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128A -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링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링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128A
KR20140146128A KR1020147029256A KR20147029256A KR20140146128A KR 20140146128 A KR20140146128 A KR 20140146128A KR 1020147029256 A KR1020147029256 A KR 1020147029256A KR 20147029256 A KR20147029256 A KR 20147029256A KR 20140146128 A KR20140146128 A KR 20140146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ase
lid
side wall
stora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911B1 (ko
Inventor
아르노드 주르드렝
에릭 배이랄드
Original Assignee
블루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 솔루션즈 filed Critical 블루 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14014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2Vents or other means allowing expa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45Liquid electrolytic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캐패시터 또는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이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21) 및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20); 케이스(20) 안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는 전기화학적 요소(30); 케이스(20)의 개방 단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40)로서,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는 덮는 벽(41, 45) 및 이 덮는 벽(41, 45)의 주변부에 있고 케이스(20)의 측벽(21)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측면(42, 4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40); 및 케이스(20)의 측벽(21)과 상기 덮개(40)의 측벽(42, 43) 사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환형 링(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링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ENERGY STORAGE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LY INSULATING ELASTIC RING}
본 발명의 일반적인 기술 분야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는 캐패시터(즉, 2개의 전극 및 절연기를 포함하는 수동형(passive) 시스템), 또는 슈퍼캐패시터(즉, 적어도 2개의 전극, 전해질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리튬 배터리형의 배터리(즉, 적어도 하나의 양극, 적어도 하나의 음극 및 이들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하 용어 "전기화학적 요소" 또는 "용량성(capacitive) 요소"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에너지의 실제 저장을 가능케 해주는 부분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관형 슈퍼캐패시터형의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는 양 단부에서 열려 있는 관형 케이스(20), 용량성 권선(30) 및 관형 케이스(20) 안에 들어 있는 액상 전해질, 그리고 관형 요소(20)의 개방 단부들을 덮기 위한 2개의 덮개(40)를 포함한다. 덮개는 일반적으로 접착으로 케이싱에 부착된다. 케이스와 덮개는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저장 어셈블리는 각각의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있는 전기 절연성 중간부(10)를 더 포함한다. 이 중간부(10)는 강성 또는 반강성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중에 일반적으로 덮개 또는 케이스 상에 강제적으로 눌러지게 된다.
이 중간부(10)에 의해, 케이스와 각 덮개 사이의 전기 절연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그 중간부에 의해,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중에 접착제가 케이스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한 저장 어셈블리의 하나의 단점은, 그의 제조가 치수 면에서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사실, 케이스, 덮개 및 중간부의 치수에 대한 정확도는 저장 어셈블리의 정확한 조립을 위해 매우 커야 한다.
이 저장 어셈블리의 다른 단점은,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중에 그 저장 어셈블리의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이 겪는 온도 변화로 인해 중간부가 변형될 위험과 관련 있다. 사실, 알루미늄의 팽창 계수에 가까운 팽창 계수를 갖는 저렴한 폴리머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중간부가 큰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아 팽창하고 들뜨게 되는 위험이 있다. 들뜸이 일어나는 경우, 중간부는 접착제를 더 이상 저지하지 못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접착제가 케이스에 들어가 성능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보상할 수 있는 저장 어셈블리 및 이러한 저장 어셈블리를 위한 조립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안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는 전기화학적 요소;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 단부들 또는 이 중의 한 개방 단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로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는 덮는 벽, 및 이 덮는 벽의 주변부에 있고 케이스의 상기 측벽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상기 저장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상기 덮개의 측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환형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링은 알루미늄의 팽창 계수에 가까운 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탄성적인 환형 링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이점이 얻어진다. 그러한 링은 종래 기술의 저장 어셈블리의 중간부(10)와 동일한 기능(즉, 한편으로 덮개와 케이스의 전기 절연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접착제에 대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덮개와 케이스의 치수에 있어 있을 수 있는 변동과 관련된 조립 틈새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어셈블리의 바람직하되 비제한적인 양태들은 다음과 같다:
- 상기 링을 구성하는 재료는 탄성중합체, 특히 EPDM 이다.
- 상기 링을 구성하는 재료는 발포체(foam), 예컨대 탄성중합 발포체이다.
- 상기 링은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분할되어 있다. 그래서, 링은 변형될 수 있어 탄성을 갖게 된다. 이 경우, 분할된 링은 복합적인 형상(S 형, 거벽형 등)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저장 어셈블리는, 가스가 상기 저장 어셈블리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링과 케이스 사이 및/또는 링과 덮개 사이에 규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제거 통로를 더 포함한다.
- 제 1 실시 형태에서, 상기 링은 관의 형태이며, 그 링은 그의 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링의 전체 길이 방향 치수에 걸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덮개 또는 케이스의 측벽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있다.
- 상기 케이스 또는 덮개는, 상기 링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측벽의 일 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그 측벽의 길이 방향 치수를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가지며, 각각의 오목부는 링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은, 상기 오목부가 특히 측벽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길이 방향 성분을 갖는 경로를 따라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오목부는 또한 이 길이 방향으로 링의 치수보다 크거나 동일한 치수로 연장된다.
- 상기 링은 또한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링은 그의 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며, 각각의 핀은 상기 덮개 또는 케이스의 측벽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게 된다. 사실, 핀은 링과 벽을 국부적으로 서로 분리시키며, 이 핀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 상기 가스 제거 통로에 상당하는 것이다.
- 상기 덮개 또는 케이스의 측벽은 링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핀은 상기 측면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링의 면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 상기 덮개 또는 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링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틈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 케이스 또는 덮개는 상기 링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면에서 위치 잡기 홈을 포함한다. 이 홈은 특히 둘레 홈이며, 또한 링을 다른 요소에 눌러 이들 두 요소 사이에서의 링의 양호한 고정을 보장할 수 있다. 링은 이를 수용하는 상기 위치 잡기 홈에 상보적인 통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링은, 링과, 덮개 또는 케이스와의 접촉이 선형 접촉이 되도록, 상기 링의 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뾰족한 단면을 가진다. 그래서, 링을 케이스 또는 덮개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링의 프로파일은 특히 대칭형 프로파일(마름모형 프로파일)일 수 있다.
- 상기 링은 국부적으로 그 링으로부터 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탭(tab)을 포함한다. 따라서,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삽입되는 접착제의 높이를 국부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접착제는 링이 없을 때만 삽입될 수 있음) 또한, 필요시 덮개와 케이스를 더 잘 분리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기계적으로 약하게 할 수 있다.
- 상기 링이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덮개와 케이스의 측벽들은 링과 접촉하는 전체 영역에 걸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벽 각각은 이 영역에서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형 프로파일을 갖는데, 즉 돌출부 또는 공동부가 완전히 없다. 사실 본 발명에서는, 링을 압축시키기 위해 측벽들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변형시킬 필요가 없는데, 그러므로 벽들은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설계가 간단하게 된다.
-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덮개와 케이스의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따라서 링은 그 접착제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기화학적 요소와 접촉하려면 취해야 하는 경로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덮개의 측벽이 케이스의 측벽으로 둘러싸이면, 전기화학적 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의 경로는 직선형이고, 접착제는 시일(seal)보다 어셈블리의 자유 단부에 더 가까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덮개의 측벽이 케이스의 측벽을 둘러싸면, 전기화학적 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의 경로는 U 형으로 되고, 그의 바닥은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단부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리고 시일은 접착제보다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단부에 더 가깝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전기화학적 요소, 및 덮는 벽과 이 덮는 벽의 주변부에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상기 전기화학적 요소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덮개를 케이스의 개방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환형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바람직하되 비제한적인 양태들은 다음과 같다:
덮개와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들은 다음과 같은 하위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 링을 덮개의 측벽에 위치시키는 하위 단계,
- 링과 덮개로 이루어진 군을 케이스의 개방 단부에 위치시키는 하위 단계.
상기 단계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하위 단계들을 포함한다:
- 링을 덮개의 측벽에 위치시키는 하위 단계,
- 링과 케이스로 이루어진 군에 덮개를 위치시키는 하위 단계.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하위 단계들을 포함한다:
- 덮개를 케이스의 개방 단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 특히 강제적인 삽입으로 덮개의 측면과 케이스의 측면 사이에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방법은 링의 삽입 후에 측벽들 중의 하나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인데, 왜냐하면 완벽하게 시일링된 어셈블리를 얻기 위해 링을 압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이 링은 접착제가 어셈블리에 배치될 때까지 일시적으로만 시일링에 참여하는 것이다.
일단 상기 링, 덮개 및 케이스가 서로에 대해 위치되면 접착제가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접착제가 가열되어 중합된다. 따라서 접착제는 어셈블리를 시일링하는 데 참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며, 그 설명은 순전히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저장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 도 3, 도 7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상이한 실시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어셈블리의 환형 링의 상이한 실시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위한 조립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 및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단면도로, 접착제가 그 저장 어셈블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의 상이한 실시 형태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상이한 도면에서, 저장 어셈블리의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개량에 따른 저장 어셈블리의 일 변형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저장 어셈블리는 케이스(20), 전기화학적 요소 또는 용량성 요소(30) 및 덮개(4)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그의 일 단부에서 열려 있는 원통형 측벽(21) 및 다른 단부에 있는 바닥벽(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는 용량성 요소(30)를 위한 하우징을 구성한다.
덮개(40)는 케이스(20)의 개방 단부에 위치된다. 덮개(40)는 덮는 벽(41) 및 이 덮는 벽의 주변부에 있는 측벽(42)을 포함한다. 덮는 벽(41)은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 측벽(42)은 케이스(20)의 측벽(21)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화학적 요소(30)는 예컨대 2개의 복합체들 및 이들 두 복합체들 사이에 있는 전기 절연성 분리기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복합체는 집전기(current collector) 및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극은 활성 탄소, 전도성 첨가제 및 앞의 두 구성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또는 그 이상의) 폴리머(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전극은 집전기 상에 코팅되거나 압출된다. 전극은 복합체의 작용 재료를 구성한다. 집전기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알루미늄, 니켈,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강이다. 집전기의 재료는 전극 및 전해질의 구성 요소에 대해 화학적으로 또한 전기화학적으로 불활성이도록 선택된다. 복합체 및 분리기는 나선형으로 함께 말려 권취형(wound)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권취형 요소는 수성 또는 유기 전해질로 함침된다. 이 전해질은 이온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용량성 요소의 양(positive) 전극(들)은 덮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용량성 요소의 음(negative) 전극(들)은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저장 어셈블리는 전기 절연성 환형 링(50)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 링의 일반적인 형상은 양 단부에서 열려 있는 관의 형상이다. 이 링(50)은 덮개(40)와 케이스(20) 사이에서 그 케이스와 동축(coaxially)으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링(50)은 덮개(40)의 측벽(42)과 케이스(20)의 측벽(2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 링에 의해, 케이스가 덮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이 링에 의해, 도 12에 보다 명확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 중에 접착제가 케이스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환형 링(50)의 사용은, 종래 기술의 저장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중간부(10)와 동일한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를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링(50)은 탄성적이어서 조립 단계 중에 케이스와 덮개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링의 탄성으로 인해, 덮개(들) 및 케이스의 치수에 대한 불확실성과 관련된 조립 틈새를 보상할 수 있다.
예컨대, 링(50)은 탄성 또는 비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슬릿(51)(대각선 슬릿, 곡선형 슬릿 등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슬릿(51)은 링(50)에 반경 방향 탄성을 부여하여, 그 링이 삽입되어 덮개(40)에 더욱 쉽게 유지될 수 있게 해준다.
일 변형예로서, 링은 탄성중합체와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링을 구성하는 재료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일 수 있다.
링의 치수는 덮개 및 케이스의 치수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특히, 링의 내경은 덮개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덮개에서의 링의 양호한 위치 고정이 보장된다. 마찬가지로, 링의 외경은 케이스의 내경 보다 약간 크게(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케이스에서의 링과 덮개의 양호한 위치 고정이 보장된다.
링은 다른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과 같은 다각형 프로파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환형 링의 두께는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일정하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예컨대, 링은 이중 원추형 또는 링의 길이 방향 단부쪽으로 가면서 점감하는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링은 그의 개방 단부에서 두께가 감소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링과 덮개/케이스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그래서 링을 덮개 및/또는 케이스 상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마름모꼴 단면과 같은 대칭형 프로파일이면 유리하게도 조립 방향은 필요 없게 된다(가역성)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어셈블리의 다른 변형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저장 어셈블리는 케이스, 용량성 요소 및 2개의 덮개를 포함한다. 일 변형예로서, 어셈블리는 바닥을 갖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 및 그의 일 개방 단부에만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케이스는 양 단부에서 열려 있는 원통형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덮개(40)는 케이스(20)의 각각의 개방 단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덮개(40)는 덮는 벽(45) 및 측벽(43)을 갖는 주변 스커트(44)를 포함한다. 덮는 벽(45)은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 측벽(43)은 케이스(20)의 측벽(21)과 대향하며 또한 측벽의 단부에서 그 측벽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저장 어셈블리는 2개의 전기 절연성 환형 링(50)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링(50)은 각각의 덮개와 관련되어 있고, 케이스의 측벽(21)의 외측면과 덮개의 측벽(43)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다.
링(50)의 내경은 케이스(2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케이스(20)에서의 링(50)의 양호한 위치 고정이 보장된다. 링(50)의 외경은 덮개(40)의 주변 스커트(44)의 내경 보다 약간 크게(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 중에 링(50)에서의 덮개(40)의 양호한 위치 고정이 보장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어셈블리의 두 개의 변형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는 것이다. 제 1 변형예에서, 환형 링(50)은 덮개(40)의 측벽(42)을 둘러싸며 그리고 케이스(20)의 측벽(21)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 2 변형예에서, 링(50)은 케이스(20)의 측벽(21)을 둘러싸며 그리고 덮개(40)의 주변 스커트(44)의 측벽(43)에 의해 둘러싸인다.
저장 어셈블리는 그의 실시 형태가 무엇이든 간에, 하나의(또는 그 이상의) 접착제 가스 제거 통로(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스 제거 통로는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 중에 사용되는 접착제에 갇혀 있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환형 링(50)은 발포체(foam)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가스 제거 통로는 없어도 되는데, 이 경우 공기 배출은 직접 발포체를 통해 일어나게 된다(개방형 셀 발포체의 경우에). 폐쇄형 셀 발포체로 만들어진 시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고려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가스 제거 통로는 덮개와 링 사이 및/또는 링과 케이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가스 제거 통로는 환형 링(50)에서 이 링의 전체 길이 방향 치수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이 오목부는 링(5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있는 홈(52)일 수 있다. 이 홈(52)은 환형 링(50)의 외측면(54)에 제공될 수 있고(도 5b 및 5d) 또는 환형 링(50)의 내측면(53)에 제공될 수 있다(도 5c 및 5e). 이 홈(52)은 링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면에서 볼 때 원통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홈의 치수와 개수는 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홈(52)이 링(50)의 내측면(53)에 있을 때, 홈(52)과 덮개(40)의 측벽(42)이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홈(52)이 링(50)의 외측면(54)에 있을 때는, 홈(52)과 케이스(20)의 측벽(21)이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홈(52)이 링(50)의 내측면(53)에 있을 때, 홈(52)과 케이스(20)의 측벽(21)이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홈(52)이 링(50)의 외측면(54)에 있을 때는, 홈(52)과 덮개(40)의 주변 스커트(44)의 측벽(43)이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가스 제거 통로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또는 그 이상의) 핀(55)(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된다. 이 핀(55)은 환형 링(50)의 내측면(53) 및/또는 외측면(54)에 제공될 수 있다. 이 핀에 의해, 링은 케이스 또는 덮개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어 가스 제거 통로를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 통로가 핀의 각 측에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핀(55)이 링(50)의 내측면(53)에 있으면, 이 핀(55)과 덮개(40)의 측벽(42)이 가스 제거 통로를 규정하게 된다. 핀(55)이 링(50)의 외측면(54)에 있으면, 이 핀(55)과 케이스(20)의 측벽(21)이 가스 제거 통로를 규정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핀(55)이 링(50)의 내측면(53)에 있으면, 이 핀(55)과 케이스(20)의 측벽(21)이 가스 제거 통로를 규정하게 된다. 핀(55)이 링(50)의 외측면(54)에 있으면, 이 핀(55)과 덮개(40)의 주변 스커트(44)의 측면(43)이 가스 제거 통로를 규정하게 된다.
일 변형예로서, 가스 제거 통로는 케이스의 측벽(도 2의 경우에 내측면 그리고 도 3의 경우에는 외측면) 또는 덮개의 측벽에 배치되는 홈 또는 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링의 내측면/외측면 및 케이스/덮개에 제공되어 있는 홈/핀이 가스 제거 통로를 규정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장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덮개(40)는 주변 스커트(44)를 포함하고, 이 주변 스커트(44)는 그의 내측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있는 틈(46)을 포함한다 이 틈(46)은 환형 링(50)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틈(46)에 의해,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 중에 링(50)의 위치 고정이 개선될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틈은 케이스(20)의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저장 어셈블리의 경우에 내측면에, 또는
-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저장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외측면에.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케이스(20)는 측벽(21)의 외측면의 주변부에 있는 홈(23)을 포함한다. 이 홈(23)은 링(50)을 압축시켜 그를 덮개와 케이스 모두에 누르도록 되어 있다. 홈(23)에 의해,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 중에 케이스(20)에서의 링(50)의 위치 고정이 개선될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둘레 홈은 덮개(40)의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홈은 케이스/덮개의 전체 주변부에 걸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케이스/덮개의 일 부분에 걸쳐서만 있을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링(50)은 그의 길이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탭(60)을 포함한다. 이러한 탭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링 치수의 변화(국부적인 증가)가 있게 된다. 그래서, 도 11에서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탭에 의해,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있는 접착제(62)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탭에서 그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어셈블리의 케이스에는 기계적으로 약한 지점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지점으로 인해, 필요시 덮개와 케이스를 분리시키는 것이 더 쉽게 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용량성 요소(30)를 제조하는 단계(100)를 포함한다. 분리기가 사이에 위치되는 두 복합체의 적층체를 얻기 위해, 분리기가 제 1 복합체에 적층되고 제 2 복합체가 그 분리기에 적층된다. 그리고 복합체들과 분리기는 나선형으로 함께 말려 권취형 요소를 형성하게 된다. 용량성 요소(30)를 얻기 위해 그 권취형 요소는 전해질로 함침된다.
케이스(20)가 바닥(22)을 갖는 경우, 다음 단계(300)는 용량성 요소(30)를 케이스(20) 안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0)가 양 단부에서 열려 있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용량성 요소(30)를 케이스(20)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300) 전에, 케이스(20)의 단부들 중의 하나를 덮개(40)로 덮고 링(50)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링(50)은 다른 방식으로 저장 어셈블리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링(50)은 덮개(40)가 케이스(20) 상에 조립되기 전에 덮개(40)에 위치될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링(50)은 덮개(40)가 케이스(20) 상에 조립되기 전에 케이스(20)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링(50)은 덮개(40)와 케이스(20)의 조립 다음에 덮개(40)와 케이스(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덮개와 링은 케이스에 배치된다. 그리고 접착제가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그 케이스와 덮개를 접착시키게 된다. 링은 어셈블리의 단부와 접착제 사이에 개재된다. 링은 접착제에 의해 덮개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지는 않는다. 사실은, 그의 존재로 인해 링이 접착제의 통과를 방지하는 것이다. 사실, 접착제가 용량성 요소와 접촉하기 위해 취할 필요가 있는 것은 그 경로인데, 이 경로는 U 형이며, 이의 덮개의 먼 쪽 벽이 바닥을 이룬다.
상기 방법의 다른 단계(400)는,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또는 케이스(20)가 양 단부에서 열려 있는 경우에는 다른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상기 단계(400)는 링(50)을 위치시키고 또한 덮개(40)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링(50)은 덮개(40)가 케이스(20)에 조립되기 전에 덮개(40) 또는 케이스(20)에 위치될 수 있으며, 또는 덮개(40)가 접착으로 케이스(20)에 조립된 후에 덮개(40)와 케이스(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경우, 링은 전해질과 화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윤활제를 사용하여 덮개와 케이스 사이에 삽입된다. 일단 덮개, 링 및 케이스가 조립되면, 이들은 케이스의 전체 둘레에 거친 접착으로 함께 고정된다.
도 9는는술한 방법을 실행하여 얻어진 저장 어셈블리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이 저장 어셈블리는 측벽(21)을 포함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20)의 개방 단부에는 덮개(40)가 씌워져 있으며, 그 덮개는 덮는 벽(45)과 주변 스커트(44)를 포함한다. 주변 스커트(44)의 내측면은 측벽(21)의 외측면과 대향한다. 측벽과 주변 스커트 사이에는 환형 링(50)이 위치되어 있다. 탄성중합체 링의 기하학적 구조는, 덮개(40)의 바닥에 위치되도록 또한 접착제(60) 전부 또는 그의 일 부분이 링(50) 위에 놓이는 것을 막도록 개량되어 있다.
일 변형예로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덮개(40)는, 케이스(20)의 측벽(21)이 덮개의 측벽(42)을 둘러싸도록 케이스(20) 내부에 위치되는 중실 원통을 형성한다. 링(50)은 케이스의 내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도록 측벽(21, 4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변형예에서, 접착제(60)는 또한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으로 그 어셈블리의 자유 단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도록 측벽(21, 42)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링(50)은 접착제가 용량성 요소와 접촉하려면 따라야 하는 경로 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한 새로운 교시 및 이 점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저장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 많은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용량성 요소는 원통형, 프리즘형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어떤 다른 형상이라도 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스와 덮개는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모든 수정도 첨부된 청구 범위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저장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9)

  1.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21) 및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안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는 전기화학적 요소(30); 및
    상기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들 또는 상기 개방 단부들 중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40)로서, 상기 케이스(20)의 개방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는 덮는 벽(41, 45), 및 이 덮는 벽(41, 45)의 주변부에 있고 케이스(20)의 상기 측벽(21)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측벽(42, 4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덮개(40)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저장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20)의 측벽(21)과 상기 덮개(40)의 측벽(42, 43) 사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환형 링(5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을 구성하는 재료는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을 구성하는 재료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을 구성하는 재료는 발포체(fo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은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가 상기 저장 어셈블리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링(50)과 케이스(20) 사이 및/또는 링(50)과 덮개(40) 사이에 규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제거 통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은 관의 형태이며, 상기 링(50)은 상기 링(50)의 면들(53, 54)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링의 전체 길이 방향 치수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52)를 포함하고, 각각의 오목부(52)는 덮개(40)의 측벽 또는 케이스(20)의 측벽(42, 43; 21)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덮개는, 상기 링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케이스 또는 덮개의 측벽의 일 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측벽의 길이 방향 치수를 따라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가지며, 각각의 오목부는 링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은 관의 형태이며, 상기 링(50)은 상기 링(50)의 면들(53, 54)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55)을 포함하며, 각각의 핀(55)은 상기 덮개(40)의 측벽 또는 케이스(20)의 측벽(42, 43)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측벽 또는 케이스(20)의 측벽(42, 43; 21)은, 링(50)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은 상기 측면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링의 면과 함께 가스 제거 통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측벽 또는 케이스(20)의 측벽(42, 43; 21)은 상기 링(50)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틈(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덮개는 상기 링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면(21; 42, 43)에서는 위치 잡기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링과, 덮개 또는 케이스와의 접촉이 선형 접촉이 되도록, 상기 링의 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뾰족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은 국부적으로 상기 링으로부터 상기 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탭(tab)(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50)이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덮개의 측벽과 케이스의 측벽(21, 42; 21, 44)은 링과 접촉하는 전체 영역에 걸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측벽과 케이스(20)의 측벽들(21, 42; 21, 44)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제(60, 62)를 또한 포함하고, 따라서 링(50)은, 상기 접착제(60, 62)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기화학적 요소(30)와 접촉하려면 취해야 하는 경로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7. 적어도 하나의 측벽(21) 및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전기화학적 요소, 및 덮는 벽과 상기 덮는 벽의 주변부에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화학적 요소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덮개를 케이스의 개방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환형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일단 상기 덮개, 케이스 및 환형 링이 위치되면, 상기 케이스(20)와 덮개(40)의 측벽들(21, 42; 21, 44) 사이에 접착제(60, 62)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접착제가 중합되도록 상기 접착제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덮개(40)를 케이스(20)의 개방 단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다음에 수행되며, 상기 환형 링을 위치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덮개(40)와 상기 케이스(20)의 측벽들(21, 42; 21, 44) 사이에 강제적으로 삽입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29256A 2012-03-21 2013-03-21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링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KR102012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2536A FR2988521B1 (fr) 2012-03-21 2012-03-21 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comprenant une bague elastique isolante electriquement
FR1252536 2012-03-21
PCT/EP2013/055963 WO2013139924A1 (fr) 2012-03-21 2013-03-21 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comprenant une bague elastique isolante electriqu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128A true KR20140146128A (ko) 2014-12-24
KR102012911B1 KR102012911B1 (ko) 2019-08-22

Family

ID=4799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256A KR102012911B1 (ko) 2012-03-21 2013-03-21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링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11538B2 (ko)
EP (1) EP2828906B1 (ko)
JP (1) JP6360469B2 (ko)
KR (1) KR102012911B1 (ko)
CN (1) CN104205409B (ko)
CA (1) CA2867576A1 (ko)
ES (1) ES2565157T3 (ko)
FR (1) FR2988521B1 (ko)
HK (1) HK1206487A1 (ko)
WO (1) WO20131399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2541B2 (en) 2018-10-05 2023-08-29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US11916258B2 (en) 2018-10-05 2024-02-27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4177U1 (de) * 2013-06-27 2015-05-15 Secop Austria Gmbh Elektrischer Kondensator für Kältemittelverdichter
JP7041847B2 (ja) * 2018-08-29 2022-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16505155B (zh) * 2023-06-29 2023-12-26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端盖组件、储能装置及用电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33A (ja) * 1997-03-24 1999-01-12 Alcatel Alsthom Co General Electricite 改良型安全電気化学電池
KR100859695B1 (ko) * 2007-04-27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80097177A (ko) * 2005-12-05 2008-11-04 밧츠캅 전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20090274948A1 (en) * 2008-05-05 2009-11-05 Calderone Samuel J Cordless power tool battery pack system
WO2011145595A1 (ja) * 2010-05-17 2011-11-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シール材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US20120021276A1 (en) * 2010-07-20 2012-01-26 Yuichi Takatsuka Secondary battery cel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4458A (en) * 1945-07-21 1948-07-05 Ray O Vac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dry cells or batteries
CH468087A (de) 1967-08-30 1969-01-31 Berliner Akku & Elementefab Galvanisches Luftsauerstoffelement
US3489616A (en) * 1967-11-14 1970-01-13 Berliner Akku & Elementefab Galvanic atmospheric-oxygen cell
US3502948A (en) * 1967-12-04 1970-03-24 Gen Electric Dual o-ring seal for capacitors
US4020241A (en) * 1976-03-29 1977-04-26 Union Carbide Corporation Galvanic cell having a resealable vent closure
JPS5831668U (ja) * 1981-08-26 1983-03-01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池
US4494174A (en) * 1982-09-27 1985-01-15 Sprague Electric Company Wet-electrolyte capacitor package
JPS61174170U (ko) * 1985-04-19 1986-10-29
JP2529327Y2 (ja) * 1990-04-27 1997-03-19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マンガン乾電池
JP2606057B2 (ja) * 1992-09-28 1997-04-30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偏平形電池
US6265101B1 (en) * 1998-08-21 2001-07-2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constructions having increased internal volume for active components
JP4288540B2 (ja) * 1998-12-18 2009-07-01 東芝電池株式会社 円筒型アルカリ電池
JP2001015391A (ja) * 1999-06-30 2001-01-19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
JP2002329485A (ja) * 2001-05-02 2002-11-15 Nok Corp 封口板
JP2004079469A (ja) * 2002-08-22 2004-03-11 Toyota Motor Corp 密閉型二次電池
JP2005026090A (ja) * 2003-07-03 2005-01-27 Sii Micro Parts Ltd 電気化学セル
KR100686827B1 (ko) * 2005-07-11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JP2007026931A (ja) * 2005-07-19 2007-02-01 Nok Corp 多孔質体周縁部におけるガスケット成形方法とこれに用いる金型
JP2008311370A (ja) * 2007-06-13 2008-12-25 Nichicon Corp コンデンサ
JP5380985B2 (ja) * 2008-09-30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及びキャパシタ
KR20100063378A (ko) * 2008-12-03 2010-06-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CN201904219U (zh) * 2010-11-29 2011-07-20 佛山市三水日明电子有限公司 一种紧闭式电解电容器
FR2979473B1 (fr) 2011-08-29 2013-08-16 Batscap Sa 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longue duree a piece de connexion intermediai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33A (ja) * 1997-03-24 1999-01-12 Alcatel Alsthom Co General Electricite 改良型安全電気化学電池
KR20080097177A (ko) * 2005-12-05 2008-11-04 밧츠캅 전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0859695B1 (ko) * 2007-04-27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090274948A1 (en) * 2008-05-05 2009-11-05 Calderone Samuel J Cordless power tool battery pack system
WO2011145595A1 (ja) * 2010-05-17 2011-11-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シール材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US20120021276A1 (en) * 2010-07-20 2012-01-26 Yuichi Takatsuka Secondary battery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2541B2 (en) 2018-10-05 2023-08-29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US11916258B2 (en) 2018-10-05 2024-02-27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7576A1 (fr) 2013-09-26
US20150044525A1 (en) 2015-02-12
JP6360469B2 (ja) 2018-07-18
EP2828906B1 (fr) 2015-12-30
CN104205409B (zh) 2017-03-01
KR102012911B1 (ko) 2019-08-22
JP2015516677A (ja) 2015-06-11
CN104205409A (zh) 2014-12-10
FR2988521A1 (fr) 2013-09-27
EP2828906A1 (fr) 2015-01-28
ES2565157T3 (es) 2016-03-31
US9911538B2 (en) 2018-03-06
HK1206487A1 (zh) 2016-01-08
FR2988521B1 (fr) 2016-10-07
WO2013139924A1 (fr)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595B1 (ko) 가요성 금속 접촉 집전체를 갖는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10124269A (ko) 단추형 전지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150544B1 (ko)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EP3024055B1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cell
KR102131171B1 (ko) 밀폐형 전지 및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40146128A (ko) 탄성적인 전기 절연성 링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CN104040659B (zh) 电容器
KR20090125196A (ko) 전해 콘덴서
EP3246971B1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internal terminal
US9025315B2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with flexible metal current collector
JP445165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555959B1 (ko) 외부접속단자를 갖는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KR102611656B1 (ko) 이차 전지
JP2013157133A (ja) 電池
KR20210041503A (ko) 전기 화학 셀
WO2017115856A1 (ja) 封止部材、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WO2014083765A1 (ja) 電解コンデンサ
KR102143576B1 (ko)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N110268545B (zh) 电池
KR102488331B1 (ko) 개선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90058840A (ko) 액시얼 타입의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JP2008244253A (ja) 筒型蓄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01502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KR20190058842A (ko) 액시얼 타입의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80021953A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