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380A -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380A
KR20140146380A KR20130068978A KR20130068978A KR20140146380A KR 20140146380 A KR20140146380 A KR 20140146380A KR 20130068978 A KR20130068978 A KR 20130068978A KR 20130068978 A KR20130068978 A KR 20130068978A KR 20140146380 A KR20140146380 A KR 2014014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herbal medicin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247B1 (ko
Inventor
구미경
Original Assignee
구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경 filed Critical 구미경
Priority to KR102013006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2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관지 수축, 기도 수축 및 기관지 염증의 억제 효과와 이를 통한 천식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호흡기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herbal mixture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
본 발명은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알레르기비염, 기침, 가래, 급만성기관지염, 세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염, 후두염 등은 호흡기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천식(asthma)은 기도, 특별히, 기관지에 생기는 만성 염증을 일컫는다. 천식으로 인해 유발되는 염증은 매연, 알레르기성 항원, 찬바람, 운동, 호흡기 감염 등 매우 다양한 소인에 의하여 악화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염증은 기도의 변형 및 기도의 과민성(hyper-responsiveness)을 야기한다. 이러한 원인들에 의하여 천명(wheezing, 기도가 좁아져 쌕쌕거리거나 가랑가랑하는 호흡음이 나타나는 증상)이나,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과도한 객담이 배출되는 등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천식은 네 가지 병적 증상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기도 내의 호산구(eosinophils)의 유입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점액(mucus)이 과다하게 분비되며, 부종(edema)이 관찰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기도(airway)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적인 소견으로 하고 있다.
호흡기도는 크게 점막과 기관지평활근이라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점막에는 많은 분비샘들이 있어 필요한 분비물을 계속 분비하고 있으며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하면 호흡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매연, 알레르기성 항원, 찬바람, 운동, 호흡기 감염 등 매우 다양한 소인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분비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 분비물이 기도를 막아 점막이 기도 안쪽으로 부어오르게 되어 기도를 더욱 좁게 만든다. 이로 인해, 천명을 동반한 발작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이 심하게 나타나며, 발작 시에는 마른기침이 발생되고 흉부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천명이 없이 만성적 기침과 흉부압박감이 있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곤란 증상만 있는 천식도 많은데 이 증상들은 일상생활 중에서 갑자기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천식은 기관지 협착증에서 만성적인 기관지 염증질환으로 개념이 새로 정립되었으며, 증상이 있을 때에 이를 완화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염증을 관리하는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중요하다.
천식을 병태/생리학적 원인으로 보면, 기도염증(airway inflammation), 기도과민성(airway-hyperresponsiveness: AHR), 점막단백 과다분비(mucin hypersecretion)가 일어나는 질환이며, 면역학적으로는 호산구(eosinophils)의 침윤, Th1 세포수에 비해 Th2 세포수의 증가, 활성화 비만 세포(mast cell) 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기도 염증질환이다. 천식의 증상으로는 기도에 백혈구 중 과립구(granulocyte) 계통인 호산구가 침윤되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호산구는 기도염증과 기관지 수축을 촉진하는 여러 유발물질을 생성하여 천식의 병태/생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천식을 일으키는 항원은 T 세포를 Th2 세포로의 분화를 일으키며, Th2 세포는 IL(interleukin)-5, GM-CSF(granulocyte-macrophage stimulating factor), IL-3, IL-13, IL-4 등의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고, IL-4는 B 세포에 작용하여 IgE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비만세포 등의 염증세포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염증 매개인자를 유리하며, 기도에서 기관지수축, 혈관확장, 감각신경 감작화, 콜린성 기관지수축 등의 급성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천식은 가역적이지만 일부 환자의 경우, 천식이 진행됨에 따라 상치하세포의 섬유화, 혈관수 및 점액분비 세포수의 증가 및 기도 평활근의 비후에 의한 기도 구조변화로 리모델링이 일어나며,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에서 나타나는 기도폐쇄도 일어날 수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원인이 되는 폐질환이나 심장질환이 없이 기도폐쇄가 발생하여 기류의 속도가 감소하는 질환군을 일컫는다. 임상적으로는 만성적으로 객담을 동반하는 기침을 하는 만성기관지염과 종말세기관지 이하의 폐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고 폐포격벽이 파괴되는 폐기종이 혼합되어 구분이 힘든 경우에, 이들을 총칭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이라고 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천식과 비슷하게 호흡곤란, 기침, 가래 등의 기도 질환 증상을 나타내다가 폐 기능을 악화시켜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발병 주요 원인은 흡연으로, 이외에도 공해와 선천적 질환, 호흡기 감염증 등이 원인이 되며, 호중성구(neutrophils) 및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해 유도된다고 알려져 있다. 호중성구는 대표적인 염증세포로서 여러 종류의 단백분해효소를 분비하여 폐실질의 파괴와 만성적인 점액분비를 일으키며, 대식세포는 최근 IFN-γ(interferon-γ), IL-13 과발현의 중요한 염증세포로 대두되고 있고, 이는 조직손상을 일으키는 매개체(ROS[reactive oxygen species], NO[nitric oxide] 대사산물 등)를 분비할 뿐만 아니라 상처치유에 관여하는 매개체(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VEGF[endothelial growth factor] 등)를 분비하는 만성염증을 일으키는 주 원인이 되는 세포이다. 비가역적 기도폐색은 폐포의 파괴로 인해 주변 기도가 막혀 발생하는 폐기종과, 소기도인 세기관지의 염증과 이에 따른 반복적인 손상에 의해 섬유화를 특징으로 발생하는 만성폐쇄성세기관지염(small airway fibrosis, obstructive bronchiolitis)이 있다. 이러한 질환의 환자들에게는 대부분 폐기종과 함께 소기도의 염증과 섬유화가 동반하여 나타난다.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모두 호흡곤란, 기침, 가래 등의 기도 질환 증상을 나타내며, 현재까지 질환 자체에 대한 원인치료제는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천식의 치료제로는 염증을 억제하는 조절제(controller)와 호흡곤란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완화제(reliever) 두 가지 뿐으로 아직까지는 원인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이는 천식이 매우 다양한 발병요인 및 유발인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데에 비하여 나타나는 외형상의 증세는 비슷하기 때문이다. 또한 질환자체에 대한 연구가 어렵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천식 관련 총 사망률과 경제부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증의 천식(severe persistent)의 대부분은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치료법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천식이 잘 조절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천식치료는 약물요법, 환경요법(회피요법), 면역요법을 병행하여야 하고, 천식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기관지의 점막에 흉터가 생기는 데 이것은 회복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천식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이 없어져도 기관지 점막의 염증은 계속 진행되어 기관지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철저한 치료가 필요하다. 천식은 만성적이고 일시적으로 호전되었다가도 재발할 수 있으며 치료 중이라도 더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소아천식의 경우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해서 천식 발작의 횟수를 줄이고 발작 정도도 경감시켜야 완치하기가 쉽다. 천식은 알레르기 질환이기에 치료하기가 쉽지 않고 근본치료가 되지 않는 한 유발환경에 노출되면 쉽게 재발하기 때문에 약물요법 등 철저한 환경관리가 요구된다.
또 다른 대표적인 호흡기질환인 알레르기비염(allergic rhinitis)은 코 알레르기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이라고도 하며, 증세는 갑자기 연속적으로 재채기를 하고, 맑은 콧물이 다량으로 나오고 코가 막히며, 또한 동시에 머리가 무겁고 눈물이 나오기도 한다. 증세가 아주 비슷하면서 항원이 분명하지 않은 것을 혈관운동신경성 비염이라 한다. 즉, 하루 중 아침에 일어나서 몸이 일시적으로 식었을 때에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은 증세가 일어났다가 수시간 만에 낫는 것도 있으며, 1년 중 환절기라든지 추운 계절에 많이 나타난다. 흔히 코감기로 혼동되는데 감기와는 다르며, 천식이나 두드러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알레르기 반응은 일종의 항원과 항체 과민반응, 비만세포와 호염구의 세포막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고,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유리되어 싸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와 5-리폭시게나제(5-lipoxygenase, 5-LO)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류와 루코트리엔을 생성시켜, 항원 노출 2 내지 90분 사이에 나타나는 초기 반응과 4 내지 8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후기 반응을 매개한다. 초기 반응은 주로 매개물질에 의해, 후기 반응은 주로 세포의 침윤에 의해 나타난다. 또한,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모두 천식 발병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알레르기비염의 치료는 항원이 분명할 때는 탈감작요법을 행하고, 기타 약물요법, 수술적 요법, 이학적 요법 등이 있지만 완전히 낫기는 어렵다.
농흉(pyothorax)은 흉곽과 폐를 둘러싸는 늑막 사이의 공간인 늑막강에 고름이 괴는 현상이다. 주된 원인은 포도상구균성 폐렴에 의한 것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폐렴구균, 독감균에 의한 것 등으로서, 폐에 침입한 세균이 주위의 늑막강으로 퍼져서 발생한다.
기침, 가래는 찬공기,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외부 이물질, 대기 오염 물질,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과 같은 물리 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된다. 기침은 기도 점막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방어기전으로, 지나친 자극에 의한 지속적인 기침이 유발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경감시키고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기침과 같은 원리로 외부에서 먼지나 자극 물질 등이 유입되면 우리 몸의 기관지에서는 타액과 함께 근육운동을 해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것이 객담(가래) 형성의 원인이며 폐 등 기관지 염증에 의해서 짙은 화농성 객담이 생기게 된다. 이 때, 기침을 억제하는 치료법을 진해(鎭咳)라 하고, 가래를 억제하는 치료법을 거담(祛痰)이라 한다.
급성기관지염(acute bronchitis)은 독립된 질환이 아니라 다른 상하기도의 질환과 수반되어 나타난다. 급성기관지염은 흔히 비인두염과 같은 상기도 감염 및 인플루엔자, 백일해, 홍역,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성홍열 감염과 함께 오며, 세균성 질환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이러스 감염에서 기인된다. 가끔 객담에서 폐렴 구균, 포도상 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여러 형태의 연구균이 발견되지만 이는 세균 감염이 원인이라는 뜻이 아니며, 아울러 항생제 치료가 병의 경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주 증상으로는 기관지점막에 발적, 종창, 건조 등이 있고, 기관지에서 점액성 또는 농성(膿性)의 분비물을 볼 수 있다. 보통은 합병증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회복되지만, 만성으로 이행되면 점막의 종창(腫脹), 비후(肥厚), 위축을 초래하는데, 오래되면 섬유의 증식이 생기고 기관지협착을 일으키거나 폐기종 등이 속발되기도 한다.
만성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은 2년 연속, 1년에 3개월 이상 가래가 있고 기침이 지속되는 질환이다. 흡연, 대기 오염, 직업적 노출 등의 자극이 기관지 손상을 일으켜 이로 인해 만성 기관지염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만성 기침, 가래, 운동 시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다. 병이 진행할 경우 비교적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호흡곤란이 심해져 약간의 활동에도 호흡곤란을 느끼게 된다.
후두염(laryngitis)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후두 자체에 염증이 생기거나, 인두염, 편도염 등과 같은 주변 조직의 염증이 후두로 파급되어 발생한다. 감기의 부분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코감기(급성 비염)나 인두염을 동반하고 기침이 발생하며 목소리가 변하게 된다. 후두염은 상기도 호흡기 질환으로 통칭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인두염, 후두염, 기관지염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세기관지염(bronchiolitis)은 허파꽈리에 염증이 생겨서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기관지초염이라고도 한다. 세기관지 내벽에 염증이 생겨서 내벽 세포가 뭉치거나 부어서 내강이 좁아지고 그에 따라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전염성이며 종종 유행하기도 한다. 세기관지는 기관지로부터 폐포로 공기를 운반하고 폐포는 혈액에 산소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원인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거나 동시에 둘 다에 감염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감기에 걸릴 때마다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위험요인으로는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중 특히 호흡기 감염과 알레르기 질환 가족력, 비만증 등을 들 수 있다. 합병증으로 영구적인 폐질환으로 만성 기관지염, 폐의 부분적 붕괴, 기관지 확장증, 폐렴 재발 등이 일어날 수 있고 드물게는 만성폐색성폐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인후염(laryngopharyngitis)은 흔히 말하는 감기, 목 감기, 상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질병이다. 베타 용혈성 사슬알균, 포도알균, 폐렴알균, 헤모필루스균과 혐기성 균주와 같은 세균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 등이나 세균 등에 감염되어 인두, 후두를 포함한 상기도 점막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말하며 급성과 만성이 있다. 급성은 급격한 기온 변화, 감기, 열성질환, 과로, 허약한 체질, 세균 감염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고, 만성은 급성인후염이 반복해서 재발하거나 지나친 흡연, 음주, 과로, 자극성 음식 섭취, 목의 혹사, 인후두 역류질환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드물게는 자극성 가스나 화학물질, 화학증기를 들이마시거나 부비동 등 인접 부위로부터 염증이 파급되어 생길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기침, 가래, 급만성기관지염, 세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염, 후두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그 발병원인과 증상에 있어 일부 차이는 있지만, 염증성 질환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약물 중 기도확장제는 질병을 악화시키는 염증엔 효과가 없이 단순히 증상만 완화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약제 내성이 발생되어 병증 악화의 우려가 있다. 또한 염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스테로이드제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 둘을 병용 처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테로이드류의 부작용으로 인해 경구제보다 흡입제 형태로 개발되어 복용이 어렵기 때문에 복용순응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 약물치료제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고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호흡기 질환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종 백혈구 세포와 여기서 유리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 및 염증 매개인자들이 관여하므로 단일 성분의 합성의약품으로는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다고 생각되며, 다양한 성분과 기전을 갖는 생약 추출물이 효과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맥문동(麥門冬, Liriope platyphylla)은 덩이뿌리를 생약으로 사용하는데, 소염, 강장, 진해, 거담제 및 강심제로 이용한다.
내복자는 십자화과의 무(Raphanus sativus L.) 또는 동속 식물의 씨를 사용해 만든 약재로서,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내복자는 기를 통하게 하고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효능이 있어서 복부창만, 트림, 위산과다, 설사 등에 사용한다. 기를 내리고 가래를 삭히며 해수, 천식, 변비에 효과가 있다. 식욕부진을 치료하고, 오래된 담, 오래된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포도상구균 등의 억제작용, 피부진균 억제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염증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다른 이름으로 나복자라고도 한다.
백합(lily, 百合)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Lilium) 식물이며, 생약으로는 백합의 비늘줄기를 사용한다. 복창과 복통이 있는 경우를 치료하고 대소변을 시원하게 하고 비위를 돕고 기운을 북돋운다고 알려져 있으며, 온몸이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인후가 폐색되어 호흡이 곤란한 증상을 치료한다. 눈물과 콧물을 그치게 한다. 명치부위가 갑자기 아프거나 각기병과 발열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정신이 나가고 잘 놀라는 증상, 출산 후 어지러운 증상을 개선시키고, 독충의 독기를 없애고 옆구리, 유방, 등 부위에 발생한 부스럼을 치료하는데도 이용되었다.
길경(桔梗)은 초롱꽃과의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의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만든 약재로서 이 약은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길경은 폐에 작용하여 해수와 가래가 많고 호흡이 불편한 증상을 치료하며, 폐를 맑게 하고 답답한 가슴을 풀어주며 뱃속의 찬 기운을 풀어주어 기침을 멈추고 담을 없앤다. 소변을 잘 보지 못하여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양이 적을 때도 쓴다. 인후통,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코막힘, 천식, 기관지염증, 흉막염, 두통, 오한, 편도선염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거담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개선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이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의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맥문동과 길경을 일부 구성성분으로 포함한 생약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974891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671432호), 길경을 일부 구성성분으로 포함한 생약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527834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375560호) 등이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호흡기 질환에 치료효과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생약혼합물의 구성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선행기술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등록특허 제974891호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010.08.0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671432호 (천식의 유지치료용 약제, 2007.01.1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527834호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2005.11.0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375560호 (도라지 추출물 함유 기관지 질환 치료용 식품조성물, 2003.02.26. 등록)
Nature, 1977, 270, 256~257. Kaminuma O et al., Inhibitory effect of a novel phosphodiesterase IV inhibitor, T-440, on antigen- and chemical mediator-induced bronchoconstrictions in guinea pigs in vivo., Jpn. J. Pharmacol., 1996, 72, 1~8. Kor. J. Pharmacogn., 1999, 30[4], 377~383. Arakida Y et al., Effect of combined leukotriene D(4) and thromboxane A(2) receptor antagonist on mediator-controlled resistance in guinea pig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0, 403, 169~179. Anderson WH et al., An in vivo model for measuring antigen-induced SRS-A-mediated bronchoconstriction and plasma SRS-A levels in the guinea-pig., Br. J. Pharmac., 1983, 78, 67~74. Rogerio AP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quercetin-loaded microemulsion in the airways allergic inflammatory model in mice., Pharmacological Research, 2010, 61, 288~297. Won HY et al., Anti-allergic function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KR62980 in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Biochemical Pharmacology, 2010, 79, 888~896.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자세하게는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약혼합물은 맥문동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내복자 50~200 중량부, 백합 50~200 중량부, 길경 10~100 중량부 및 쌀 10~50 중량부의 생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약혼합물에는 맥문동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닭발 50~200 중량부, 오미자 10~1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지골피 10~100 중량부, 상백피 10~100 중량부, 녹용 10~100 중량부, 생강 10~100 중량부, 대추 10~100 중량부 및 감초 10~10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생약이 1종 이상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1공정) 맥문동 100 중량부, 내복자 50~200 중량부, 백합 50~200 중량부, 길경 10~100 중량부 및 쌀 1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생약혼합물에, 상기 생약혼합물 전체 중량 1~1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13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의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
를 통해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 제조에 이용되는 쌀은, 백미, 현미, 찹쌀, 흑미 등 그 품종이나 도정 상태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쌀은 폐의 진액을 보충하여 가래, 기침 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염증 및 기도 수축을 일으키는 모든 질환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알레르기비염, 기관지선종, 폐결핵, 농흉, 폐농양, 기침, 가래, 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염 및 후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천식은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 매개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및 비알레르기성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관지염은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카타르성 기관지염 및 폐쇄성 및 염증성 기관지 질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물과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농축물 또는 이의 건조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고형분을 제거한 여액을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압농축한 농축물 또는 이의 건조물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약혼합물에 포함되는 닭발은 생닭의 닭발 또는 냉동 닭발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생닭의 닭발 또는 냉동 닭발을 바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닭발 100 중량부 기준으로, 끓는 물 100~500 중량부에 소주 1~20 중량부 및 생강 1~20 중량부를 넣은 후 상기 닭발을 넣어 10~60분 동안 삶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소주 대신 다른 주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소주와 생강을 이용하여 닭발을 삶으면 닭 특유의 비린내와 기름기가 제거된다. 닭발에 포함된 콜라겐 성분은 폐의 진액을 보충하여 폐 건조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생약혼합물의 농축건조물이 포함된 조성물 기준으로,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나 건강기능식품은 파우치 형태에 멸균 포장되어 복용하기 용이한 형태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관지 수축, 기도 수축 및 기관지 염증의 억제 효과와 이를 통한 천식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여, 호흡기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 제조>
하기 표 1의 생약혼합물을 물 6kg과 혼합하여 120℃에서 9시간 동안 한약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각각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 때 생약혼합물의 총 중량은 920g으로 통일하였다. 이 때 사용된 쌀은 백미를 사용하였다. 또한 닭발은 냉동된 닭발을 해동시키고, 닭발 2kg당 끓는 물 5kg에 소주 100g, 생강 200g을 넣은 후 상기 해동된 닭발을 20분 삶아서 건져낸 것을 사용하였다(삶은 물은 버리고 닭발은 찬물에 2번 헹구어 식힌 후 생약 추출에 이용함).
Figure pat00001
<비교예 1. 비교대상 생약혼합물의 추출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되, 생약의 혼합 조건은 하기 표 2에 개시된 조건으로 혼합하였다.
Figure pat00002
< 실험예 1. 기관지 수축 억제 시험 ( in vitro )>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이 기관지 수축 억제 활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실험방법 참조 : Nature, 1977, 270, 256~257; Jpn. J. Pharmacol., 1996, 72, 1~8; Kor. J. Pharmacogn., 1999, 30[4], 377~383).
이를 위해, 하틀리(Hartely)계 수컷 기니피그(400~500g, BGI, 국내)에 항난알부민 항혈청(anti-ovalbumin anti-serum)을 2㎖/㎏의 부피로 정맥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감작 48시간 후에 기니피그를 실혈 치사시킨 후 기관지를 적출하였다. 이 후, 타이로이드(tyrode) 액상에서 기관지에 붙어있는 타조직을 제거한 후 연골이 2~3개가 포함되도록 링 모양으로 절개하였다. 절개 후에는 기관지 근육을 보존하면서 링의 연골부분을 절개하고 양쪽으로 실을 연결한 후 장기욕조(organ bath)에 현수(suspension)하였고, 일정시간의 안정화 후 카르바콜(carbachol) 10㎍/㎖을 넣어 최대 수축을 유발하였으며 타이로이드(tyrode) 액으로 기관지를 세척하고 안정화시켰다. 이 후, 인도메타신(indomethacin) 5μM을 넣고 1분 후 각각의 추출물(동결건조하여 0.3㎎/㎖로 처리)을 넣었고, 5분 후에는 난알부민(ovalbumin) 20㎍/㎖을 넣어 수축을 유발하였다. 기관지 수축 억제율(%)은 카르바콜과 난알부민에 의한 수축을 비교하여 계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기관지의 수축이완은 힘변환기(force transducer, WPI)와 연결된 생리 활성 측정기(powerlab 8/30, ADInstum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투여 조건 기관지 수축 억제율 (%)
실시예 1-1 60.3
실시예 1-2 77.5
실시예 1-3 76.4
실시예 1-4 75.3
실시예 1-5 76.7
실시예 1-6 78.4
실시예 1-7 80.3
실시예 1-8 63.6
실시예 1-9 65.4
비교예 1-1 33.5
비교예 1-2 22.4
비교예 1-3 25.7
비교예 1-4 22.6
비교예 1-5 14.5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비교예 1의 추출물에 비해 기관지 수축 억제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기도 수축 억제 시험 ( in vivo )>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이 기도 수축 억제 활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실험방법-호흡량 측정확인: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0, 403, 169~179; Br. J. Pharmac., 1983, 78, 67~74).
이를 위해, 하틀리(Hartely)계 수컷 기니피그(400~450g, SLC, Japan)에 항난알부민 항혈청을 1.5㎖/㎏의 볼륨으로 정맥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감작 48시간 후 기니피그에 각 추출물의 동결건조물(400㎎/㎏)을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30분 후에 피릴아민 말레이트(pyrilamine maleate, 0.5㎎/㎏)와 프로라놀롤(propranolol, 0.05㎎/㎏)을 피하 주사하여 전처리하였고, 기니피그의 각종 호흡 지표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레티스모미터(plethysmometer)가 장착된 더블챔버 플레티스모그래프 박스(plethysmograph box type 855, HSE, German)에 넣고 기본 기도 저항값(RxV)을 측정하였다. 전처리 30분 후에는 1% 난알부민을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로 만들어 2분간 분무 후 챔버 안에 알부민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를 30초 동안 밖으로 흘려보냈다. 이 후 15분 동안 플레티스모미터 박스 안에서 기도저항(airway resistance)을 측정하였고 기도저항은 AUC(area under the curve)로 계산하고,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표 4에 기도 수축 억제율(%)로 나타내었다.
투여 조건 기도 수축 억제율 (%)
실시예 1-1 50.4
실시예 1-2 55.5
실시예 1-3 56.7
실시예 1-4 53.3
실시예 1-5 54.4
실시예 1-6 57.5
실시예 1-7 66.6
실시예 1-8 53.5
실시예 1-9 52.7
비교예 1-1 24.6
비교예 1-2 15.4
비교예 1-3 16.5
비교예 1-4 18.3
비교예 1-5 13.8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비교예 1의 추출물에 비해 기도 수축 억제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기관지 염증 억제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이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모델에서 폐기관지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감작된 마우스에 항원을 노출시켜 유발되는 폐기관지의 백혈구 증가반응을 확인(Pharmacological Research, 2010, 61, 288~297; Biochemical Pharmacology, 2010, 79, 888~896)하였다.
이를 위해, BALB/c계 암컷마우스(6.5주령, SLC, 일본)에 10㎍의 난알부민(Ovalbumin, OVA, sigma)과 수산화알루미늄(4mg, aluminium hydroxide, Alum, Pierce) 1:1 혼합액 0.2㎖을 0, 7 및 14일에 복강 내 투여하여 감작시켰다. 최종 감작일로부터 8일 후와 10일 후에 1.0% 난알부민을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로 만들어 50분간 분무하여 기도염증을 유발하였다. 각 시험물질(각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400㎎/㎏, b.i.d.)의 투여는 첫 감작 후 21일부터 23일까지 오전 오후 하루 두 차례에 걸쳐 경구 투여하여 Challenge 하였다. 마지막 Challenge 24시간 후에 인산완충용액(pH 7.2) 1.5㎖을 이용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을 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액을 모았다. 세척액 중의 백혈구 세포수는 헤마톨로지 분석기(Hematology analyzer, Drew Scientific Inc., HEMAVET  HV950FS, M-950HV)를 사용하여 백혈구수를 계수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음성대조군(1% CMC[carboxymethyl cellulose] 투여군)의 백혈구 세포수 정도를 기준으로 폐기관지 염증 억제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투여 조건 폐기관지 염증 억제율 (%)
실시예 1-1 17.8
실시예 1-2 22.5
실시예 1-3 23.6
실시예 1-4 23.7
실시예 1-5 24.4
실시예 1-6 25.5
실시예 1-7 29.6
실시예 1-8 19.2
실시예 1-9 18.9
비교예 1-1 8.7
비교예 1-2 6.4
비교예 1-3 6.5
비교예 1-4 5.7
비교예 1-5 5.8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이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백혈구 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추출물들이 염증 억제 발생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의 복용에 따른 천식 치료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추출물을, 2012년 9월부터 양방병원에서 천식 진단을 받은 20~50대의 환자들에게 각 군당 7명씩으로 하여, 20일간 매일 하루 3번 110㎖씩 식후 2시간 후에 복용하게 하였으며, 20일간의 복용 후, 하기 표 6에 5점 타점법(5점 : 아주우수함, 4점 : 우수함,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아주나쁨)으로 천식 증상에 따른 기침, 가래의 개선효과를 나타내게 하였다.
조건 천식 개선 효과
실시예 1-1 3.7
실시예 1-2 3.9
실시예 1-3 3.8
실시예 1-4 4.0
실시예 1-5 3.9
실시예 1-6 4.0
실시예 1-7 4.3
실시예 1-8 3.9
실시예 1-9 3.8
비교예 1-1 2.2
비교예 1-2 2.3
비교예 1-3 2.2
비교예 1-4 2.0
비교예 1-5 1.4
비투여군 1.0
5점 : 개선 효과 80% 이상, 4점 : 개선 효과 60% 이상, 3점 : 개선 효과 40% 이상
2점 : 개선 효과 20% 이상, 1점 : 개선 효과 없음
표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의 천식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 외의 추가 생약이 모두 포함된 실시예 1-7 추출물의 천식 치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독성실험>
실험예 5-1. 급성독성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3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PEG-400/tween-80/EtOH(8/1/1, v/v/v) 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상기 PEG-400/tween-80/EtOH(8/1/1, v/v/v)에 녹여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g/㎏/day 농도의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우스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각 농도로 8주 동안 C57BL/6J 마우스(각 군당 10마리)에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PEG-400/tween-80/EtOH(8/1/1, v/v/v)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조직에서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1-2.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0)

  1.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혼합물은 맥문동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내복자 50~200 중량부, 백합 50~200 중량부, 길경 10~100 중량부 및 쌀 10~50 중량부의 생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혼합물에는 맥문동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닭발 50~200 중량부, 오미자 10~1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지골피 10~100 중량부, 상백피 10~100 중량부, 녹용 10~100 중량부, 생강 10~100 중량부, 대추 10~100 중량부 및 감초 10~10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생약이 1종 이상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혼합물은 맥문동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맥문동 100 중량부, 내복자 50~200 중량부, 백합 50~200 중량부, 길경 10~100 중량부 및 쌀 10~50 중량부의 생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혼합물에는 맥문동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닭발 50~200 중량부, 오미자 10~100 중량부, 하고초 50~200 중량부, 지골피 10~100 중량부, 상백피 10~100 중량부, 녹용 10~100 중량부, 생강 10~100 중량부, 대추 10~100 중량부 및 감초 10~10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생약이 1종 이상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은,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1공정) 맥문동 100 중량부, 내복자 50~200 중량부, 백합 50~200 중량부, 길경 10~100 중량부 및 쌀 1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생약혼합물에, 상기 생약혼합물 전체 중량 1~1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13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의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맥문동, 내복자, 백합, 길경 및 쌀을 포함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2공정의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혼합물의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130068978A 2013-06-17 2013-06-17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78A KR101513247B1 (ko) 2013-06-17 2013-06-17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78A KR101513247B1 (ko) 2013-06-17 2013-06-17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380A true KR20140146380A (ko) 2014-12-26
KR101513247B1 KR101513247B1 (ko) 2015-04-20

Family

ID=5267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978A KR101513247B1 (ko) 2013-06-17 2013-06-17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2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1673A (zh) * 2015-04-15 2015-07-15 陈霞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的中药
CN104784276A (zh) * 2015-03-28 2015-07-22 刘金良 一种治疗烧伤、烫伤不留疤的中药组合物
CN104940571A (zh) * 2015-06-30 2015-09-30 周冠旻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的中药
KR102367855B1 (ko) * 2021-07-26 2022-02-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비무환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70A2 (ko) * 2020-09-28 2022-03-31 한국한의학연구원 천연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25B1 (ko) 2009-12-29 2011-06-30 조신영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4276A (zh) * 2015-03-28 2015-07-22 刘金良 一种治疗烧伤、烫伤不留疤的中药组合物
CN104771673A (zh) * 2015-04-15 2015-07-15 陈霞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的中药
CN104940571A (zh) * 2015-06-30 2015-09-30 周冠旻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的中药
KR102367855B1 (ko) * 2021-07-26 2022-02-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비무환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247B1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2197B2 (ja) 気管支炎の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
KR101262870B1 (ko)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3475B1 (ko) 호흡기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1513247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659750B (zh) 用于预防或治疗慢性阻塞性肺疾病的药物组合物
KR101286467B1 (ko) 천궁 및 종대황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5274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6463B1 (ko) 천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7024B1 (ko) 천궁 및 호장근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4125B1 (ko) 황기, 방풍, 강활, 황금 및 백출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기관지염 또는 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43237A (ko) 천궁 및 후박의 혼합 생약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6465B1 (ko) 천궁 및 현호색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3004102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tavirus Infection Comprising Licorice Extract
KR101855894B1 (ko) p-coumaric acid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약학조성물
KR20120039688A (ko) 기관지 천식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9357A (ko) 페퍼민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2027374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KR102358713B1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0230B1 (ko) 페퍼민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076247B (zh) 紫苏叶提取物在制备治疗慢性阻塞性肺疾病药物中的应用
KR102487701B1 (ko) 기관지염 또는 호흡기 질환 개선효능을 갖는 병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647506B1 (ko)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282243B (zh) 一种治疗小儿急性支气管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077584B (zh) 一种防治猪繁殖与呼吸障碍综合征的组合物及应用方法
KR102469733B1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