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047B1 -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 Google Patents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047B1
KR101966047B1 KR1020180110049A KR20180110049A KR101966047B1 KR 101966047 B1 KR101966047 B1 KR 101966047B1 KR 1020180110049 A KR1020180110049 A KR 1020180110049A KR 20180110049 A KR20180110049 A KR 20180110049A KR 101966047 B1 KR101966047 B1 KR 10196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uoyancy
pair
block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형
Original Assignee
우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형 filed Critical 우상형
Priority to KR102018011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2009/13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able to the user's head or neck, e.g. like a cap or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에 따르면, 중간부가 뒷목을 감싸며 양측부가 상체의 전방 양측에 위치되고, 목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부력부; 상기 상부부력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스트랩; 상기 제1스트랩의 타단이 결합되고, 허리가 고정되는 제2스트랩; 및 상기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럭부력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력부와 블럭부력부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개구부를 통해 상부부력부를 목에 끼우고,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블럭부력부를 탈부착함으로써, 부력을 더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사용할 수 있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life-saving device}
본 발명은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라 함은 물에 빠져도 몸이 뜰 수 있도록 만든 조끼를 말하는 것으로, 바다, 하천, 호수 등에서 물에 빠졌을 경우에 얼굴과 상체를 부상시켜 인명을 구조하는 장비이다.
종래의 구명조끼는, 내부에 판형의 발포수지를 채운 구명조끼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의 구명조끼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상기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의 구명조끼는 해양 구조용이나 군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 구명조끼는, 신체의 크기에 따라 어린이용, 성인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유아에게는 적당하게 착용가능한 크기가 없어 불편하였다.
그에 따라, 어깨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구명조끼가 개발되었으나, 어깨에 끼우기 때문에 팔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착용하기 위해서는, 양팔에 끼워야 하며 공기가 배출되면 부력이 낮아져 다시 채워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704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를 통해 상부부력부를 목에 끼우고,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블럭부력부를 탈부착함으로써, 부력을 더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사용할 수 있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부력부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선택해서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에 부착할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부착할 경우, 탄성부재가 몸체를 당김에 따라 블럭부력부가 가슴과 복부에 타이트하게 부착되어 안정적인 착용을 할 수 있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에 따르면, 중간부가 뒷목을 감싸며 양측부가 상체의 전방 양측에 위치되고, 목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부력부; 상기 상부부력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스트랩; 상기 제1스트랩의 타단이 결합되고, 허리가 고정되는 제2스트랩; 및 상기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럭부력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력부와 블럭부력부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블럭부력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결합부는, 벨크로테이프, 똑딱단추,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트랩은, 상기 상부부력부의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신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스트랩과, 상기 상부부력부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신체의 등에 위치되는 후방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스트랩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스트랩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블럭부력부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에 구비되되, 일단이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전방스트랩에 구비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전방스트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부력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으로 상기 몸체의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탄력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부력부의 중간부에 일단과 타단이 이격되어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된 구출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럭부력부는, 일측과 타측이 구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몸체와, 한 쌍의 몸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몸체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럭부력부는, 사용자의 가슴부 내지 복부를 감싸며 타이트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스트랩은, 상기 상부부력부와 제2스트랩을 연결할 때, 신체 목에서 복부 옆구리 방향인 대각방향으로 구비되어 연결하며, 한 쌍의 전방스트랩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커지고, 상기 블럭부력부의 길이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 폭보다 작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블록부력부는, 사용자의 가슴부를 감싸는 블록부력부의 탄성부재보다 더 팽창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가슴부보다 더 타이트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개구부를 통해 상부부력부를 목에 끼우고,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블럭부력부를 탈부착함으로써, 부력을 더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사용할 수 있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블럭부력부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선택해서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에 부착할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부착할 경우, 탄성부재가 몸체를 당김에 따라 블럭부력부가 가슴과 복부에 타이트하게 부착되어 안정적인 착용을 할 수 있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의 블럭부력부를 가로방향으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의 블럭부력부를 가로방향으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는, 상부부력부(10), 제1스트랩(20), 제2스트랩(30) 및 블럭부력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상부부력부(10)는, 중간부가 뒷목을 감싸며 양측부가 상체의 전방 양측에 위치되고, 목이 통과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개구부(11)로 목을 상부부력부(10)의 중앙으로 넣을 수 있고, 상부부력부(10)를 어깨의 위에 목을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상부부력부(10)의 내부에는 부력부재가 구비된다. 부력부재는, 천연소재인 케이폭으로 이루어져, 물을 흡수하지 않아 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1스트랩(20)은, 상부부력부(10)에 일단이 결합된다.
제2스트랩(30)은, 제1스트랩(20)의 타단이 결합되고, 허리에 고정된다. 이때, 제2스트랩(30)은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간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 조리개 또는 버클(3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트랩(3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력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스트랩(20)은, 상부부력부(10)의 개구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신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스트랩(21)과, 상부부력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신체의 등에 위치되는 후방스트랩(22)을 포함한다.
이때, 전방스트랩(21)은, 상부부력부(10)의 개구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됨에 따라,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방스트랩(21)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다.
블럭부력부(40)는, 제1스트랩(20) 또는 제2스트랩(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럭부력부(40)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된다. 부력부재는, 천연소재인 케이폭으로 이루어져, 물을 흡수하지 않아 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블럭부력부(40)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21)에 구비되되, 일단이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전방스트랩(21)에 구비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전방스트랩(21)에 구비된다.
즉, 블록부력부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21)을 연결하여 신체의 가슴과 복부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방스트랩(21)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부력부(40)를 구비한 후, 자유형, 배형 등의 수영을 하고자 할 경우, 어느 하나의 전방스트랩(21)에 구비된 블럭부력부(40)의 일단 또는 타단을 분리시키고 다른 하나의 전방스트랩(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블럭부력부(40)가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가슴과 복부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슴과 복부에 위치한 블럭부력부(40)의 부력에 의해 물에서 상승하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수영을 할 수 있다.
한편, 블럭부력부(40)는, 몸체(41)와, 몸체(41)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와, 전원부의 전원으로 몸체(41)의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한 쌍의 몸체(41)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탄력밴드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41)의 내부에는 상술한 부력부재가 구비되되 전원부와 별도로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수영이나 물놀이 도중, 다리에 근육뭉침이나 위급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전방스트랩(21)에 구비된 블럭부력부(40)를 분리시킬 후,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탄력밴드가 착용된 손목을 흔들며 위급사항을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발광부에 의한 빛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위급사항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스트랩(20) 또는 제2스트랩(30)의 외측면에 제1결합부(50)가 구비되고, 블럭부력부(40)의 일측면에 제2결합부(51)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및 제2결합부는, 벨크로테이프, 똑딱단추,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는, 상부부력부(10)의 중간부에 일단과 타단이 이격되어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구출밴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구출밴드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구출이 이루어질 경우, 물위로 떠오르는 구출밴드를 구출자가 잡아 당겨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다.
한편, 블럭부력부(40)는, 일측과 타측이 구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몸체(41)와, 한 쌍의 몸체(41)를 연결하는 탄성부재(4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몸체(41)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21)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구비된다.
전방스트랩(21)은, 상부부력부(10)와 제2스트랩(30)을 연결할 때, 신체 목에서 복부 옆구리 방향 즉, 대각방향으로 구비되어 연결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방스트랩(2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커지게 된다.
또한, 블럭부력부(40)의 길이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21) 폭보다 작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블럭부력부(40)는, 중간에 구비된 탄성부재(42)에 의해 한 쌍의 몸체(41)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가슴과 복부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블럭부력부(40)의 탄성부재(42)는 팽창되어 좀더 사용자의 가슴부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럭부력부(40)는, 중간에 탄성부재(42)가 구비됨으로써, 상하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슴과 복부를 가압함에 따라, 타이트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블럭부력부(40)는,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슴부 내지 복부를 감싸며 타이트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상부부력부 11 : 개구부
20 : 제1스트랩 21 : 전방스트랩
22 : 후방스트랩 30 : 제2스트랩
31 : 버클 40 : 블럭부력부
41 : 몸체 42 : 탄성부재
50 : 제1결합부 51 : 제2결합부

Claims (6)

  1. 중간부가 뒷목을 감싸며 양측부가 상체의 전방 양측에 위치되고, 목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부력부;
    상기 상부부력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스트랩;
    상기 제1스트랩의 타단이 결합되고, 허리가 고정되는 제2스트랩; 및
    상기 제1스트랩 또는 제2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럭부력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력부와 블럭부력부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스트랩은, 상기 상부부력부의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신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스트랩과, 상기 상부부력부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신체의 등에 위치되는 후방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스트랩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블럭부력부는, 일측과 타측이 구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몸체와, 한 쌍의 몸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몸체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럭부력부는, 사용자의 가슴부 내지 복부를 감싸며 타이트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블럭부력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으로 상기 몸체의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한 쌍의 몸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탄력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력부의 중간부에 일단과 타단이 이격되어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부력부재가 구비된 구출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스트랩은, 상기 상부부력부와 제2스트랩을 연결할 때, 신체 목에서 복부 옆구리 방향인 대각방향으로 구비되어 연결하며,
    한 쌍의 전방스트랩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커지고,
    상기 블럭부력부의 길이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 폭보다 작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블록부력부는, 사용자의 가슴부를 감싸는 블록부력부의 탄성부재보다 더 팽창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가슴부보다 더 타이트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트랩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블럭부력부는, 한 쌍의 전방스트랩에 구비되되, 일단이 한 쌍 중 어느 하나의 전방스트랩에 구비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전방스트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10049A 2018-09-14 2018-09-14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KR10196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49A KR101966047B1 (ko) 2018-09-14 2018-09-14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49A KR101966047B1 (ko) 2018-09-14 2018-09-14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047B1 true KR101966047B1 (ko) 2019-04-04

Family

ID=6610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049A KR101966047B1 (ko) 2018-09-14 2018-09-14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0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891A (ja) * 1995-09-14 1998-03-17 シミュ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さの低い浮きカラー
KR20000017122U (ko) * 1999-02-13 2000-09-25 강창석 수영용 부구
KR200332050Y1 (ko) * 2003-08-19 2003-11-03 백영민 구명동의
KR20120019803A (ko) * 2010-08-27 2012-03-07 (주)이화바이오메딕스 가스팽창식 안전튜브
KR101227043B1 (ko) 2011-06-13 2013-02-07 주식회사 만투 구명조끼
KR20150029993A (ko) * 2013-09-11 2015-03-19 김기호 구명튜브와 구조견인줄 장착 구명벨트
KR101743863B1 (ko) * 2016-01-15 2017-06-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익수자 구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891A (ja) * 1995-09-14 1998-03-17 シミュ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さの低い浮きカラー
KR20000017122U (ko) * 1999-02-13 2000-09-25 강창석 수영용 부구
KR200332050Y1 (ko) * 2003-08-19 2003-11-03 백영민 구명동의
KR20120019803A (ko) * 2010-08-27 2012-03-07 (주)이화바이오메딕스 가스팽창식 안전튜브
KR101227043B1 (ko) 2011-06-13 2013-02-07 주식회사 만투 구명조끼
KR20150029993A (ko) * 2013-09-11 2015-03-19 김기호 구명튜브와 구조견인줄 장착 구명벨트
KR101743863B1 (ko) * 2016-01-15 2017-06-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익수자 구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84426A (en) Life-saving flotation device
AU2013309473B2 (en) Watersports inflation vest
EP0099166A1 (en) Easy access underwater diving suit
CH665397A5 (it) Salvagente gonfiabile.
US5020941A (en) Buoyancy compensator with detachable shoulder section
US10092794B2 (en) Buoyancy assistance kit
KR101966047B1 (ko)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US4808033A (en) Flexible pressure compensating divers weight belt
CN210592374U (zh) 一种新型动力救生衣
US7559816B2 (en) Flotation device
US4131974A (en) Flotation stoles
KR20150004405U (ko) 구명조끼
US10814947B2 (en) Harness-based buoyancy control device
GB2245227A (en) A swimming buoyancy aid
EP1305208B1 (en) Underwater breathing device
TW201924752A (zh) 背帶式浮力控制裝置
KR20150004406U (ko) 구명조끼
US20220402584A1 (en) Life jacket for aquatic use
KR200270713Y1 (ko) 수영용 부구
US20230373601A1 (en) Life jacket for aquatic environment
CN213384662U (zh) 一种增加安全坐兜的多功能游泳圈
CN219948530U (zh) 分体式潜水服
CN214729561U (zh) 一种婴幼儿海上救生装置
US20240017803A1 (en) Water activated emergency flotation device
KR200489540Y1 (ko) 구명 조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