간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체크 밸브(16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체크 밸브(168)는, 또한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중력 공급 동안 액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출을 위한 조립체에 공기가 흐르도록 하면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로부터 주변 환경으로의 액체(예를 들어, 페인트)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배출 시스템(148)은 내부 커버(154) 상에 배치된 돌출 부분(236)(예를 들어, 액체 차단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돌출 부분(236)은 근접하여 테이퍼링된 외부 배출 도관(232)을 향한다. 공기 경로(238)는, 컨테이너(14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될 때 배출 시스템(146)을 통해 확립된다. 마찬가지로, 액체 경로(240)는 액체 공급부(16)의 도시된 배향으로 컨테이너(142) 안으로 배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테이퍼링된 외부 배출 도관(232)은 외부 커버(152)와 내부 커버(154) 사이에서 말단 단부(242)로의 버퍼 챔버(150) 안으로 연장한다. 외부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는 내부 커버(154)의 돌출 부분(236)(예를 들어, 액체 차단 스크린)에 근접할 수 있다. 즉, 외부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는 외부 배출 도관(232)의 제 1 축(246)을 따라 외부 커버(152)로부터 제 1 거리(244) 즉, 도관(232)의 길이에 위치된다. 추가로, 내부 커버(154)는 외부 배출 도관(232)의 제 1 축(246)을 따라 외부 커버(152)로부터 오프셋 거리(248)(즉, 총 커버 간격)에 배치된다. 즉, 오프셋 거리(248)는 내부 및 외부 커버(152 및 154) 사이의 총 거리인 반면, 제 1 거리는 외부 커버(152)로부터 내부 커버(154)쪽으로 돌출하는 외부 배출 도관(232)의 총 길이를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거리(244)즉, 도관(232)의 길이는 오프셋 거리(248)(즉, 총 커버 간격)의 대략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5%보다 적어도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제 1 거리(244)는 오프셋 거리(248)의 대략 50%보다 적어도 더 크다. 추가 예에 대해,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거리(244)는 오프셋 거리(248)의 75%보다 적어도 더 클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거리(244)는 오프셋 거리(248)의 대략 95%보다 적어도 더 클 수 있다. 내부 커버(154)에 근접한 외부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는 여전히 배출 시스템(148)을 통하는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버퍼 챔버(150)의 액체 유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돌출 부분(예를 들어, 액체 차단 스크린)에 대한 외부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의 근접성은 예를 들어,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이동(예를 들어, 흔들림) 동안, 버퍼 챔버(150)로부터 외부 배출 도관(232)으로의 액체 진입에 실질적으로 저항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분에 대한 말단 단부(242)의 근접성은 액체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추가 표면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배출 도관(232), 내부 배출 도관(234), 액체 도관(146), 또는 이들의 조합은 테이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배출 도관(232)은, 도관(232)이 외부 커버(152)로부터 말단 단부(242)쪽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추가 예에 대해, 몇몇 실시예에서, 액체 도관(146)은, 도관(146)이 내부 커버(154)로부터 도시된 립(188)을 갖는 말단 단부 부분(186)쪽으로 직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테이퍼링된 액체 도관(146)은 중력 공급 스프레이 코팅 건(12)의 테이퍼링된 내부 통로, 예를 들어, 어댑터(180)를 통하는 통로(190)의 테이퍼링된 내부 표면(174)에 웨지 설치(예를 들어, 간섭 또는 마찰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립(188)은 테이퍼링된 내부 통로에서의 그루브, 예를 들어, 통로(190)에서의 그루브(192)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배출 도관(234)은, 도관(234)이 내부 커버(154)로부터 오프셋 거리(250)에서의 말단 단부(249)쪽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배출 도관(232), 내부 배출 도관(234), 액체 도관(146), 또는 이들의 조합의 테이퍼링은 0보다 크고 대략 10 dps(degrees per side) 미만의 테이퍼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테이퍼 각도는 대략 1, 2, 3, 4, 5, 6, 7, 8, 9, 또는 10 dps 적어도 이상일 수 있다. 배출 도관(232 및 234)의 테이퍼링 실시예에서, 도관의 더 작은 단부 부분은 액체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배출 경로를 더 효율적으로 유지한다. 즉, 말단 단부(242 및 249)에서의 배출 도관(232 및 234)의 감소된 직경은 흐름 영역을 감소시키고, 표면 장력을 증가시켜, 배출 도관(232 및 234)에 들어갈 수 있는 액체의 양을 감소시킨다.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측 위쪽 위치에 위치될 때, 액체 부피(160)는 컨테이너(142)에 완전히 유지된다. 도 7은 커버측 아래쪽 위치에 배향된 컨테이너(142) 및 커버 조립체(144)를 갖는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를 도시하며, 도 1의 액체 공급부(16)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42)는, 체크 밸브(168)가 말단 단부(249)에 배치되지 않거나 모든 액체가 내부 배출 도관(234)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내부 배출 도관(234)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임의의 액체 부피(252)보다 적은 액체 부피(160)로 채워진다. 따라서, 버퍼 챔버(150)는 내부 배출 도관(234)으로부터 액체 부피(252)로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예를 들어, 임의의 액체가 체크 밸브(168)를 통한 부재(absence) 또는 누출로 인해 도관(234)을 통과할 수 있는 경우). 즉, 컨테이너(142)가 커버측 위쪽 위치로부터 커버측 아래쪽 위치로 회전될 때, 일부 액체 부피(252)는 내부 배출 도관(23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고, 버퍼 챔버(150)에 들어갈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동안 유지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액체 부피(252)의 적어도 일부는 컨테이너(142) 내의 진공 압력과, 내부 배출 도관(234) 내의 표면 장력과, 도관(234)의 말단 단부(249)에서의 표면 장력으로 인한 내부 배출 도관(234)에, 및/또는 도관(234)을 따라 체크 밸브(168)의 중간 위치에 남아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액체 부피(252)는 버퍼 챔버(150)의 전체 부피의 단편(fraction)만을 채운다. 예를 들어, 내부 배출 도관(234)의 부피는 버퍼 챔버(150)의 부피의 단편일 수 있고, 이것은 다시 버퍼 챔버(150)의 단편적인 액체 채움을 야기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배출 도관(234)의 부피는 버퍼 챔버(150)의 부피의 대략 5, 10, 15, 20, 25, 30, 40, 50, 60, 또는 70% 미만일 수 있다. 즉, 버퍼 챔버(150)의 부피는 내부 배출 도관(234)의 부피보다 적어도 대략 2, 3, 4, 또는 5배 더 클 수 있다. 그 결과, 버퍼 챔버(150)의 상당한 부분은 외부 배출 도관(232)과 내부 배출 도관(234) 사이에 빈 상태로 남아있어, 대기와 컨테이너(142) 사이에서 커버 조립체(144)를 통해 개방 배출 경로를 유지한다. 하지만, 도관(234)(존재시)에서의 체크 밸브(168)는 컨테이너(142)로부터 버퍼 챔버(150)로의 액체의 모든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어느 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진 버퍼 챔버(150)를 통해, 배출 시스템(148)은 배출 도관(232 및 234) 사이에서 챔버(150)를 통해 자유로운 공기 경로를 갖는다.
즉, 배출 시스템(148)은 공기를 컨테이너(142)로 배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한편, 액체 부피(252)는 버퍼 챔버(150)에 배치된다. 특히, 공기 경로(166)(즉, 배출 경로)는 버퍼 챔버(150) 외부의 배출 도관(232)의 제 1 외부 개구부(260)에 먼저 들어갈 수 있고, 그런 후에 배출 도관(232)의 체크 밸브(168)를 통해 버퍼 챔버(150)에 들어갈 수 있다. 일단 버퍼 챔버(150) 내부에 있으면, 공기 경로(166)는 버퍼 챔버(150) 내부의 배출 도관(234)의 제 2 내부 개구부(264)로 계속해서 이어진다. 공기 경로(166)는 배출 도관(234)을 통해 계속해서 통과하고, 버퍼 챔버(150) 외부에 있지만, 컨테이너(142) 내부에서의 제 2 체크 밸브(168)를 빠져나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내부 개구부(262) 및 제 2 내부 개구부(264)는 버퍼 챔버(150)를 통해 서로 공압식으로 왕래하는(pneumatic communication with) 한편, 액체 부피(252)(만일 있다면)는 버퍼 챔버(150)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챔버(150)에서의 액체 부피(252)의 레벨은 외부 배출 도관(232)의 체크 밸브(168) 및 내부 배출 도관(234)의 제 2 내부 개구부(264) 아래에 남아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액체 부피(252)의 레벨은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임의의 위치에서 개구부(264) 아래에 남아있을 수 있어서, 공기 경로(166)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출 도관(232)을 따르는 체크 밸브(168)는, 액체 레벨(252)이 증가하거나 이동이 액체가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에서의 개구부에 대해 튀기도록 하는 경우에, 임의의 액체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이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2개의 배향만을 도시하지만, 체크 밸브(168)를 갖는 배출 시스템(148)은 임의의 배향으로 외부 배출 도관(232), 버퍼 챔버(150), 및 내부 배출 도관(234)을 통해 공기 경로(166)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공기 경로(166)를 연속적으로 유지하고 컨테이너 조립체(140) 내에 액체 부피(252)를 유지하면서, 수직 평면에서 대략 0 내지 360도, 수평 평면에서 대략 0 내지 360도, 그리고 다른 평면에서 대략 0 내지 360도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 동안, 컨테이너 조립체(140)의 전술한 특징은 액체의 손실 없이, 유체 부피(160 및 252)의 구성요소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컨테이너(142)를 흔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구상된 실시예의 하나의 유리한 특징은 여전히 배출 시스템(148)으로의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 체크 밸브(168)의 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 체크 밸브(168)는 어느 한 방향으로 임의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된 위치에 남아있다. 하지만, 액체 부피(160)가 유체 흐름 경로(164)를 통해 흩어질 때, 공기 부피(262)에서의 공기압은 감소하여, 공기 부피(262)에서 진공을 생성한다. 아래에 더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142)에서의 진공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 인해, 공기는 하나 이상의 체크 밸브(168)를 개방함으로써 배출 시스템(148)을 통해 흐른다. 공기가 체크 밸브(168)를 통해 통과할 때, 공기 흐름은 체크 밸브(168)를 개방하기 위한 공기 흐름으로 인해 유체가 역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하지만, 일단 컨테이너(142) 내부의 진공이 충분히 감소하면, 체크 밸브(168)는 정상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되어, 모든 유체 흐름을 중지시킨다. 그러므로, 체크 밸브(168)는, 배출 시스템(148)을 통해 역방향으로의 액체 흐름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공기 흐름 경로(166)를 통해 컨테이너(142)로 흐르도록 한다.
본 구상된 실시예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돌출 부분(236)(예를 들어, 액체 차단 스크린)에 대한 테이퍼링된 외부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의 근접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실시예에서, 말단 단부(242)와 돌출 부분(236) 사이의 거리는 외부 배출 도관(232)으로의 액체 흐름을 실질적으로 저항하거나 차단할 정도로 충분히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장력은 외부 배출 도관(232)으로의 액체 흐름을 허용하기 보다는, 돌출 부분(236)을 따라 임의의 액체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말단 단부(242)와 돌출 부분(236) 사이의 갭 거리는 대략 1, 2, 3, 4, 또는 5 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말단 단부(242)와 돌출 부분(236) 사이의 갭 거리는 대략 3 mm 미만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말단 단부(242)에서의 외부 배출 도관(232)의 테이퍼링된 기하학적 구성 및 개구부(262)의 감소된 직경은 외부 배출 도관(232)으로의 액체 흐름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내부 개구부(262)의 직경은 대략 1, 2, 3, 4, 또는 5 mm 이하일 수 있다. 추가 예에 대해, 일실시예에서, 제 1 내부 개구부(262)의 직경은 대략 3 mm 미만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테이너 조립체(140)를 흔들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켜, 액체가 위치(242)의 근처에서 튀기거나 흐르도록 하면, 도관(232)의 더 작은 직경과 돌출 부분(236)에 대한 작은 갭은 외부 배출 도관(232)을 통과하는 임의의 액체 흐름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외부 배출 도관(232)을 통해 버퍼 지역(150)으로부터의 액체 누출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시, 이전 특징은 사용 동안, 심지어 흔들릴 때, 버퍼 챔버(150) 내에 액체 부피(252)를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말단 단부(249)에서의 내부 배출 도관(234)의 테이퍼링된 기하학적 구성은 또한 심지어 말단 단부(249) 상의 체크 밸브(168)가 없을 때 내부 배출 도관(234)으로의 액체 흐름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말단 단부(249)에서의 개구부의 직경은 대략 1, 2, 3, 4, 또는 5 mm 이하일 수 있다. 추가 예에 대해, 일실시예에서, 말단 단부(249)에서의 개구부의 직경은 대략 3 mm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테이너 조립체(140)를 흔들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켜, 액체가 위치(249) 근처에서 튀기거나 흐르면, 도관(234)의 작은 직경은 내부 배출 도관(234)을 통해 버퍼 챔버(150)로의 임의의 액체 흐름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 조립체(140)는 내부 배출 도관(234)을 통해 버퍼 지역(150)으로의 액체 누출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전 특징은, 액체 부피(252)가 회전 동안(예를 들어, 튀김) 버퍼 지역(150)에 누출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컨테이너(142) 내에 액체 부피(160)를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내부 커버(154)의 돌출 부분(236)(예를 들어, 액체 차단 스크린)에 인접한 테이퍼링된 외부 배출 도관(232)을 갖는 버퍼 챔버(150)를 도시하며, 도 6 및 도 7의 커버 조립체(144)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분(236)은 테이퍼링된 외부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 예를 들어, 개구부(262)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다시, 돌출 부분(236)에 대한 배출 도관(232)의 말단 단부(242), 예를 들어, 개구부(262)의 근접성은 또한 배출 도관(232)의 액체 차단 가능성을 감소시키면서, 동작 동안 배출 도관(232)을 통해 밖으로의 액체의 누출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도 8은 액체 도관(146) 및 내부 배출 도관(234)에 대해 외부 배출 도관(232)의 위치 지정을 도시한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배출 도관(232) 및 내부 배출 도관(234)은 액체 도관(146)의 대항 측부 상에 위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외부 배출 도관(232), 내부 배출 도관(234), 및 액체 도관(146)은 공통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평행 축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커버 조립체(144) 및 컨테이너(142)를 갖지만, 버퍼 챔버 및 단일 배출 도관(266)을 갖지 않는 고유한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140)를 도시하며, 도 1의 액체 공급부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컨테이너(142)는 액체 흐름 경로(164)를 통해 컨테이너를 빠져나가는 액체 부피(160)로 채워진다.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68)는 단일 배출 도관(266)의 말단 단부(249)에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체크 밸브(168)는 단일 배출 도관(266)의 말단 단부(249)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 시스템(148)에서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아래에 더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168)의 포함은 역방향으로의 단일 배출 도관(266)을 통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면서,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른 공기의 흐름을 허용한다. 더욱이, 배출 시스템(148)으로의 체크 밸브(168)의 포함은, 컨테이너 조립체(140)가 수평 평면, 수직 평면, 또는 임의의 다른 평면에서 대략 0 내지 360도로 회전될 때 공기 흐름 경로(166)를 유지하고 액체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덕빌 밸브(270)를 도시하며, 도 3, 도 6, 도 7 및 도 9의 체크 밸브(168)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논의를 위해, 밸브(168, 270)의 길이 방향 축(289)에 대해 축 방향(286) 및 방사 방향(288)이 인용될 수 있다. 더욱이, 체크 밸브(168, 270)는 장착 섹션(290) 및 밸브 섹션(292)을 갖는다. 장착 섹션(290)은 도 3 내지 도 9의 배출 시스템(148)에서의 임의의 장소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68)를 배출 도관,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8의 배출 도관(232 및 234) 및/또는 도 9의 배출 도관(266) 상에 장착할 때, 장착 섹션(290)은 도관 외부, 도관 내부에 장착되고, 도관을 갖는 하나의 연속적인 부품으로서 제조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섹션(292)은 상부 탄성 플랩(294) 및 하부 탄성 플랩(296)을 포함하고, 이들은 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차단된 위치로 도시된다. 밸브 섹션(292)의 개방 위치는 개방 플랩(294 및 296)(예를 들어, 298 및 30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추가로, 밸브 섹션(292)은 역방향 압력(302) 및 순방향 압력(304)을 가져, 상부 탄성 플랩(294) 및 하부 탄성 플랩(296) 모두에 힘을 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 압력은 다른 힘들 중에서 대기압, 압축된 공기, 진공, 중력, 및 액체 흐름을 포함하는 다양한 힘 및 유체 압력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탄성 플랩(294) 및 하부 탄성 플랩은 휴지시(at rest) 흐름을 차단하도록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일단 순방향 압력(304)이 플랩(294 및 296)에서의 탄성을 억제시킬 정도로 충분하게 역방향 압력(302)을 초과하면, 상부 및 하부 탄성 플랩(294 및 296)은 축방향(286)으로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서로 멀어지게, 예를 들어, 개방 위치(298 및 300)로 반대 방사 방향(288)으로 나아가게 된다. 상부 및 하부 탄성 플랩(294 및 296)이 개방 플랩 위치(298 및 300)로 나아가게 될 때, 밸브 섹션(292)은 공기가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축방향(286)으로 흐르도록 한다. 하지만, 일단 순방향 압력(304)과 순방향 압력(302) 사이의 압력차가 상부 및 하부 탄성 플랩(294 및 296)을 개방 플랩 위치(298 및 300)에 유지하는데 불충분하면, 플랩은 원래의 차단된 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안쪽의 방사 방향(288)으로 되돌아간다. 다시 한번 원래의 차단된 위치로 되돌아가는 플랩(294 및 296)은 밸브 섹션(292)을 통하는 흐름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밸브 섹션(292)이 단지 순방향 압력(304)이 압력(302)을 초과할 때 흐름을 허용하기 때문에, 밸브 섹션(292)을 통하는 흐름은 단지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단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단방향 흐름 구성은 밸브 섹션(292)을 통하는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공기 흐름 경로(166)를 통하는 배출을 허용하지만, 액체가 도 3 내지 도 9의 배출 시스템(148)을 통해 다시 빠져나가는(예를 들어, 누출되는) 것으로부터 차단한다.
도 11은 엄브렐라 밸브(320)를 도시하며, 도 3, 도 6, 도 7 및 도 9의 체크 밸브(168)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논의를 위해, 밸브(168, 320)의 길이 방향 축(327)에 대해 축 방향(324) 및 방사 방향(326)이 인용될 수 있다. 더욱이, 체크 밸브(168, 320)는 장착 섹션(328) 및 밸브 섹션(330)을 갖는다. 장착 섹션(328)은 도 3 내지 도 9의 배출 시스템(148)에서의 임의의 장소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68, 320)를 배출 도관,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8의 배출 도관(232 및 234) 및/또는 도 9의 배출 도관(266) 상에 장착할 때, 장착 섹션(328)은 도관 외부, 도관 내부에 장착되고, 도관을 갖는 하나의 연속적인 부품으로서 제조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밸브 섹션(330)은 중앙 바디(336)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326) 연장하는 탄성 플랩(334)을 갖는 밸브 캡(332)을 갖는다. 예를 들어, 플랩(334)은 밸브(168, 320)의 축(327) 주위에 대칭적으로 연장하는 엄브렐라 형태의 플랩일 수 있다. 더욱이, 바디(336)는 중앙 공동(cavity)(337) 주위로 연장하는 고리형 벽(335)을 포함하는 중공의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334)은 배출 구멍(338)을 선택적으로 커버한다. 추가로, 밸브 캡(332)은, 탄성 플랩(334)이 정상적으로 차단된 위치(직선)로부터 개방 위치(340)(점선)로 축방향(324)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체크 밸브(168, 320)의 현재 실시예는 역방향 압력(344) 및 순방향 압력(346)을 받아, 탄성 플랩(334) 상에 압력을 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 압력은 다른 힘들 중에서 대기압, 압축된 공기, 진공, 중력, 및 액체 흐름을 포함하는 다양한 힘 및 유체 압력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플랩(334)은 휴지시 배출 구멍(338)을 통하는 흐름을 차단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순방향 압력(346)이 플랩(334)에서의 탄성을 억제시킬 정도로 충분하게 역방향 압력(344)을 초과할 때, 탄성 플랩(334)은 축방향(324)으로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플랩 위치(340)를 개방하기 위해 축방향(324)으로 나아가게 된다. 탄성 플랩(334)이 개방 플랩 위치(340)로 나아가게 될 때(점선), 밸브 섹션(330)은 공기가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축방향(324)으로 흐르도록 한다. 하지만, 일단 순방향 압력(346)과 역방향 압력(344) 사이의 압력차가 탄성 플랩(344)을 개방 플랩 위치(340에 유지하는데 불충분하면, 플랩(334)은 역방향의 축방향(324)에서 원래의 차단된 위치로 되돌아간다(직선). 다시 한번 원래의 차단된 위치로 되돌아가는 플랩(334)은 밸브 섹션(330)을 통하는 흐름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밸브 섹션(330)이 단지 순방향 압력(346)이 압력(344)을 초과할 때 흐름을 허용하기 때문에, 밸브 섹션(330)을 통하는 흐름은 단지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단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단방향 흐름 구성은 밸브 섹션(330)을 통하는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공기 흐름 경로(166)를 통하는 배출을 허용하지만, 액체가 도 3 내지 도 9의 배출 시스템(148)을 통해 다시 빠져나가는(예를 들어, 누출되는) 것으로부터 차단한다.
도 12는 볼 밸브(360)를 도시하며, 도 3, 도 6, 도 7, 및 도 9의 체크 밸브(168)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논의를 위해, 밸브(168, 360)의 길이 방향 축(369)에 대해 축 방향(366) 및 방사 방향(368)이 인용될 수 있다. 더욱이, 체크 밸브(168, 360)는 장착 섹션(370) 및 밸브 섹션(372)을 갖는다. 장착 섹션(370)은 도 3 내지 도 9의 배출 시스템(148)에서의 임의의 장소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68)를 배출 도관,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8의 배출 도관(232 및 234) 및/또는 도 9의 배출 도관(266) 상에 장착할 때, 장착 섹션(370)은 도관 외부, 도관 내부에 장착되고, 도관을 갖는 하나의 연속적인 부품으로서 제조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밸브 섹션(372)은 볼(374), 스프링(376), 및 하우징 케이지(378)를 포함한다. 하우징 케이지(378)는 시스템을 통한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배출 구멍(379)을 갖는다. 체크 밸브(168, 360)의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흡입 배출부(380) 및 방출 배출구(382)를 갖는다. 추가로, 체크 밸브(168, 360)의 현재 실시예는 역방향 압력(384) 및 순방향 압력(386)을 받아, 볼(374) 상에 압력을 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 압력은 다른 힘들 중에서 대기압, 압축된 공기, 진공, 중력, 및 액체 흐름을 포함하는 다양한 힘 및 유체 압력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볼(374), 스프링(376), 및 하우징 케이지(378)는 휴지시 흡입 배출부(380)를 통하는 흐름을 차단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위치된다. 즉, 스프링(376)은 정상 상태에서 배출부(380)를 통하는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배출부(380)에 대해 볼(374)을 편향시킨다. 순방향 압력(386)이 스프링(376)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초과할 때, 볼(374)은 압축 스프링(376)에 의해 축방향(366)으로 하우징 케이지(378)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 배출부(380)는 더 이상 차단되지 않고, 유체는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흡입 배출부(380)를 통해 들어갈 수 있고, 그런 후에 방출 배출부(382)를 통해 빠져나간다. 하지만, 일단 순방향 압력(386)에 의해 가해진 힘이 스프링(376)에 의해 가해진 힘과 압력(384)을 더한 것 아래로 강하되면, 볼(374)은 역방향의 축방향에서 흡입 배출부(380)를 차단하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즉, 밸브 섹션(372)이 단지 순방향 압력(386)이 스프링(376)에 의해 가해진 힘과 임의의 역방향 압력(384)을 초과할 때 흐름을 허용하기 때문에, 밸브 섹션(372)을 통하는 흐름은 단지 공기 흐름 경로(166)를 따라 단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단방향 흐름 구성은 밸브 섹션(372)을 통하는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공기 흐름 경로(166)를 통하는 배출을 허용하지만, 액체가 도 3 내지 도 9의 배출 시스템(148)을 통해 다시 빠져나가는(예를 들어, 누출되는) 것으로부터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단지 특정한 특징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변형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이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있는 바와 같이 모든 그러한 변형 및 변화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시스템으로서,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커버는
    액체 컨테이너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액체 도관과;
    버퍼 챔버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액체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적어도 하나의 벽에 결합된 제 1 배출 도관으로서, 제 1 배출 도관은 버퍼 챔버와 외부 환경을 유체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배출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벽에 결합된 제 2 배출 도관으로서, 제 2 배출 도관은 버퍼 챔버와 내부 부피를 유체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배출 도관과;
    제 1 또는 제 2 배출 도관 또는 이들의 조합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유체 도관은 스프레이 건의 액체 입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프레이 디바이스 장착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 장착부를 통해 컨테이너 커버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제 1 배출 도관에 결합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제 2 배출 도관에 결합되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제 1 또는 제 2 배출 도관의 말단 단부 부분에 결합되고, 말단 단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오프셋 거리에 배치되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플랩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액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 각각은 액체 흐름에 저항하는 표면 장력을 갖는 말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 각각은 액체 흐름에 저항하는 내부 표면 장력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은 오프셋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고, 오프셋 거리는 제 1 및 제 2 배출 도관의 축에 대해 축방향 오프셋 및 측면 오프셋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배출 도관의 말단 개구부는 버퍼 챔버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버퍼 챔버를 둘러싸는 내부 벽 및 외부 벽을 포함하고, 액체 도관은 외부 벽 및 내부 벽에 결합되고, 제 1 배출 도관은 외부 벽에 결합되고, 제 1 배출 도관은 버퍼 챔버로의 외부 벽으로부터 외부 벽과 내부 벽 사이의 제 1 말단 위치로 안쪽으로 돌출하고, 제 2 배출 도관은 내부 벽에 결합되고, 제 2 배출 도관은 버퍼 챔버 및 내부 벽으로부터 내부 벽으로부터 오프셋된 제 2 말단 위치로 돌출하는, 시스템.
  13. 시스템으로서,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커버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액체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벽과;
    적어도 하나의 벽에 결합된 액체 도관으로서, 액체 도관은 스프레이 디바이스의 액체 입구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벽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액체 도관과의 액체 입구의 연결을 통해 컨테이너 커버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의 말단 단부 부분에 결합되고, 말단 단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오프셋 거리에 배치되는, 시스템.
  16. 제 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플랩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13항에 있어서, 액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 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액체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버퍼 챔버를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은 버퍼 챔버에 유체학적으로 결합되는, 시스템.
  19. 시스템으로서,
    액체 입구를 갖는 스프레이 디바이스와;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를 포함하고,
    중력 공급 컨테이너 조립체는
    액체 컨테이너와;
    액체 컨테이너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 커버로서, 컨테이너 커버는 액체 컨테이너의 내부 부피와 외부 환경 사이에서 배출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커버는 스프레이 디바이스의 액체 입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액체 도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커버의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배출 도관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는 배출 도관의 말단 단부 부분에 결합되는, 시스템.
KR1020147030554A 2012-05-01 2013-03-08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배출 시스템 KR20150002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1181P 2012-05-01 2012-05-01
US61/641,181 2012-05-01
US13/789,528 2013-03-07
US13/789,528 US20130292493A1 (en) 2012-05-01 2013-03-07 Vent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
PCT/US2013/030039 WO2013165556A1 (en) 2012-05-01 2013-03-08 Vent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23A true KR20150002723A (ko) 2015-01-07

Family

ID=4951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554A KR20150002723A (ko) 2012-05-01 2013-03-08 중력 공급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30292493A1 (ko)
EP (1) EP2844395B1 (ko)
JP (2) JP2015522399A (ko)
KR (1) KR20150002723A (ko)
CN (1) CN104428069A (ko)
AU (1) AU2013257190B2 (ko)
BR (1) BR112014027137A2 (ko)
CA (1) CA2871427C (ko)
ES (1) ES2653987T3 (ko)
IN (1) IN2014DN09115A (ko)
MX (1) MX365195B (ko)
RU (1) RU2014148150A (ko)
TW (1) TW201400189A (ko)
WO (1) WO2013165556A1 (ko)
ZA (1) ZA2014078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990126T3 (pl) * 2014-08-27 2017-07-31 EMM Holding BV Pokrywa z systemem wentylacyjnym
US10589309B2 (en) 2015-02-20 2020-03-17 Carlisle Fluid Technologies, Inc. Sprayer adapter
US20170239679A1 (en) * 2016-02-23 2017-08-24 Carlisle Fluid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having filter disposed in fluid supply cup
NL2016930B1 (en) * 2016-06-09 2018-01-24 Yen Cheng Hung Wash-free air-guiding cover for a paint container.
US10207282B2 (en) * 2016-07-05 2019-02-19 Hung-Yen Cheng Wash-free air-guiding cover for a paint container
CN106238369B (zh) * 2016-09-21 2018-08-28 苏州瑞得恩光能科技有限公司 液体分发容器及清扫机器人
WO2018218813A1 (en) * 2017-05-27 2018-12-06 Shenzhen Wisd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Spray pot
CN109253290A (zh) 2017-07-14 2019-01-22 福特环球技术公司 保压阀以及集成保压阀的盖总成
CN108790477A (zh) * 2018-07-25 2018-11-13 德清县扬烨制笔有限公司 极细喷墨笔
US10919676B2 (en) * 2019-05-02 2021-02-16 Emm Holding B.V. Lid with ventilation system
DE102020109913A1 (de) 2020-04-08 2021-10-14 Sata Gmbh & Co. Kg Farbbecher aus natürlichem Faserstoff
DE102020109914A1 (de) 2020-04-08 2021-10-14 Sata Gmbh & Co. Kg Farbbecher mit Belüftungsventil
DE102020111089A1 (de) 2020-04-23 2021-10-28 B6 Innovations GmbH Fliesfarbbehälter und Deckel für einen Fliesfarbbehälter
EP3922595A1 (en) * 2020-06-09 2021-12-15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Backup valve for closed transfer coupler
WO2022107302A1 (ja) * 2020-11-20 2022-05-27 博明 田尾 スプレーチャンバー、スプレーチャンバー用補助具、試料霧化導入装置および試料霧化導入装置の作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418A (en) * 1888-07-17 Measuring bottle or flask
US1104217A (en) * 1910-04-11 1914-07-21 Jens A Paasche Pneumatic paint-brush.
US2399081A (en) * 1943-02-11 1946-04-23 Spray Process Co Inc Spraying device for liquids
US3132806A (en) * 1954-01-29 1964-05-12 Hugh N Mcnair Bottle type container and dispensing combination embracing the same
US3990609A (en) * 1976-03-12 1976-11-09 Champion Spark Plug Company Attachment for paint spray gun systems
US4174071A (en) * 1976-11-08 1979-11-13 Binks Manufacturing Company Spray gun assembly
US4260074A (en) * 1979-11-09 1981-04-07 Vending Compon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er through a gas line
DE3270700D1 (en) * 1981-02-12 1986-05-28 Ici Plc Agricultural spraying apparatus and containers for use therewith
US4388997A (en) * 1981-04-20 1983-06-21 Champion Spark Plug Company Vent for paint cups
DE3130285A1 (de) * 1981-07-31 1983-02-17 Fulgurit GmbH & Co KG, 3050 Wunstorf Spritzpistole mit treibgasantrieb
GB2115316A (en) * 1982-02-05 1983-09-07 Ici Plc Fluid container
US4921071A (en) * 1988-02-26 1990-05-01 Brunswick Corporation Marine stern drive with improved fluid inspection reservoir
JPH1111591A (ja) * 1997-06-26 1999-01-19 Haradaya:Kk 飲料等供給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7305600B2 (en) * 2003-08-29 2007-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rtial good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testing same
JP5166701B2 (ja) * 2006-03-20 2013-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CN201013979Y (zh) * 2007-01-10 2008-01-30 尹波 一种鸟嘴式阀芯单向阀
US8740111B2 (en) * 2009-11-17 2014-06-03 Black & Decker Inc. Paint sprayer
JP5697359B2 (ja) * 2009-12-17 2015-04-08 株式会社ニイタカ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供給方法
US9079201B2 (en) * 2010-01-22 2015-07-14 Finishing Brands Holdings Inc. Liquid supply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53987T3 (es) 2018-02-09
AU2013257190A1 (en) 2014-11-13
BR112014027137A2 (pt) 2017-06-27
CA2871427C (en) 2018-02-13
US20130292493A1 (en) 2013-11-07
WO2013165556A1 (en) 2013-11-07
EP2844395B1 (en) 2017-11-22
ZA201407836B (en) 2015-12-23
JP2015522399A (ja) 2015-08-06
CN104428069A (zh) 2015-03-18
MX365195B (es) 2019-05-27
CA2871427A1 (en) 2013-11-07
JP2017104862A (ja) 2017-06-15
RU2014148150A (ru) 2016-06-20
EP2844395A1 (en) 2015-03-11
AU2013257190B2 (en) 2015-11-12
IN2014DN09115A (ko) 2015-05-22
TW201400189A (zh) 2014-01-01
JP6374475B2 (ja) 2018-08-15
MX2014013229A (es)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4475B2 (ja) 重力補給式スプレー装置用の通気システム
KR101475678B1 (ko) 중력을 이용한 공급 분무 장치용 액체 공급 시스템
JP6199996B2 (ja) 重力送りスプレー容器のためのバルブ及びフィルタシステム
CN104936707B (zh) 流体应用系统
US20090090297A1 (en) Air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