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741A -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 Google Patents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741A
KR20140147741A KR1020140074761A KR20140074761A KR20140147741A KR 20140147741 A KR20140147741 A KR 20140147741A KR 1020140074761 A KR1020140074761 A KR 1020140074761A KR 20140074761 A KR20140074761 A KR 20140074761A KR 20140147741 A KR20140147741 A KR 2014014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llision bulkhead
bulkhead
explosion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206B1 (ko
Inventor
오드 매그너스 슐링팅
다니엘 세일즈 미라우그
Original Assignee
에커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커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에커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14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Abstract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1)으로, 선수부(bow), 선미(stern), 전방 선수 격벽(forward collision bulkhead) 및 거주 구역(living quarters)을 포함하고, 상기 거주 구역은 최전방 선수 격벽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선수부 구성과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Description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CONFIGURATION OF LIVING QUARTERS ON A PRODUCTION VESSEL}
본 발명은 생산 선박(production vessel) 상의 거주 구역(living quarter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 선박(production vessel) 상의 거주 구역(living quarters)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에서는 거주 구역들이 보통 처리 영역과 선박의 선수 격벽(collision bulkhead)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가령 WO 98/22335에서 기재하고 있는데, 거주 구역이 선수 영역(bow area)에 위치하나 선수 격벽 바로 뒤에 위치한다(도면에서 격벽에 따로 도면 부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거주 구역 바로 앞에 수직 점선으로 나타난 부분이다). 본원의 도 1에서는 WO 98/22335에 기재된 것과 같은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선박(1)의 선수부(bow portion)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선박의 주갑판(1)에서부터 선박의 최상측 위까지 연장되는 화재 및 폭발벽(fire and blast wall, 2)을 갖는다. 또한 선박의 하단(3)에서부터 최상측 위까지 연장되는 선수 격벽(4)을 갖는다. 화재 및 폭발벽(2)과 선수 격벽 사이에는 수용 블록(accommodation block, 5)이 배치된다. 선수 격벽(4)의 전방에는 선박의 프로퍼 선수부(proper bow, 6)가 위치한다. 상기 선수부(6)는 밸러스트 탱크, 계선기(mooring equipment), 및 계선 윈치(mooring winch) 등과 같은 다양한 기계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수부(6)의 위 그리고 선수 격벽(4)의 전방에는 헬리콥터 갑판(helicopter deck, 7)이 위치한다.
처리 영역과 거주 구역 간의 간격은 원유/가스 생산 압력에 따라 문제점이 될 수 있는데, 이는 거주구역이 폭발 위험이 높거나 제트 화재 위험이 높은 처리 영역에 가깝게 위치할 경우 수용 불가능한 안전상의 위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 구역(5)은 화재 및 폭발벽(2) 전방에 위치하나, 그렇다고 해서 거주 구역이 생산 영역의 위험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지 못하는데, 이는 특히,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탄화수소의 처리 비율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처리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가스 및/또는 원유가 많은 양이 선상에서 실질적인 압력에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선수 격벽의 전방에 거주 구역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화재 및 폭발벽으로부터 더 넓은 공간 또는 거주 구역과 처리 영역 간의 여분의 화재 및 폭발벽을 위한 공간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처리 영역과 거주 구역의 화재 및 폭발 벽 간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면, 화재나 폭발이 발생했을 때 사상자의 숫자를 줄이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상기 거리는 두 가지 방법으로 늘릴 수 있다:
1. 터릿(turret)과 처리 영역을 선미쪽으로 보낸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고 날씨와 회전할 수 있는 선박의 자연적인 능력도 떨어진다 (웨더 베이닝(weather vaning)).
2. 거주 구역을 전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시도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 구역이 선수 격벽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되면, 화재 및 폭발벽으로부터 더 넓은 공간 또는 거주 구역과 처리 영역 간의 여분의 화재 및 폭발벽을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선수 격벽은 선박의 중요한 구조적 부분으로, 다른 선박 또는 해안과의 충돌로 인해 선박의 내부에 물이 들어차서 선박이 침수될 수도 있는 위험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선수 격벽은 또한 선상의 사람들을 보호한다.
그러나, 부유하는 생산 및 저장 선박에서, 고압 가스 및/또는 원유로 인해 선원들에게 미치는 위험이 충돌로 인한 위험보다 훨씬 더 큰데, 대부분 고정되어 있는 생산 선박의 경우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선박들은 일반적으로 추진 기계 장치가 없고, 원하는 위치로 견인선에 의해 이동된다. 이것은 충돌의 위험을 줄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선수 격벽의 전방에 거주 구역이 위치하도록 선박을 구성함으로써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 이 해결책이 선택되었다. 이 해결책은 거주 공간이 선수 격벽의 뒤(aft) 쪽에 위치해야 한다는 통념을 깨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갖는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앞부분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거주 구역(5)이 선수 격벽(4)의 뒤에 위치한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에서 화재 및 폭발벽이 위치한 곳에 대략적으로 위치한 제1 화재 및 폭발벽(2)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화재 및 폭발벽(8)과 선수 격벽(4)을 포함한다. 선수 격벽은 선박의 하단(3)으로부터 주갑판(13) 사이에서 수밀 격벽(watertight bulkhead)으로서 연장된다. 주갑판 위에는 선박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격벽(4)의 연장부(4a)가 위치한다. 연장부(4a)는 수밀할 필요는 없으나, 충돌로 인한 손상을 견디도록 튼튼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제2 화재 및 폭발벽(8)과 선수 격벽 사이에는 계단, 리프트, 및 그 외 서비스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중앙 코어(central core, 9)가 위치하고, 그 반대측, 즉 선수 격벽의 전방에는 거주 구역(5)이 위치한다. 거주 구역은 선수부(6)까지 쭉 연장된다. 거주 구역 안에는 아트리움(atrium, 11)이 배치될 수 있다. 헬리콥터 플랫폼(7)은 아트리움(11)의 전방 및 거주 구역의 상단에 그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선수 격벽(4)은 선박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평면으로 도시되었다. 선박의 선수부(6)에는 거주 구역(5)의 선실(cabin)들 안으로 빛을 비추는 다수의 창문(12)들을 마련된다. 아트리움(11)의 상단도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선박의 선수부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장부(4a)를 갖는 선수 격벽(4)과 마찬가지로, 제2 화재 및 폭발벽(8)을 볼 수 있다. 중앙 코어(9)로부터 거주 구역까지의 접근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갑판들에는 선수 격벽의 연장부(4a)를 통하는 다수의 문들이 배치되어 있다.
거주 구역(5)은 선수부 구성과 일체로(integral) 된 부분이며, 거주 구역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아트리움(11)을 가질 수 있다. 아트리움(11)의 상단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아트리움(11)의 상단은 빛이 들어올 수 있는 개구부가 마련된 유리 지붕 또는 강철 지붕일 수 있다. 따라서, 아트리움은 식사 또는 레크리에이션 구역 등과 같은 내부 선실 및 공동 구역에 자연광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아트리움의 지붕 내부에는 인공광 원천이 배치됨으로써 겨울에 선박이 극북 또는 극남 지역에서 가동(operating)할 때 낮이라는 착각이 들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도 4에서는 원유 및/가스의 선적 및 하역용 터릿(turret)(미도시)을 위한 문풀(moonpool, 12)을 도시하고 있다. 이 터릿은 더 후방으로 이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 다른 구성에 비해 거주 구역(5)에서부터 보다 길고 안전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선수부는 선수루 갑판(forecastle deck,헬리콥터 플랫폼 아래의 갑판)과 헬리콥터 플랫폼 사이의 개방된 부분들에 눈이나 얼음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Claims (6)

  1. 선수부(bow), 선미(stern), 전방 선수 격벽(forward collision bulkhead) 및 거주 구역(living quarters)을 포함하고,
    상기 거주 구역은 최전방 선수 격벽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선수부 구성과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격벽 후방에 적어도 하나의 화재 및 폭발벽(fire and blast wal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격벽과 화재 및 폭발벽 사이에는 중앙 코어(central core)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재 및 폭발벽의 후방에 추가적인 화재 및 폭발벽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 구역은 그 내부에 아트리움(atri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 구역 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헬리콥터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원유 및/또는 천연 가스 생산용 선박.
KR1020140074761A 2013-06-19 2014-06-19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KR102299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30856A NO337334B1 (no) 2013-06-19 2013-06-19 Konfigurasjon av boligkvarter ombord på et produksjonsfartøy
NO20130856 2013-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741A true KR20140147741A (ko) 2014-12-30
KR102299206B1 KR102299206B1 (ko) 2021-09-08

Family

ID=5233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761A KR102299206B1 (ko) 2013-06-19 2014-06-19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9206B1 (ko)
NO (1) NO337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025A (ko) * 2015-05-27 2016-12-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99A (ko) * 2010-06-29 2012-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2537U (ko) * 2010-10-04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JP5192396B2 (ja) * 2006-02-17 2013-05-08 シングル・ブイ・ムア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深海設置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964979L (no) * 1996-11-22 1998-05-25 Ship Based Systems As Flerbrukssk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2396B2 (ja) * 2006-02-17 2013-05-08 シングル・ブイ・ムア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深海設置船
KR20120001499A (ko) * 2010-06-29 2012-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2537U (ko) * 2010-10-04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025A (ko) * 2015-05-27 2016-12-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130856A1 (no) 2014-12-22
KR102299206B1 (ko) 2021-09-08
NO337334B1 (n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354A (en) Submarine
WO2015093198A1 (ja) 船形構造物
US20100139547A1 (en)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US6162105A (en) Two-part ship for use in oil transport in arctic waters
JP5819755B2 (ja) 船舶
JP2016088214A (ja) 液化ガス用浮体構造物
CN210391494U (zh) 一种半潜运输船船型
JP2015181546A (ja) 船舶
KR102299206B1 (ko)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US9227702B2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Rottman Landing Ship, Tank (LST) 1942–2002
JP4401346B2 (ja) 船舶機関室のダブルハル構造
EA201001630A1 (ru) Плавсредство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бронемашин
US2408871A (en) Floating naval base and harbor
US1377222A (en) Ship
JP2005125985A (ja) ステルス船
WO2011105935A2 (ru) Способ десантирования бронетехники в зону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с обеспечением самообороны и безопасности плавания
CN105836090A (zh) 一种无压载水商船
RU2604253C1 (ru) Кормовая часть ледокола
RU2443596C1 (ru) Полупогружное ледокольн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
CN219927937U (zh) 一种多功能电力推拖船
RU2401763C2 (ru) Судно с двухъярусным корпусом
RU2424486C2 (ru) Плавсредство для бронемашин, оснащенное противолодоч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KR102011862B1 (ko) 컨테이너선
JP6701487B2 (ja) 揚陸船、揚陸船の建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