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220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220A
KR20140145220A KR1020130065783A KR20130065783A KR20140145220A KR 20140145220 A KR20140145220 A KR 20140145220A KR 1020130065783 A KR1020130065783 A KR 1020130065783A KR 20130065783 A KR20130065783 A KR 20130065783A KR 20140145220 A KR20140145220 A KR 20140145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food
stirring ba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843B1 (ko
Inventor
신행순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타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타
Priority to KR2013006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4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조에 연결되는 씽크조연결부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미생물로 분해하는 교반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교반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연결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밀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밀폐 시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는 상기 출수구로 배출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만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출구를 밀폐하여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교반통에 모든 부품을 설치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거름망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와 교반축을 직결식으로 연결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실의 공간을 정면에 배치하여 전체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씽크대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of food waste disposal}
본 발명은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사료나 비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려는 시도가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그 양이 상당히 많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고, 또한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토양에 매립하면, 침출수가 발생되어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그리고, 하천에 방류하면 부패로 인한 각종 가스와 악취로 심한 환경문제를유발할 수 있으며, 소각시에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각능률이 하락되어 소각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지만 그에 비하여 효과는 미미하므로 적당한 처리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가열, 음식물을 분해하는 미생물과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발효과정에서 분해된 음식물은 미생물과 함께 교반통 하단에 위치한 하부거름망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례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2054호에 개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발효하면 그 발효된 찌거기를 별도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므로 인출구를 개폐하는 기능이 있어 구조상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축을 회동시키기 위해 교반축 일측에 밸트용 풀리를 장착하고, 그 밸트용 풀리와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의 회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밸트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과, 별도의 본체프레임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본체프레임이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조에 설치하기 난해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음식물을 단순히 교반하여 발효시키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대에서 유입된 유체가 교반통 내부로 유입되어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최적의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액상 분해되어 잔류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피를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의 청소가 용이하고, 기존의 씽크대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조에 연결되는 씽크조연결부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미생물로 분해하는 교반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연결부재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교반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연결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밀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밀폐 시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는 상기 출수구로 배출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만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을 포함한다.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의 출수구로 배출된 유체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남는 잔류물이 쌓인 상기 교반통의 바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출수구와 상기 교반통의 하부를 연결하는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미생물이 잔류물로 분해하는 분해공간과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이 쌓이는 잔류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거름망, 상기 잔류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잔류물을 하수구로 배출하는 배수구, 및 상기 호스가 연결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배출구의 위치는 유입공에서 흘러나온 유체가 잔류공간의 대각선 방향으로 휘감아 흐르도록, 서로 대향하는 대각선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는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U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잔류물이 모이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거름망은 상기 배출구에 일부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의 둘레를 감싸고 복수 개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에서 유체를 분리하는 측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교반축에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물분사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구동모터 또는 상기 물분사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제어부는 상기 물분사장치부가 상기 교반통으로 임의로 설정된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 또는 상기 물분사장치부를 조작하는 조작버튼, 및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제어부는 상기 교반통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통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제어부가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측정된 습도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분사장치부에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전면에 결합되어 부품실을 형성하는 부품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교반통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하부거름망을 이격시키도록 상기 교반통의 바닥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거름망은 상기 교반통과 상기 제2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곡부가 상기 교반통과 상기 제2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상단부분을 밀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분사장치부를 고정하는 물분사장치고정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와 상기 교반통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통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의 냄새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의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음식물안내부, 및 상기 음식물안내부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씽크대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상부의 직경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안내부는 상기 연결소켓으로 투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의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안내부는 상기 음식물안내부와 상기 차단판의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는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음식물안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단판을 이격시키는 돌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상기 연결소켓의 상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는 상기 음식물안내부를 자중에 의해 폐쇄하도록 중량을 가지는 중량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힌지핀이 상부에서 끼워져 지지되는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소켓은 교반통과 연결되는 하단의 중앙을 중심으로 씽크조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상단이 편심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에 수용되는 미생물을 고정하는 담체를 포함하고,상기 담체는 다공성의 스펀지조각 및 나무조각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씽크조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수용하여 동력으로 파쇄하지 않고, 미생물만으로 분해하는 교반통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와 상기 교반통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씽크조를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와, 유체가 걸러진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교반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씽크조연결부재, 및 상기 교반통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잔류물은 외부로 회수하지 않고, 전량 하수구에 연결된 상기 교반통의 배수구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통이 프레임 역할을 하여 부품이 단순화되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하부거름망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와 교반축을 직결식으로 연결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부품실의 공간을 정면에 배치하여 전체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기존의 씽크대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구를 밀폐하여 씽크대에서 유입된 유체가 교반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미생물이 하수구로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시 물분사장치부를 통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음식물의 분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의 분해시 발생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통의 바닥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와 연통되는 배수구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은 출수공을 통해 빠져나온 유체와 섞여 하수구로 배출되는 형태로 청소함으로써, 잔류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잔류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만으로도 음식물 쓰레기를 거의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미생물 서식조건을 제공하므로, 음식물을 파쇄하는 구동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미생물만으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소켓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소켓의 차단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교반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교반통만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교반통만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하부거름망을 설명하기 위해 교반통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와 교반축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와 교반축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물분사장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씽크대에 설치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시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변형된 연결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변형된 연결소켓과 씽크조연결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담체 중 나무조각에 미생물을 배양한 지 1일 후의 미생물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담체 중 나무조각에 미생물을 배양한 지 15일 후의 미생물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담체 중 스펀지조각에 미생물을 배양한 지 1일 후의 미생물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담체 중 스펀지조각에 미생물을 배양한 지 15일 후의 미생물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잔류물은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남은 음식물쓰레기를 의미하고, 유체는 씽크조(1)에서 사용한 사용수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조연결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씽크조연결부재(200)는 씽크조(1)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씽크조연결부재(200)는 연결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본체(210)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05)가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돼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출수구(206)가 연결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출수구(206)에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된 거름리브(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거름리브(206')는 출수구(206)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며, 출수구(206)를 가로지르는 거름리브(206')는 망에 의해 출수구(206)를 밀폐하여 출수구(206)을 통해 유체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본체(210)는 음식물쓰레기를 하기에 설명될 교반통(10)으로 배출하는 배출구(207)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본체(210)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를 분리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걸러주는 상부거름망(2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거름망(201)은 연결본체(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거름망(201)은 밀폐부(201a)와 측벽망(202)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201a)는 상부거름망(201)의 바닥이 되는 부분으로 배출구(207)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거름망(201)를 배출구(207)에 끼우면, 상부거름망(201)의 밀폐부(201a)가 배출구(207)를 밀폐하고, 상부거름망(201)을 배출구(207)에서 분리하면, 배출구(207)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부거름망(201)의 밀폐부(201a)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밀폐부(201a)가 안착되는 배출구(207) 또한 밀폐부(201a)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밀폐부(201a)가 배출구(207)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다.
측벽망(202)은 상부거름망(201)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밀폐부(201a)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망(202)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사용수)가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탈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부거름망(201)은 유체를 포함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구(205)를 통해 들어오면 유체는 상부거름망(201)의 측벽망(20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탈수공을 통해 빠져나가고, 음식물쓰레기는 상부거름망(201)의 내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본체(210)에는 상부거름망(201)의 밀폐부(201a)가 배출구(207)를 밀폐한 상태로 위치하여 연결본체(210)로 투입되는 유체는 출수구(20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씽크조(1)에서 사용된 사용수가 교반통(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반통(10)에 수용된 미생물이 사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교반통(10)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리고, 씽크조연결부재(200)는 연결본체(210)를 씽크조(1)에 고정할 수 있는 상부안착부재(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상부안착부재(209)는 투입구(205)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부안착부재(209)의 하단부분과 연결본체(210)의 상단부분이 결합되어 씽크조연결부재(200)를 씽크조(1)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안착부재(209)에는 투입구(205)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개폐뚜껑(20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연결소켓(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소켓(100)은 씽크조연결부재(200)와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교반통(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소켓(100)의 상단에는 연결본체(210)의 배출구(207)가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고, 연결소켓(100)의 하단은 교반통(10)의 상단을 덮는 하기에 설명될 상부커버(20)와 연결되는 형태로 씽크조연결부재(200)와 교반통(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소켓(100)은 음식물쓰레기가 연결본체(210)의 배출구(207)가 삽입되는 구멍의 지름보다 연결소켓(100)의 내부 공간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연결소켓(100)의 상단의 지름을 작게 형성하고, 하단은 지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소켓(100)과 배출구(207)의 사이에는 씰링부재(1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씰링부재(110)가 연결소켓(100)과 배출구(207)의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소켓(100)과 배출구(207)를 밀착시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소켓(100)에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쓰레기가 연결소켓(100)의 일측으로 이동한 후 수직으로 낙하하도록 음식물쓰레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음식물안내부(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음식물안내부(310)는 연결소켓(100)의 내측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어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소켓(100)의 상단의 지름을 작게 형성하고, 연결소켓(10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음식물안내부(310)를 형성함으로써, 연결소켓(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교반통(10) 내에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씽크조(1)의 상부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미관상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안내부(310)에는 양측 끝단(R)이 상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연결소켓(100)에 결합되어 음식물안내부(310)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판(311)을 설치될 수 있다.
이 차단판(311)은 교반통(10)에 수용되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씽크조(1)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음식물안내부(310)로 안내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이동되는 충격에 의해 회전하여 음식물안내부(3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차단판(311)의 상부 양단에는 힌지축(312)이 형성되고, 연결소켓(100)의 내측 상단에는 힌지축(312)을 지지하는 끼움부(313)를 형성하여 힌지축(312)이 끼움부(313)에 지지되는 형태로 차단판(311)의 상단부분이 연결소켓(100)에 매달리는 형태로 연결소켓(100)에 차단판(311)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서와 같이, 끼움부(313)의 상부를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면, 연결소켓(100)의 사출성형이 용이하고, 특히, 차단판(311)의 힌지축(312)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끼움부(313)가 힌지축(312)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미도시)으로 형성할 경우 사출성형에 문제가 있고, 힌지축(312)을 끼우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음식물안내부(310)의 하부 끝단(R)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편(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편은 차단판(311)이 음식물안내부(310)를 차단한 상태에서 음식물안내부(310)의 끝단(R)에서 차단판(311)을 약간 이격시킴으로써, 이 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개방부(3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부(315)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본체(210)의 투입구(205)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만약, 교반통(1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할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호흡하지 못해 미생물의 생존확률이 낮아져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분해효율이 낮아진다.
한편, 차단판(311)의 하단에는 중량추(316)을 설치하여 이 중량추(316)의 자중에 의해 음식물안내부(310)의 개방된 차단판(311)이 음식물안내부(310)을 자동으로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추(316)가 없을 경우에는 차단판(311)의 중량이 가벼워 음식물안내부(310)를 차단판(311)이 폐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은 변형예의 연결소켓(100')을 나타낸다.
변형예의 연결소켓(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밀폐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소켓(100')의 하부 중앙에는 교반통(10)의 소켓설치공(22)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소켓(100')이 교반통(10)에 결합되는 소켓배출구(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소켓(100')의 상단에는 소켓배출구(125)의 편심된 위치되어 씽크조연결부재(200) 더 구체적으로는 연결본체(210)의 배출구(207)와 연결되는 소켓유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연결소켓(100')은 교반통(10)과 씽크조연결부재(200)를 서로 연결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소켓의 투입구(205)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이 연결소켓(100')의 내부 경사면을 타고, 소켓배출구(125)를 통해 교반통(10)으로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예의 연결소켓(100')은 소켓유입구(120)가 소켓배출구(125)의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교반통(10)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의 냄새가 씽크조(1)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반통(10)에서 연결소켓(100')이 회전함에 따라 편심된 소켓배출구(125)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씽크조(1)에서 교반통(10)이 위치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통(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교반통(1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통(10)의 내부에는 연결소켓(100)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한편, 교반통(10)은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과 교반되어 분해되도록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이 공존하는 분해공간(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해공간(35)의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이 위치되는 잔류공간(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생물은 담체에 고착된 상태로 교반통(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담체는 예컨대, 삼나무조각, 참나무조각 등 나무조각이 될 수 있으며, 다공성의 스펀지조각이 될 수 있고, 나무조각과 스펀지조각이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미생물은 유산균, 효모균, 녹농균, 고초균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미생물들은 음식물쓰레기를 대부분의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이산화탄소로 소멸하며, 분해되고 남은 잔존물은 액상으로 되어 하수도로 버려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미생물의 서식환경으로서의 나무조각에 및 스펀지조각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의 나무조각은 삼나무를 사용하였으며, 스펀지조각은 폴리에테르으로 제조된 스펀지를 사용하였다.
도 15는 삼나무조각에 미생물이 흡착된 상태를 확대한 사진이고, 도 17은 스펀지조각에 미생물을 흡착된 상태를 확대한 사진이다.
그리고, 도 16은 삼나무조각에 미생물이 흡착된 상태에서 15일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8은 스펀지조각에 미생물이 흡착된 상태로 15일 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와 도17에 보는 바와 같이, 미생물은 삼나무조각과 스펀지조각에 완벽히 흡착되고, 이 상태에서 15일이 지나면, 도 16과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용 미생물들이 서로 보호하며 공존하고 방선균 등이 더 성장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의 담체로서, 나무조각과 스펀지조각을 사용할 경우, 미생물이 서식률이 더욱 증대됨을 알 수 있다.
교반통(10)은 하부거름망(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하부거름망(30)은 음식물쓰레기를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을 걸러낼 수 있으며, 교반통의 분해공간(35)와 잔류공간(37)을 구획할 수 있다.
한편, 하부거름망(30)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이 잔류공간(37)으로 빠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거름망(30)은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하부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거름망(30)은 금속판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제작되거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통(10)의 하단의 일측에는 교반통(1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어 하부거름망(30)에서 걸러진 잔류물이 교반통(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수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반통의 하단의 또 다른 일측에는 하기에 설명될 호스(220)가 연결되어 교반통의 잔류공간(37)에 쌓인 잔류물과 함께 배수구(11)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15)과 상기 배출구(11)의 위치는 유입공(15)에서 흘러나온 유체가 잔류공간의 대각선 방향으로 휘감아 흐르도록, 서로 대향하는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다.
그렇게 구성함으로써, 유체는 유입공(15)으로 유입되어 교반통(10)의 하단의 잔류공간 전체면적을 깨끗이 잘 씻어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반통(10)에는 교반통(10)을 바닥에서 지지하며 교반통(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부(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받침부(9)는 교반통(10)의 하단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받침부(9)는 교반통(10)의 하단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9)는 교반통(10)에 나사체결되기 때문에 예컨대, 받침부(9)의 회전방향, 더 구체적으로는 받침부(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부(9)가 교반통(10)에서 돌출되거나 반대로 삽입되어 교반통(10)이 바닥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교반통(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9)는 하단이 넓게 형성되어 교반통(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교반통(10)의 측면에는 하기에 설명될 구동모터(42)가 고정되는 제1보스(8)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축(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7)는 교반통(10)의 양측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지지부재(7)에 교반축(40)의 양단이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고, 지지부재(7)는 교반축(40)의 양단에 각각 끼워지는 베어링(미도시)을 교반통(10)에 고정하는 베어링하우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통(10)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거름망(30)을 교반통(10)의 바닥으로부터 임의의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수의 나사 결합용 제2보스(6,6')가 형성될 수 있다(도면부호 6은 교반통(10)의 바닥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하부거름망(30)의 중앙을 지지하는 제2보스이고, 도면부호 6'는 교반통(10)의 바닥의 둘레에 형성되어 하부거름망(30)을 지지하는 제2보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반통(10)은 구동모터(42)를 제1보스(8)에 고정하여 교반통(10)에 구동모터(4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부거름망(30)을 별도로 제작하여 제2보스(6,6')에 설치함으로써, 하부거름망(30)이 교반통(10)과는 다른 재질 예컨대, 교반통(1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하부거름망(30)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거름망(30)과 교반통(10)을 일체로 제작할 경우, 하부거름망(30)이 미생물과 교반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의해 지속적 마찰되어 파손되면, 교반통(10)의 전체를 교체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거름망(30)의 양단에는 하부거름망(30)을 수평하게 절곡하여 제2보스(6')의 상단에 안착되는 밀착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밀착부(32)의 끝단에는 하향 절곡되어 교반통(10)의 내부벽(10a)과 제2보스(6')의 사이로 삽입되는 절곡부(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때, 제2보스(6,6')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제2보스(6,6')에 안착된 하부거름망(30)을 볼트와 체결부재(5)가 고정공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2보스(6,6')를 하부거름망(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거름망(30)의 절곡부(31)가 교반통(10)의 내부벽(a)과 제2보스(6')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체결부재(5)가 제2보스(6,6')에서 이탈되더라도, 교반통(10)에서 하부거름망(30)이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교반통(10)의 잔류공간(37)은 씽크대(58)의 높이(H)를 감안하여 더 많은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도록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교반통(10)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분해공간(35)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잔류공간(37)의 바닥면(54)은 중앙부분이 바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오목부(55)는 바닥면(54)으로 떨어진 잔류물이 오목부(55)에 가이드되어 오목부(55)의 가장 깊은 곳으로 모이도록 한다(도 7의 (a) 참조).
또한, 오목부(55)의 가장 깊이가 깊은 부분은 제2보스(6,6') 중에서 하부거름망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2보스(6)로부터 측면으로 임의의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55)의 가장 깊이가 깊은 부분은 제2보스에서 임의의 간격(D)만큼 편심된 바닥면(54)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4인 가족 기준으로 하루에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통상 1Kg 정도이고,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은 약 2Kg이다. 그런데 음식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분해되기까지 48시간 정도 걸리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여 별도로 보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므로 교반통(10)의 내부용적은 대략 5Kg의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커버(20)는 교반통(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교반통(10)을 밀폐하며, 상부커버(20)의 중앙부분에는 연결소켓(100)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교반통(10)으로 투입되도록 연결소켓(10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소켓설치공(22)이 형성되고, 이 소켓설치공(22)은 상부커버(20)의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설치공(22)가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의 둘레에는 하기에 설명될 물분사장치부(23)를 고정하는 물분사장치고정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축(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교반축(40)은 회전력을 제공하여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는 것으로서, 교반축(40)은 교반통(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교반축(40)의 양단은 교반축(40)이 교반통(10)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베어링은 지지부재(7)에 의해 교반통(1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교반축(40)이 교반통(1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교반축(40)에는 구동모터(42)의 회전자가 교반축(40)과 연결되어 구동모터(42)의 회전에 의해 교반축(40)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42)의 회전자에는 다각형상 또는 일자, 십자형태의 결합돌기(43)가 형성되고, 교반축(40)에는 구동모터(42)의 결합돌기(43)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44)이 형성되어 구동모터(42)의 결합돌기(43)가 교반축(40)의 결합홈(44)에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결합되어 교반축(40)에 구동모터(4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홈(44)의 둘레를 감싸는 가압링(45)이 위치하여 결합홈(44)의 사이에 결합돌기(43)가 끼워질 때 결합홈(44)의 벌어진 사이를 좁혀줄 수 있다.
그리고, 교반축(40)에는 교반통(10)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교반날개(41)는 교반축(4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교반날개(41)는 교반축(40)의 둘레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부품실(50) 및 컨트롤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실(50)은 교반통(10)의 정면에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부품통(51)을 결합시켜 각종 전자부품, 구동모터(42), 하기에 설명될 물분사장치부(23)의 일부의 구성을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제어부(60)는 부품실(50)의 전면의 상단부분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2) 및 물분사장치부(23) 등을 제어하는 형태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컨트롤제어부(6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물분사장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분사장치부(23)는 교반통(10)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에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교반통(10)의 잔류공간(37)에 위치된 잔류물을 배출구(11)를 통해 하수구(5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물분사장치부(23)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를 링 형상으로 구부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호스에 복수 개의 분사구(23')가 형성되어 노즐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물분사장치부(23)는 상부커버(20)의 소켓설치공(22)이 하부로 연장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부커버(20)의 하부에 끼워질 수 있고, 물분사장치부(23)는 상부커버(20)의 물분사장치고정부(21)에 고정되어 교반통(10)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물분사장치부(23)는 물을 외부에서 공급하는 연결호스(24)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호스(24)에는 물분사장치부(23)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전자밸브(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분사장치부(23)에 물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전자밸브(25)는 교반통(10)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에 주기적 예컨대, 임의로 설정된 시간 동안 물을 반복적으로 분사하거나 차단하도록 컨트롤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제어부(60)는 교반통(10)에 설치되어 교반통(10)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제어부(60)는 습도센서의 측정된 교반통(10)의 습도의 정보를 기초로 예컨대, 임의로 설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전자밸브(25)를 개방하여 물분사장치부(23)가 물을 분사하도록 하거나, 임의로 설정된 습도 이상이 되면 전자밸브(25)를 차단하여 물분사장치부(23)의 물의 분사를 멈추는 형태로 전자밸브(2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습도센서에 의해 물분사장치부(23)을 통해 물을 교반통내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최적화된 서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호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호스(220)는 연결본체(210)의 배수구와 교반통(10)의 출수구(206)을 서로 연결하여 씽크조(1)에서 사용되는 유체를 교반통의 잔류공간(37)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잔류공간(37)에 쌓인 잔류물을 별도의 유체 공급 없이 씽크조(1)에서 사용된 물에 의해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호스(220)은 유체를 배수구(11)를 통해 하수구(500)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출수구(206)와 연결되는 제1 호스(222)와 유입공(15)과 연결되는 제2 호스(2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220)은 제1 호스(222), 제2 호스(226)를 연결할 수 있는 호스연결구(228)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호스는 씽크조에서 연결본체(210)의 출수구(206)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와 씽크조에서 사용되는 유체를 제1호스(222)를 통해 모아 교반통의 잔류공간(37)으로 공급함으로써, 잔류공간(37)에 쌓인 잔류물을 하수구(50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호스(220)의 중간 부분에는 교반통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U"자 형태로 형성된 U트랩(2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U트랩(230)은 U트랩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캡(231)이 설치되어 캡을 개방시 U트랩(2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U트랩(23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조연결부재(200)의 연결본체(210)에 안착된 상부거름망(201)에 음식물쓰레기가 모이면, 상부거름망(201)을 연결본체(210)에서 분리하여 상부거름망(201)에 모여진 음식물쓰레기를 배출구(207)로 투입한다.
배출구(207)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연결소켓(100)으로 투입되고, 연결소켓(100)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연결소켓(100)의 음식물안내부(310)에 안내되어 음식물안내부(310)를 폐쇄하는 차단판(311)을 충격하여 개방한다.
한편, 차단판(311)이 개방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안내부(310)의 끝단에서 낙하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연결소켓(100)이 안착된 상부커버(20)의 소켓설치공(22)을 통해 교반통(10)으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한 교반통(10)은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컨트롤부(60)에 의해 자동운전된다. 즉,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통(10)에 투입하기만 하면 기기가 자동운전됨은 물론, 음식물쓰레기는 미생물에 의해 액상으로 분해된 후 잔류물과 함께 하수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 후 고형물로 건조하거나 잔류물을 외부로 회수하지 않고, 전량 배출구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이는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분해처리 능력이 뛰어난데 따라 관련 법규정을 충족시킬 수 있기에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가 가동되면 컨트롤제어부(60)는 구동모터(42)를 작동하여 교반축(40)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교반축(40)에 구비된 교반날개(41)를 회전시켜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한다. 물론 교반통(10)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전 미리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교반축(40)이 회전하여 교반날개(41)가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할 때, 컨트롤제어부(60)는 물분사장치부(23)에 연결된 전자밸브(25)를 제어하여 물분사장치부(23)를 통해 교반통(10)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교반날개(41)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되면, 미생물이 음식물쓰레기와 접촉하는 횟수가 많아져 음식물쓰레기가 용이하게 분해되고, 하부거름망(30)을 통과할 정도로 분해된 잔류물은 교반통(10)의 바닥 더 구체적으로는 교반통(10)의 잔류공간(37)에 모인다.
이때, 교반통(10)의 바닥면(54)에는 오목부가(55)가 형성되어 하부거름망(30)을 통과한 잔류물은 오목부(55)로 모이게 된다.
한편, 교반통(10)의 잔류공간(37)에 쌓인 잔류물은 출수구(206)로 배출되는 유체 즉, 씽크조(1)에서 사용하고 버려지는 유체가 호스(220)를 통해 교반통(10)의 잔류공간(37)로 유입되고, 교반통(10)으로 유입된 유체는 교반통(10)의 배수구(11)를 통해 하수구(500)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잔류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별도로 공급할 필요 없이 잔류물을 용이하게 처리하는 동시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통에 모든 부품을 설치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하부거름망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와 교반축을 직결식으로 연결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실의 공간을 정면에 배치하여 전체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씽크대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를 밀폐하여 씽크대에서 유입된 유체가 교반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미생물이 하수구로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시 물분사장치부를 통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음식물의 분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의 분해시 발생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통의 바닥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와 연통되는 배수구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을 출수공을 통해 빠져나온 유체와 섞여 하수구로 배출되는 형태로 청소함으로써, 잔류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잔류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미생물만으로도 음식물 쓰레기를 거의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우수한 미생물 서식조건을 제공하므로, 음식물을 파쇄하는 구동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미생물만으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씽크조 5: 체결부재
6,6': 제2보스 7: 지지부재
8: 제1보스 9: 받침부
10: 교반통 11: 배수구
15 : 유입공 20: 상부커버
21: 물분사장치고정부 22: 소켓설치공
23: 물분사장치부 23': 분사구
24: 연결호스 25: 전자밸브
30: 하부거름망 31: 절곡부
32: 밀착부 35: 분해공간
37: 잔류공간 40: 교반축
41: 교반날개 42: 구동모터
43: 결합돌기 44: 결합홈
45: 가압링 50: 부품실
51: 부품통 54: 바닥면
55: 오목부 58: 씽크대
60: 컨트롤제어부 100: 연결소켓
100': 연결소켓 110: 씰링부재
120: 소켓유입 125: 소켓배출구
200: 씽크조연결부재 201: 상부거름망
201a: 밀폐부 202: 측벽망
205: 투입구 206: 출수구
206':거름리브 207: 배출구
208: 개폐뚜껑 209 : 상부안착부재
210: 연결본체 220: 호스
222: 제1 호스 226: 제2 호스
228: 호스연결구 230: U트랩
231: 캡 310: 음식물안내부
311: 차단판 312: 힌지축
313: 끼움부 314: 돌출편
315: 개방부 316: 중량추
500: 하수구

Claims (27)

  1. 씽크조에 연결되는 씽크조연결부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미생물로 분해하는 교반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연결부재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교반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연결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밀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밀폐 시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는 상기 출수구로 배출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만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의 출수구로 배출된 유체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남는 잔류물이 쌓인 상기 교반통의 바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출수구와 상기 교반통의 하부를 연결하는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미생물이 잔류물로 분해하는 분해공간과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고 남은 잔류물이 쌓이는 잔류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거름망,
    상기 잔류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잔류물을 하수구로 배출하는 배수구, 및
    상기 호스가 연결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배출구의 위치는 유입공에서 흘러나온 유체가 잔류공간의 대각선 방향으로 휘감아 흐르도록, 서로 대향하는 대각선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U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잔류물이 모이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름망은
    상기 배출구에 일부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의 둘레를 감싸고 복수 개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에서 유체를 분리하는 측벽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교반축에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물분사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구동모터 또는 상기 물분사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제어부는
    상기 물분사장치부가 상기 교반통으로 임의로 설정된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 또는 상기 물분사장치부를 조작하는 조작버튼, 및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제어부는
    상기 교반통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통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제어부가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측정된 습도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분사장치부에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전면에 결합되어 부품실을 형성하는 부품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교반통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하부거름망을 이격시키도록 상기 교반통의 바닥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거름망은 상기 교반통과 상기 제2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곡부가 상기 교반통과 상기 제2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상단부분을 밀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분사장치부를 고정하는 물분사장치고정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와 상기 교반통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통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의 냄새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씽크조 연결부재의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음식물안내부, 및
    상기 음식물안내부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씽크대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상부의 직경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안내부는 상기 연결소켓으로 투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의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안내부는
    상기 음식물안내부와 상기 차단판의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는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음식물안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단판을 이격시키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연결소켓의 상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는 상기 음식물안내부를 자중에 의해 폐쇄하도록 중량을 가지는 중량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힌지핀이 상부에서 끼워져 지지되는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소켓은 교반통과 연결되는 하단의 중앙을 중심으로 씽크조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상단이 편심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에 수용되는 미생물을 고정하는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는 다공성의 스펀지조각 및 나무조각이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7. 씽크조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수용하여 동력으로 파쇄하지 않고, 미생물만으로 분해하는 교반통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씽크조와 상기 교반통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씽크조를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와,
    유체가 걸러진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교반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씽크조연결부재, 및
    상기 교반통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잔류물은 외부로 회수하지 않고, 전량 하수구에 연결된 상기 교반통의 배수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65783A 2013-06-10 2013-06-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8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783A KR101485843B1 (ko) 2013-06-10 2013-06-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783A KR101485843B1 (ko) 2013-06-10 2013-06-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20A true KR20140145220A (ko) 2014-12-23
KR101485843B1 KR101485843B1 (ko) 2015-01-26

Family

ID=5259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783A KR101485843B1 (ko) 2013-06-10 2013-06-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07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15745A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619B1 (ko) * 2020-04-16 2022-04-27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음식물 처리기
KR102263408B1 (ko) * 2020-11-13 2021-06-21 주식회사 제너일렉트로닉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3042B2 (ja) * 2004-11-05 2005-11-02 猛 阿部 排水兼、乾燥式生ゴミ処理機付き流し台シンク。
KR100787481B1 (ko) * 2006-05-01 2007-12-26 남훈성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101206478B1 (ko) * 2012-02-17 2012-11-29 김영도 음식물복합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07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15745A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843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2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858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481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45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343535B1 (ko)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8B1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330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786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13146725A (ja) 生ごみ処理装置
JP615321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709107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KR10135778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KR10225001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2275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