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848A -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848A
KR20030087848A KR1020020025930A KR20020025930A KR20030087848A KR 20030087848 A KR20030087848 A KR 20030087848A KR 1020020025930 A KR1020020025930 A KR 1020020025930A KR 20020025930 A KR20020025930 A KR 20020025930A KR 20030087848 A KR20030087848 A KR 2003008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jacket
buoyancy
wearer
life
buoyanc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퀘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퀘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퀘스트
Priority to KR102002002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7848A/ko
Publication of KR2003008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8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구명조끼에 제공된 부력재의 부력을 부위별로 다르게 하여, 착용자가 물에서 수직 방향으로 뜰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신체의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와,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 각각 제공된 부력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재는 구명조끼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착용자의 복부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위치하는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부쪽이 더 큰 부력을 갖도록 하부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 구명조끼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재는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복수의 분할부재로 제작되며,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의 상부에만 제공하고, 하부는 없는 상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재는 그 내측면이 상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명조끼{LIFE JACKET}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명조끼에 제공된 부력재의 부력을 부위별로 다르게 하여, 착용자가 물에서 수직 방향으로 뜰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래프팅등과 같은 수상레저 스포츠를 할 때,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 중의 하나이다.
또한 강이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에도 해난사고를 대비하여 구명조끼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수상활동에 있어서 수면위로 몸을 부상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물로 인한 체온저하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는 부가적인 기능도 갖고 있다.
구명조끼는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튜브를 제공하고, 이곳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공기주입식은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고, 튜브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구명조끼의 기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발포수지의 부력재가 제공된 방식의 구명조끼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신체 상체에 착용되어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는 동일한 두께의 발포수지 부력재가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구명조끼 착용자가 물에 뜨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하단에는 구명조끼 착용자의 다리가 끼워져 구명조끼의 착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밴드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명조끼는 부력재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기때문에 부력이 상체 모든 부위에 동일하게 작용하여 구명조끼 착용자는 수면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떠있게 된다.
따라서 구명조끼 착용자는 안면부분이 수면과 근접된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물이 기도 등으로 넘어갈 수 있으며, 조난이나 부상 등으로 인하여 정신을 잃거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의 상부쪽이 더욱 많은 부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구명조끼 착용자가 물에서 수직 방향으로 뜰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전성을 극대화한 구명조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신체의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와,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 각각 제공된 부력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재는 구명조끼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착용자의 복부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위치하는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부쪽이 더 큰 부력을 갖도록 하부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 구명조끼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재는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복수의 분할부재로 제작되며,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의 상부에만 제공하고, 하부는 없는 상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재는 그 내측면이 상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제공된 부력재를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제공된 부력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조끼는, 신체의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2)와, 신체의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4) 및 이들 전면부(2)와 후면부(4) 내부에 제공되는 부력재(6)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2)와 후면부(4)는 내피(8)와 외피(10)가 재봉 또는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고, 이들 내피(8)와 외피(10) 사이에 부력재(6)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면부(2)에는 지퍼가 설치되어 구명조끼를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또 구명조끼의 착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전면부(2)와 후면부(4)에는 벨트(11)가 둘러쳐져 있으며, 이 벨트(11)에는 버클(12)이 연결되어 구명조끼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벨트(11)는 1열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조끼의 아래부분에는 착용자의 하체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밴드(1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6)는 비중이 낮아 많은 부력을 지니도록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스펀지 형태로 가공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력을갖는 모든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명조끼에 제공된 부력재(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제공되는 상부(6a)와, 착용자의 복부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제공되는 하부(6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부력재(6)는 상부(6a)가 하부(6c)보다 큰 부력을 갖도록, 상부(6a)의 두께가 하부(6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렇게 부력재(6)의 두께가 상부(6a)가 하부(6b)보다 두껍게 형성되면, 구명조끼의 상부가 하부보다 큰 부력을 갖게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구명조끼 착용자는 물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뜰 수 있어 구명조끼의 안전성이 더욱 제공된다.
또한 부력재(6)를 도 6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의 상부(6a)에만 제공하고, 부력재(6)의 하부는 없는 상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가슴부분에서 큰 부력이 발생하므로 구명조끼 사용자는 물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상태로 뜰 수 있다.
또 상기 부력재(6)는 도 7에서와 같이, 그 내측면이 상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16)을 갖도록 제작하면 구명조끼의 착용감을 더욱 좋게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력재(6)는 얇은 부재를 여러개 이용하여 상부(6a)와 하부(6b)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고, 이러한 부력재(6)가 전면부(2) 및 후면부(4)에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부력재(60)를 전면부와 후면부에 맞도록 다수개의 분할부재(60a,60b,60c...60n)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다수개의 분할부재(60a,60b,60c...60n)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피와 내피는 재봉 또는 열융착으로 각각의 분할부재(60a,60b,60c...60n)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명조끼의 사용은, 도 9에서와 같이 착용자(A)의 체형에 따라서 지지밴드(14)는 착용자(A)의 양쪽 다리에 끼워 하체에 고정한 후, 벨트(11)의 길이를 조절하여 버클(12)을 체결한 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구명조끼를 착용자(A)가 착용하고 수중에 들어가면, 구명조끼의 전면부(2) 및 후면부(4)에 제공된 부력재(6)(60)(도 5, 도 6 참조)는 상부(6a)(60a)쪽이 하부(6b)(60b) 비하여 더 두꺼우므로 ,상부(6a)(60a)쪽이 더 큰 부력을 발생하여 구명조끼 착용자(A)는 물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상태로 뜰수 있게된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사용자(A)의 안면부분이 수면과 근접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물이 기도 등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주어 안전성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명조끼는, 상부쪽이 다른 부위보다 더욱 많은 부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구명조끼 착용자가 물에서 수직 방향으로 뜰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Claims (4)

  1. 신체의 가슴 및 복부 부분을 감싸는 전면부와,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을 감싸는 후면부와, 이들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 각각 제공된 부력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재는 구명조끼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착용자의 복부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에 위치하는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부쪽이 더 큰 부력을 갖도록 하부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 구명조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력재는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복수의 분할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내측면이 상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착용자의 가슴 및 이와 대향되는 등 부분의 상부에만 제공하고, 하부는 제거된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KR1020020025930A 2002-05-10 2002-05-10 구명조끼 KR20030087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30A KR20030087848A (ko) 2002-05-10 2002-05-10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30A KR20030087848A (ko) 2002-05-10 2002-05-10 구명조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372U Division KR200283592Y1 (ko) 2002-05-10 2002-05-10 구명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848A true KR20030087848A (ko) 2003-11-15

Family

ID=3238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30A KR20030087848A (ko) 2002-05-10 2002-05-10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7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53A1 (en) * 2005-04-11 2006-10-19 Jung Sun Kim Salvage system for life jacket
US10549827B2 (en) 2016-06-21 2020-02-04 Young Seok Lee Life ves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53A1 (en) * 2005-04-11 2006-10-19 Jung Sun Kim Salvage system for life jacket
KR100717595B1 (ko) * 2005-04-11 2007-05-15 김정선 구명동의의 해상위치추적을 통한 긴급구조 시스템
AU2006234679B2 (en) * 2005-04-11 2009-12-03 Jung Sun Kim Salvage system for life jacket
US10549827B2 (en) 2016-06-21 2020-02-04 Young Seok Lee Life v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4612A (en) Helmet for water sports
US20080160849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EP0744336B1 (en) A life jacket
KR200388455Y1 (ko) 구명용 방수복
US5823839A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having elastic armhole periphery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KR20030087848A (ko) 구명조끼
KR20090018552A (ko) 구명조끼
KR20220138882A (ko) 추진력이 향상된 수중 부력 조끼
KR102457489B1 (ko) 구명동의
KR102144461B1 (ko)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KR100695624B1 (ko) 낚시용 구명조끼
KR102586346B1 (ko) 부력조끼
KR20090002973U (ko) 구명조끼
US2629117A (en) Life jacket having eccentrically positioned flotation material
KR100432560B1 (ko) 구명조끼용 부력재
EP0023430A1 (en) A safety garment
CA2358886C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CN220096603U (zh) 一种可海上个人定位的救生衣
AU2019100301A4 (en) Swimsuit
KR200270060Y1 (ko) 구명부의를겸한조끼
KR200184498Y1 (ko) 부력부재가 내장된 수영복
EP2212188B1 (en) Lifejacket including air bubbles and/or air cells
KR20000017122U (ko) 수영용 부구
KR200162555Y1 (ko) 구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