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405U -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405U
KR20150004405U KR2020140004149U KR20140004149U KR20150004405U KR 20150004405 U KR20150004405 U KR 20150004405U KR 2020140004149 U KR2020140004149 U KR 2020140004149U KR 20140004149 U KR20140004149 U KR 20140004149U KR 20150004405 U KR20150004405 U KR 20150004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vest
leg
auxiliary pa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근
Original Assignee
정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근 filed Critical 정재근
Priority to KR2020140004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405U/ko
Publication of KR20150004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9/13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 또는 다리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부; 상기 조끼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는 다수 개의 팔 보조부; 및 상기 조끼부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는 다수 개의 다리 보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조끼 {A Life Jacket}
본 고안은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명조끼에 있어서 팔 또는 다리에 더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래프팅 등과 같은 수상레저 스포츠를 할 때에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이다. 수영이 미숙한 사람을 안전하게 물위로 띄우거나 강이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에 해난사고를 대비하여 구명조끼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구명조끼는 두 겹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두 겹으로 형성된 구명조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수상활동에 있어서 수면위로 몸을 부상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물로 인한 체온저하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3592호(2002.07.15 등록)는 부력재의 부력을 부위별로 다르게 하여 형성된 구명조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신체의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와,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 각각 제공된 부력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재는 구명조끼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착용자의 복부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위치하는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부 쪽이 더 큰 부력을 갖도록 하부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0618호(2006.08.29 등록)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 고정되는 구명조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구명조끼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는 등판부, 부력 부재를 포함하며 등판부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가슴판부, 그리고 가슴판부 및 등판부를 연결하여 착용자의 측부를 신축성 있게 밀착하여 조여주는 인너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구명조끼 하단에 구명조끼가 위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지지용 끈이 구비되어 있었다. 지지용 끈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돌려 끼워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해서 착용하지 않거나, 착용하더라도 파도나 기타 외력에 의해 구명조끼가 벗겨지려할 때에 지지용 끈에 눌려 받는 압박감, 피부 벗겨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구명조끼는 사용자의 상체에만 부력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팔과 다리는 물 위에 뜨지 않아서 움직일 때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체의 중심을 잃으면 물속으로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359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20618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명조끼에 있어서 팔 또는 다리에 더 착용 가능하도록 구현된 구명조끼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부; 상기 조끼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는 다수 개의 팔 보조부; 및 상기 조끼부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는 다수 개의 다리 보조부를 포함하는 구명조끼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끼부와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조끼부와 상기 다리 보조부를 서로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조끼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끈; 상기 제1 연결끈에 형성되는 수버클; 상기 수버클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끈; 및 상기 제2 연결끈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버클을 체결시키기 위한 암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조끼부에 형성되는 연결끈; 상기 연결끈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를 집어 결속시키기 위한 집게; 상기 연결끈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는, 일 측과 다른 일 측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기 결합부는,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끈; 상기 제1 연결끈에 형성되는 수버클; 상기 수버클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끈; 및 상기 제2 연결끈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버클을 체결시키기 위한 암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공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는, 외측에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 개의 부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는, 외측에 형성되어,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부력재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넣거나 빼기 위한 지퍼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팔 보조부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는,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재봉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팔 또는 다리 부분에 착용되는 보조부를 형성하여 구명조끼와 연결시킴으로써, 사용 시에 구명조끼가 위로 벗겨지거나, 종래 기술의 지지용 끈에 의한 압박감, 피부 벗겨짐 등의 문제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팔 또는 다리 부분에 착용되는 보조부를 형성함으로써, 팔과 다리에도 부력을 제공하여 물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체뿐만 아니라 팔과 다리에도 중심을 잡아주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끼부와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탈부착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명조끼(10)는, 조끼부(100), 팔 보조부(200), 다리 보조부(300)를 포함한다.
조끼부(100)는, 사용자를 물 위로 띄울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력재를 내부에 형성하며,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등 부분과 양쪽 가슴 부분으로 총 3부분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후에 양쪽 가슴 부분에 형성된 버클로 체결시킬 수 있으며, 버클 외에도 지퍼, 찍찍이, 단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목 보조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내부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 개의 부력재(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Vinyl Acetate), 스폰지 등)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일 측에 지퍼백(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삽입되는 부력재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넣거나 빼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물이 스며들지 않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나일론, 라이크라 등)로 형성할 수 있다.
팔 보조부(200)는, 조끼부(10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팔에 착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팔 보조부(200)는, 조끼부(100)와 탈부착하기 위해 2개의 연결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끈 중의 하나는 등 부분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가슴 부분의 상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팔 보조부(200)는,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펼쳐서 조끼부(100)와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착용 시에는 가로 방향으로 동그랗게 말아 일 측과 다른 일 측을 결합시켜 사용자의 팔에 착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 보조부(300)는, 조끼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리 보조부(300)는, 조끼부(100)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 보조부(300)는, 조끼부(100)와 탈부착하기 위해 2개의 연결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끈 중의 하나는 등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가슴 부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 보조부(300)는,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펼쳐서 조끼부(100)와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착용 시에는 가로 방향으로 동그랗게 말아 일 측과 다른 일 측을 결합시켜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 보조부(300)는, 조끼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구명조끼(10)는,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형성하여 조끼부(100)와 연결시킴으로써, 사용 시에 조끼부(100)가 위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어 안전하며, 종래 기술의 지지용 끈에 의한 압박감, 피부 상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도 부력을 제공하여 물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체뿐만 아니라 팔과 다리에도 중심을 잡아주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끼부와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명조끼(10)는, 탈부착부(400)를 더 포함한다.
탈부착부(400)는, 조끼부(100)와 팔 보조부(200) 또는 조끼부(100)와 다리 보조부(300)를 서로 탈부착 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4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부분을 탈부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에만 착용하고 싶으면 팔 보조부(200)만 조끼부(100)와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다리에만 착용하고 싶으면 다리 보조부(300)만 조끼부(100)와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400)는, 제1 연결끈(410), 수버클(420), 조절부재(430), 제2 연결끈(440), 암버클(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끈(410)은, 조끼부(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며, 수버클(420)을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끈(410)은, 조끼부(100)와 팔 보조부(200) 또는 조끼부(100)와 다리 보조부(300)를 서로 탈부착 시키기 위해 조끼부(100)의 상부 양측 또는 조끼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끈(410)은 조끼부(100)와 팔 보조부(200)가 연결될 경우에, 조끼부(100)의 등 부분의 좌측 상부와 좌측 가슴 부분의 상부 또는 등 부분의 우측 상부와 우측 가슴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며, 조끼부(100)와 다리 보조부(300)가 연결될 경우에, 조끼부(100)의 등 부분의 좌측 하부와 좌측 가슴 부분의 하부 또는 등 부분의 우측 하부와 우측 가슴 부분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가 제1 연결끈(410)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아 중심을 잡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도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끈(410)은, 조절부재(430)에 의해서 잡아당김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끈(410)은,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부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밴드(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수버클(420)은, 제1 연결끈(410)에 형성되어,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조끼부(100)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제1 연결끈(410)과 제2 연결끈(440)을 연결시켜 암버클(450)과 체결한다.
조절부재(430)는, 수버클(420)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제1 연결끈(410)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부재(430)는, 제1 연결끈(410) 중에 끼워져 통과된 부분을 일 방향으로 당겨 길이를 줄이거나, 다른 방향으로 당겨 길이를 늘인 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끈(440)은,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에 형성되며, 일 측에 암버클(450)을 구비한다.
암버클(450)은, 제2 연결끈(44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수버클(420)과 체결되어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탈부착부(400)는, 수버클(420)과 암버클(450)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탈부착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탈부착부(400)는, 연결끈(460), 집게(470), 길이조절부재(480)를 포함한다.
연결끈(460)은, 조끼부(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며, 일 말단에 집게(470)를 구비한다.
집게(470)는, 연결끈(46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집어 결속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집게(470)는, 멜빵 집게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풀어지지 않도록 꽉 집을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480)는, 연결끈(460)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게 연결끈(460)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탈부착부(400)는, 수버클(420)과 암버클(450), 집게(470) 외에도 지퍼, 찍찍이 등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는, 부력재(220), 결합부(500)를 포함한다.
부력재(220)는,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며, 다수 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부력재(220)는,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안쪽에 형성되면 착용했을 때에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가 벌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이기 편하게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바깥쪽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력재(220)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Vinyl Acetate), 스폰지 등)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00)는,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였을 때에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일 측과 다른 일 측을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500)는, 제1 연결끈(510), 수버클(520), 조절부재(530), 제2 연결끈(540), 암버클(550)을 포함한다.
제1 연결끈(510)은,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수버클(520)을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끈(510)은, 조절부재(530)에 의해서 잡아당김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버클(520)은, 제1 연결끈(510)에 형성되어,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를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끼워 고정시킨 후에 암버클(550)과 체결한다.
조절부재(530)는, 수버클(520)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제1 연결끈(410)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부재(530)는, 제1 연결끈(510) 중에 끼워져 통과된 부분을 일 방향으로 당겨 길이를 줄이거나, 다른 방향으로 당겨 길이를 늘인 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끈(540)은,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며, 일 측에 암버클(550)을 구비한다.
암버클(550)은, 제2 연결끈(54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수버클(520)과 체결되어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탈부착부(500)는, 수버클(520)과 암버클(550)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버클(520)과 암버클(550) 외에도 지퍼, 찍찍이 등 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는, 지퍼백(230)을 더 포함한다,
지퍼백(230)은,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다수 개로 형성된 부력재(220)를 사용자가 물 위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개수만큼 넣거나 빼서 부력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퍼백(230)은,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를 편하게 움직이기 위해 외측에 형성된 부력재(220)를 추가할 때에도 외측으로 넣을 수 있도록 외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퍼백(230)은, 도면에서는 개폐구가 지퍼로 형성되어 있지만, 찍찍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팔 보조부 또는 다리 보조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는, 공단(210), 마감재(240)를 포함한다.
공단(210)은,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단(210)은, 촉감이 부드럽고 저렴한 재질(예를 들어, 샤틴 공단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재(240)는, 팔 보조부(200) 또는 다리 보조부(300)의 테두리 부분에 재봉된 부분을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240)는, 둥글게 말린 형태로 형성되어, 조끼부(100)의 원단 안쪽에 함께 재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240)는, 조끼부(100)의 테두리 부분의 원단을 둥글게 말아서 원단이 말리지 않은 얇은 부분을 통해 끼운 후에 프레스기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240)는, 방수가 되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240)는, 재봉된 틈새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하며, 재봉된 부분이 뜯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구명조끼
100 : 조끼부
200 : 팔 보조부
210 : 공단
220 : 부력재
230 : 지퍼백
240 : 마감재
300 : 다리 보조부
400 : 탈부착부
410, 510 : 제1 연결끈
420, 520 : 수버클
430, 530 : 조절부재
440, 540 : 제2 연결끈
450, 550 : 암버클
460 : 연결끈
470 : 집게
480 : 길이조절부재
500 : 결합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부(100);
    상기 조끼부(10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는 다수 개의 팔 보조부(200); 및
    상기 조끼부(100)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는 다수 개의 다리 보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부(100)와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조끼부(100)와 상기 다리 보조부(300)를 서로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400)는,
    상기 조끼부(100)에 형성되는 제1 연결끈(410);
    상기 제1 연결끈(410)에 형성되는 수버클(420);
    상기 수버클(42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끈(4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430);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에 형성되는 제2 연결끈(440); 및
    상기 제2 연결끈(44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버클(420)을 체결시키기 위한 암버클(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400)는,
    상기 조끼부(100)에 형성되는 연결끈(460);
    상기 연결끈(46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를 집어 결속시키기 위한 집게(470);
    상기 연결끈(460)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끈(46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4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는,
    일 측과 다른 일 측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끈(510);
    상기 제1 연결끈(510)에 형성되는 수버클(520);
    상기 수버클(52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끈(5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530);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끈(540); 및
    상기 제2 연결끈(54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버클(520)을 체결시키기 위한 암버클(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공단(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는,
    외측에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 개의 부력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는,
    외측에 형성되어,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부력재(220)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넣거나 빼기 위한 지퍼백(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부(200) 또는 상기 다리 보조부(300)는,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재봉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KR2020140004149U 2014-05-30 2014-05-30 구명조끼 KR20150004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49U KR20150004405U (ko) 2014-05-30 2014-05-30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49U KR20150004405U (ko) 2014-05-30 2014-05-30 구명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05U true KR20150004405U (ko) 2015-12-09

Family

ID=5502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149U KR20150004405U (ko) 2014-05-30 2014-05-30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40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77B1 (ko) * 2016-06-21 2017-02-28 이영석 구명조끼
CN109533232A (zh) * 2019-01-21 2019-03-29 李长松 一种漂流防晒救生衣
CN116280104A (zh) * 2023-02-27 2023-06-23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针对落水人员卫勤救援的多功能救生衣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77B1 (ko) * 2016-06-21 2017-02-28 이영석 구명조끼
WO2017222162A1 (ko) * 2016-06-21 2017-12-28 이영석 구명조끼
US10549827B2 (en) 2016-06-21 2020-02-04 Young Seok Lee Life vest
CN109533232A (zh) * 2019-01-21 2019-03-29 李长松 一种漂流防晒救生衣
CN116280104A (zh) * 2023-02-27 2023-06-23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针对落水人员卫勤救援的多功能救生衣
CN116280104B (zh) * 2023-02-27 2024-03-22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针对落水人员卫勤救援的多功能救生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619B2 (en) Buoyant swim garment
US4990115A (en) Buoyancy compensator with expandable cummerbund and auxiliary harness
US9365269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US7721352B1 (en) Inflatable wader garment assembly
CA2503084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CN106029181B (zh) 浮力辅助组件
KR20150004405U (ko) 구명조끼
US20170006932A1 (en) System for Ultraviolet Protection and Flotation
KR20150004406U (ko) 구명조끼
KR20130002463U (ko) 구명조끼용 지지밴드
US7559816B2 (en) Flotation device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90131101A (ko) 아기 띠
JP3135804U (ja) 救命用つなぎズボン
CN207838165U (zh) 三合一游泳装置
KR200489672Y1 (ko) 구명조끼
RU174713U1 (ru) Жилет спасательный надувной
KR100783125B1 (ko) 구명복
JPH09136691A (ja) 浮揚体
CN219948530U (zh) 分体式潜水服
CN109890695A (zh) 基于束带的浮力控制装置
KR200289461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966047B1 (ko) 목에 착용하는 구명장치
WO2016180039A1 (zh) 一种新型救生泳裤
CN207927819U (zh) 一种多功能的儿童简易泳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