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61B1 -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 Google Patents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61B1
KR102144461B1 KR1020190016476A KR20190016476A KR102144461B1 KR 102144461 B1 KR102144461 B1 KR 102144461B1 KR 1020190016476 A KR1020190016476 A KR 1020190016476A KR 20190016476 A KR20190016476 A KR 20190016476A KR 102144461 B1 KR102144461 B1 KR 10214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ir
contact tube
variable cont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기
이혜령
이건우
유사랑
유현정
강시원
Original Assignee
유원기
이혜령
유사랑
유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기, 이혜령, 유사랑, 유현정 filed Critical 유원기
Priority to KR102019001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 B63C9/105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055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겹 이상의 원단으로 제작되는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작업복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최대 수용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밀착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수중에 유입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부로 부상하면서 상단부의 두께가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된 상태의 두께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익수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신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기능 뿐 아니라 체온 보호 기능까지 제공함에 따라 착용자가 저체온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착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작업복에 의해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A working clothes for lifesaving}
본 발명은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착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익수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신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기능 뿐 아니라 체온 보호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구명 기능을 갖는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복은 선박에 승선한 자가 항해시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입수 시 생명을 구하는 용품으로 강, 호수, 바다 등과 같은 수상에서 물놀이나 각종 수상 레포츠 또는 낚시를 즐기거나 선박에 승선한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물에 빠진 사람이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명복은, 사용자가 구명복을 착용한 상태로 물에 빠진 경우, 착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착용자를 물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인 구명복은 인체에 착용될 수 있게 형성된 조끼바디에 목 삽입부, 팔 삽입부가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방되는 조끼 형태로 구성되며, 조끼바디는 직물로 형성된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부력체가 내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부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으로서 지퍼나 버클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명복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7044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2410호에는 조끼 형태의 구명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명복은 모든 선박에서 의무적인 비품으로서, 수상 레포츠를 즐길 때에는 익사 등의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이가 착용해야 하며, 최근에는 구명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명복은 두껍고 부피가 커서 이를 착용한 상태로 활동이 불편하다. 특히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방풍복이나 우의를 구명복과는 별도로 착용해야하는데, 이 경우, 기존의 구명복을 입고 방풍복이나 우의를 그 위에 입거나 이와는 반대로 구명복을 바깥쪽에 착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우의나 방풍복과 구명복을 동시에 착용한 상태에서는 선상 등에서 활동하거나 작업하는 것이 어려워 착용자는 방풍복과 우의는 착용하지만 구명복을 착용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위와 같은 구명복은 익수사고 발생 시 착용자의 상반신 일부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기능은 제공할 수 있으나, 구명복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구명복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로 물의 교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구명복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로 교류하는 물에 의해 단시간 내에 체온을 빼앗기게 되어 결국 저체온증으로 인해 사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7044호(2015.10.19.) 한국등록실용 제20-0432410호(2006.12.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착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익수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신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기능 뿐 아니라 체온 보호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구명 기능을 갖는 작업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겹 이상의 원단으로 제작되는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최대 수용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밀착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수중에 유입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부로 부상하면서 상단부의 두께가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된 상태의 두께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단부로 이동하여 상단부에 최대 수용량에 해당하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익수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신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기능 뿐 아니라 체온 보호 기능까지 제공함에 따라 착용자가 저체온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착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작업복에 의해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중 하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밀착튜브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밀착튜브의 상태변화에 따른 착용자와의 밀착상태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중 하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밀착튜브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1)은 두겹 이상의 원단으로 제작되되, 후드(10), 상의(20) 및 하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업복에 사용되는 원단은 부력을 가지고, 방수성, 단열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며, 수선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는 네오프렌(Neoprene)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와 같은 기능을 충족하는 대체 재질이 있다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후드(10)는 착용자의 눈 및 입과 대응되는 일측에 개구(M)가 형성되고, 착용자의 머리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드(10)는 평상시 작업복 일측에 형성된 별도의 포켓에 보관하고 있다가 익수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에서 발생되는 열이 물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의(20)는 긴 소매와 개방된 전면을 지퍼 등의 개폐수단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의 일반적인 자켓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의(30)는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몸통부(31)와, 몸통부(31)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 다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지부(32) 및 양단부가 몸통부(31)의 전면 및 후면 상단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체결되는 어깨끈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몸통 상단부 둘레와 대응되는 몸통부(31) 상단부 일측과, 착용자의 다리 하단부 둘레와 대응되는 각 하지부(32) 하단부 일측의 내부에 최대 수용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수용되는 가변밀착튜브(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가변밀착튜브(40)는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밀착튜브(40)는 수중에 유입되어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단부로 부상하여 상단부에 최대 수용량에 해당하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가변밀착튜브(40)의 상태변화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밀착튜브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밀착튜브(40)는 내부에 최대 수용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수용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된 상태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익수사고 발생으로 인해 착용자가 물에 입수하게 되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는 수압의 영향으로 인해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단부로 부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단부의 두께가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된 상태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드, 상의 및 하의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드, 상의 및 하의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의에 신발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밀착튜브(40)가 하의(30) 중 착용자의 몸통 상단부 둘레와 대응되는 몸통부(31) 상단부 일측과 착용자의 양 다리 둘레와 대응되는 각 하지부(32)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가변밀착튜브(40)는 몸통부(31) 일측 또는 각 하지부(32) 일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거나 전체둘레 또는 일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몸통부(31) 또는 각 하지부(32)의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변밀착튜브(40)는 하의(30) 뿐 아니라 착용자의 몸통 또는 양 팔과 대응되는 상의(20) 일측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밀착튜브의 상태변화에 따른 착용자와의 밀착상태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1)은 가변밀착튜브(40) 내부에 최대 수용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수용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밀착튜브(40)와 착용자의 신체 간이 이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가변밀착튜브(40)에 의해 착용자의 활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복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1)은 익수사고 발생으로 인해 착용자가 물에 입수하게 되는 경우, 도 3의 (b)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가변밀착튜브(40)의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단부로 부상하면서 상단부의 두께가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된 상태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가변밀착튜브(40)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됨에 따라 가변밀착튜브(40)에 의해 작업복의 내외부로 물이 상호 교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복의 내외부로 상호 교류되는 물에 의해 착용자의 체온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체온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착용자가 저체온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변밀착튜브(40)는 착용자의 신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부력수단의 기능도 제공하는데, 특히 착용자의 몸통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변밀착튜브(40)는 착용자의 상반신 일부를 수면위로 부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익수사고 발생시 착용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1)은 가변밀착튜브(40)의 일측에 착용자가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수단(5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공기주입수단(50)은 물놀이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튜브에 적용되는 공기주입구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하의(30)의 몸통부(31)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변밀착튜브(40)에는 일단이 하의의 몸통부(31) 하단부 일측을 통해 두겹의 원단 사이로 삽입되어 가변밀착튜브(4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호스부(51)와 호스부(51)의 타단을 개폐하는 개폐부(52)를 포함하는 구조의 공기주입수단(5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52)는 호스부(51)의 타단부 외주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링(52a)과, 지지링(52a)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선(52b) 및 연결선(52b)의 단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52c)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공기주입수단(50)은 호스부(51)가 외부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가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호스부(51)가 가변밀착튜브(4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입수 시 상부로 이동하는 가변밀착튜브(40)의 내의 공기가 호스부(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 주입 시에도 가변밀착튜브(40) 내의 공기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쉽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10 : 후드
20 : 상의 30 : 하의
31 : 몸통부 32 : 하지부
33 : 어깨끈부 40 : 가변밀착튜브
50 : 공기주입수단

Claims (3)

  1. 두겹 이상의 원단으로 제작되는 작업복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작업복의 일측 중 최상부에 최대 수용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밀착튜브가 형성되되,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수중에 유입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부로 부상하면서 상단부의 두께가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된 상태의 두께로 가변되어 착용자의 신체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수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밀착튜브는 하단부에 채워진 공기가 상단부로 이동하여 상단부에 최대 수용량에 해당하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KR1020190016476A 2019-02-13 2019-02-13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KR10214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76A KR102144461B1 (ko) 2019-02-13 2019-02-13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76A KR102144461B1 (ko) 2019-02-13 2019-02-13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61B1 true KR102144461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476A KR102144461B1 (ko) 2019-02-13 2019-02-13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34A (ko) 2021-02-25 2022-09-01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명 튜브가 구비된 작업복
KR20230092411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3591A (ja) * 1989-12-21 1991-08-23 Shiyouta Itou 潜水用ドライスーツ
KR200432410Y1 (ko) 2006-09-04 2006-12-01 김서태 구명조끼
KR200447393Y1 (ko) * 2008-09-17 2010-01-25 고국주 다목적 일체형 구명복
KR20150117044A (ko) 2014-04-09 2015-10-19 김수정 구명조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3591A (ja) * 1989-12-21 1991-08-23 Shiyouta Itou 潜水用ドライスーツ
KR200432410Y1 (ko) 2006-09-04 2006-12-01 김서태 구명조끼
KR200447393Y1 (ko) * 2008-09-17 2010-01-25 고국주 다목적 일체형 구명복
KR20150117044A (ko) 2014-04-09 2015-10-19 김수정 구명조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34A (ko) 2021-02-25 2022-09-01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명 튜브가 구비된 작업복
KR20230092411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KR102632000B1 (ko) * 2021-12-17 2024-01-31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3443C (en) Inflatable immersion suit
KR200388455Y1 (ko) 구명용 방수복
KR101357279B1 (ko) 개량형 개인 구명장치
KR102144461B1 (ko)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US4563157A (en) Cold-proof water-proof garment
JPS6350247Y2 (ko)
KR20180015946A (ko) 우의 겸용 구명복
KR20090018552A (ko) 구명조끼
KR20190105397A (ko) 해상활동 및 구명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라이프재킷
JP2022017962A (ja) 救命機能を有する作業服
US20220007751A1 (en) Work suit having lifesaving function
CN113951582A (zh) 具有救生功能的工作服
KR101977609B1 (ko) 슈트형 구명복
NO830763L (no) Varmtett varmedrakt
GB2156655A (en) Protective clothing
CA2533810C (en) Survival suit
KR200385153Y1 (ko) 일체형 구명복
KR200447393Y1 (ko) 다목적 일체형 구명복
KR102499772B1 (ko) 신체착용식 부력 구명장치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KR101472885B1 (ko) 구명복
KR200424895Y1 (ko) 구명용 방수복
JP2006089016A (ja) 身体装着体
AU2019100301A4 (en) Swimsuit
EP2212188B1 (en) Lifejacket including air bubbles and/or ai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