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019U -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 Google Patents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019U
KR20150002019U KR2020130009552U KR20130009552U KR20150002019U KR 20150002019 U KR20150002019 U KR 20150002019U KR 2020130009552 U KR2020130009552 U KR 2020130009552U KR 20130009552 U KR20130009552 U KR 20130009552U KR 20150002019 U KR20150002019 U KR 20150002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pe
fixing
rollers
load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69Y1 (ko
Inventor
하수호
고명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6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로딩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물 인양시 기울임을 방지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로딩 빔에 의해 상부로 인양된 인양물의 이동 중에 인양물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상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Hook)에 체결하여 인양물을 인양하여 이동하기 위한 로딩 빔에 있어서, 상기 로딩 빔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 말단부가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 중 상부에 접하여 안내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중앙부에서 복수의 고정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롤러와 수평한 회전축을 갖되 그 위상이 상하로 자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조절롤러와, 상기 수평조절롤러의 회전축에 상응하는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늘어지고, 그 말단에는 상기 인양물에 고정되는 클램프가 구비되는 리프팅 와이어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롤러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브레이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LOADING BEAM WITH MEMBER FOR FIXING HORIZENTALLY}
본 고안은,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로딩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물 인양시 기울임을 방지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로딩 빔에 의해 상부로 인양된 인양물의 이동 중에 인양물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둣가에서 카고 컨테이너 이송 선박에 선적하고 하역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카고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갠트리 크레인 또는 키이 크레인이 여러 방면으로 개발되어왔다.
그 이유는, 선박 회사들이 각각의 선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정박 공정(선적 및 하역 공정)에 관하여 항구에서 선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이다.
키이 크레인 컨테이너 처리 속도는 사이클 속도(cycle rate)로 측정된다. 불안정한 키이 크레인 작업은 선박 상의 컨테이너의 하역 위치에 따라 컨테이너를 상이한 거리에 이동시켜 사이클 속도를 변경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키이 크레인이 선박의 빔(beam)을 가로질러 거리가 떨어진 각각의 컨테이너 칼럼을 선적하거나 또는 하역하기 때문에, 호이스트(hoist)는 각각의 연속적인 컨테이너 칼럼에 대해 외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만큼 이동되고 내려가며 선적물에 더 깊이 위치된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해 더 길게 호이스팅된다.
각각의 연속적인 컨테이너에 대해, 호이스트용 고정 시간과 증가된 운동 거리는 컨테이너 처리 시간을 증가시켜 이에 따라 사이클 시간이 증가된다. 선박의 작동 중단 시간(down time)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선박에 더 신속하게 선적하고 하역할 수 있게 하여 구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지속이 노력이 기울여져 왔으며 이런 점에서 볼 때 본 고안의 다중 컨테이너 처리 공정은 또 다른 개선예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2-0049874호(탠덤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 2012.05.17. 공개)가 있다.
본 고안은, 로딩 빔에 구비된 로프를 이용하여 인양물을 인양시 상기 인양물의 외형이 고르지 못하여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서로 다른 위상에서 인양물의 각 부위에 고정되더라도 수평조절롤러에 의해 상기 인양물의 각 부위에서 로프의 길이가 조절되어 인양물과 로딩 빔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양물이 상방으로 인양될 때 그 무게중심이 로딩 빔의 중앙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양물 인양시 상기 고정롤러나 로프를 고정시켜서 인양물의 형상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상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Hook)에 체결하여 인양물을 인양하여 이동하기 위한 로딩 빔에 있어서, 상기 로딩 빔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 말단부가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 중 상부에 접하여 안내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중앙부에서 복수의 고정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롤러와 수평한 회전축을 갖되 그 위상이 상하로 자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조절롤러와, 상기 수평조절롤러의 회전축에 상응하는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늘어지고, 그 말단에는 상기 인양물에 고정되는 클램프가 구비되는 리프팅 와이어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브레이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체결되는 견인프레임 및 상기 견인프레임의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 중 상부에는 상기 로프의 하부면이 접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조절롤러의 외면 중 하부에는 상기 로프의 상부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는 돌부가 형성된 안전바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킹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상기 로프가 안착되어 안내되고,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홈에 안착된 로프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고안은, 로프를 이용하여 인양물을 인양할 때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로딩 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로딩 빔을 이용하여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해 수평을 맞추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인양물을 상방으로 인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로딩 빔을 이용하여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해 수평을 맞추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인양물을 상방으로 인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인양물(100)을 선적하거나, 이송할 때 지상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Hook)에 체결하여 로딩 빔(200)을 이용한다.
상기 로딩 빔(200)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의해 이동되며, 로딩 빔(200)에 의해 인양물(100)이 상방으로 승강되어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이 때, 상기 인양물(100)의 균일하지 못한 외형으로 인해 인양물(100)의 각 부위에 고정되는 리프팅 와이어(250)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 및 그 기울기가 다르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양물(100)을 승강시키면 기울어짐이 발생한다.
기울어진 상태에서 인양물(100)을 이송하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인양물(100)을 지면에 안착시키면 인양물(100)의 어느 한 부위가 먼저 지면에 접하게 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고, 또 이송 중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양물(100)의 형상에도 불구하고 인양 중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200)을 설명하면, 지상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Hook)에 체결하여 인양물(100)을 인양하여 이동하기 위한 로딩 빔(200)에 있어서, 상기 로딩 빔(200)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Hook)에 체결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고정롤러(220)와, 상기 지지부(210)의 양측 말단부가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220)의 외면 중 상부에 접하여 안내되는 로프(230)와, 상기 로프(230)의 중앙부에서 복수의 고정롤러(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롤러(220)와 수평한 회전축을 갖되 그 위상이 상하로 자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와, 상기 수평조절롤러(240)의 회전축에 상응하는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늘어지고, 그 말단에는 상기 인양물(100)에 고정되는 클램프(251)가 구비되는 리프팅 와이어(250) 및 상기 지지부(2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롤러(22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브레이킹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체결되는 견인프레임(211) 및 상기 견인프레임(211)의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프레임(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220)는 상기 지지프레임(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고정롤러(220)는 상기 지지프레임(21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다.
상기 로프(23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212)의 양측 말단부에 고정되어 그 중앙부는 하방으로 충분히 늘어지는 길이는 갖는다.
여기에서, 하방으로 늘어진 로프(230)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롤러(220)의 상부에 놓여져 고정롤러(220)의 외면 중 상부에 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220) 사이에 상기 수평조절롤러(240)를 배치하되, 상기 로프(230)의 중앙부 상부에 수평조절롤러(240)가 놓여져 수평조절롤러(240)의 자체 중량에 의하여 복수의 고정롤러(220) 사이에서 상기 수평조절롤러(240)가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롤러(220)는 상기 지지부(210)에 고정되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지게 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는 상기 로프(23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 중 어느 하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다른 수평조절롤러(24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220)의 외면 중 상부에는 상기 로프(230)의 하부면이 접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의 외면 중 하부에는 상기 로프(230)의 상부면이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롤러(240)에는 수평조절롤러(240)의 회전축에 상응하는 중앙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리프팅 와이어(250)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의 말단에는 상기 인양물(100)에 고정되는 클램프(251)가 구비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고정롤러(220)와 수평조절롤러(240)의 외면에 안내되는 로프(230)가 인양물(100)이 수평하게 되는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이동 중 인양물(10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상기 브레이킹부(260)가 구비되는 점에 있어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5는, 도 4의 로딩 빔(200)을 이용하여 인양물(100)을 인양하기 위해 수평을 맞추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인양물(100)을 상방으로 인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물(100)의 외형으로 인하여 인양물(100)의 각 부위에 연결된 클램프(251)에서 상기 로딩 빔(200), 즉 각각의 수평조절롤러(240)로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250)의 기울기(A1°~ D1°)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인양물(100)을 인양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인양물(100)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외형이 고르지 못한 인양물(100)을 로딩 빔(200)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면, 상기 로딩 빔(200)을 인양물(100)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에 구비된 리프팅 와이어(250)의 말단, 즉 상기 클램프(251)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물(100)의 각 부위에 결합한다.
도 4는 상기 인양물(100)이 지면에 놓여져 있는 상태로써, 상기 클램프(251)를 결합한 후에 상기 지지부(210)를 일부 승강시켜서 상기 로프(230) 및 리프팅 와이어(250)가 팽팽해 지도록 하면 상기 인양물(100)의 형상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가 승강하거나, 또는 하강하면서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부(210)와 인양물(100)이 수평한 상태에서 로프(230)에 일정 정도의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10)를 그대로 승강시키면 상기 인양물(100)의 외형에 따른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의 기울기로 인하여 인양물(100)이 도 3과 같이,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브레이킹부(260)가 구비됨으로써 인양물(100)을 인양할 때 상기 로프(230)를 고정한 상태에서 인양물(100)을 인양하여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킹부(260)의 제1실시예로써, 상기 지지부(210)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22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고정롤러(220)의 회전을 방지하여 로프(230)를 고정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롤러(220)에 드럼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패드가 상기 드럼에 밀착되면서 고정롤러(2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브레이킹부(260)의 제2실시예로써, 복수의 고정롤러(220)의 외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는 돌부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돌부가 기어부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고정롤러(220)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로프(2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킹부(260)의 제3실시예로써,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22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상기 로프(230)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210)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홈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가 홈에 안착된 로프(230)를 가압함으로써 로프(230)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브레이킹부(260)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로프(23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로딩 빔(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로딩 빔(200)을 이용하여 인양물(100)을 인양하기 위해 수평을 맞추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인양물(100)을 상방으로 인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로딩 빔(200)은 상기 브레이킹부(260)가 구비되지 않은 로딩 빔(200)으로써, 도 1 및 도 2의 과정은 도 4 및 도 5의 과정과 동일하나, 도 3의 과정과 도 6의 과정을 보면 브레이킹부(260)가 구비되지 않은 로딩 빔(200)의 경우에는 인양물(100)의 외형에 의해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가 서로 다른 기울기로 기울어지고(도 2 참조), 이 상태에서 인양물(100)을 인양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인양물(100)이 기울어지게 된다.
도 2를 보면, 인양물(100)에 상기 클램프(251)를 결합하고 지지부(210)를 일부 승강하여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가 승강하거나 하강하도록 하면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에 구비된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에는 동일한 장력(P1)이 발생한다.
그리고, 각 리프팅 와이어(250)가 클램프(251)에서 각각의 수평조절롤러(240)로 이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각도(A°~ D°)에 의해 서로 다른 수평분력 F1~F4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10)를 승강시켜 인양물(100)이 부상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수평분력 F1+F2가 F3+F4와 같아지려는 성질로 인하여 인양물(100)이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킹부(260)가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로딩 빔(200)의 경우에는 인양물(100)이 상부로 승강되어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지면에 놓여 있는 인양물(100)에 상기 클램프(251)를 고정하여 지지부(210)를 일부 승강시켜서 복수의 수평조절롤러(240)가 인양물(100)의 외형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물(100)의 형상에 따른 로프(230)의 수평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브레이킹부(260)를 조작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220) 또는 상기 로프(230)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를 보면, 인양물(100)에 상기 클램프(251)를 결합하고 지지부(210)를 일부 승강시켜서 수평조절롤러(240)들이 일부는 승강하고 일부는 하강하도록 하여 인양물(100)의 각 부위에서 로프(230)의 길이를 조정하며, 이 후 상기 브레이킹부(260)가 작동하여 로프(2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을 하게 되면,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에 작용하는 장력(P1~P4)가 각각 다르게 발생함으로써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가 단일한 로프(230)가 아니라 각자 단독으로 로딩 빔(200)에 연결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고, 각 리프팅 와이어(250)가 이루는 각(A°~ D°)에 의해 수평분력 F1~F4가 발생하며, 이 때의 수평분력은 F1+F2=F3+F4가 되어 인양물(100)의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상기 브레이킹부(260)에 의해 로프(2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인양물(100)이 지상으로부터 부상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때의 수평분력 F1~F4는 F1+F2의 값이 F3+F4의 값과 동일하게 되어 인양물(100)의 무게중심이 중앙에 있게 됨으로써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즉, 하나의 로프(230)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가 단일한 로프(23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가 상기 지지부(210)에 독립적으로 연결된 상태와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인양물(100)을 인양할 때 상기 리프팅 와이어(250)의 길이를 따로따로 조절하거나, 또는 각 길이에 맞는 리프팅 와이어(250)로 교체하지 않고 상기 로프(230)와 수평조절롤러(240)에 의해 각각의 리프팅 와이어(250)가 독립적으로 지지부(210)에 연결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250)의 교체 없이 인양물(100)을 인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물(100) 인양시 인양물(100)의 외형이 균일하지 못한 형우에도 그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인양함에 따라 인양물(1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고안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 인양물
200 : 로딩 빔
210 : 지지부
211 : 견인프레임
212 : 지지프레임
220 : 고정롤러
230 : 로프
240 : 수평조절롤러
250 : 리프팅 와이어
251 : 클램프
260 : 브레이킹부

Claims (6)

  1. 지상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Hook)에 체결하여 인양물을 인양하여 이동하기 위한 로딩 빔에 있어서,
    상기 로딩 빔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체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고정롤러;
    상기 지지부의 양측 말단부가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 중 상부에 접하여 안내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중앙부에서 복수의 고정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롤러와 수평한 회전축을 갖되 그 위상이 상하로 자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조절롤러;
    상기 수평조절롤러의 회전축에 상응하는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늘어지고, 그 말단에는 상기 인양물에 고정되는 클램프가 구비되는 리프팅 와이어;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브레이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후크에 체결되는 견인프레임; 및
    상기 견인프레임의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 중 상부에는 상기 로프의 하부면이 접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조절롤러의 외면 중 하부에는 상기 로프의 상부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는 돌부가 형성된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상기 로프가 안착되어 안내되고,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홈에 안착된 로프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KR2020130009552U 2013-11-20 2013-11-20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KR200486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52U KR200486869Y1 (ko) 2013-11-20 2013-11-20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52U KR200486869Y1 (ko) 2013-11-20 2013-11-20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19U true KR20150002019U (ko) 2015-05-28
KR200486869Y1 KR200486869Y1 (ko) 2018-07-09

Family

ID=5351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52U KR200486869Y1 (ko) 2013-11-20 2013-11-20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290A (ko) 2017-05-29 2018-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평 인양이 가능한 후크 장치
KR101973404B1 (ko) * 2019-02-08 2019-04-29 주장훈 파일 인양 기구
CN114132829A (zh) * 2021-12-03 2022-03-04 昆山东岸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起重的吊索具
KR102549807B1 (ko) * 2023-04-07 2023-06-30 에이스스틸 주식회사 강관 성형공정 또는 정형공정의 복수 구동롤 어셈블리의 일괄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교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4729A (en) * 1978-12-22 1980-06-26 Hitachi Ltd Drop down preventive device for waving boom
JPH06144774A (ja) * 1992-11-06 1994-05-24 Toyota Soken Kk Pc板の吊り上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92203Y (zh) * 2008-10-31 2009-08-19 巨力索具股份有限公司 吊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4729A (en) * 1978-12-22 1980-06-26 Hitachi Ltd Drop down preventive device for waving boom
JPH06144774A (ja) * 1992-11-06 1994-05-24 Toyota Soken Kk Pc板の吊り上げ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290A (ko) 2017-05-29 2018-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평 인양이 가능한 후크 장치
KR101973404B1 (ko) * 2019-02-08 2019-04-29 주장훈 파일 인양 기구
CN114132829A (zh) * 2021-12-03 2022-03-04 昆山东岸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起重的吊索具
CN114132829B (zh) * 2021-12-03 2024-04-16 昆山东岸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起重的吊索具
KR102549807B1 (ko) * 2023-04-07 2023-06-30 에이스스틸 주식회사 강관 성형공정 또는 정형공정의 복수 구동롤 어셈블리의 일괄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69Y1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869Y1 (ko) 수평고정수단이 구비된 로딩 빔
US4747745A (en) Selective beam gantry crane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JP5897925B2 (ja) 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当該装置の設置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布設工法
JPH1160140A (ja) コンテナ多段積用スプレッダ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KR101245513B1 (ko)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US3102642A (en) List compensating device
JPH1149478A (ja) クレーン
CN108249181A (zh) 一种船舶航运卸货平台
JP2014189389A (ja) クレーンとその制御方法
KR200494059Y1 (ko) 지게차 부착용 화물승강장치
US20160311663A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KR100480473B1 (ko)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이송장치
CN211075975U (zh) 一种邮轮码头用运输车
JPH072587B2 (ja) コンテナ荷役方式
US9216865B2 (en) Equipment for unloading bulk freighter and bulk carrier
JP2012206825A (ja) クレーン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5992711B2 (ja) クレーン
KR20150000635U (ko) 인양 후크의 방향 조절장치
JP7364612B2 (ja) クレー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21165646U (zh) 一种双梁桁架门式起重机
CN209853608U (zh) 高空吊装作业载荷侧向稳定系统
CN216235697U (zh) 用于转运加气砖的桥式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