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392A -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392A
KR20150001392A KR20130074550A KR20130074550A KR20150001392A KR 20150001392 A KR20150001392 A KR 20150001392A KR 20130074550 A KR20130074550 A KR 20130074550A KR 20130074550 A KR20130074550 A KR 20130074550A KR 20150001392 A KR20150001392 A KR 2015000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inger plate
bridge
elastic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029B1 (ko
Inventor
김선엽
전중욱
Original Assignee
포인텍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인텍이앤씨(주) filed Critical 포인텍이앤씨(주)
Priority to KR2013007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배수시트의 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그 하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레일과의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 체결공은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를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배수시트의 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량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상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처럼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신축이음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상기 플레이트는 교량상판의 신축작용에 의해 교량상판 간 이격거리가 수시로 변화할 때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연결되도록 교량의 상판 단부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측변이 파형상을 갖고 맞물릴 수 있도록 교호하게 형성된 복수의 핑거플레이트(10)와, 볼트(20) 체결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가 결합되어 그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레일(40)과, 상기 지지레일(40)을 교량의 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바(30)와, 핑거플레이트(10) 사이로 침투하는 물을 받아 다른 곳으로 안내하는 배수시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이같은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르면 교량상판이 신축 등의 이유로 종방향으로 변위될 때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핑거플레이트(10)들이 종방향으로 서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신축되어 교량의 종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서포트바(30)를 따라 지지레일(40)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레일(40)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핑거플레이트(10)들이 변위되면서 서로의 간격을 필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종방향과 달리 지진 등의 이유로 갑작스럽게 발생될 수 있는 교량상판의 횡방향 변위에 대해서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시트(50)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레일(40)의 일부를 변형해야 하고, 배수시트(50)가 사용 중 손상되는 경우 교체를 위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지지레일(40)로부터 분리하고, 지지레일(40)과 배수시트(50)의 체결을 해제하는 일련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2307호(2006.08.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도록 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그 하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레일과의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 체결공은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를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이격부에는 상기 이격부의 횡방향 폭이 좁혀지면 원상태로 넓혀지도록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체결공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핑거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수시트가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지지레일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시트는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로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시트는 상기 지지레일을 중심으로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볼트 체결공과 이격부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횡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변위 가능하여 지진 등의 이유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급격하게 발생되는 변위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핑거플레이트의 이격부와 횡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에 의해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수축되더라도 곧바로 넓혀지면서 원상태로 회복되고,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홈에 간단히 채워져 설치되는 제3탄성부재에 의해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수축되더라도 곧바로 넓혀지면서 원상태로 회복되는 동시에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복합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시트가 핑거플레이트와 지지레일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지지레일에 배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하지 않아도 배수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레일에서 분리한 후 간단히 배수시트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탄성부재, 제2탄성부재, 제3탄성부재에 의한 진동 및 소음 감쇄 효과에 저소음의 신축이음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종방향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에서 변형된 배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배수시트의 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종방향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에서 변형된 배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와, 서포트바(120)와, 지지레일(130)과, 배수시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볼트 체결공(112a)이 핑거플레이트(110)가 지지레일(130)을 따라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는 횡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115)를 구비하는 독창적인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이같이 독창적인 구성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교량의 횡방향 변위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이같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는 일반적인 핑거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는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111)들을 구비한다. 단, 도면을 살펴보면 복수의 핑거플레이트(110) 중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미들플레이트(middle plate)들과 종방향으로 양단부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에지플레이트(edge plate)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지만 핑거(111)를 길게 형성시킨 한 쌍의 에지플레이트만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된 것처럼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는 볼트 체결공(112a)이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115)를 구비하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이격부(115)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핑거플레이트(110)를 종방향으로 완전히 가로지른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가 볼트(113)에 의해 지지레일(130)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장공으로 형성된 볼트 체결공(112a)에 의해 지지레일(13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되는 것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차적으로, 상기와 같이 핑거플레이트(110)가 변위될 때 이격부(115)에 의해 중간 중간에 변위를 수용하는 완충공간이 확보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횡방향의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해진다.
이같은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변위 및 신축 작용이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신축작용과는 달리 기존 지지레일(130)이나 서포트바(120)의 지원 없이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교량의 종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한 구성에 어떠한 간섭 없이 횡방향으로도 신축 및 변위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적인 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에는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2)은 볼트(113) 머리보다 넓게 형성되어 볼트(113)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 외에 제3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포트바(120)는, 상기 지지레일(1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교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교량의 이음매를 중심으로 하여 걸쳐져 지지된다.
상기 지지레일(130)은 상기 서포트바(120)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슬립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핑거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레일(130)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길게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와 그 하측에서 볼트(113)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간 볼트(113) 결합은 압박하여 조이는 것이 아니라 상측으로 들뜨지 않을 정도로만 느슨하게 체결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110)가 지지레일(13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수시트(140)는 핑거플레이트(11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시트(140)는 상기 배수시트(140)는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141)와 상기 지지레일(130)들 사이에 절곡된 V자 또는 U자 형태로 위치하여 유입된 물을 다른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42)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배수시트(140)가 지지레일(130)에 결합되었던 종래기술과 달리 간단히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지레일(130)과 배수시트(140)에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시트(14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지지레일(130)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배수시트(140)가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배수시트(140)를 지지레일(130)과 지지레일(130) 사이사이에 일일이 여러 번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시공과정 없이 지지레일(130) 위에 핑거플레이트(110)를 설치하기 전에 넓은 배수시트(140) 하나만을 간단히 덧대어 주고 그 위에 핑거플레이트(110)를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배수시트(140)가 지지레일(130)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최초 설치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변형 전 구성에 비해 시공과정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지만 보수를 위한 교체시에는 손상된 부위의 배수시트(140)를 지지하고 있는 핑거플레이트(110) 하나를 분리한 다음 간단히 배수시트(140)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의 이격부(115)와 횡방향 양단부에 각각 제1탄성부재(150)와 제2탄성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이격부(115)를 채우면서 교량의 횡방향 변위 발생시 이격부(115)의 횡방향 폭이 좁혀지면 원상태로 넓혀지도록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를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60) 역시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횡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10)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이처럼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가 구비되면 전술된 것처럼 수축 및 변위된 핑거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원상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나아가 차량의 통과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의 횡방향 양단부에만 각각 제2탄성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실시예로부터 제1탄성부재(150)가 배제되고 제2탄성부재(160)만 남아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치된 제2탄성부재(160)에 의해 핑거플레이트(110)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변형실시예와는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실시예로부터 제2탄성부재(160)가 배제되고 제1탄성부재(150)만 남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의 볼트 체결공(112a) 주변에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 안착홈(112)에 제3탄성부재(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탄성부재(170)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져서 핑거플레이트(110)가 지지레일(130)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113)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같은 제3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안착홈(112)에 간단히 설치된 제3탄성부재(170)가 전술된 제1변형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150)와 제2탄성부재(160)가 하는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3탄성부재(170)가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의 설치영역과 중복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와 함께 복합적으로 설치하는 구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 경우 이들 제1탄성부재(150), 제2탄성부재(160), 제3탄성부재(170)에 의한 탄성지지력은 더욱 강해져서 교량의 횡방향 변위 발생시 이를 수용하기 위해 변위 및 수축되거나 신장되는 핑거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복구시켜준다. 그리고 소음 및 진동 감쇄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핑거플레이트 111 : 핑거
112 : 안착홈 112a : 볼트 체결공
113 : 볼트 115 : 이격부
120: 서포트바 130 : 지지레일
140 : 배수시트 141 : 끼움부
142 : 가이드부 150 : 제1탄성부재
160 : 제2탄성부재 170 : 제3탄성부재

Claims (9)

  1. 교량상판 이음매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그 하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레일과의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 체결공은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를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이격부에는 상기 이격부의 횡방향 폭이 좁혀지면 원상태로 넓혀지도록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핑거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수시트가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지지레일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로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상기 지지레일을 중심으로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KR20130074550A 2013-06-27 2013-06-27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148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ko) 2013-06-27 2013-06-27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ko) 2013-06-27 2013-06-27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92A true KR20150001392A (ko) 2015-01-06
KR101481029B1 KR101481029B1 (ko) 2015-01-14

Family

ID=5247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ko) 2013-06-27 2013-06-27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105A (zh) * 2018-09-28 2018-12-18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铰接横向移动装置
CN109024106A (zh) * 2018-09-28 2018-12-18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纵梁滑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404A (ja) 2001-04-24 2003-01-15 Yokohama Rubber Co Ltd:The 道路・橋梁用伸縮継手の緩衝装置
JP2004183379A (ja) 2002-12-05 2004-07-02 Kawaguchi Metal Industries Co Ltd 橋梁用伸縮装置の制振構造
KR100808492B1 (ko) * 2006-03-15 2008-02-2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105A (zh) * 2018-09-28 2018-12-18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铰接横向移动装置
CN109024106A (zh) * 2018-09-28 2018-12-18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纵梁滑动装置
CN109024105B (zh) * 2018-09-28 2024-03-15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铰接横向移动装置
CN109024106B (zh) * 2018-09-28 2024-03-15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纵梁滑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029B1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825Y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JP2010510416A5 (ko)
KR101595507B1 (ko)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RU2665737C1 (ru) Цельностальное, двухпластинчатое, самовозвратное, устойчивое к продольному изгибу рас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068824B1 (ko)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2119545B1 (ko)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029B1 (ko)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JP2016514775A (ja) 継ぎ目構造と継ぎ目構造を備える鉄道橋
KR102367646B1 (ko)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20110004003A (ko) 변위 다중 증폭 기구를 가진 진동 감쇠 장치
KR20180127838A (ko) 방음벽 교량용 부반력제어 및 신축흡수 장치, 방음벽 교량용 부반력제어 및 신축흡수 장치가 장착되는 방음벽 교량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KR20170096449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4490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KR101607531B1 (ko)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60027605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1835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39167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KR101868787B1 (ko) 지진감쇄기능을 가진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4099862A (zh) 一种弹性多变位梳齿桥梁伸缩装置
CN211420854U (zh) 一种桥梁伸缩缝的锚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