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280U -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280U
KR20150001280U KR20130007865U KR20130007865U KR20150001280U KR 20150001280 U KR20150001280 U KR 20150001280U KR 20130007865 U KR20130007865 U KR 20130007865U KR 20130007865 U KR20130007865 U KR 20130007865U KR 20150001280 U KR20150001280 U KR 201500012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lamp
seat tube
guide groove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7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077Y1 (ko
Inventor
김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Priority to KR2020130007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7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1Preventing theft of parts or accessories used on cycles, e.g. lamp, dynam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륜과 후륜이 설치되는 자전거 프레임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선단에 슬릿홀과 통공을 형성하는 시트 튜브와, 안장의 하부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고 일면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시트 튜브내경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거리 제어용 제어나사를 가이드 홈에 형성하는 시트 포스트와, 상기 시트 튜브의 상단에 설치되어 입구를 감싸며 양측면의 통공 위치에 멈치볼트를 설치하며 슬릿홀을 통하여 시트 포스트의 가이드 홈에 밀착되는 돌부를 일체로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양단에서 절곡된 지지편에서 캠면에 의해 조임볼트와 클램프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안장의 높이를 조절선택시 사용자가 클램프의 시트 튜브의 입구를 조이면 좌우대칭 위치에 체결된 고정볼트가 시트 포스트의 외주면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때 돌부의 원호면이 가이드 홈의 오목한 면에 밀착할 때 3점 가압상태를 이루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제공하며 시트 포스트가 제한높이까지 이동될 때 가이드 홀의 제어나사가 시트튜브 내경에서 돌부에 걸려 더 이상의 인출을 제한하므로 안장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제어나사의 위치가 보이지 않아 분해할 수 없어 도난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APPARATUS OF PREVENTING BREAKAWAY SADDLE}
본 고안은 자전거의 안장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프레임에 설치된 안장의 상태를 보다 더 안정시키며 빠짐과 이탈을 방지하여 안장의 도난을 예방하는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전륜과 후륜 사이에 설치된 안장에 앉아서 발로 페달을 번갈아가면서 힘을 주어 밟을 때 목적하는 곳으로 운행되는 이동수단이다.
이러한 이동수단인 자전거는 운행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안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장 높이 조절상태의 유지와 안장의 이탈상태 즉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이동수단인 자전거의 안장은 운행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페달을 발로 번갈아 밟는 과정에서 안장이 자전거 프레임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게 된다.
상기 자전거의 안장 높이 조절 및 분실방지에 대한 구성은 선출원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9-0011668호(2009.11.18.)호에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선출원에 따르면 프레임(32)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체결공(56)이 형성되는 시트 튜브(52)와; 안장(60)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 튜브(52)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고정채널(6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채널(64)에는 스토퍼(66)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시트 포스트(62)와; 상기 시트 튜브(52)의 체결공 (56)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시트 포스트(62)의 고정채널(64)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 포스트(62)가 상기 시트 튜브(52)에 대해 인출한계를 벗어날 때 상기 스토퍼 (66)에 걸어지는 체결구(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추어서 된 선 출원에 의하면 시트 포스트(62)의 고정채널 (64)에 스토퍼(66)가 구비되고 체결구(78)에 의해 시트 포스트(62)의 이동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시트 포스트(62)의 분리를 염려하지 않고 안장(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 포스트(62)가 시트 튜브(52)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시트 포스트(62)의 도난이 예방된다.
그리고 체결구(78)가 시트 튜브(52)의 체결공(56)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시트 포스트(62)의 고정채널(64)에 위치하므로 시트 포스트(62)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출원에 의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안장(60)이 구성된 시트 포스트(62)에는 클램프(70)와 체결구(78)에 의한 조임력이 집중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안장(60)에서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과 주행 중의 충격 등으로 체결구(78)의 조임력이 자연적 느슨해지게 되어 안장의 높이 조절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상기 시트 포스트(62)에 시트 튜브(52)를 고정하는 체결구(78)가 클램프(70)에서 노출된 구성이므로 조임력 해제공구를 용이하게 접촉 시킬 수 있어 도난으로부터 안정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9-0011668호(2009.11.18.)
본 고안은 상기와 간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전거 프레임의 시트튜브에서 시트 포스트의 인출상태가 한계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장의 시트 포스트의 인출한계를 제어하는 제어나사의 위치가 시트 튜브의 내부에 있도록 하여 조임력 해제용 공구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도난을 예방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장 높이를 고정할 때 시트 튜브의 외주연 한 곳 이상을 동시에 고정하여 안장의 높이 조절상태가 안정되게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륜과 후륜이 설치되는 자전거 프레임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선단에 슬릿홀과 통공을 형성하는 시트 튜브와, 안장의 하부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고 일면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시트 튜브내경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거리 제어용 제어나사를 가이드 홈에 형성하는 시트 포스트와, 상기 시트 튜브의 상단에 설치되어 입구를 감싸며 양 측면의 통공 위치에 멈치볼트를 설치하며 슬릿홀을 통하여 시트 포스트의 가이드 홈에 밀착되는 돌부를 일체로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양단에서 절곡된 지지편에 캠면으로 인한 조임력을 조임볼트와 클램프에 제공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장의 길이로 형성한 시트 포스트의 가이드 홈 상하에는 시트 튜브 측으로의 삽입을 방지하는 제어나사와, 시트 튜브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제어나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 부재의 클램프에서 돌부를 클램프와 일체로 형성하며 돌부 위치를 중심으로 클램프의 양측면의 대칭적 위치에 멈치볼트 설치용 나사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안장의 높이를 조절할 때 시트 포스트가 가이드홀의 제한높이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때 클램프의 돌부에 형성된 원호면이 가이드 홀의 오목한 면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는 작용에 의하여 시트 포스트는 유연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안장의 높이를 조절 선택시 사용자가 클램프의 레버를 눌러서 시트 튜브의 입구를 조이면 좌우대칭 위치에 체결된 고정볼트가 시트 튜브의 통공을 통해 시트 포스트의 외주면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때 돌부의 원호면이 가이드홈의 오목한 면에 밀착되는 3점 가압상태를 이루어 좌우로 흔들림 없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시트 포스트를 제한높이 까지 이동시키면 가이드 홀에 체결된 제어나사가 클램프의 돌부에 걸려 더 이상의 인출을 제한하므로 안장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제어나사의 위치가 보이지 않아 분해할 수 없어 도난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 안장 높이 조절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하는 자전거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안장 이탈 방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적용한 안장 이탈 방지 구성에 대한 조립상태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을 적용한 안장 인출시 제어나사와 돌부의 상태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하는 통상적인 자전거에 대한 구성도로서, 자전거(90)는 지면에 접촉하여 구동하는 전륜(50)과 후륜(60)과, 상기 전륜(50)과 후륜(60)을 설치하는 프레임(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중앙위치 상측으로 시트 튜브(200)를 돌출 형성하고, 중앙위치 하측으로는 크랭크 기어(70)를 설치하여 시트 튜브(200)에 안장(120)을 구성한 시트 포스트(300)를 설치하고, 크랭크 기어(70)에 페달(80)과 동력전달을 위한 체인(80A)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80A)은 동력을 받기 위하여 후륜(60)의 축에 작은 체인기어(63)를 설치하며 프레임의 선단 상측에 자전거를 운행하기 위한 핸들(110)을 설치하고, 핸들(110)에는 주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부재(120)를 설치한다.
상기 브레이크 부재(120)는 핸들위치에 레버(121), 전륜(50)과 후륜(60) 위치에 브레이크(125), 상기 레버(121)와 브레이크(125)를 연결하여 브레이크에 제어력을 전달하는 와이어(127)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중앙 상부에 안장을 설치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따라 설명하면 안장(120)은 사용자가 앉기에 편안하고, 앉은 상태에서 페달에 발을 얹어 힘을 번갈아 전달하는 운동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상을 갖춘다.
상기 안장(120)의 저면으로 프레임(100)의 시트 튜브(200)와 연결하기 위한 시트 포스트(300)를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여 안장(120)과 결합한다.
상기 시트 포스트(300)는 시트 튜브(200)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안장 높이를 조절하기에 필요한 가이드 홈(310)을 외경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홈(310)을 오목하게 형성함에 있어 그 단면형상을 반원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안장(120)과 프레임(100)의 안전에 제한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각형, 삼각형으로 형성함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 홈(310)의 하단위치 즉 안장 높이 조절 시 시트 포스트(300)의 최대한 삽입위치와 인출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체결공(330)(330a)을 각각 뚫어 형성하며, 이에 시트 포스트(300)의 최대 인출을 제어하는 제어나사(350)(350a)를 설치한다.
상기 시트 포스트(300)가 삽입되는 내경을 가진 프레임(100)의 시트 튜브(200) 입구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릿홀(210)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홀 (210)의 대칭되는 시트 튜브(200)의 좌우측면으로 인출길이 제한용 멈치볼트(450)의 통공(230)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시트 튜브(200)의 입구에는 클램프 부재(40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클램프 부재(400)는 시트 튜브(200)의 입구 상단을 감싸는 클램프(410)를 밴드형으로 형성하고, 클램프(410)의 양단에 조임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편(412)을 절곡 형성한다.
상기 밴드형상으로 된 클램프(410)의 내경면 일측에 안장 높이 조절 시 시트 포스트가 좌, 우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돌부(420)를 돌출 형성하고, 좌우측면 중앙을 뚫어 시트 포스트(300)의 위치를 고정용 멈치볼트(450) 설치용 체결공(430)을 형성하며 클램프(410)의 지지편(412)에는 연결공(415)을 뚫어서 이에 조임력을 형성하는 레버(470)를 구성한다.
상기 레버(470)는 지지편(412)의 연결공(415)으로 삽입되는 조임볼트(460)와, 조임볼트(460)의 나사부에 채워지는 고정너트(463)와, 상기 조임볼트(460)의 머리부에 삽입하는 핀(475)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470)는 사용자의 손으로 안장 높이 조절시 필요한 조임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임볼트(460)와 연결되는 일측부위에 캠면(471)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471)에서 타측 부위로 연장하여 힘의 전달이 용이한 지렛대 형상의 손잡이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460)가 연결된 캠면(471)은 레버(470)의 회전시 핀(475)을 중심으로 클램프의 지지편(412)에 대해 접촉각을 점차 증가시키는 동작으로 지지편(412)을 당겨 클램프(410)를 조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적용한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상태를 도 4의 안장 이탈 방지 구성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장(120)이 설치된 시트 포스트(300)의 가이드 홈(310)상하 위치에 형성한 체결공(330)(330a)으로 제어나사(350)(350a)를 설치하되 가이드 홈(310)에서 돌출되게 한다.
상기 클램프 부재(400)의 클램프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430)으로 멈치볼트(450)를 나사식 체결을 하고, 지지편(412)의 연결공(415)으로 레버(470)의 조임볼트(460)를 삽입하여 연결공(415)을 관통한 조임볼트(460)의 나사부에 고정너트(463)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클램프(410)가 긴장되게 한다.
다음, 시트 포스트(300)에 클램프 부재(4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하 제어나사(350)(350a)사이에 클램프(410)가 위치하게 한다.
상기 시트 포스트(300)의 하단을 자전거 프레임(100)의 시트 튜브(200) 내경으로 삽입하면 클램프 부재(400)의 클램프(410)는 시트튜브(200의 상단에 위치되므로 이때 클램프(410)의 돌부(420)가 시트튜브(200)의 슬릿홀(210)로 삽입되게 하고, 멈치볼트(450)를 조여 그 선단이 시트 튜브(200)의 통공(230)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서 안장 이탈 방지 구성이 자전거 프레임(100)의 시트 튜브(20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100)의 시트튜브(200)에 안장(120)의 시트 포스트(3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안장의 높이를 사용자의 높이로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클램프 부재(400)의 레버(470))를 클램프 해제상태로 한 다음 안장(120)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당기거나 눌러서 위치를 설정한다.
안장(120)의 높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400)의 레버(470)를 조임위치로 당긴다. 레버(470)의 조임위치로 이동하면 편심에 의한 캠면(471)은 조임볼트(460)를 당기는 작용을 할 때 클램프(410)가 오므라들면서 슬릿홀(210)의 입구를 오므려서 시트 튜브(200)의 내경은 시트 포스트(300)의 외경에 밀착되는 상태로 되고, 슬릿홀(210)에 위치한 클렘프(410)의 돌부(420)는 시트 포스트(300)의 가이드 홈(310)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시트 포스트(300)는 시트 튜브(200)와 돌부(420)와 가이드 홈(310)의 상호 밀착으로 안장(120)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며, 이때 돌부(420)의 원호면과 오목한 가이드 홈(310)과의 밀착상태는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작용을 이루는데 이러한 작용은 안장 높이 조절시 시트 포스트(30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상기 안장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클램프(410)의 양측면에 설치된 멈치볼트(450)를 공구로 조인다. 공구에 의해 클램프(410)에서 조여지는 멈치볼트(450) 선단이 나사 조임력으로 시트 튜브(200)의 측면에 뚫린 통공(230)을 통해 시트 포스트(300)의 양측 외면에 가압 밀착되는 작용을 이루게 되므로 안장 높이 조절상태는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안장의 높이를 다시 조절하기 위하여 클램프의 조임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안장(120)을 프레임(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누르거나 당기면 시트 포스트(300)가 시트 튜브(200)에서 슬라이딩을 이루는데 과도하게 이동할 경우 시트 포스트(300)의 가이드 홈 (310)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 제어나사(350)(350a)가 클램프(410)의 돌부(420)에 걸리는 작용에 의해서 시트 포스트가 프레임(100)의 시트 튜브(200)내로 들어가거나 혹은 시트 튜브(2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시트 포스트(300)의 가이드 홈(310)하단에 설치된 제어나사(350a)는 시트 튜브(200)의 내경에 위치하고 있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안장(120)을 절취할 목적으로 당겨도 시트 튜브(200)내경에서 돌부(420)에 걸림작용을 일으켜 안장(120)이 시트 튜브(300)에서 이탈되지 않아 도난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할 수 있는 구성에도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10: 핸들
120: 안장 200: 시트 튜브
210: 슬릿홀 230: 통공
300: 시트 포스트 310: 가이드홈
330,330a: 체결공 350,350a: 제어나사
400: 클램프 부재 410: 클램프
412: 지지편 415: 연결공
420: 돌부 430: 체결공
450: 멈치볼트 460: 조임볼트
470: 레버 471: 캠면
475: 핀

Claims (3)

  1. 전륜과 후륜이 설치되는 자전거 프레임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선단에 슬릿홀과 통공을 형성하는 시트튜브;
    안장의 하부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고 일면에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시트 튜브 내경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거리 제어용 제어나사를 가이드홈에 형성하는 시트포스트;
    상기 시트 튜브의 상단에 설치되어 입구를 감싸며 양측면의 통공 위치에 멈치볼트를 설치하며 슬릿홀을 통하여 시트 포스트의 가이드 홈에 밀착되는 돌부를 일체로 갖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양단에서 절곡된 지지편에서 캠면에 의해 조임볼트와 클램프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길이로 형성한 시트 포스트의 가이드홈 상하 위치에는 시트 튜브로의 삽입을 방지하는 제어나사와, 시트 튜브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제어나사를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내면에는 시트튜브에서 시트 포스트의 가이드 홈을 안내하는 돌부를 형성하며 클램프의 양측면 대칭적 위치에 시트 포스트의 외면에 조임 밀착되는 멈치볼트 설치용 나사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KR2020130007865U 2013-09-24 2013-09-24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KR200477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865U KR200477077Y1 (ko) 2013-09-24 2013-09-24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865U KR200477077Y1 (ko) 2013-09-24 2013-09-24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80U true KR20150001280U (ko) 2015-04-01
KR200477077Y1 KR200477077Y1 (ko) 2015-05-04

Family

ID=5303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865U KR200477077Y1 (ko) 2013-09-24 2013-09-24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400A (zh) * 2017-08-16 2017-12-19 合肥向宇互联网科技有限公司 可调节防盗车座
KR20180029755A (ko) 2016-09-13 2018-03-21 삼일변압기 주식회사 변압기의 냉각장치
CN110126944A (zh) * 2019-06-21 2019-08-16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滑落座管组件及车辆
KR102571798B1 (ko) * 2022-03-22 2023-08-28 노일훈 개인이동수단의 높이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491B1 (ko) 2017-12-19 2021-12-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01Y1 (ko) * 2008-05-13 2010-02-12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KR101138376B1 (ko) * 2010-07-14 2012-04-26 심재호 자전거 시트의 잠금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55A (ko) 2016-09-13 2018-03-21 삼일변압기 주식회사 변압기의 냉각장치
CN107487400A (zh) * 2017-08-16 2017-12-19 合肥向宇互联网科技有限公司 可调节防盗车座
CN110126944A (zh) * 2019-06-21 2019-08-16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滑落座管组件及车辆
CN110126944B (zh) * 2019-06-21 2024-05-10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滑落座管组件及车辆
KR102571798B1 (ko) * 2022-03-22 2023-08-28 노일훈 개인이동수단의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77Y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077Y1 (ko)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CN105197169B (zh) 自行车缆线布设系统
CN101801761B (zh) 转向柱组件
CN105857506B (zh) 自行车拨链器
KR200447701Y1 (ko)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US10023207B2 (en) Zip line apparatus
US10399625B2 (en) Tilt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TW201540592A (zh) 自行車龍頭上蓋
TWI520872B (zh) 兩種位置之控制裝置
US20150050073A1 (en) Apparatus for mounting handlebars
US20180134337A1 (en) Bicycle seat post assembly
KR101929833B1 (ko)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TWI554425B (zh) 自行車的滾軸系統
TW201540582A (zh) 自行車零件操作裝置
KR200474609Y1 (ko)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DE20019039U1 (de) Tretroller
US9783207B2 (en) Towing apparatus
KR20060111252A (ko)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US6685265B1 (en) Supplemental seat device for a bicycle
KR100864173B1 (ko) 자전거 안장 높이 조절장치
TW201643065A (zh) 自行車座管總成
US8661938B1 (en) Pedal for a bicycle
KR101900425B1 (ko)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KR101090634B1 (ko) 안장 유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
FR3093526B1 (fr) Procédé de pose d’un dormant sur un mur, dispositif de fixation d’un élément de dormant correspondant et dormant équipé d’un tel disposi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