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252A -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252A
KR20060111252A KR1020050125054A KR20050125054A KR20060111252A KR 20060111252 A KR20060111252 A KR 20060111252A KR 1020050125054 A KR1020050125054 A KR 1020050125054A KR 20050125054 A KR20050125054 A KR 20050125054A KR 20060111252 A KR20060111252 A KR 2006011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in
import
handle stem
steering whee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공오토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공오토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공오토이즈
Publication of KR2006011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操向)핸들을 잡은 유아와 후방에서 수압(手押)핸들을 잡은 보호자와의 상호간에 있어서, 앞바퀴의 회전방향성에 있어서 서로 의지의 불일치가 있더라도 그 보호자가 후방으로부터 안전ㆍ확실하게 앞바퀴의 조향(操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유아용 조향핸들(H2)의 핸들스템(STEM)(37)을 하측핸들스템(37b)과 그 중공(中空)내부에 끼워넣어지는 상측핸들스템(37a)과의 한쌍으로 분할하여, 그 내외 상호간에 별개의 회동슬리브(SLEEVE)(40)를 개재시켜, 그 회동슬리브(40)와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관통하는 수평의 클러치핀(65)을 밑으로 눌러 탄압력으로 저항하면서, 하방으로부터 전환조작레버(63)와 캠판(64)에 의하여 승강시켜 그 클러치핀(65)의 하강시에는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37a)(37b)과 회동슬리브(40)가 일체회동하는 것으로 되고 같은 클러치핀(65)의 상승시에는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37a)(37b)과 회동슬리브(40)가 상대적인 자유회동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조향장치, 조향핸들, 회동슬리브, 전환조작레버

Description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Steering System of Children's Tricycle}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아용삼륜차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보호자용 수압(手押)핸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4는 도3의 4-4선 단면도.
도5는 도1의 부분확대 정면도.
도6은 도5의 일부를 파단(破斷)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도6의 7-7선 단면도.
도8은 도7의 8-8선 단면도이며, 조향핸들과 수압핸들과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음.
도9는 조향핸들의 하측 핸들스템을 추출(抽出)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10은 도9의 10-10선 단면도.
도11은 도9의 11-11선 단면도.
도12는 도9의 12-12선 단면도.
도13은 조향핸들 수입구관의 톱캡(TOP CAP)을 추출하여 나타낸 일부의 단면도
도14는 도13의 저면도.
도15는 조향핸들 수입구관의 보텀캡(BOTTOM CAP)을 추출하여 나타낸 일부의 단면도.
도16은 도15의 평면도.
도17은 전환조작 레버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18은 도17의 18-18선 단면도.
도19는 캠판을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20은 도19의 저면도.
도21은 도19의 정면도.
도22는 도19의 22-22선 단면도.
도23은 도19의 23-23선 단면도.
도24는 핀누름판을 추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25는 도24의 저면도.
도26은 용수철수납플레이트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27은 도26의 저면도.
도28은 수압(手押)핸들에 의한 앞바퀴의 조향상태를 나타내는 도2에 대응하는 평면도.
도29는 캠(CAM)판과 클러치핀의 상승상태를 나타내는 도6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30은 도29의 30-30선 단면도.
도31은 도30의 31-31선 단면도.
도32는 도30의 32-32선 단면도이고, 도8에 대응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압(手押)핸들 지지베이스
4 - 안장
12 - 수압(手押)핸들 수입구관
15 - 수압(手押)핸들용 회동가이드 장공(長孔)
16 - 회동슬리브(SLEEVE)
17 - 리어(REAR)회동 플레이트
25 - 조향핸들 수입구관
26 - 힛치(HITCH)
27 - 관통볼트
29 - 카버구관
35 - 톱캡(TOP CAP)
36 - 보텀캡(BOTTOM CAP)
37 - 핸들스템
37a - 상측핸들스템
37b - 하측핸들스템
38 - 핸들바
39 - 프론트포크(FRONT FORK)
40 - 회동슬리브(SLEEVE)
41 - 경사테이퍼(TAPER)면
42 - 키플러그(KEY PLUG)
43 - 행거볼트(HANGER BOLT)
44 - 진흙제거카버
45 - 설치보스
46 - 로드(ROD)수입공(受入孔)
48 - 회동가이드(GUIDE)장공(長孔)
49 - 핀 수입공(受入孔)
50 - 관통핀
51 - 클러치핀 수입공(受入孔)
51x - 장공부(長孔部)
51y - 환공부(丸孔部)
52 - 클러치핀 수입장공(受入長孔)
63 - 전환조작레버
64 - 캠(CAM)판
65 - 클러치핀
67 - 용수철수납플레이트
68 - 핀누름용수철
69 - 계합조(係合爪)
71 - 손잡이
72 - 홈(溝)캠(CAM)
73 - 경사테이퍼(TAPER)면
75 - 승강가이드지주
76 - 클러치핀 수입요구(受入凹溝)
79 - 핀누름각(脚)
82 - 화장카버
85 - 앞바퀴
86 - 진퇴로드(ROD)
F - 차체프레임
H1 - 보호자용수압(手押)핸들
H2 - 유아용조향핸들
S - 승강행정(行程, STROKE)
θ- 회동각도
본 발명은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장(SADDLE)에 좌승(座乘)한 유아가 파지(把持)하는 조향핸들과 차체 프레 임을 후방으로부터 보호자가 수압(手押)하여 조작하는 수압핸들을 전후방향으로 진행가능한 일정길이의 로드(ROD)나 와이어(WIRE)에 의하여 그들 상호간에 같은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동(連動)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유아용삼륜차에 있어서, 앞바퀴가 회동하는 좌우방향성에 있어서 유아와 보호자와의 의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보호자가 상기 수압핸들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앞바퀴의 조향을 저항없이 안전ㆍ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조향장치로서, 본 발명자는 먼저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93795호를 고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지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나타난 구성으로는 조향핸들(H2)의 핸들스템(31)을 차체프레임(F)의 조향핸들수입구관(30)안으로 향하는 중간높이의 위치로부터, 상측핸들스템(31a)과 하측핸들스템(31b)과의 한쌍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그 차체프레임(F)의 조향핸들 수입구관(30)에 대하여 먼저 하방으로부터 앞바퀴(50)가 부속하는 하측핸들스템(31b)과 계속하여 상방으로부터 핸들바(32)가 뻗어나오는 상측 핸들스템(31a)과를 각각 삽입하여 그 하측 핸들스템(31b)의 종심축(縱芯軸)(36)을 상측 핸들스템(31a)의 초축(51)으로 감합(嵌合)시키지 아니하면 아니되고, 그 때 앞바퀴(50)가 구르기 때문에 이러한 조립작업을 유아용삼륜차의 사용자가 안전ㆍ확실하게 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메이커로서는 공장에서부터 조립완성품으로서 출하하지 아니하면 아니되고 고가의 포장ㆍ운송등의 경비를 지불하지 않으면 아니되게 되었다.
또한 그 조립완성품으로서도 하측핸들스템(31b)의 상단부로부터 심어서 세우는 종심축(36)의 머리부와, 상측 핸들스템(31a)의 하단부에 매설 일체화된 초축(51)의 축수보스(軸受BOSS)(53)와는 회동자유롭게 삽입한 감합(嵌合)상태에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떨리는 유동을 흡수하는 탄성재료가 하나도 없으므로, 조향핸들(H2)를 들어올린 경우 앞바퀴(50)에 부속되어 있는 하측 핸들스템(31b)이 하강하여, 정확하게 조립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게된다.
상기 종심축(36)과 초축(51)과의 감합면(嵌合面)뿐만이 아니라, 승강슬리브(56)와 화장카버(57)와의 감합면이나, 프론트(FRONT) 회동플레이트(40)와 지지링(38) 및 카버케이스(46)와의 감합면에도 그 회동을 허용하는 틈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에 따라서도 떨리는 유동을 하기쉽고 조립상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꾀할수록 점점 더 현저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진퇴로드(ROD)(43)의 전단부와 축설연결하는 특별한 프론트(FRONT)회동플레이트(40)가 필요하고, 더욱이 그 프론트(FRONT)회동플레이트(40)의 지지링(38)을 하측 핸들스템(31b)으로 용접하지 않으면 아니되므로 제조코스트가 쓸데없이 높게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문제의 개선을 목적으로하고 있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서는 안장에 좌승(座乘)한 유아가 파지(把指)하는 조향핸들과 차체프레임을 후방으로부터 보호자가 수압(手押)하여 조작하는 수압핸들을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좌우한쌍의 로드(ROD)에 의하여 그 서로간에 같은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동연결한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조향핸들스템을 차체프레임의 조향핸들수입구관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비교적 두텁고 긴 하측 핸들스템과 그 하측 핸들스템의 중공내부로 상방에서 삽입되어지는 가늘고 짧은 상측 핸들스템과의 한쌍으로 분할하여, 그 한쌍의 내외상호간에 삽입연결 설치된 별개의 회동슬리브의 상부를 상측 핸들스템으로 외부에서 들어올려 조작되는 테이퍼(taper)용수철플러그에 의하여 일체로 회동시킬수 있도록 체결하는 한편,
동일하게 회동슬리브의 하부를 하측 핸들스템으로 수평한 관통핀에 의하여 일정각도만을 상대적인 자유회동을 하도록 축지(軸支)함과 동시에 그 하측에 핸들스템의 중간높이 위치로 깎아내어 앞방향으로 개구(開口)하는 T자형의 클러치핀 수입공(受入孔)과 상기 회동슬리브의 대응적인 중간높이 위치로 깎아낸 수직의 클러치핀 수입장공(受入長孔)과의 상호간에 상기 관통핀과 평행한 수평의 클러치핀을 관통시켜 그 클러치핀의 누름판에 위로부터 눌러내리는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을 주고,
상기 클러치핀을 눌러내리는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에 저항하여 밑으로부터 지탱하는 캠판과 그 캠판을 상기 클러치핀 수입장공과 대응하는 일정의 승강행정(行程,STROKE)만을 승강시키는 전환조작레버를 상기 하측핸들스템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캠판의 하강시에는 클러치핀이 상기한 T자형 클러치핀 수입공의 환공부와 클러치핀 수입장공과를 관통하는 낮은 위치에 구속되는것에 의하여, 상하 한 쌍의 핸들스템과 회동슬리브가 일정각도만이 좌우방향으로 일체회동되게 하고,
상기 전환 작업레버의 회동조작을 받아서 캠판이 상승한 때에는 같은 클러치핀이 그 글러치핀 수입공의 수평한 장공부(長孔部)와 클러치핀 수입장공과를 관통하는 고위치에 도달하여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과 회동 슬리브가 일정각도만이 상대적인 자유회동이 되도록 관계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의 구성에서는 조향핸들 수입구통의 상하 양단부(端部)에 톱캡(TOP CAP)과 보텀캡(BOTTOM CAP)과를 피착(被着)일체화 시켜서 그 톱캡과 클러치핀 누름판과의 상하 상호간에 개재하는 핀누름용수철을 하측 핸들스템에 감아 걸리게 함과 동시에,
상기 톱갭과 보텀캡과의 상하상호간에 삽입하여 기립(起立)시킨 좌우 한쌍의 승강가이드 지주로 클러치핀 누름판과 캠판과를 회동불능하도록 관통삽입하는 한편,
그 캠판의 승강용 전환조작레버를 상기 조향핸들 수입구관으로부터 앞방향으로 도출시켜 그 외부로부터 하측 핸들스템의 주위에 좌우방향으로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의 구성에서는 하측 핸들스템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기(分岐)하는 프론트포-크(FRONT FORK)로 진흙제거카버를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피착(被着)시킴과 동시에,
진퇴로드의 전단부를 그 진흙제거카버로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의 구성에서는 좌우한쌍의 진퇴로드를 차체프레임에 고정된 상측카버케이스와 그 상측카버케이스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하측 카버케이스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하도록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5의 구성에서는 조향핸들 수입구관을 차체프레임과의 별체물(別體物)로서 그 조향핸들 수입구관으로부터 뒷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튀어나오는 핏치를 차체프레임의 중공(中空)내부로 착탈자유롭게 삽입하고, 또한 관통볼트와 그 고정넛트에 의하여 연결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하면, 전환조작레버를 좌우 어느 한쪽으로 회동조작하여, 캠판을 하강시킨 때에는 클러치핀도 하강하고, 유아용조향 핸들의 형태를 만들고 있는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과 회동슬리브가 일정각도만 좌우방향으로 일체로 회동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안장에 좌승(座乘)한 유아 스스로 앞바퀴의 조향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조작레버를 남아았는 다른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동조작하여 같이 캠판을 상승시킨 때에는 클러치핀도 상승하고,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과 회동 슬리브가 일정각도만 상대적인 자유회동으로 되기 때문에 앞바퀴가 회동하는 좌우방향성에 있어서, 만약 유아와 보호자와의 의지가 일치하지 아니하여도, 그 보호자가 차체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지장없이 앞바퀴의 조향을 행할 수 있는 것이고 유아에게 위험을 줄 우려가 없다.
또 핸들조작레버와 이에 의하여 승강되는 캠판과 더불어 클러치핀누름판은 유아용 조향핸들의 하측 핸들스템에 삽입고정 되어있고 더욱이 이것들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내려누르는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이 주어져 있으므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우려가 없고, 이들의 조립정도(精度)와 안정성이 현저하게 뛰어난다.
특히 청구항2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클러치핀 누름판과 캠판이 회동하는 것을 좌우한쌍의 승강가이드 지주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그 상방으로부터 내려누르는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에 있는 클러치핀누름판과 캠판을 하측핸들스템의 주위로 회동되는 전환조작레버에 의하여 정확하고 직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3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하측 핸들스템의 프론트포-크(FRONT FORK)에 피착(被着)일체화 된 진흙제거카버를 겸용하여 진퇴로드의 전단부를 삽입고정할 수 있고, 그 진퇴로드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픔이 불필요하게 되고, 앞바퀴의 진흙제거 화장(化粧)효과와 제조 코스트다운에 이바지 한다.
또 청구항4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전후방향으로 진퇴로드를 포위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용 삼륜차로서의 안정성과 화장(化粧)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5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유아용 조향핸들이나 전환조작레버, 캠판, 클러치핀, 클러치핀누름판등이 조합되어 포함된 조향핸들 수입구관과 차체프레임과를 분해하여 그 소형포장용기에 포장 수송할 수가 있고 유아용 삼륜차를 구입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터잡아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술하면, 그 유아용삼륜차를 나타낸 도1~27에 있어서, (F)는 완만한 각도로 밑으로 내려가는 경사상태로 늘어져있는 각강관(角鋼管)의 차체 프레임이고,
(1)은 그 하면을 따라 용접된 채널홈형강(溝型鋼)의 수압(手押)핸들 지지베이스이고 차체프레임(F)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튀어나와 있다.
(2)(3)은 상기 차체프레임(F)과 수압(手押)핸들 지지베이스(1)와의 상면에 각각 용접된 안장 수납대의 전후 한쌍이고, 이들에 의하여 안장(4)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5)는 그 앞쪽 안장수납대(2)에 대한 안장(4)의 수평한 구지핀이고, (6)은 안장(4)의 저면과 뒷쪽 안장수납대(3)와의 상하상호간에 개재하는 완충용수철을 시사하고 있다. (7)은 상기차체프레임(F)의 후단부와 뒷쪽 안장수납대(3)와의 전후상호간을 횡으로 가설하는 급각도로 뒤로 내려가는 경사상태로서 그 차체프레임(F)과 뒤쪽 안장수납대(3)에 용접된 둥근 강관의 리어포크(REAR FORK)이고 그 좌우방향으로 튀어나와 분기(分岐)한 하단부를 관통하는 수평의 뒷차축(8)의 양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뒷바퀴(9)가 축설되어 있다. (10)은 그 뒷차축(8)의 중간부에 용접된 수평한 스텝(STEP)이고 이것에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체결구를 개입시켜 합성수지제의 소용품(小用品) 수납박스(11)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12)는 상기 수압(手押)핸들 지지베이스(1)의 후단부에 기립상태로 용접된 수압(手押)핸들 수입구관이고, 그 상반부에는 캡(CAP)부착 합성수지제 화장관(14)이 피착(被着)일체화 되어 있다. 더욱이 수압(手押)핸들 수입구관(12)과 그 화장관 (14)의 중간높이 위치에는 도3, 4와 같이 서로 합치연통하는 좌우한쌍의 수압(手押)핸들용 회동가이드장공(長孔)(15)이 수평으로 깎여나가 있다.
또한 상기 화장관(14)은 후술하는 수압(手押)핸들을 떼어 낼 경우, 그 수입구관(12)의 개구상단부를 캡(CAP)(13)에 의하여 뚜껑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16)은 상기수압핸들 수입구관(12)의 내부로 하방으로부터 삽입관통된 둥근 강관의 회동슬리브이고 그 수압(手押)핸들 지지베이스(1)로부터 튀어나온 하단부에는, 수압핸들 수입구관(12)보다도 직경이 큰 리어(REAR) 회동플레이트(17)가 삽입고정된 상태로 용접되어 있다.
그 리어(REAR) 회동플레이트(17)는 평면시(平面視)의 거의 능형(菱形)이나 타원형을 이루고 이에는 좌우 한쌍의 로드(ROD)수입공(18)이 개구(開口)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진퇴로드의 굴곡후단부를 받아들여 고정한다.
(H1)은 삼륜차를 후방으로부터 수압(手押)조작하기 위한 보호자용 수압핸들이고, 합성수지제의 핸들그립(GRIP)(19)과 신축가능한 강관의 핸들스템(20)으로 구성되고 그 핸들스템(20)의 가늘고 조임가공된 하단부가 상기회동슬리브(16)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일정 깊이만 삽입기립되(揷入起立)어 있다.
(21)은 핸들스템(20)의 신축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회동체결고리이고 조여붙이든지 이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2)는 상기 핸들스템(20)과 회동슬리브(16)와의 상호간에 합치 연통하는 볼트수입공이고, 상기 수압(手押)핸들용의 수평한 회동가이드장공(長孔)(15)과 대응하는 중간높이의 위치에 개구(開口)하고 있고, 그 수압(手押)핸들 수입구관 (12)과 화장관(14), 회동슬리브(16) 및 핸들스템(20)의 전체를 관통하는 수평한 관통볼트(23)와, 그 고정넛트(24)에 의하여 상기 수압핸들(H1)의 핸들스템(20)이 상방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동슬리브(16)도 하방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수압핸들(H1)의 핸들스템(20)과 회동슬리브(16)가 상기 관통볼트(23)를 개입시켜 그 상호간에 일체회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유아의 보호자로서는 수압핸들 (H1)의 핸들그립(GRIP)(19)을 파지하면서, 회동슬리브(16)의 리어(REAR)회동플레이트(17)를 상기 회동 가이드장공(15)을 따라 일정각도(θ)(예를들면 좌우방향으로 약45도씩 합계 약90도)만 회동시킬 수 있고, 차체 프레임(F)의 후방으로부터 앞바퀴의 조향을 행할 수 있다.
한편 (25)는 두꺼운 둥근 강관의 조향핸들 수입구관이고, 그 몸체면의 하단부근으로부터 뒷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튀어나온 채널홈형강(溝型鋼)의 힛치(26)가 도7, 8과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F)의 내부로 전방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꽂아넣어 감합(嵌合)되고, 또한 수직의 관통볼트(27)와 그 고정넛트(28)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29)는 이러한 조향핸들 수입구관(25)으로 상방으로부터 삽입고정된 합성수지제의 카버구관이고 그 몸체면의 하단부에는 뒷방향으로 개구상태로서 부여된 도피절취(切取)부(30)가 상기 차체프레임(F)을 걸치는 것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1)(32)는 상기조향핸들 수입구관(25)과 그 카버구관(29)에 있어서 몸체면 의 하단부근으로 어느 것이든지 앞방향으로 개구(開口)하는 연통상태로서 각각 깎여나간 조작레버 도출창이고 도5와 같은 수평 장방형으로 펼쳐져 있다.
또(33)(34)는 같은 조향핸들 수입구관(25)에 있어서의 몸체면의 상하 양단부로 역시 앞방향으로 개구하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서 각각 깎여나간 한쌍의 캡(CAP) 위치결정용 키(KEY)홈(溝)이고 후술하는 톱캡(TOP CAP)(35)와 보텀캡(BOTTOM CAP)(36)을 조향핸들 수입구관(25)으로 각각 짜넣을 때의 위치결정용으로 된다.
(H2)는 상기 안장(4)에 좌승(座乘)한 유아용 조향핸들이고, 차체프레임(F)과의 별체물로서 그 핸들스템(37)이 상기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내부로 삽입관통되는 것으로 되지만 이것은 본발명의 경우 상하 한쌍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유아용조향핸들(H2)의 핸들스템(37)은 도7, 8과 같이 그 핸들바(38)의 중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수하(垂下)하는 비교적 가늘고 짧은 둥근 강관의 상측 핸들스템(37a)과 프론트포-크(39)의 대응적인 중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起立)하는 두텁고 긴 둥근강관의 하측핸들스템(37b)으로 구성되고, 그 하측핸들스템(37b)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상측핸들스템(37a)이 삽입된 동심(同芯)상태에 있다.
더욱이 상측핸들스템(37a)과 하측핸들스템(37b)과의 내외상호간에는 별개의 둥근강관의 회동슬리브(40)가 꽂혀져 개삽(介揷)되어 있고 그 대략 상반부에서의 삼중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 경우, 하측핸들스템(37b)과 회동슬리브(40)는 상기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이나 그 카버구관(29)보다도 길고, 이들의 개구상단부로부터 높은 키로 노출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가늘고 짧은 상측핸들스템(37a)의 하단부는 경사테이퍼(TAPER)면으로 서 컷트(CUT)되어 있고 그 컷트에지(EDGE)와 정합(整合)하는 경사테이퍼면(41)이 상단부로 대응 형성된 별개의 강괴(鋼塊)의 문설주 모양의 키플러그(테이퍼나사플러그)(42)를 상기 핸들바(38)의 중앙부로부터 삽입수하(垂下)된 긴 행거볼트(43)와의 나사체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행거볼트(43)를 상방으로부터 펜치나 스패너등의 공구(도시생략)에 의하여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상기 키플러그(42)가 올라와서 나사진행되어 그의 경사테이퍼면(41)에서의 구부러짐에 의하여 회동스리브(40)의 내주면에 강력하게 압착하고, 그 회동슬리브(40)와 상측 핸들스템(37a)이 체결되어 일체화 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상측핸들스템(37a)이 상방으로 빠질 위험은 없다.
같은 행거볼트(43)를 거꾸로 이완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상기 키플러그(42)가 끌어내려져 나사 퇴행되어 회동슬리브(40)에 대한 압착력이 해제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회동슬리브(40)으로부터 상측핸들스템(37a)을 상방으로 뽑아낼 수 있게되고 나아가서는 상기 차량프레임(F)과도 분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하측핸들스템(37b)의 프론트포-크(39)에 대해서는 상방으로부터 합성수지제의 진흙제거카버(44)가 피착(皮着)일체화 되어 있고, 그 진흙제거 카버(44)와 프론트포-크(39)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5)는 그 하측핸들스템(37b)으로 삽입고정된 진흙제거카버(44)의 설치보스(boss)이고, 상기 카버구관(29)과 거의 같은 크기의 원반형을 이루고, 그 평평한 상면에는 좌우 한쌍의 로드수입공(46)이 뚫려있다. (47)은 그 설치보스(45)의 수좌(受座)이고, 하측 핸들스템 (37b)의 하단부근에 용접되어 있다.
(48)은 그 설치보스(45)의 수좌(受座)(47)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동슬리브(40)의 하단부 부근에 깎아낸 전후 한쌍의 수평한 회동가이드장공이고, (49)는 이것과 대응적으로 연통하는 핀수입공의 전후한쌍이며 하측 핸들스템(37b)에 개구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평한 관통핀(50)이 도 9~12에 따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회동 슬리브(40)와 하측핸들스템(37b)과를 삽입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회동슬리브(40)가 하측핸들스템(37b)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든지, 또 후술하는 수직의 클러치핀 수입장공을 따라 하강하든지 하지않는 것은 물론, 그 회동슬리브(40)와 하측핸들스템(37b)과는 상기 회동가이드장공(48)을 따라 일정각도(θ) (앞에 예시한 합계 약90도)만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 경우 회동스리브(40)와 상측핸들스템(37a)과는 상기와 같이 키플러그(42)를 개재시켜 체결일체화 되어있기 때문에 그 상측 핸들스템(37a)도 하측 핸들스템(37b)과 함께 회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51)은 상기 하측핸들스템(37b)의 중간높이 위치에 깎아낸 전후 한쌍의 클러치핀수입공이고 상기 회동슬리브(40)의 회동가이드장공(48)과 평행으로 펼쳐진 수평한 장공부(51x)와, 그 장공부(51x)의 중앙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속하는 환공부(51y)를 갖추고 정면에서 볼 때 T자형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52)는 상기 회동슬리브(40)의 대응적인 중간높이의 위치에 깎아낸 전후 한쌍의 수직한 클러치핀 수입장공이고, 하측핸들스템(37b)에 있어서 클러치핀수입공(51)의 환공부(51y)와 도9~11과 같이 합치연통하는 개구폭을 갖추고, 더욱이 그 클러치핀수입공(51)의 장공부(51x)와 직교하는 관계상태로 연통하고 있고, 후술하는 수평한 클러치핀을 받아 들인다.
이에 클러치핀수입공(51)의 수평한 장공부(51x)는 하측 핸들스템(37b)과 회동슬리브(40)와를 상기 일정각도(θ)만 상대적으로 회동(공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같은 클러치핀수입공(51)의 환공부(51y)는 그 상대적인 회동불능으로 일체회동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합치연통하는 회동슬리브(40)의 수직한 클러치핀수입장공(52)이 후술하는 클러치핀의 승강행정(行程, STROKE)(S)(예를들면 약12mm)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언급한 톱캡(35)과 보텀캡(36)과는 도13~16에 별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부터 거의 같은 크기, 형상의 원반형으로 일체성형되어 있고, 이들에는 좌우 한쌍씩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3)(54)이 개구분산 되어있다. 도례(圖例)의 경우, 톱캡(35)측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3)이 작고, 보텀캡(36)측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4)이 크고, 그 서로간에 상위(相違)하게 변화되어 있지만, 동등한 크기로 개구형성하여도 지장이 없다.
그리고 톱캡(35)의 주연부가 협지(挾持)플랜지(flange)(55)로서 도6, 7과 같이 상기 조향핸들수입구관(25)의 개구상연부로 협지상태로 삽입되어지고 또한 그 조향핸들수입구관(25)의 몸체면으로 복수의 비스(vis나사)(56)에 의해 설치 고정되어 있는 것외에, 같은 톱캡(35)의 중앙부는 심관(芯管)(57)으로서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삽입고정 상태에 있다.
한편 보텀캡(36)의 주연부는 같은 협지플랜지(58)로서, 상기 조향핸들수입구 관(25)의 개구하연부로 협지상태로 삽입된데다 그 조향핸들수입구관(25)의 몸체면에 역시 복수의 비스(vis나사)(59)에 의하여 설치고정되어 있는 것외에 그 보텀캡(36)의 중앙부는 같은 심관(芯管)(60)으로서,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삽입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 경우, 톱캡(35)과 보텀캡(36)과의 상기 협지(挾持)플랜지(flange)(55) (58)는 그 앞방향 일부에서의 위치결정키(61)(62)로서 각각 잔존되어 있고, 이들을 상기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대응적인 캡위치결정용키홈(溝)(33)(34)로 삽입고정함에 의하여 그 톱캡(35)측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3)과 보텀캡(36)측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4)이 그 좌우 한쌍씩 스스로 정확하게 대향되도록 되어있다.
(63)(64)(65)(66)(67)(68)은 상기 톱캡(35)을 조향핸들수입구관(25)으로 설치 시개(施蓋)하기 전에, 그 조향핸들수입구관(25)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순차로 쌓아올리는 것같이 삽입고정된 전환조작레버와 캠판, 클러치핀, 그 핀누름판, 용수철수납플레이트 및 핀누름용수철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가운데 우선 전환조작레버(63)는 강판으로부터 도17, 18과 같이 원고리 상(狀)으로 잘려나와 있고, 상기 하측 핸들스템(37b)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자유롭게 삽입고정되어있다. 더욱이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보텀캡(36)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된 수평의 설치상태에 있다.
(69)는 전환조작레버(63)의 주연부로부터 윗방향으로 구부러져 일어선 좌우 한쌍의 계합조(係合爪)이고, (70)은 같은 조작레버(63)의 주연부로부터 상기조향핸들 수입구관(25)과 더불어 카버구관(29)의 조작레버 도출창(31)(32)을 통하여 앞 방향으로 튀어나와 연장된 노즈(nose)편(片)이고,
그 굴곡선단부에 피착(被着)일체화된 합성수지제의 손잡이(71)를 파지하면서, 상기조작레버(63)를 그 도출창(31)(32)를 따라 일정각도(θ)만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캠판(64)은 도19~23에 따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직경이 작은 상판(64a)과 직경이 큰 하판(64b)과를 구비한 층계원통형으로 일체성형된 합성수지제품으로서, 역시 하측핸들스탬(37b)에 삽입고정되어 있다.
(72)는 상기 캠판(64)의 하판(64b)으로 회전대칭형태(나선형태)로서, 측면을 볼 때 거의 도립?자형으로 깎아낸 좌우한 쌍의 홈(溝)캠이고, 그홈(溝)캠(72)의 천장면으로 되는 경사테이퍼(taper)면(73)으로 상기 전환조작레버(63)의 계합조(係合爪)(69)가 도6, 7과 같이 각각 하방으로부터 고정되도록 대응되어 있다.
(74)는 같은 캠판(64)의 하판(64b)에 관통형성된 좌우한쌍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이고, 상기 톱캡(35) 및 보텀캡(36)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3)(54)과 대응합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톱캡(35)과 보텀캡(36)과의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53)(54)끼리에는 좌우 한쌍의 승강가이드지주(75)가 각각 삽입상태로 기립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승강가이드지주(75)에 대하여, 상기 하판(64b)의 두 승강가이드 지주수입공(74)이 삽입고정 되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전환조작레버(63)를 회동조작하면, 그 계합조(係合爪)(69)와 홈(溝)캠(72)과의 고정을 통하여, 캠판(64)이 상기 승강가이드 지주(75)에 따른 승 강만을 행하는 것으로 되고, 그 캠판(64)이 회동하는 일은 없다. 그 캠판(64)의 승강행정(行程, stroke)(S)는 클러치핀(65)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한편 상기 캠판(64)의 상판(64a)에는 전후 한쌍의 클러치핀수입요홈(凹溝)(76)이 깎여나가 있고 그 클러치핀수입요홈(凹溝)(76)의 깎여나간 개구폭과 대응하는 일정각도(θ)(앞에 예시한 합계 약90도)만 클러치핀(65)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핀(65)은 도5~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측핸들스템(37b)의 상기 클러치핀수입공(51)과 회동슬리브(40)의 상기 수직의 클러치핀 수입장공(52)과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고, 그 하측 핸들스템(37b)으로부터 노출한 클러치핀(65)의 전후 양단부가 상기 캠판(64)의 클러치핀수입요홈(凹溝)(76)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담당되어지는 합치고정상태에 있다.
또 먼저의 핀누름판(66)은 클러치핀(65)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부터 도24, 25와 같은 원판형으로 조형되어 있고, 역시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삽입고정된 상태에 있다. (77)은 그 핀누름판(66)의 주연부에 관통형성된 좌우 한쌍의 승강가이드지주수입공이고, 상기 승강가이드지주(75)에 관통형성되도록 되어있다. (78)은 같은 핀누름판(66)의 주연부에 관통형성된 전후 한쌍의 누름각(脚)수입공이고,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의 후술하는 핀누름각(脚)을 받아들여 이것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핀누름판(66)의 하면에 전후 한쌍의 얕은 원호홈(圓弧溝)(도시부호생략)을 깎아내어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핀(65)이 이유없이 흔들려 움직이지 않도록 임시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는 도26, 27과 같은 합성수지판으로서, 여기로부터 수하(垂下)하는 전후 한쌍의 핀누름각(脚)(79)이 상기 핀누름판(66)의 누름각수입공(78)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그렇게 회동하는 일이 없이 클러치핀(65)을 상방으로부터 삽입고정하도록 되어있다. (80)은 같은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의 주연부에 부여된 좌우한 쌍의 도피절결(切缺)이고, 상기 승강가이드지주(75)를 도피 수납하여 이것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핸들수입구관(25)의 톱캡(35)과, 그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와의 상하 상호간에 개재하는 핀누름용수철(68)이 상기 하측 핸들스템(37b)에 감기어 걸려있고, 그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에 의하여 용수철 수납플레이트(67)의 핀누름각(脚)(79)과 나아가서는 핀누름판(66)을 상기 클러치핀(65)으로 상방으로부터 압박고정하고 있다.
이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톱캡(35)과 상기 핀누름판(66)과의 상하상호간에 개재하는 비교적 약한 별개의 보조핀누름용수철(81)을 좌우 한쌍의 승강가이드지주(75)로 각각 감아걸고 있고, 이에 의하여 핀누름판(66)을 상방으로부터 직접 눌러붙이고 있지만, 이러한 보조핀누름용수철(81)의 좌우한쌍과 상기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와의 설치를 생략하고, 이것보다도 강한 상기 핀누름용수철(68)만에 의하여 핀누름판(66)을 상방으로부터 클러치핀(65)으로 눌러붙이는 것에 그쳐도 무방하다.
(82)는 상기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톱캡(35)으로 도5~7과 같이 상방으로 부터 피관(被冠)된 원추형의 합성수지제 화장커버이고, 상측 핸들스템(37a)의 핸들바(38)와 상기 커버구관(29)과의 상하상호간에 끼워붙여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포-크(39)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옆으로 가설하는 앞차축(83)은 크랭크축으로서, 그 양단부에 축설된 페달(84)의 좌우 한쌍을 밟아돌리는 것에 의하여 같은 앞차축(83)의 중간부에 개재하는 앞바퀴(85)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상기 유아용조향핸들(H2)을 형태짓는 하측핸들스템(37b)의 프론트포-크(39)에 피착(被着)일체화 된 진흙제거카버(44)와 상기 보호자용 수압핸들(H1)의 핸들스템(20)에 부속하여 일체화된 회동슬리브(16)가, 도8과 같은 일정길이를 갖는 좌우 한쌍의 진퇴로드(86)를 개재하여 축설연결되어 있고, 유아의 보호자가 차체프레임(F)의 후방으로부터 앞바퀴(85)의 조향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좌우 한쌍의 진퇴로드(86)는 금속장대로 구성되고 그 각개의 아래방향으로 굴곡하는 전단부가 상기 진흙제거카버(44)의 설치보스(45)에 개구하는 로드수입공(46)으로 상방으로부터 착탈자유롭게 삽입고정되어 있는 한편, 같은 각개의 밑방향으로 굴곡하는 후단부가 상기 회동슬리브(16)의 리어(REAR)회동플레이트(17)에 개구하는 로드수입공(18)으로, 역시 상방으로부터 착탈자유롭게 삽입고정된 데다가 고정너트(87)에 의하여 빠지지 못하도록 체결되어 있고, 차체프레임(F)의 좌우방향사이드를 따라 이것과 거의 평행으로 전후방향으로 펼쳐져있다.
더욱이 좌우 한쌍의 진퇴로드(86)는 도1~3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F)의 상면에 첨부고정된 가늘고 긴 합성수지제의 상측카버케이스 (88)와 그 상측카버케이스(88)로 착탈자유롭게 설치된 대응적인 합성수지제의 하측카버케이스(89)에 의하여 안전하게 포위되어 있고, 그 진퇴로드(86)의 전단부가 상기 진흙제거카버(44)로부터 빠질 염려도 없고, 확실히 전후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90)은 상기 차체프레임(F)의 하면에 기복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축설된 접어넣는 식의 풋트레스트(FOOT REST)를 시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구성에 의하면 유아용조향핸들(H2)이 차체프레임(F)과의 별체물로서, 그 조향핸들수입구관(25)의 힛치(26)를 차체프레임(F)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는 외에, 조향핸들(H2)의 하측 핸들스템(37b)으로부터 상측 핸들스템(37a)을 뽑아내는 것과, 수압(手壓)핸들 지지베이스(1)의 수압핸들 수입구관(12)으로부터 보호자용 수압핸들(H1)을 뽑아내는 것과 또 좌우한쌍의 진퇴로드(86)를 앞바퀴(85)의 진흙제거카버(44)나 리어(REAR)회동플레이트(17)로부터 뽑아내는 것과, 다시 그 진퇴로드(86)의 카버케이스(88)(89)를 차체프레임(F)으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아용삼륜차의 메이커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H2)의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진흙제거카버(44)뿐만아니라, 보텀캡(36)의 전환조작레버(63), 캠판(64), 클러치핀(65), 그 핀누름판(66),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 핀누름용수철(68)과 더불어 톱캡(35)을 상방으로부터 순차로 삽입고정하여 그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고정한 도5~7과 같은 조립상태를 유지하면 이러한 조향핸들(H2)의 조립유니트품(品)과 상기 뽑아낸 각종부품과의 분해상태로서 소형콤팩트(COMPACT)에 포장 수송할 수 있고 그 유아용삼륜차를 구입한 사용자도 상기 조 향핸들(H2)의 조립유니트품(品)과 각종부품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립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좌우지간 본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지금 안장(4)에 좌승한 유아자신이 그 조향핸들(H2)에 의하여 앞바퀴(85)의 조향을 행하는 경우에 보호자가 전환조작레버(63)를 도8의 화살표(R)방향으로 회동조작하여 캠판(64)을 하강상태로 유지하여 둔다.
그렇게하면 상방으로부터 핀누름용수철(68)의 탄압부(付)세력을 받은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와 그 핀누름판(66) 및 클러치핀(65)도 모조리 도5~8과 같이 하강하고, 그 수평한 클러치핀(65)이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개구하는 클러치핀수입공(51)의 환공부(51y)와 회동슬리브(40)의 수직한 클러치핀 수입장공(52)을 관통하는 저위치에 구속되어, 그 회동슬리브(40)와 하측핸들스템(37b)이 상대적으로 회동불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회동슬리브(40)에는 미리 하측핸들스템(37b)과의 수평한 관통핀(50)을 받아들이는 전후 한쌍의 회동가이드장공(48)이 깍여나가 있는 관계상 그 회동슬리브(40)와 하측 핸들스템(37b)과는 회동가이드장공(48)을 따라 일정각도(θ)(먼저 예시한 좌우방향으로 약45도씩의 합계 약90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동슬리브(40)에는 문설주모양의 키플러그(42)를 개재시켜, 상측핸들스템(37a)이 체결일체화 되어있기 때문에 그 상측핸들스템(37a)과 하측핸들스템(37b)도 서로 일체회동하고, 유아가 스스로 조향핸들(H2)에 의하여 앞바퀴(85)의 조향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 프론트포-크(39)의 진흙제거카버(44)와 진퇴로드(86)를 개재하여 축설연결되어 있는 보호자용 수압(手壓)핸들(H1)도 상기 유아용조향핸들(H2)과 연동하여 그 수압핸들수입구관(12)의 대응적인 회동가이드장공(15)를 따라 회동되는 것으로 되는 결과, 그 수압핸들(H1)을 발취(拔取)하여 화장관(14)의 캡(13)을 시개(施蓋)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아의 보호자가 그 수압핸들(H1)에 의하여 차체프레임(F)의 후방으로부터 앞바퀴(85)의 조향을 행할 경우에는 상기 전환조작레버(63)를 도32의 화살표(L)로서 가리키는 역방향으로 전환 회동조작하여 그 계합조(係合爪)(69)에 의해 캠판(64)을 눌러 올려둔다.
그렇게 하면 상기 클러치핀(65)과 그 핀누름판(66)과 아울러 용수철수납플레이트(67)도 모조리 핀누름용수철(68)의 탄압부세력에 저항하여
도28~32와 같이 상승하고, 그 수평한 클러치핀(65)이 하측 핸들스템(37b)에 있어서 클러치핀수입공(51)의 수평한 장공부(51x)와 회동슬리브(40)의 수직한 클러치핀 수입장공(52)을 관통하는 높은 위치에 도달하고, 하측 핸들스템(37b)과 상기 회동슬리브(40)가 그 회동슬리브(40)의 회동가이드장공(48)을 따라 일정각도(θ)만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 기초하여 보호자가 수압핸들(H1)을 파지하면서
도28, 32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그 회동조작력은 수압핸들(H1)의 핸들스템(20)으로부터 회동슬리브(16)나 리어회동플레이트(17), 일정길이의 진퇴로드(86), 진흙제거카버(44)를 경유하여 유아용 조향핸들(H2)에 있어서 하측핸들스템 (37b)의 프론트포-크(39)로 전달되기 때문에 그 앞바퀴(85)의 조향을 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용조향핸들(H2)의 하측 핸들스템(37b)은 보호자용 수압핸들(H1)과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지만 그 조향핸들(H2)의 상기 회동슬리브(40)와 여기에 키플러그(42)를 개입하여 체결일체화 되어있는 상측핸들스템(37a)은 상기 하측핸들스템(37b)에 개구되어 있는 클러치핀 수입공(51)의 장공부(51x)나 회동슬리브(40)의 회동 가이드장공(48)을 따라 그 일정각도(θ)만 공회전하는 데 불과하다.
그 결과 그 유아용조향핸들(H2)에 있어서 상측 핸들스템(37a)의 핸들바(38)를 파지한 유아와 상기보호자용 수압(手押)핸들(H1)의 핸들그립(19)을 파지한 보호자와의 상호간에 있어서 앞바퀴(85)의 회동방향성에 관하여 만일 의지의 불일치가 발생하여도 보호자가 차체프레임(F)의 후방으로부터 앞바퀴(85)의 조향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어 유아도 안전하게 된다.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하면, 전환조작레버를 좌우 어느 한쪽으로 회동조작하여, 캠판을 하강시킨 때에는 클러치핀도 하강하고, 유아용조향 핸들의 형태를 만들고 있는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과 회동슬리브가 일정각도만 좌우방향으로 일체로 회동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안장에 좌승(座乘)한 유아 스스로 앞바퀴의 조향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조작레버를 남아있는 다른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동조작하여 같은 캠판을 상승시킨 때에는 클러치핀도 상승하고,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과 회동 슬리브가 일정각도만 상대적인 자유회동으로 되기 때문에 앞바퀴가 회동하는 죄우방향성에 있어서, 만약 어린이와 보호자와의 의지가 일치하지 아니하여도, 그 보호자가 차체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지장없이 앞바퀴의 조향을 행할 수 있는 것이고 어린이에게 위험을 줄 우려가 없다.
또 핸들조작레버와 이에 의하여 승강되는 캠판과 더불어 클러치핀누름판은 어린이용 조향핸들의 하측 핸들스템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더욱이 이것들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내려누르는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이 주어져 있으므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제멋대로 유동할 우려가 없고, 이들의 조립정도(精度)와 안정성이 현저하게 뛰어난다.
특히 청구항2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클러치핀누름판과 캠판이 회동하는 것을 좌우한쌍의 승강가이드지주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그 상방으로부터 내려누르는 탄압부세력(彈壓付勢力)상태에 있는 클러치핀누름판을 하측핸들스템의 주위에 회동되는 전환조작레버에 의하여 정확하고 직진적(直進的)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3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하측 핸들스템의 프론트포-크(FRONT FORK)에 피착(被着)일체화 된 진흙제거카버를 겸용하여 진퇴로드의 전단부를 삽입고정할 수 있고, 그 진퇴로드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고, 앞바퀴의 진흙제거 화장효과와 제조 코스트다운에 이바지 한다.
또 청구항4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전후방향으로 진퇴로드를 포위하는 것에 의하여 어린이용 삼륜차로서의 안정성과 화장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5의 구성을 채택한다면, 유아용 조향핸들이나 전환조작레버, 캠판, 클러치핀, 클러치핀누름판등이 조합포함된 조향핸들 수입구관과 차체프레임과를 분해하여 그 소형포장용기에 포장 수송할 수가 있고 어린이용 삼륜차를 구입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안장(4)에 좌승한 유아가 파지하는 조향핸들(H2)과 차체프레임(F)을 후방으로부터 보호자가 수압(手押)하여 조작하는 수압핸들(H1)과를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한 좌우 한쌍의 진퇴로드(86)에 의하여 그 상호간에 같은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동연결한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유아용 조향핸들(H2)의 핸들스템(37)을 차체프레임(F)의 조향핸들 수입구관(25)으로 하방으로부터 삽입관통시키는 비교적 두텁고 긴 하측 핸들스템(37b)과 그 하측 핸들스템(37b)의 중공(中空)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가늘고 긴 상측 핸들스템(37a)과의 한쌍으로 분할하여,
    그 한쌍의 내외상호간에 개재 삽입설치된 별개의 회동 슬리브(40)의 상부를 상측핸들스템(37a)으로, 외부로부터 끌어올려져 조작되는 테이퍼나사플러그(키플러그)(42)에 의하여 일체회동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한편,
    같은 회동슬리브(40)의 하부를 하측핸들스템(37b)으로 수평한 관통핀(50)에 의하여 일정각도(θ)만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축설함과 동시에,
    그 하측 핸들스템(37b)의 중간높이 위치로 깎아낸 앞방향으로 개구하는 T자형의 클러치핀 수입공(51)과, 상기 회동슬리브(40)의 대응적인 중간높이 위치로 깎아낸 수직한 클러치핀 수입장공(52)과의 상호간에 상기 관통핀(50)과 평행한 수평의 클러치핀(65)을 관통시켜 그 클러치핀(65)의 누름판(66)으로 상방으로부터 눌러내리는 탄압부(付)세력을 주고,
    상기 클러치핀(65)를 눌러내리는 탄압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부터 감당하는 캠판(64)과 그 캠판(64)을 상기 클러치핀수입장공(52)과 대응하는 일정의 승강행정(行程,STROKE)(S)만 승강시키는 전환조작레버(63)와를 상기 하측 핸들스템(37b)에 삽입고정시켜,
    상기 캠판(64)의 하강시에는 클러치핀(65)이 그 T자형 클러치핀 수입공(51)의 환공부(51y)와 클러치핀 수입장공(52)과를 관통하는 낮은 위치로 구속되는 것에 의하여, 상하 한 쌍의 핸들스템(37a)(37b)과 회동 슬리브(40)가 일정각도(θ)만 좌우방향으로 일체회동하고,
    상기 전환조작레버(63)의 회동조작을 받아 캠판(64)이 상승한 때에는 같은 클러치핀(65)이 그 클러치핀 수입공(51)의 수평한 장공부(51x)와 클러치핀 수입장공(52)과를 관통하는 고위치에 도달하여 상하 한쌍의 핸들스템(37a)(37b)과 회동슬리브(40)가 일정각도(θ)만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되도록 관계설정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의 상하양단부에 톱캡(35)과 보텀캡(36)과를 피착(被着)일체화 시켜서 그 톱캡(35)과 클러치핀누름판(66)과의 상하상호간에 개재하는 핀누름용수철(68)을 하측 핸들스템(37b)으로 감아걸음과 동시에,
    상기 톱캡(35)와 보텀캡(36)과의 상하상호간에 삽입기립(起立)시킨 좌우 한 쌍의 승강가이드지주(75)로 클러치핀누름판(66)과 캠판(64)을 회동불능으로 삽입관통하는 한편,
    그 캠판(64)의 승강용 전환조작레버(63)를 상기 조향핸들 수입구관(25)으로부터 전방으로 도출시켜 그 외부로부터 하측 핸들스템(37b)의 주위로 좌우방향으로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하측 핸들스템(37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기(分岐)하는 프론트포-크(39)로 진흙제거카버(44)를 일체회동할 수 있도록 피착(被着)시킴과 동시에,
    진퇴로드(86)의 전단부를 그 진흙제거카버(44)로 상방으로부터 삽입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삼륜차의 조향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진퇴로드(86)를 차체프레임(F)에 고정된 상측 카버케이스(88)과 그 상측카버케이스(88)로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 하측 카버케이스(89)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하도록 포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조향핸들 수입구관(25)을 차체프레임(F)과의 별체물로서, 그 조향핸들 수입구관(25)으로부터 앞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핏치(26)를 차체프레임(F)의 중공(中空)내부로 삽탈자유롭게 삽입하고, 또한 관통볼트(27)와 그 고정넛트(28)에 의하여 연결일체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KR1020050125054A 2005-04-20 2005-12-19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KR20060111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2635 2005-04-20
JP2005122635A JP2006298161A (ja) 2005-04-20 2005-04-20 幼児用三輪車の操向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252A true KR20060111252A (ko) 2006-10-26

Family

ID=3746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054A KR20060111252A (ko) 2005-04-20 2005-12-19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298161A (ko)
KR (1) KR200601112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90Y1 (ko) * 2011-09-26 2012-03-19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EP2476607B1 (de) 2011-01-17 2013-06-05 Micro Mobility Systems AG Kleinkind-Roller
KR101342213B1 (ko) * 2013-05-30 2014-01-02 김갑수 유아자전거
KR101502298B1 (ko) * 2015-01-09 2015-03-18 김갑수 유아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134A (ja) * 2008-06-24 2010-01-14 Oaks Co Ltd 自転車の補助操舵装置
CN202783561U (zh) 2011-08-12 2013-03-13 斯马特脚踏车制造公司 三轮车及其转向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6607B1 (de) 2011-01-17 2013-06-05 Micro Mobility Systems AG Kleinkind-Roller
KR200459090Y1 (ko) * 2011-09-26 2012-03-19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342213B1 (ko) * 2013-05-30 2014-01-02 김갑수 유아자전거
KR101502298B1 (ko) * 2015-01-09 2015-03-18 김갑수 유아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98161A (ja)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1252A (ko) 유아용삼륜차의 조향장치
CN208085899U (zh) 车辆和用于车辆的枢转接头
US6354557B1 (en) Adjustable bicycles seat height assembly
EP2740655B1 (en) A tricycle with a shock absorber
US6234042B1 (en) Angle-adjustable bicycle handle assembly
US4150851A (en) Seat for bicycles and the like
DE102004025885A1 (de) Tragbares Fahrrad
WO2013089661A1 (en) Apparatus for mounting handlebars
US7740264B2 (en) Quick release stem
KR101538215B1 (ko)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
US20020020980A1 (en) Folding collapsible kick scooter
CN206141711U (zh) 多功能儿童滑板车
US3136149A (en) Bicycle lock
KR101553699B1 (ko) 자전거의 핸들조립체
RU99427U1 (ru) Зимний велосипед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WO2019169533A1 (zh) 转动收折的自行车龙头
KR100864173B1 (ko) 자전거 안장 높이 조절장치
KR100579530B1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KR101756799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WO2017071020A1 (zh) 一种可调节高度的自行车车把
KR101782780B1 (ko) 전기 자전거의 스탠드
KR20090011620U (ko) 이륜겸용 삼륜자전거
JP3110182U (ja) レジャーサイクリング用自転車の貫通式補助ブレーキハンドル構造
TWM563379U (zh) 電動機車的電池盒開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