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761B1 -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 Google Patents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761B1
KR102237761B1 KR1020200087181A KR20200087181A KR102237761B1 KR 102237761 B1 KR102237761 B1 KR 102237761B1 KR 1020200087181 A KR1020200087181 A KR 1020200087181A KR 20200087181 A KR20200087181 A KR 20200087181A KR 102237761 B1 KR102237761 B1 KR 10223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head
infants
main body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금상
안재문
Original Assignee
황금상
안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금상, 안재문 filed Critical 황금상
Priority to KR102020008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머리와 등을 보호하는 상기 본체부(100)와,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상기 보조부(200)를 구비하여 유아의 몸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넘어지더라도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은, 유아의 머리에서부터 어깨까지 지지하는 쿠션 형태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어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보조부(200); 상기 보조부(200)를 가운데 방향으로 모아 결속시키는 조임끈(3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Multi-function cushion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체를 잘 가누지 못하는 유아의 각 신체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넘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에 관한 것이다.
발육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는 운동신경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고 또한 중추신경계도 미성숙되어있는 상태이며, 머리 무게의 비중이 높고 대근육 발달이 미숙하여 서거나 앉아 있다가 뒤로 쉽게 넘어지는 습성이 있다.
머리 무게의 높은 비중과 운동신경이나 근육의 미성숙에 의하여 유아가 넘어질 때 머리가 바닥에 그대로 부딪치게 되고, 이때의 충격이 유아의 머리에 그대로 전달되는 결과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로 인한 연간 유아 뇌상 사망자는 수백 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뇌상에 의한 증상으로서 안면마비 및청신경 마비 등의 뇌신경 마비 장애, 반신마비나 언어장애 등의 중증 장애, 심지어는 식물상태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신체적 장애가 아니라도, 유아는 작은 충격에도 뇌신경의 손상을 쉽게 입게 되는데, 성인의 경우 뇌신경손상을 잘 이겨낼 수 있는 반면 유아의 경우에는 악성으로 발전, 심각한 뇌기능 저하에 빠질 수 있다는 보고서도 있다.
유아가 자주 넘어지는 일이 위와 같은 심각한 사고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수 있는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지금까지 다양한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가 주입된 머리보호 에어매트를 바닥에 까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가 생활하는 공간 전체에 에어매트를 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집을 벗어난 공간에서는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아가 어디에 있던지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머리에 쿠션이 있는 헬멧이나 머리띠를 씌우는 방안이 제안된 경우도 있으나, 유아의 머리에 헬멧이나 머리띠를 두르는 경우에는 유아가 답답함을 느껴 헬멧이나 머리띠를 벗으려 하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헬멧이나 머리띠는 뒤로넘어지는 유아의 머리만을 보호할 수 있을 뿐, 어깨나 등은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54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의 머리와 등을 보호하는 상기 본체부(100)와,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상기 보조부(200)를 구비하여 유아의 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넘어지더라도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은, 유아의 머리에서부터 어깨까지 지지하는 쿠션 형태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어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보조부(200); 상기 보조부(200)를 가운데 방향으로 모아 결속시키는 조임끈(300); 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리(400); 상기 보조부(200)의 사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고리(500); 상기 제1고리(400)와 상기 제2고리(500)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유아의 몸체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하는 고정끈(6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 가운데에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안착부(110); 상기 머리안착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볼록하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안착부(12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경추안착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등허리안착부(130); 상기 등허리안착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며, 볼록하게 형성된 어깨안착부(14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부(200)의 가운데에는 'C'자 형태로 오목한 팔안착부(21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 하단에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상기 보조부(20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몸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아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고정끈(600)을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보조부(200) 사이에 배치하여 유아의 몸체가 상기 본체부(100)에 밀착되도록 고정함으로써, 유아가 움직이더라도 상기 본체부(10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저지하여 안정적으로 유아의 몸체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의 실제 제품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에 유아를 눕힌 상태의 정면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에 유아를 눕힌 상태의 후면 이미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은, 본체부(100), 보조부(200), 조임끈(300), 제1고리(400), 제2고리(500), 고정끈(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유아의 머리에서 어깨까지 받쳐주는 부분으로,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좌우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단 내부에 솜 등의 충진물이 수용된 쿠션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가운데에는 가로 방향 일자 형태로 오목하게 머리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머리안착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원단이 충진물과 함께 일자 형태로 박음질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안착부(110)에는 유아의 머리 뒤통수가 배치되어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유아의 뒤로 넘어졌을 때에 뒤통수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상기 경추안착부(120)는 상기 머리안착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단 내부에 충진된 솜에 의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유아의 경추를 지지한다.
상기 등허리안착부(130)는 상기 경추안착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머리안착부(110)와 마찬가지로 원단과 내부 충진물이 박음질되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로 긴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등허리안착부(130)는 유아의 등이 가운데로 자연스럽게 쏠리도록 하여 유아가 움직이더라도 상기 등허리안착부(130)가 유아의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가 넘어졌을 때에 등뼈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어깨안착부(140)는 상기 등허리안착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며, 원단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에 의해 볼록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어깨안착부(140)는 유아의 어깨를 받쳐주며, 가운데 방향으로 어깨를 모아주어 유아의 몸체가 상기 본체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조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부(200)의 상단은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 측부를 따라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운데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부(200)는 알파벳 'b'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부(200) 사이에는 유아의 상체가 배치되며,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은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에는 'C'자 형태로 오목하게 들어간 팔안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팔안착부(210)는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 중심부에 배치되어 유아의 팔이 가운데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게 되며, 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 하단에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상기 보조부(20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좌우 양측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아가 옆으로 넘어지더라도 팔과 옆구리 부분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조임끈(300)은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을 가운데 방향으로 모아 결속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 내측에는 각각 결속고리(220)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끈(300)을 상기 결속고리(220)에 끼운 상태로 묶어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을 가운데로 모아 고정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속고리(220) 없이 상기 조임끈(300)이 각각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이 상기 조임끈(300)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임끈(300)으로 상기 보조부(200) 하단 사이의 간격을 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유아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고리(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양측, 구체적으로 상기 등허리안착부(1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끈을 'U'자 형태로 구부린 후 양단을 상기 본체부(100)에 각각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고리(500)는 상기 제1고리(400)와 동일하게 양단을 상기 보조부(200)에 각각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200)의 하단 내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제1고리(400)와 상기 제2고리(500)는 후술할 상기 고정끈(600)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끈(600)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유아의 몸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끈(600)은 납작한 웨빙끈으로 이루어지며,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2고리(500)에서 시작하여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1고리(400)를 통과한 후 상기 머리안착부(110)의 전면을 지나 우측 제1고리(400)와 상기 제2고리(500)를 통과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끈(600)은 양단이 버클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고리(400)와 상기 제2고리(5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정끈(600)과 상기 본체부(100) 사이로는 팔이 통과하게 되고, 상기 고정끈(600)은 유아의 어깨를 상기 본체부(100)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끈(600)을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보조부(200) 사이에 배치하여 유아의 몸체가 상기 본체부(100)에 밀착되도록 고정함으로써, 유아가 움직이더라도 상기 본체부(10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저지하여 안정적으로 유아의 몸체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은, 상체를 잘 가누지 못하는 유아의 상체 뒤쪽에 착용되며, 유아의 머리, 경추, 등, 팔, 옆구리 등의 각 신체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옆이나 뒤로 넘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고 부상을 최솨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유아의 머리와 등을 보호하는 상기 본체부(100)와,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상기 보조부(200)를 구비하여 유아의 상체를 전체적으로 보호하고, 유아의 움직임 시 간섭을 최소화여 활동성 좋은 구조를 갖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은 유아의 취침시 베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머리안착부
120 : 경추안착부
130 : 등허리안착부
140 : 어깨안착부
200 : 보조부
210 : 팔안착부
220 : 결속고리
300 : 조임끈
400 : 제1고리
500 : 제2고리
600 : 고정끈

Claims (5)

  1. 유아의 머리에서부터 어깨까지 지지하는 쿠션 형태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어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보조부(200);
    상기 보조부(200)를 가운데 방향으로 모아 결속시키는 조임끈(300);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리(400);
    상기 보조부(200)의 사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고리(500); 및
    상기 제1고리(400)와 상기 제2고리(500)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유아의 몸체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하는 고정끈(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 가운데에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안착부(110);
    상기 머리안착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볼록하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안착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경추안착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등허리안착부(130);
    상기 등허리안착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며, 볼록하게 형성된 어깨안착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200)의 가운데에는 'C'자 형태로 오목한 팔안착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KR1020200087181A 2020-07-15 2020-07-15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KR10223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81A KR102237761B1 (ko) 2020-07-15 2020-07-15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81A KR102237761B1 (ko) 2020-07-15 2020-07-15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761B1 true KR102237761B1 (ko) 2021-04-15

Family

ID=7544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181A KR102237761B1 (ko) 2020-07-15 2020-07-15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7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460Y1 (ko) 2003-06-04 2003-09-03 현태섭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KR20130003483U (ko) * 2011-12-02 2013-06-12 재 우 이 유모차 겸용 차량용 어린이 시트
KR20180020028A (ko) * 2016-08-17 2018-02-27 이석호 유아용 기능성 3d 에어쿠션 베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460Y1 (ko) 2003-06-04 2003-09-03 현태섭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KR20130003483U (ko) * 2011-12-02 2013-06-12 재 우 이 유모차 겸용 차량용 어린이 시트
KR20180020028A (ko) * 2016-08-17 2018-02-27 이석호 유아용 기능성 3d 에어쿠션 베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639B1 (en) Baby support
US5826287A (en) Infant support and positioning system
US4838611A (en) Car seat pillow
US8393017B2 (en) Apparatus to be worn on an individual's chest below a full face helmet to limit the occurrence of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in the event of a crash
US20150352988A1 (en) Adjustable head and neck support system
EP2173220B1 (en) A cervical spine and neck support device
US20060061186A1 (en) Baby head sleeping support system for car seat
US20100301655A1 (en) Portable centering head cushion
WO1998009838A1 (en)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headrest
US5332292A (en) Portable protective cushion arrangement for a toddler's car seat
WO2011071441A1 (en) Child carrying device
GB2492588A (en) A method of supporting a person's head, and a head support
WO2017014661A2 (en) Chair
US9364369B2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US20020189004A1 (en) Headguard to reduce injury severity to the wearer
KR102237761B1 (ko) 유아용 두상교정 안전쿠션
CN108602456B (zh) 便携式安全座椅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US20100225149A1 (en) Head support apparatus for child car seats
WO2014088261A1 (ko) 운송수단용 보조시트
KR20110063946A (ko) 목 보호대
CN112788966B (zh) 头部稳定器
CN111319582A (zh) 用于车辆的睡眠辅助靠垫
KR200214480Y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JP3015207U (ja) 自動車の座席専用保護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