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977U - 유아용 머리보호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머리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977U
KR20150000977U KR2020130007152U KR20130007152U KR20150000977U KR 20150000977 U KR20150000977 U KR 20150000977U KR 2020130007152 U KR2020130007152 U KR 2020130007152U KR 20130007152 U KR20130007152 U KR 20130007152U KR 20150000977 U KR20150000977 U KR 201500009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head
cushioning
ground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839Y1 (ko
Inventor
이진주
Original Assignee
이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주 filed Critical 이진주
Priority to KR20130007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3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유아의 등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아의 어깨에 메어짐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상기 유아의 등에 착용시키는 착용벨트; 쿠션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상기 유아의 후두부가 직접 지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지면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를 이용하면, 장소에 관계없이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유아에 머리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며,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등까지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머리보호대 {Apparatus for protecting head of little child}
본 고안은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유아의 후두부를 보호하는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아의 머리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착용 시 유아의 머리를 압박하지 아니하여 착용성 및 활동성이 향상된 유아용 머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발육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는 운동신경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고 또한 중추신경계도 미성숙되어 있는 상태이며, 머리 무게의 비중이 높고 걸음걸이도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넘어지는 습성이 있다.
머리 무게의 높은 비중과 운동신경이나 근육의 미성숙에 의하여 유아가 넘어질 때 머리가 바닥에 그대로 부딪치게 되고, 이때의 충격이 유아의 머리에 그대로 전달되는 결과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로 인한 연간 유아 뇌상 사망자는 수백 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뇌상에 의한 증상으로서 안면마비 및 청신경 마비 등의 뇌신경 마비 장애, 반신마비나 언어장애 등의 중증 장애, 심지어는 식물상태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신체적 장애가 아니라도, 유아는 작은 충격에도 뇌신경의 손상을 쉽게 입게 되는데, 성인의 경우 뇌신경 손상을 잘 이겨낼 수 있는 반면 유아의 경우에는 악성으로 발전, 심각한 뇌기능 저하에 빠질 수 있다는 보고서도 있다.
유아가 자주 넘어지는 일이 위와 같은 심각한 사고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지금까지 다양한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가 주입된 머리보호 에어매트를 바닥에 까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가 생활하는 공간 전체에 에어매트를 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집을 벗어난 공간에서는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아가 어디에 있던지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머리에 쿠션이 있는 헬멧이나 머리띠를 씌우는 방안이 제안된 경우도 있으나, 유아의 머리에 헬멧이나 머리띠를 두르는 경우에는 유아가 답답함을 느껴 헬멧이나 머리띠를 벗으려 하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헬멧이나 머리띠는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머리만을 보호할 수 있을 뿐, 어깨나 등은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KR 20-1999-0036262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어떠한 장소에서도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유아의 머리에 씌워지지 아니하여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며,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등까지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머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유아의 등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아의 어깨에 메어짐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상기 유아의 등에 착용시키는 착용벨트; 쿠션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상기 유아의 후두부가 직접 지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지면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관통공이 마련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는 반경방향 단면이 폐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는, 내부공간을 갖는 도우넛 형상으로 제작되는 그물망 재질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공간 내에서 수회에 걸쳐 벤딩되는 구조로 엮여져 상기 외피를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벨트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아의 좌측 어깨와 우측 어깨에 각각 매어지고, 길이조절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는 유아의 등과 접촉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봉재선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를 이용하면, 장소에 관계없이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유아의 머리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며,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등까지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완충부의 형상에 따라 유아의 머리 낙하방향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에 포함되는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후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서있거나 앉아있던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후두부가 지면에 직접 부딪히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뇌진탕 등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의 등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며 유아의 어깨에 메어짐으로써 몸체부(100)를 유아의 등에 착용시키는 착용벨트(200)와, 쿠션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완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300)는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등과 같은 완충재로 채워져 있으며, 외피(320)는 유아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더라도 상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부드러운 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착용벨트(200)는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210)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길이조절수단(210)은 가방이나 배낭의 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를 유아가 착용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유아의 어깨를 포함한 등 일부를 덮게 되고, 완충부(300)는 몸체부(100)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세워져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유아가 착용벨트(200)를 풀어 몸체부(100)를 벗지 아니하는 한, 상기 몸체부(100)는 유아의 등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몸체부(100)에 결합된 완충부(300) 역시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뒤로 넘어져 유아의 후두부가 지면을 향해 떨어질 때, 상기 완충부(300)는 유아의 후두부를 받침으로써 유아의 후두부가 직접 지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하는바, 뇌진탕 등과 같은 상해 발생이 방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유아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이나 머리띠는 유아가 답답함을 느껴 지속적으로 벗으려고 하므로, 실효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유아의 후두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300)가 평소에는 유아의 후두부에 밀착되지 아니하므로, 유아가 큰 불편 없이 장시간동안 착용할 수 있어 실효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몸체부(100)와 완충부(300)의 자중이 크면 유아의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100)와 완충부(300)는 탄성을 갖는 경량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의 등에 밀착된 몸체부(100) 역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바, 유아가 뒤로 넘어질 때 유아의 등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유아의 견갑골이나 척추 등이 상해를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0)가 유아의 등판 중 상부만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몸체부(100)는 유아의 허리나 골반까지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등판 전체를 덮는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유아가 뒤로 넘어질 때에는 후두부가 정확하게 지면에 떨어지도록 똑바로 넘어질 수도 있지만, 일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으로 넘어질 수도 있다. 이때 유아가 뒤로 넘어질 때에는 일반적으로 등 부위가 먼저 지면에 부딪힌 이후 머리가 지면에 부딪히게 되는데, 유아의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몸체부(100)가 기준치 이상의 굽힘 강도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면 유아가 어느 정도 비스듬히 뒤로 넘어지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가 지면과 평행하도록 지면에 접촉되는바, 완충부(300) 역시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300)가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많은 부위가 유아의 등에 밀착되면 유아의 등 부위에 체온으로 인한 열기가 집중되어 땀이 차거나 습진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부(더 명확하게는 유아의 등과 접촉되는 부위)에 직선 또는 곡선 패턴의 봉재선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재선부(110)는 박음질을 한 바느질 부위를 뜻하는 것으로, 봉재선부(110)가 형성된 지점은 봉재선부(110)가 형성되지 아니한 다른 부위보다 오목하게 인입되므로, 상기 봉재선부(110)가 형성된 몸체부(100) 외측면에는 올록 볼록한 요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 봉재선부(110)가 형성되면, 유아의 등과 몸체부(100)가 상호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유아의 등 부위로 공기가 쉽게 지날 수 있으므로, 유아의 등 부위에 열이 집중되고 땀이 차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완충부(300)의 형상에 따라 유아의 머리 낙하방향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뒤로 넘어지는 유아의 머리(더 명확하게는 후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부(300)는 유아가 낮잠을 자기 위해 누웠을 때에는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베개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300)는 유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베개 형상으로 제작되면 유아의 머리와 접촉되는 면적이 매우 넓어지므로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 유아의 머리에 땀이 차고 땀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300)는, 유아의 머리와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면서도 유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310)이 마련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300)가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면, 유아의 머리 중 상기 관통공(310)과 대응되는 부위는 완충부(300)와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원활하게 통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310)이 너무 크게 형성되면, 유아의 후두부가 상기 관통공(310)을 지나 지면에 직접 부딪힐 수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310)의 크기는 유아의 머리 크기 및 완충부(300)의 두께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부(300)는 충격흡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내부가 솜이나 스펀지 등과 같은 완충재로 채워지게 되는데, 상기 완충부(300)를 베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위가 볼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부(300)의 가운데 부위가 볼록하게 제작되면 완충부(300)의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방향으로 만곡된 경사를 가지게 되므로, 유아의 머리(10)가 완충부(300)의 정중앙으로 낙하하지 아니하고 측방으로 치우친 지점으로 낙하하게 되면 유아의 머리(10)는 완충부(300)에 1차적으로 부딪힌 후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외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되는바, 최종적으로 유아의 머리(10)가 지면에 부딪히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부(300)는 중앙에 관통공(310)이 마련된 도우넛 형상으로 제작되되, 반경방향 단면이 폐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즉, 원이나 타원 등의 형상을 이루도록 둥글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완충부(300)의 일측 단면이 원이나 타원 등의 폐곡선을 이루게 되면, 유아의 머리(10)가 완충부(300)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지점에 떨어졌을 때 유아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완충부(300) 상면이 완충부(3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유아의 머리(10)는 완충부(300)에 1차적으로 부딪힌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300)의 중심을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즉, 유아의 머리(10)가 완충부(300)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지점에 떨어지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완충부(300)의 중심에 안착되는바, 유아의 후두부가 지면에 부딪히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에 포함되는 완충부(3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완충부(300)가 충격 흡수를 위해 솜이나 스펀지 등과 같은 완충재로 채워지도록 구성되면 단열성이 매우 높아지므로, 유아의 후두부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후두부 주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여 유아의 후두부에 땀이 차게 되고, 더 나아가 땀띠나 습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머리보호대를 착용한 유아가 뒤로 누워 낮잠을 잘 때에는 상기 완충부(300)가 베개 역할을 하여 유아의 후두부와 장시간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상기 언급한 땀띠나 습진 발생 우려가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300)는, 유아의 후두부와 장시간 접촉하더라도 열이 잘 배출되고 땀이 차지 아니하도록, 표면이 그물망으로 제작되고 내부가 통기성이 우수한 완충재로 채워지는 구조(일명 '3D 메시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완충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는 도우넛 형상으로 제작되는 그물망 재질의 외피(320)와, 상기 외피(320)의 내부공간 내에서 수회에 걸쳐 벤딩되는 구조로 엮여져 상기 외피(320)를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와이어(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330)는 직경은 비교적 작지만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귀되고자 하는 복원력이 매우 크므로, 외피(320)의 내부공간을 조밀하게 채우지 아니하더라도 완충부(300)의 탄성력을 기준치 이상으로 확보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300)가 3D 메시 구조로 구성되면, 유아의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력을 가지면서도 통기성이 매우 우수해지므로, 유아의 후두부에 땀띠나 습진 등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200 : 착용벨트
210 : 길이조절수단 300 : 완충부
310 : 관통공 320 : 외피
330 : 탄성와이어 400 : 복원부재
500 : 연결벨트

Claims (6)

  1.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유아의 등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되며, 상기 유아의 어깨에 메어짐으로써 상기 몸체부(100)를 상기 유아의 등에 착용시키는 착용벨트(200);
    쿠션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상기 유아의 후두부가 직접 지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유아의 후두부와 지면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0)는 중앙에 관통공(310)이 마련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0)는 반경방향 단면이 폐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0)는, 내부공간을 갖는 도우넛 형상으로 제작되는 그물망 재질의 외피(320)와, 상기 외피(320)의 내부공간 내에서 수회에 걸쳐 벤딩되는 구조로 엮여져 상기 외피(320)를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와이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벨트(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아의 좌측 어깨와 우측 어깨에 각각 매어지고, 길이조절수단(2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유아의 등과 접촉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봉재선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보호대.
KR20130007152U 2013-08-27 2013-08-27 유아용 머리보호대 KR200476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152U KR200476839Y1 (ko) 2013-08-27 2013-08-27 유아용 머리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152U KR200476839Y1 (ko) 2013-08-27 2013-08-27 유아용 머리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77U true KR20150000977U (ko) 2015-03-09
KR200476839Y1 KR200476839Y1 (ko) 2015-04-08

Family

ID=5303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7152U KR200476839Y1 (ko) 2013-08-27 2013-08-27 유아용 머리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39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04B1 (ko) 2006-09-21 2007-07-12 진성복 남성용 팬티
KR20090011833U (ko) * 2008-05-17 2009-11-20 방청우 유아용 보호구
KR101005008B1 (ko) 2010-08-23 2011-01-03 정종훈 남성의 팬티
KR20120018940A (ko) * 2010-08-24 2012-03-06 이광성 몰딩컵을 갖는 남성용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39Y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406B2 (en) Football helmet with faceguard having raised eyebrow areas
US11076646B2 (en) Athletic collar
US6378140B1 (en) Impact and energy absorbing product for helmets and protective gear
US4821339A (en) Protective vest having a cervical collar
US3189917A (en) Protective device
JP6356613B2 (ja) 身体用衝撃保護装置
CN106455740B (zh) 头盔
US20140325744A1 (en) Mask
US20140298571A1 (en) Three-ply padded helmet
US20190090576A1 (en) Scaled impact protection
US6665884B1 (en) Helmet with self-adjusting padding
US20180098594A1 (en) Brain-protecting helmet lining apparatus and method
US8370968B2 (en) Cervical spine protection device
US20020189004A1 (en) Headguard to reduce injury severity to the wearer
US8276217B1 (en) Personal roll bar
KR200476839Y1 (ko) 유아용 머리보호대
US3017639A (en) Protective armor for athletic use
JP2015025226A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KR102237761B1 (ko)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KR200176044Y1 (ko) 유아용 머리 보호구
EP1694151B1 (en) Headband
JP6236566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KR200264875Y1 (ko) 유아용머리보호용구
JP6236244B2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
KR20170002610U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11

Effective date: 201503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