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73A - 구명복 - Google Patents

구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973A
KR20170000973A KR1020150090253A KR20150090253A KR20170000973A KR 20170000973 A KR20170000973 A KR 20170000973A KR 1020150090253 A KR1020150090253 A KR 1020150090253A KR 20150090253 A KR20150090253 A KR 20150090253A KR 20170000973 A KR20170000973 A KR 2017000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main body
band
opening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혁주
안준일
이동혁
전광헌
천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973A/ko
Publication of KR2017000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구명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구명복은, 일측 하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접힌 형태로 수용되는 띠를 포함하되, 상기 띠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복{Life vest}
본 발명은 구명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구명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복은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래프팅 등과 같은 수상레저 스포츠를 할 때,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 중의 하나이다. 또한, 강이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에도 해난사고를 대비하여 구명복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되는 구명복은 수상활동에 있어서 수면위로 몸을 부상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물로 인한 체온저하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는 부가적인 기능도 갖고 있다.
통상의 구명복은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튜브가 제공되며, 튜브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발포수지의 부력재가 제공된 방식의 구명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명복은 신체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는 동일한 두께의 발포수지 부력재가 배치되어, 부력에 의해 구명복 착용자가 물에 뜨도록 이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12-0131932 (2012.12.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아와 보호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구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구명복은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접힌 형태로 수용되는 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피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본체의 일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는, 아기가 안착되는 안착 부재와, 상기 안착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와 상기 복수의 결합 부재는, 벨크로(velcro)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와 상기 복수의 결합 부재는, 암버클과 수버클의 형태로 서로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aspect)에 따른 구명복은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되고 내부에 복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각각 개폐시키는 복수의 개폐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 각각 접힌 형태로 수용되는 복수의 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피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띠는, 서로 결합되어 아기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명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와 보호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접힌 형태로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펼친 형태로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본체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에 부력이 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유아와 보호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을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10)은 본체(110), 개폐 부재(120) 및 띠(13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구명 조끼를 구명복(10)의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이 방지하기 위해서 착용하는 모든 수상 안전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체(110)는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되고 부력이 제공되어 착용자가 물에 뜨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10)는 내피와, 외피와, 상기 내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 공간에 튜브 또는 부력재가 배치되어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 부재(120)는 본체(110)의 수용 공간을 개폐시킨다. 구체적으로, 개폐 부재(120)는 본체(110)의 외피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되어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띠(130)는 본체(110)의 수용 공간에 접힌 형태로 수용된다. 개폐 부재(120)가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에 접힌 형태로 수용되는 띠(130)는 외부로 꺼내지고, 이를 펼쳐 본체(110)에 결합함으로써, 아이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띠(130)와 본체(110)의 결합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접힌 형태로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펼친 형태로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본체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에 부력이 제공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유아와 보호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을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 부재(120)가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경우, 착용자는 접힌 상태의 띠(130)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 때, 띠(13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은 본체(11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고, 본체(110)의 타측 하부에는 띠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띠(130)가 외부로 꺼내진 경우, 착용자는 접힌 상태의 띠(130)를 펼칠 수 있다. 이 때, 띠(130)는 아기가 안착되는 안착 부재(131)와, 안착 부재(131)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132, 133, 134, 135, 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 중 하나(132)가 본체(110)의 타측 하부에 위치한 결합 부재(112)와 결합된다. 이 때, 복수의 연결 부재 중 하나(132)가 본체(110)의 타측 하부에 위치한 결합 부재(112)는 벨크로(velcro)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띠(130)가 본체(110)의 하부에서 먼저 되므로, 띠(130)와 본체(110)가 완전히 결합되기 이전에도 아이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띠(130)의 나머지 연결 부재(133, 134, 135, 136)는 각각 본체(110)의 결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띠(130)의 나머지 연결 부재(133, 134, 135, 136)와 본체(110)의 결합 부재는 각각 벨크로(velcro)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띠(130)의 측면 연결 부재(133, 134)는 본체(110)의 측면에 연결되고, 띠(130)의 상부 연결 부재(135, 136)는 본체(110)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아기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아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연결 부재(132, 133, 134, 135, 136)와 결합 부재(112)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 부재(132, 133, 134, 135, 136)와 복수의 결합 부재(112)는 암버클과 수버클의 형태로 서로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벨크로 타입으로 결합되는 것에 비해 복수의 연결 부재(132, 133, 134, 135, 136)와 복수의 결합 부재(11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연결 부재(132, 133, 134, 135, 136)와 복수의 결합 부재(112)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복수의 연결 부재(132, 133, 134, 135, 136)와 복수의 결합 부재(112) 사이의 결합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띠(130)는 띠(130)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띠(13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또는 수동으로 공기홀(127)에 공기를 불어 넣는 경우 띠(130)가 팽창하여 띠(130)에도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공기홀(127)은 안착 부재(13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홀(127)이 위치하는 영역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띠(130)에 별도의 부력체를 장착하여 띠(130)에 부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띠(13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띠(13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 가능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형성된 안착 공간에 아기가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자가 유아를 안는 형태로 구명복(1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와 보호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10)의 개폐 부재(122)는 캡(cap)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외피에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수용 홀이 형성되고, 캡 형상의 개폐 부재(122)가 상기 수용 홀에 장착되어, 캡 형상의 개폐 부재(122)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10)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10)의 구성들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서, 개폐 부재(120, 122)는 지퍼와 캡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의 띠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20)은 본체(210), 복수의 개폐 부재(222, 224, 226, 228) 및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1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서술한다.
본체(210)는 내부에 복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개폐 부재(222, 224, 226, 228)는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각각 개폐시킨다.
이 때,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는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 각각 접힌 형태로 수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개폐 부재(222, 224, 226, 228)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경우,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복수의 개폐 부재(222, 224, 226, 228)는 본체(210)의 외피에 형성되고 슬라이딩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각각 개폐시키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는 서로 결합되어 아기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는 각각 암버클과 수버클의 형태로 서로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는 벨크로 타입으로 서로 연결되어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복수의 띠(232, 234, 236, 238)가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복수의 띠(232, 234, 236, 238)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형성된 안착 공간에 아기가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자가 유아를 안는 형태로 구명복(2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와 보호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구명복
110: 본체
120: 개폐 부재
130: 띠
20: 구명복
210: 본체
222, 224, 226, 228: 개폐 부재
232, 234, 236, 238: 띠

Claims (1)

  1. 일측 하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접힌 형태로 수용되는 띠를 포함하되,
    상기 띠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구명복.
KR1020150090253A 2015-06-25 2015-06-25 구명복 KR20170000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53A KR20170000973A (ko) 2015-06-25 2015-06-25 구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53A KR20170000973A (ko) 2015-06-25 2015-06-25 구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73A true KR20170000973A (ko) 2017-01-04

Family

ID=5783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253A KR20170000973A (ko) 2015-06-25 2015-06-25 구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49U (ko) 2018-08-31 2018-11-30 배영진 다목적 군용 구명조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932A (ko) 2011-05-27 2012-12-05 (주)용진기업 발광 구명 조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932A (ko) 2011-05-27 2012-12-05 (주)용진기업 발광 구명 조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49U (ko) 2018-08-31 2018-11-30 배영진 다목적 군용 구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EP3418179B1 (en) Splash-resistant automatically inflatable flotation device
EP1565077B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US10092794B2 (en) Buoyancy assistance kit
WO2000051882A9 (en) Improved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10549827B2 (en) Life vest
KR20170000973A (ko) 구명복
US4017926A (en) Life-saving garment
WO2015011629A9 (en) Clothing with inflation system
US10035572B1 (en) Survivial dress unit
KR20150002042U (ko) 유아용 구명 조끼
KR20090018552A (ko) 구명조끼
KR101938282B1 (ko) 팽창튜브를 구비한 구명조끼
EP0023430A1 (en) A safety garment
EP2212188B1 (en) Lifejacket including air bubbles and/or air cells
KR102529542B1 (ko) 허리벨트형 구명튜브
US4051568A (en) Life saving garment
CN110997477A (zh) 带有集成的袖筒的救生衣
CN210113175U (zh) 游泳臂圈
KR200489540Y1 (ko) 구명 조끼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US20180021631A1 (en) Inflatable swimwear
GB2059360A (en) Buoyant Jackets
WO2008053439A1 (en) Safety inflatable floating device
KR20240058755A (ko) 구명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