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042U - 유아용 구명 조끼 - Google Patents

유아용 구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042U
KR20150002042U KR2020130009565U KR20130009565U KR20150002042U KR 20150002042 U KR20150002042 U KR 20150002042U KR 2020130009565 U KR2020130009565 U KR 2020130009565U KR 20130009565 U KR20130009565 U KR 20130009565U KR 20150002042 U KR20150002042 U KR 20150002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ans
infant
fastening
lif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희
Original Assignee
위니코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코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코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042U/ko
Publication of KR20150002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4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zipp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의 등에 밀착하는 구명 조끼의 후면부 중앙을 절개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하여 물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체결수단을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한 유아용 구명 조끼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의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아의 등 부분을 감싸게 되는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구명 조끼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중앙은 수직으로 절개시켜 구성하고, 상기 절개 부위는 체결수단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구명 조끼{LIFE JACKET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구명 조끼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등에 밀착하는 구명 조끼의 후면부 중앙을 절개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하여 물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구명 조끼의 체결수단을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한 유아용 구명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래프팅 등과 같은 수상레저 스포츠를 할 때,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 중의 하나이다. 또한 강이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에도 해난사고를 대비하여 구명조끼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수상활동에 있어서 수면위로 몸을 부상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물로 인한 체온저하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는 부가적인 기능도 갖고 있다.
구명조끼는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튜브를 제공하고, 이곳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공기주입식은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고, 튜브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구명조끼의 기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발포수지의 부력재가 제공된 방식의 구명조끼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신체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는 동일한 두께 혹은 다른 두께를 가진 발포수지 부력재가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구명조끼 사용자가 물에 뜨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입을 수 있도록 절개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전면부 양쪽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게 되는 데, 이때 절개부는 필요에 따라 구명조끼의 양쪽 옆면에 형성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명조끼는 호기심이 많은 유아들이 착용할 경우에는 물놀이 과정에서 체결수단을 쉽게 열어 버리게 됨으로서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2-0107764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의 등에 밀착하는 구명 조끼의 후면부 중앙을 절개(또는 절반 절개)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하여 물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체결수단을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한 유아용 구명 조끼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의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아의 등 부분을 감싸게 되는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구명 조끼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중앙은 수직으로 절개시켜 구성하고, 상기 절개 부위는 체결수단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전면 및 후면부를 감싸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벨트와, 상기 체결벨트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며 상기 후면부의 절개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암, 수버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유아의 등을 감싸게 되는 구명조끼의 후면부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개 부위를 암, 수버클 및 체결벨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서 유아들이 구명 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기심으로 체결수단을 열려고 하더라도 상기 체결수단이 구명 조끼 뒤쪽 후면부에 있는 관계로 유아들의 손이 체결수단에 닿지가 않아 체결수단을 유아들이 열 수 없도록 함으로서 물놀이 과정에서 체결수단이 열려 구명조끼가 벗겨지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구명조끼의 배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유아용 구명조끼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유아용 구명조끼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 부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구명조끼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구명조끼의 배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유아용 구명조끼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구명조끼(100)는 유아의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아의 등 부분을 감싸게 되는 후면부(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면 및 후면부(10, 20)는 동일한 구조로서, 통상 내, 외피의 이중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 외피 사이에 부력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재봉 처리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후면부(20)는 그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22)시켜 반으로 나뉘어 구성하게 되며, 이는 상기 절개(22) 부위를 기점으로 후면부(20)를 양쪽으로 벌려 구명 조끼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면부(20)의 절개 부위는 후술하는 체결수단(30)을 통해 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30)은 상기 전면 및 후면부(10, 20)를 감싸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벨트(32)와, 상기 체결벨트(32, 34)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며 상기 후면부(20)의 절개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암, 수버클(36, 38)로 구성한다.
즉, 본 고안은 구명 조끼(100)를 구성할 때, 종래와 같이 구명조끼(100)의 전면부(10)를 절개시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등을 감싸게 되는 구명조끼(100)의 후면부(20)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22)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개(22) 부위를 암, 수버클(36, 38) 및 체결벨트(32, 3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0)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서 유아들이 구명 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기심으로 체결수단을 열려고 하더라도 상기 체결수단(30)이 구명 조끼(100) 뒤쪽 후면부(20)에 있는 관계로 유아들의 손이 체결수단(30)에 닿기가 힘들며, 따라서 보호자가 체결수단을 열지 않는 한, 체결수단(30)을 유아들이 열 수 없음으로서 물놀이 과정에서 체결수단(30)이 열려 구명조끼(100)가 벗겨지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명 조끼(100)의 후면부(20)에 형성된 절개(22) 부위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후면부(20)의 상단(20a)에서 중간(20b) 지점까지 형성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30)으로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착용 후에 상기 체결수단(30)이 풀려 지더라도 구명 조끼(100)가 유아의 몸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구명 조끼의 배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구명 조끼(20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유아용 구명 조끼와 같이 유아의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110), 상기 전면부(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아의 등 부분을 감싸게 되는 후면부(120), 그리고 상기 후면부(120)의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개 부위를 체결수단(130)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구성하되, 상기 체결수단(130)을 암, 수버클로 사용하지 않고, 지퍼(132)로 대체하여 구성한 것에 차이를 가지며 이러한 제 2실시 예의 유아용 구명조끼(200) 역시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유아의 등을 감싸게 되는 구명조끼(200)의 후면부 (120)중앙을 수직으로 절개(122)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개(122) 부위를 지퍼(132)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30)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서 유아들이 구명 조끼(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기심으로 체결수단(130)을 열려고 하더라도 상기 체결수단(130)이 구명 조끼(200) 뒤쪽 후면부(120)에 있는 관계로 유아들의 손이 체결수단(130)에 닿지 않아 물놀이중에 체결수단(130)이 열려 구명 조끼(200)가 벗겨지거나 또는 유아들이 갑갑함으로 인해 구명 조끼를 임의로 벗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10: 전면부 20: 후면부
22: 절개 30: 체결수단
32, 34: 체결벨트 36, 38: 암, 수벨크로
100: 유아용 구명 조끼

Claims (4)

  1. 유아의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유아의 등 부분을 감싸게 되는 후면부(20)를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구명 조끼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20)의 중앙은 수직으로 절개(22)시켜 구성하고, 상기 절개(22) 부위는 체결수단(30)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 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은;
    상기 전면부(20) 및 후면부(30)를 감싸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벨트(32, 34)와, 상기 체결벨트(32, 34)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며 상기 후면부(20)의 절개(22)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암, 수버클(36, 38)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 조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은 지퍼(132)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 조끼.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22) 부위는 상기 후면부(20)의 상단(20a)에서 중간(20b) 지점까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 조끼.

KR2020130009565U 2013-11-21 2013-11-21 유아용 구명 조끼 KR201500020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65U KR20150002042U (ko) 2013-11-21 2013-11-21 유아용 구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65U KR20150002042U (ko) 2013-11-21 2013-11-21 유아용 구명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42U true KR20150002042U (ko) 2015-05-29

Family

ID=5351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65U KR20150002042U (ko) 2013-11-21 2013-11-21 유아용 구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0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77B1 (ko) * 2016-06-21 2017-02-28 이영석 구명조끼
KR101966433B1 (ko) * 2017-12-22 2019-04-05 이명자 구명조끼
KR20210064541A (ko) * 2019-11-26 2021-06-03 권정수 범법자용 구속벨트가 장착된 호송조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77B1 (ko) * 2016-06-21 2017-02-28 이영석 구명조끼
WO2017222162A1 (ko) * 2016-06-21 2017-12-28 이영석 구명조끼
CN107771149A (zh) * 2016-06-21 2018-03-06 李暎锡 救生衣
CN107771149B (zh) * 2016-06-21 2019-06-28 李暎锡 救生衣
US10549827B2 (en) 2016-06-21 2020-02-04 Young Seok Lee Life vest
KR101966433B1 (ko) * 2017-12-22 2019-04-05 이명자 구명조끼
WO2019124745A1 (ko) * 2017-12-22 2019-06-27 이명자 구명조끼
KR20210064541A (ko) * 2019-11-26 2021-06-03 권정수 범법자용 구속벨트가 장착된 호송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252B2 (en) Buoyancy vest
US9365269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US20090075537A1 (en) Whitewater ankle floatation safety device
KR20150002042U (ko) 유아용 구명 조끼
US20170156417A1 (en) Body surfing garment
US9022826B1 (en) Safety belt swim trainer
US20190100290A1 (en) Life vest
KR20130002463U (ko) 구명조끼용 지지밴드
KR100319443B1 (ko) 구명복
KR101621429B1 (ko) 구명조끼
KR20150004405U (ko) 구명조끼
KR20170000973A (ko) 구명복
JP2014054861A (ja) 救命胴衣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KR102144461B1 (ko)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KR20220138882A (ko) 추진력이 향상된 수중 부력 조끼
KR101977609B1 (ko) 슈트형 구명복
KR20150004406U (ko) 구명조끼
KR101828922B1 (ko) 킥판 겸용 몸 고정띠를 구비한 구명조끼
KR20030087848A (ko) 구명조끼
KR200489540Y1 (ko) 구명 조끼
CN210000533U (zh) 一种婴儿游泳救生衣
KR20090002973U (ko) 구명조끼
KR101966433B1 (ko) 구명조끼
KR200270713Y1 (ko) 수영용 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