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40Y1 - 구명 조끼 - Google Patents

구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40Y1
KR200489540Y1 KR2020180001668U KR20180001668U KR200489540Y1 KR 200489540 Y1 KR200489540 Y1 KR 200489540Y1 KR 2020180001668 U KR2020180001668 U KR 2020180001668U KR 20180001668 U KR20180001668 U KR 20180001668U KR 200489540 Y1 KR200489540 Y1 KR 200489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buoyancy
shoulder
fastening member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철
Original Assignee
남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철 filed Critical 남상철
Priority to KR2020180001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4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zippers or the like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구명조끼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구면조끼는 몸체부가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어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허리와 복부 부분을 감싸는 부력재가 삽입된 벨트부, 및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등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단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탈착되는 어깨부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신체 활동이 편안하도록 최소한의 부력재를 사용하면서도, 위급 상황시 안전하게 목 부위를 지탱하고, 허리 부분에 부력을 보강하였기 때문에 착용자가 수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여 수면위로 띄우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를 편안하게 기다리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구명 조끼{LIFE JACKETS}
본 고안은 부력재를 이용한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시에는 어깨 받이로 작동되다가, 해상 조난시 부력재가 펼처져 머리 부위를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부를 구비한 구명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어선, 선박, 낚시, 해양레포츠, 해상작업, 안전요원 등과 같은 해상 활동중에 발생하기 쉬운 각종 해난사고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신체의 목 뒤에서 어깨, 가슴 앞쪽을 포함하는 상반신에 착용함으로써 물에 빠져도 몸이 뜰 수 있어 소중한 인명을 보호한다.
한편 해상에서 발생하는 익사사고의 경우, 익사자 중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는 선박의 비상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구명조끼(구명동의)를 꺼내서 착용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구명 조끼의 착용감은 물론 활동성이 나빠서 대부분 착용을 기피하고 있었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명조끼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조끼를 구성하고 조끼 내부에는 가벼운 부력재를 투입하거나 또는,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공기팽창식 구명조끼의 가스발사기가 입수와 동시에 에어튜브에 기체(공기)를 주입하여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명 조끼는 부력재의 성질상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의 동작이 크게 제약을 받기 때문에 착용자의 거동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위급 상황시 착용자가 정신을 잃더라도 부력재의 작용으로 신체의 목 부분이 수면위로 떠올라 숨쉴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나 상반신만 수면위로 띄우는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숨을 쉴 수 없어 익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허리 이하에는 부력이 전혀 없어 착용자가 수면 상에 수평하게 부상될 수 없어 장시간 수면상에 표류하게 될 때에는 착용자의 체력소모가 많아 긴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히 대처하기 어렵고, 물의 유동에 따라 부력에 의해 앞뒤좌우로 흔들림이 많아 불안감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10-2009-0018552(2009.02.2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최소한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신체 활동이 편안하면서도 위급 상황시 안전하게 목 부위를 지탱할 수 있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허리 부분에 부력을 보강하여 착용자가 수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는 조끼 형태의 몸체부를 구비한 구명 조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어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허리와 복부 부분을 감싸는 부력재가 삽입된 벨트부, 및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등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단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탈착되는 어깨부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어깨부는 착용자가 수면에 떨어져 상기 몸체부가 물속에 투입되면, 부력에 의하여 상기 어깨부 하단부의 체결부재가 해제되고, 해제된 어깨부는 몸체부에 결합된 상단부를 기준으로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수면에 펼처져 목과 머리 뒷 부분을 지탱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어깨부의 하단부는 X자 밴드에 의하여 벨트부와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명조끼에 의하면, 최소한의 부력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신체 활동이 편안하면서도 위급 상황시 안전하게 목 부위를 지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명조끼에 의하면, 허리 부분에 부력을 보강하였기 때문에 착용자가 수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여 수면위로 띄우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를 편안하게 기다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명조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명조끼의 전면부,
도 3은 본 고안의 구명조끼의 배면부,
그리고
도 4는 어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아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명조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명조끼의 전면부,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명조끼의 배면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명조끼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는 조끼 형태의 몸체부(100)를 구성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외피 형상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면부(110)와 어깨부(120) 그리고 허리부(140)는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고, 각 외피와 내피 사이에 부력재가 삽설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몸체부(100)는 최소한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신체 활동이 편안하면서도 위급 상황시 안전하게 목 부위를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허리 부분에 부력을 보강하여 착용자가 수면 상에서 수평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부력재를 구성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100)는 착용자의 착용되어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도록 상체 전면부에 구성된 전면부(110)와, 전면부(110) 하부의 배면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부력재가 삽입된 허리부(140), 및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등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단부(121)는 몸체부(110)의 어깨 부위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체결부재(122,131)에 의하여 탈착되는 어깨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어깨부(120)의 일측과 허리부(1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어깨부(120)와 허리부(140)의 분리를 방지하는 X자 밴드(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하나의 전면부(110)는 착용자의 전면부 부력을 담당하고, 어깨부(120) 및 허리부(140)와 결합되는 X자밴드(130)에 의하여 착용자의 배면의 부력을 담당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부(110)의 하단부와 허리부(140)는 벨트에 의하여 착용시 조이거나 풀릴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면부(110)는 조끼의 앞면형상으로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되며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도록 좌우 한쌍의 부력재가 분리되어 삽입된다.
부력재는 도면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부위와 복부 부분을 동시에 감쌀 수 있게 구성하여야 물에 착수 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면부(110)는 버클(114)과 같은 착탈부재에 의하여 좌전면부(111a)와 우전면부(111b)가 조이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착용자의 허리부위와 복부 부분을 감싸는 허리띠(112)가 한쌍의 버클(114)에 결합되어 착용하거나 탈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면부(110)에는 허리띠(112)가 정해진 위치에서 착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허리띠(112)가 삽설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허리띠 지지부(113)가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클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자크 또는 벨크로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면부(110)의 양쪽 가슴에는 여러 가지 도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부(115)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야간에 식별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야광테이프(116)도 부착될 수 있다.
어깨부(120)는 착용자가 수면에 떨어져 몸체부(100)가 물속에 투입되면, 부력에 의하여 어깨부(120) 하단부의 체결부재(122,131)가 해제되고, 해제된 어깨부(120)의 하단부는 몸체부(110)에 재봉된 상단부(121)를 기준으로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수면에 펼처져 착용자의 목과 머리 뒷 부분을 지탱하도록 동작한다.
체결부재(122,131)는 어깨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122)와 X자 밴드(130)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체결부재(131)로 구성되어, 통상 착용시는 상호 결합되어 어깨부(120)의 하단부가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사용되다가 착용자가 수면에 떨어져 몸체부(100)가 물속에 투입되면, 부력에 의하여 어깨부(120) 하단부의 체결부재(122,131)가 해제되어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수면에 펼처져 착용자의 목과 머리 뒷 부분을 지탱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체결부재(122,131)는 통상시에는 어깨부(120)가 착용상태에서 유지되다가 착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힘에 의하여 해제되어야 하므로, 벨크로(일명 찍찍이)나 버튼 형식으로 구성되어 부력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야 한다.
즉, 체결부재(122,131)의 결합력(X)이 부력(Y)보다 약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구명조끼는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력의 크기도 달리하여야 할 것이므로 사용 목적에 맞게 체결부재(122,131)의 결합력(X)을 결정하여야 한다.
도 4의 어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을 보면, 좌측 도면은 통상 착용시의 어깨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우측 도면은 물에 착수 시 체결부재(122,131)로부터 분리된 어깨부의 하단부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임을 알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X자밴드(130)의 상단부 각각은 박음질(134)에 의하여 몸체부(100)의 어깨 부위에 겸합되고, 체결부재(131)가 어깨부(120)의 체결부재(121)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물에 착수 시 체결부재(122,131)가 해제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어깨부(120)의 하단부가 상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허리부(140)는 착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X자밴드(130)에 의하여 어깨부(120)와 결합된다.
즉, 전면부(110) 하부의 배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어 허리부분을 받쳐줌으로써, 허리 부분에 부력을 보강하여 착용자가 수면 상에서 수평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허리부(140)는 상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허리띠(112)가 허리부(140)를 감싸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허리띠 지지부(142)와 하나 이상의 허리띠 걸이부(144)가 구성되어 허리띠(112)가 허리부(140)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술한 구성의 구명조끼는 어깨부(120)가 체결부재(122,131)에 의하여 결속된 상태로 머리부터 착용하여 전면부(110)와 어깨부(120) 그리고 허리부(140)가 정위치하도록 착용한 다음, 허리띠(112)를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버클(114)로 단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한다.
사용 도중에 착용자가 물에 빠지게 되면, 부력에 의하여 체결부재(122,131)가 해제되고, 해제된 어깨부(120)는 상단부(121)를 기준으로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수면에 펼처져 착용자의 목과 머리 뒷 부분을 지탱하도록 동작하고, 허리부(140)와 전면부(110)의 부력에 의하여 몸체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몸이 떠 오르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명조끼에 의하면, 신체 활동이 편안하도록 최소한의 부력재를 사용하면서도, 위급 상황시 안전하게 목 부위를 지탱하고, 허리 부분에 부력을 보강하였기 때문에 착용자가 수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여 수면위로 띄우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를 편안하게 기다리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전면부
111a : 좌전면부 111b : 우전면부
112 : 허리띠 114 : 버클
120 : 어깨부 121 : 상단부
122 : 체결부재 130 : X자밴드
131 : 체결부재 140 : 허리부

Claims (3)

  1.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는 조끼 형태의 몸체부를 구비한 구명 조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어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부 배면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부력재가 삽입된 허리부;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등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단부는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탈착되는 어깨부(120); 및
    상기 전면부의 상단과 벨트부를 연결하는 X자 밴드(130);
    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부의 체결부재는
    어깨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122)와 상기 X자 밴드(130)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체결부재(131)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수면에 떨어져 상기 몸체부가 물속에 투입되면, 부력에 의하여 상기 어깨부 하단부의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해제되고, 해제된 어깨부는 몸체부에 결합된 상단부를 기준으로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수면에 펼처져 목과 머리 뒷 부분을 지탱하도록 동작하는 구명 조끼.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1668U 2018-04-16 2018-04-16 구명 조끼 KR200489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68U KR200489540Y1 (ko) 2018-04-16 2018-04-16 구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68U KR200489540Y1 (ko) 2018-04-16 2018-04-16 구명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40Y1 true KR200489540Y1 (ko) 2019-07-02

Family

ID=6722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68U KR200489540Y1 (ko) 2018-04-16 2018-04-16 구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4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49Y2 (ja) * 1989-10-30 1996-09-11 孝盛 後藤 作業用救命胴衣
US20030109186A1 (en) * 2001-12-07 2003-06-12 Steger Ralph E. Personal flotation device
KR20090018552A (ko) 2007-08-17 2009-02-20 임재영 구명조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49Y2 (ja) * 1989-10-30 1996-09-11 孝盛 後藤 作業用救命胴衣
US20030109186A1 (en) * 2001-12-07 2003-06-12 Steger Ralph E. Personal flotation device
KR20090018552A (ko) 2007-08-17 2009-02-20 임재영 구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728B2 (en) Safety harness
JP3075650U (ja) 高さの低い浮きカラー
US2784426A (en) Life-saving flotation device
US8672720B1 (en) Life vest with rescue handle
CN207875945U (zh) 单一大小适合众人的个人漂浮装置
US10286986B2 (en) Bouyant inflatable device
US3956786A (en) Life preserver vest
US10549827B2 (en) Life vest
KR200489540Y1 (ko) 구명 조끼
GB2525433A (en) Life Jacket Attachment
US5480332A (en) Multiple victim rescue device
JP6026693B1 (ja) 救命具
KR200443191Y1 (ko) 구명부력로프를 구비한 방수복
JP2014054861A (ja) 救命胴衣
KR20130002463U (ko) 구명조끼용 지지밴드
KR102025387B1 (ko) 부력 작업복
KR20110020887A (ko) 구명부이를 이용한 구명슈트 장치와 그 방법
CA1085235A (en) Thermal immersion protection jacket
KR20000000440A (ko) 구명복
KR102188597B1 (ko) 헬기구조용 로프 연결웨빙이 부착된 구명조끼
US20110092117A1 (en) Personal location indicating attachment assembly and personal flotation lifejacket constructed therewith
CN213384662U (zh) 一种增加安全坐兜的多功能游泳圈
KR102586346B1 (ko) 부력조끼
KR200162555Y1 (ko) 구명대
US20220111941A1 (en) Inflatable water safety harness with load bear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