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507B1 -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507B1
KR101595507B1 KR1020150080846A KR20150080846A KR101595507B1 KR 101595507 B1 KR101595507 B1 KR 101595507B1 KR 1020150080846 A KR1020150080846 A KR 1020150080846A KR 20150080846 A KR20150080846 A KR 20150080846A KR 101595507 B1 KR101595507 B1 KR 10159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pring
guide rail
point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국
Original Assignee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된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좌우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진동 저감용 스프링을 설치하되, 각 프레임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접촉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완충체로 구성하여 상하진동도 흡수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의 단부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고정 설치하여 하부프레임의 진동을 흡수하여 상부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3dimension-seismic isolator with horizontal vibration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설비나 기기류 등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정된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좌우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진동 저감용 스프링을 설치하되, 각 프레임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접촉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완충체로 구성하여 상하진동도 흡수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의 단부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고정 설치하여 하부프레임의 진동을 흡수하여 상부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진이 발생한 경우 건물이나 설비 등의 구조물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데, 횡방향으로의 진동은 구조물을 심하게 흔들고 비틀게 된다. 전달되는 진동의 규모가 큰 경우 구조물을 부분적으로 손상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떨어뜨리고, 심한 경우 구조물을 붕괴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지진에 의해 구조물이나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내진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는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하부패널;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제1엘임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제2엘엠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제1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 및, 제2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상ㅇ하부패널; 하부패널 상면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제1가이드레일상에 미끄럼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블록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 상부패널저면에 제1가이드레일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 상에 미끄럼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제2가이드블록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 제1, 2가이드부재의 제1, 2가이드블록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가장자리부에 다수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스프링체결블록; 스프링체결블록 상에 단부가 결속되고, 제1, 2가이드레일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상ㅇ하부패널 중 어느 일측에 다른 단부가 결속되는 스프링; 및 한 쌍의 제1, 2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일면이 상부패널 혹은 하부패널상에 마찰되도록 구비되는 마찰블록을 포함하는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진동저감장치는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가이드블록과 패널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부패널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연결하는 수단을 레일과 가이드블록이고, 레일과 가이드블록에 의해 상, 하부패널이 직접 연결될 경우, 하부패널의 수평방향의 진동은 레일과 가이드블록 및 스프링에 의해 저감될 수 있지만, 상하진동은 그대로 상부패널에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7494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199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고정된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좌우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진동 저감용 스프링을 설치하되, 각 프레임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접촉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완충체로 구성하여 상하진동도 흡수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의 단부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고정 설치하여 하부프레임의 진동을 흡수하여 상부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는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시설물이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진동저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직교를 이루는 두 개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슬라이더; 슬라이더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블록;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의 진동에 의해 슬라이더를 따라 상부프레임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수평진동흡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진동흡수스프링은 하부프레임의 진동이 상부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저감 또는 흠수 할 뿐만 아니라, 지면의 진동이 멈춘 상태에서 하부프레임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평진동흡수스프링은 일단은 상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거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진동흡수스프링은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두 개의 스프링을 힌지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덮개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덮개판과 상부프레임 사이에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직진동저감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수평진동흡수스프링을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직접 연결하여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진동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들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블록을 완충체로 제작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진동 흡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평진동흡수스프링을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두 개의 스프링을 연경하여 구성함으로써 진동의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의 일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의 일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의 다른 일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3차원 지진 저감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의 다른 일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예의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조립체의 다른 일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를 구성하는 수직충격흡수수단의 일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진동흡수스프링의 일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록의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이 참조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으로 만들어진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를 포함하는 수평진동저감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평진동저감수단은 도 1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에 내진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이나 장비가 설치되고, 하부프레임(20)의 저면은 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수평진동저감수단은 지면에 고정된 하부프레임(20)에 대하여 상부프레임(10)이 자유롭게 이동 및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직교를 이루는 두 개의 가이드레일(10g, 20g)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0g, 20g)들 사이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g)은 상부프레임(10)의 저면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20g)은 하부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더(10s, 20s)를 설치하여 고정된 하부프레임(20)에 대하여 상부프레임(10)이 슬라이딩하여 이동될 수 있어 하부프레임(20)이 진동하여도 상부프레임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로 두 프레임(10, 20)을 직접 연결할 경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은 상기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나, 하부프레인의 상하 방향 즉, 수직 방향의 진동은 그대로 상부프레임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0s, 20s)들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블록(40)을 더 설치하였다.
상기 완충블록(40)은 탄성이 우수한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스프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면에는 슬라이더(10s)가 고정되고, 저면에는 슬라이더(20s)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완충블록(40)의 상,하단에는 금속판(40m)을 더 설치하여 슬러ㅏ이더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슬라이더(10s, 20s)와 가이드프레임(10g, 20g)은 기계 장치에서 이동체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결합하는 LM가이드 등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수평진동저감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이 진동하여 어느 일측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면 가이드프레임(10g, 20g)을 따라 슬라이더(10s, 20s)가 이동하고, 이때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이 신장 수축되는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어 상부프레임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일예를 설명하면, 하부프레임(20)이 가이드레일(20g)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하여 이동되면,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은 상기 가이드레일(20g)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작동하여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진동이 상부프레임(10)에 전달되지 않거나 적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진동저감수단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 슬라이더(10s, 20s) 및 가이드프레임(10g, 20g)만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진동흡수모듈(1)을 이루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상부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나 장치가 클 경우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진동흡수모듈(1)을 조립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진동흡수모듈(1)를 조립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다수의 상부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판을 형성하고, 역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다수의 하부프레임들을 볼트로 연결하여 하판을 형성할 수 있으나, 각 프레임들(10, 20)에 모두 진동흡수모듈(1)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흡수모듈(1)이 설치되는 부분에만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프레임을 사용하고, 다른 부분은 연결바(10c)와 가이드레일이 없는 받침(10n)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은 상기하고,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상부프레임부(10)의 저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하부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으로 다양한 형태나 종류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진동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장스프링(30s)의 내부에 완충댐퍼(30d)를 설치하여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이중 구조를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진동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댐퍼(30d)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30s)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거나, 탄성이 우수한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진동흡수스프링(30x, 30y)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두 개의 스프링을 힌지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두 개의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으로 만들 경우, 수평방향의 진동이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에 의해 진동 흡수가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의 진동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에 의해 진동 흡수가 이루어진다. 물론, 스프링의 탄성계수는 본 발명의 진진 저감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진 정도나 생황 진동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지진 저감장치로, 수평 진동 뿐만 아니라 수집방향의 진동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한 슬라이더(10s, 20s) 사이에 설치된 완충블록(40)이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 할 수 있지만 이로는 부족함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의 상부에는 상부덮개판(50)이 더 설치하고, 상기 상부덮개판과 상부프레임 사이에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직진동저감수단(60)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진동저감수단(60)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구조를 갖게 만드는 것이다. 즉, 외부의 압축스프링(60s)의 내부에 방진댐퍼(60d)를 설치하여 이중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완충댐퍼(60d)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60s)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거나, 탄성이 우수한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댑퍼(60d)는 구조물 및 부재 등이 하중, 외력의 증가에 따라 내부의 응력, 변형이 점차 탄성 영역에서 소성 영역으로 이행하는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저면에는 방진댐퍼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방진댐퍼는 탄성이 우수한 탄소성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스프링이 될 수 있다.
1: 진동흡수모둘
10: 상부프레임
10g: 가이드레일 10s: 슬라이더
20: 하부프레임
20g: 가이드레일 20s: 슬라이더
30x, 30y: 수평진동흡수스프링
30s: 인장스프링 30d: 완충댐퍼
40: 완충블록
50: 상부덮개판
60: 수직진동저감수단
60s: 압축스프링 60d: 완충댐퍼

Claims (6)

  1. 하면이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위치하고 하면이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시설물이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의 제 1 지점에서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의 제 2 지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
    상기 상부프레임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레일과 교차하는 제 2 가이드레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제 1 슬라이더;
    상기 제 1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에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2 슬라이더;
    코일형 인장스프링이며 일단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일단의 측부 제 3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 하면 중 상기 제 3 지점의 직상방에 위치한 제 4 지점에 고정되는 제 1 스프링;
    코일형 인장스프링이며 일단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타단의 측부 제 5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 하면 중 상기 제 5 지점의 직상방에 위치한 제 6 지점에 고정되는 제 2 스프링;
    코일형 인장스프링이며 일단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 일단의 측부 제 7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 중 상기 제 7 지점의 직하방에 위치한 제 8 지점에 고정되는 제 3 스프링;
    코일형 인장스프링이며 일단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 타단의 측부 제 9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 중 상기 제 9 지점의 직하방에 위치한 제 10 지점에 고정되는 제 4 스프링;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프링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인장 스프링;
    상기 내부 인장 스프링은 상기 내부 인장 스프링의 외부에 위치한 스프링 보다 반경이 작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프링 및 내부 인장 스프링은 진동이 없는 정상상태일 때 최단 길이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프링 및 내부 인장 스프링 모두 진동 발생시 연장 및 수축을 통해 회복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덮개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덮개판과 상부프레임 사이에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직진동저감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수직진동저감수단은 압축스프링의 내부에 방진댐퍼를 더 설치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20150080846A 2015-06-08 2015-06-08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159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46A KR101595507B1 (ko) 2015-06-08 2015-06-08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46A KR101595507B1 (ko) 2015-06-08 2015-06-08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507B1 true KR101595507B1 (ko) 2016-02-18

Family

ID=5545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46A KR101595507B1 (ko) 2015-06-08 2015-06-08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50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481B1 (ko) * 2017-08-24 2018-02-06 최윤철 실외기용 방진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836164B1 (ko) * 2017-11-22 2018-04-19 (주)파워엔텍 수직 진동 저감 성능을 갖춘 3차원 면진장치
KR101850745B1 (ko) * 2018-02-06 2018-04-23 (주)다우텍 스프링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3차원 면진 장치
KR101854412B1 (ko) * 2018-02-08 2018-05-04 (주)다우텍 방진고무가 구비되는 3차원 면진 장치
KR20200100989A (ko) 2019-02-19 2020-08-27 이상희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는 면진 장치
KR20200100990A (ko) 2019-02-19 2020-08-27 이상희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향상된 복원력을 가지는 면진 장치
KR102238581B1 (ko) 2020-12-10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Lm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20220033339A (ko) 2020-09-09 2022-03-16 이상희 취급위험물 방진을 위한 면진받침대
KR20220033341A (ko) 2020-09-09 2022-03-16 이상희 취급위험물의 방진성이 개선된 면진받침대
CN114508179A (zh) * 2022-02-25 2022-05-17 广州大学 一种三维隔震层
KR102471232B1 (ko) 2021-12-01 2022-11-25 유홍근 Lm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102523176B1 (ko) * 2022-10-17 2023-04-21 (주)세우테크윈 전방향 충격 흡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993A (ja) * 2000-09-08 2002-05-31 Tokkyokiki Corp 免震機能付き防振装置
KR20040077890A (ko) * 2002-01-28 2004-09-07 반즈 그룹 인크. 감쇠 압축 스프링 로드
KR100787494B1 (ko) 2006-03-15 2007-12-27 황기태 진동저감장치
JP2009103255A (ja) * 2007-10-24 2009-05-14 Yakumo Kk 免震制振装置用一体型ばね減衰機構及び免震制振装置
KR100919926B1 (ko) 2008-04-22 2009-10-07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
JP2011047514A (ja) * 2009-07-30 2011-03-10 Meiji Univ 減衰装置及び減衰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993A (ja) * 2000-09-08 2002-05-31 Tokkyokiki Corp 免震機能付き防振装置
KR20040077890A (ko) * 2002-01-28 2004-09-07 반즈 그룹 인크. 감쇠 압축 스프링 로드
KR100787494B1 (ko) 2006-03-15 2007-12-27 황기태 진동저감장치
JP2009103255A (ja) * 2007-10-24 2009-05-14 Yakumo Kk 免震制振装置用一体型ばね減衰機構及び免震制振装置
KR100919926B1 (ko) 2008-04-22 2009-10-07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
JP2011047514A (ja) * 2009-07-30 2011-03-10 Meiji Univ 減衰装置及び減衰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481B1 (ko) * 2017-08-24 2018-02-06 최윤철 실외기용 방진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836164B1 (ko) * 2017-11-22 2018-04-19 (주)파워엔텍 수직 진동 저감 성능을 갖춘 3차원 면진장치
KR101850745B1 (ko) * 2018-02-06 2018-04-23 (주)다우텍 스프링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3차원 면진 장치
KR101854412B1 (ko) * 2018-02-08 2018-05-04 (주)다우텍 방진고무가 구비되는 3차원 면진 장치
KR20200100989A (ko) 2019-02-19 2020-08-27 이상희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는 면진 장치
KR20200100990A (ko) 2019-02-19 2020-08-27 이상희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향상된 복원력을 가지는 면진 장치
KR20220033341A (ko) 2020-09-09 2022-03-16 이상희 취급위험물의 방진성이 개선된 면진받침대
KR20220033339A (ko) 2020-09-09 2022-03-16 이상희 취급위험물 방진을 위한 면진받침대
KR102238581B1 (ko) 2020-12-10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Lm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102471232B1 (ko) 2021-12-01 2022-11-25 유홍근 Lm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CN114508179A (zh) * 2022-02-25 2022-05-17 广州大学 一种三维隔震层
CN114508179B (zh) * 2022-02-25 2022-09-09 广州大学 一种三维隔震层
KR102523176B1 (ko) * 2022-10-17 2023-04-21 (주)세우테크윈 전방향 충격 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07B1 (ko)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1595509B1 (ko) 수직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US9394967B2 (en) Three-dimensional shock-absorbing device
KR200480952Y1 (ko) 진동흡수모듈과 지지모듈이 분리된 3차원 면진장치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101737822B1 (ko)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배전반
KR101778155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KR101778518B1 (ko) 비상발전기 내진장치 및 내진방법
KR101943572B1 (ko) 탄성 스프링과 강재댐퍼를 구비한 내진 창호 시스템
KR101701810B1 (ko) 내진장치
KR20140091980A (ko) 3차원 면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101069079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면진장치
KR20180065144A (ko) 탄성계수를 갖는 구조물 제진보강용 가새장치
KR20200100990A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향상된 복원력을 가지는 면진 장치
KR102191280B1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는 면진 장치
KR102139093B1 (ko) 마감재 부착용 내진 브래킷
RU163328U1 (ru)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омпьютера на транспортной машине
KR10137133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브레이스 마찰댐퍼
KR102427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375336B1 (ko) 내진용 방진 스프링 마운트
KR200431157Y1 (ko)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1291809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102033825B1 (ko) 기계구조물용 내진장치
KR101524855B1 (ko) 고감쇠 고무 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101291808B1 (ko) 교량용 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