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834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834B1
KR102275834B1 KR1020200110699A KR20200110699A KR102275834B1 KR 102275834 B1 KR102275834 B1 KR 102275834B1 KR 1020200110699 A KR1020200110699 A KR 1020200110699A KR 20200110699 A KR20200110699 A KR 20200110699A KR 102275834 B1 KR102275834 B1 KR 10227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unit
processing device
primar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Priority to KR1020200110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1차 처리장치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쇄되고, 2차 처리장치를 통해 미생물과 교반되어 분해된 후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링을 개시하며, 고정링의 발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공한다. 또한, 2차 처리장치에 배치되는 판막을 통해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의 교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교반부를 제공하고, 2차 처리장치의 배출구에 결합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또는 1차 및 2차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가 불가능하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수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소각처리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연료가 소모되어 경제성이 없고, 완전하게 연소하기 어렵다. 또한, 소각할 때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부피가 커서 매립지의 사용 년수를 급격하게 줄어들게 하는 요인이 되고,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함으로써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수분이 많아 수거와 가공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거나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고 곰팡이나 세균 등의 온상이 되며, 수거시의 취급 부주의로 음식물 쓰레기가 주변으로 흘러내려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하지 않고 하수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하수 처리하는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구/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하수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 처리 가능하도록 분쇄, 분해하는 사전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실시예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설치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분쇄하우징; 및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칼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2차 처리장치로 이동시키는 공급관; 및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관과 상기 접속부는 결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상기 칼날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회전력생성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부는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공급관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부 내부에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가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1차 처리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공급관과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관의 홈은 상기 공급관을 관통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2차 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속부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가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상기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2차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2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배출배관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상기 배출배관 내부에 삽입되는 노즐; 상기 배출배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 및 상기 배출배관의 홀과 상기 배관 세척장치를 결합시키는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배출배관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은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주입구와 경사를 갖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2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제2유출구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상기 제2유출구 내부에 삽입되는 노즐; 상기 제2유출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 및 상기 제2유출구의 홀과 상기 배관 세척장치를 결합시키는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2유출구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은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주입구와 경사를 갖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상기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2차 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용량이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사전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연결부 및/또는 2차 처리장치의 배출배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고정링을 결합하여 모터의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고, 처리장치를 보다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의 분쇄실에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부재를 삽입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입되는 통로에 판막을 결합하여 2차 처리장치로부터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 수준의 물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에 따른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연결하는 호스의 외주면에는 전력 및 신호 전달을 위한 배선이 삽입되는 관이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없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형상의 교반부을 적용하여 2차 분쇄 및 교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 후 배출되는 배관에 오염 물질이 적층되지 않도록 배관에 직접 연결하는 물 주입구를 형성하여 배관을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에 의한 발광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와 2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2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막의 적용 예시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막의 적용 예시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판막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예시이다.
도 17은 연결부에 결합되는 접속부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연결부에 결합되는 접속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2차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2차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2차 처리장치의 날개부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배출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배출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실시예가 반드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개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구성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1차 처리장치(200), 2차 처리장치(1100), 1차 처리장치(200)와 2차 처리장치(1100)를 연결하는 연결부(1600),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220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처리장치(200)는 예를 들어 싱크대(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처리장치(200)는 싱크대의 일부 구성요소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싱크대의 배수구(미도시)에는 별도의 배수통(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200)가 바로 직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1차 처리장치(200)가 배수통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1차 처리장치(2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칼날부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즉, 싱크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에 바로 투입하고 1차 처리장치(200)를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그 자리에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를 통해 물이 같이 투입되므로 별도의 물 주입구가 없이도 효율적으로 분쇄가 가능하다. 1차 처리장치(2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연결부(1600)를 통하여 2차 처리장치(1100)로 배출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1100)는 1차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 또는 미생물 배양액을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1100)에서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배관(2200)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처리장치(200)를 통한 물리적 분쇄와 2차 처리장치(1100)를 통한 화학적 분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1차 처리장치(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차 처리장치(200)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싱크대의 제작시에 배수구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싱크대의 제작 후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300)의 내부는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다. 고정부(300)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300)의 저면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분쇄하우징(280)으로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고정부의 상면에는 걸림판(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걸림판은 서로 분리되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적당량 고정부(300)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고정부(300) 및 분쇄하우징(280)으로부터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 악취 등을 차단할 수도 있다.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커버(210)는 싱크대의 배수구로 노출된 고정부(300) 부분에 결합하여 고정부(300)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단순히 끼움으로써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210)가 고정부(3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커버(210) 또는 고정부(300) 중 하나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210) 또는 고정부(300) 중 다른 하나는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 결합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 결합부는 나사산을 포함함으로써 결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돌기는 사각 기둥 형태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 결합부는 나사산, 나선형의 홈, 직선 홈, 직선 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210)로 고정부(300)를 차단함으로써 1차 처리장치(200)가 작동 중일 때 음식물 쓰레기가 고정부(300) 상면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210)가 결합된 경우에만 1차 처리장치(20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전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커버(210)의 결합에 의한 1차 처리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300)는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하는 분쇄하우징(28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220)를 사이에 배치하여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누수를 방지하고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고정부(300)가 싱크대의 배수구에 삽입되면, 고정부(300)를 싱크대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싱크대 하부면에서 1차 고정링(400)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 나사산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실시예는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높은 1차 고정링(400)을 적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1차 고정링(400)에 대한 세부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80)과 고정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차단판(25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판(250)의 일부는 분쇄하우징(280) 내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하우징(250)에서 고정부(3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링(260)은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링(26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링(260)은 제1 고정링과 제2 고정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링(260)은 일부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링은 칼날부(272)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고정링은 칼날부(272)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삽입돌기와 제2 삽입돌기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돌기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링(260)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는 고정링(260)의 내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는 고정링(260)의 내면과 직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칼날부(272)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는 칼날부(272)의 회전시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
칼날부(272)는 회전력생성부(278)와 연결되어 회전력생성부(27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칼날부(272)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칼날부(272)는 하나의 플레이트 상면, 하면, 측면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칼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칼날부(272)는 회전바디부, 회전바디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 회전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에지칼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바디부의 테두리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은 회전바디부의 일부가 절단되고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은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칼날이 향하는 각도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칼날은 회전 중심에 가까운 내측칼날과 이 보다 멀리 떨어져 형성되는 외측칼날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의 상면은 다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칼날부(272)는 제1 회전부, 칼날 고정부,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술한 칼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 고정부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칼날 고정부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칼날 고정부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칼날 고정부의 내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칼날고정부는 분쇄하우징(28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회전부는 칼날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 회전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나사, 볼트, 핀 등을 통하여 결합되어 제1 회전부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칼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부의 칼날들은 회전력생성부(278)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칼날구동부(270)는 회전축결합부(271), 칼날부(272), 캡(273), 오일실(274), 제1유출구(275), 베어링(276), 회전축(277), 회전력생성부(278), 구동부케이스(27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케이스(279)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력생성부(278)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케이스(279)는 분쇄하우징(28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회전력생성부(278)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제어부(2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회전축(277)은 회전력생성부(278)와 연결되어, 회전력생성부(278)에서 생성된 회전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277)은 칼날부(272)와 연결되어 칼날부(2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어링(276)은 분쇄하우징(280)과 회전축(277)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276)은 회전축(277)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오일실(274)은 분쇄하우징(280)에 배치되어 회전축(277)과 분쇄하우징(280) 사이 또는 회전축(277)과 베어링(276)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실(274)은 분쇄하우징(28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273)은 분쇄하우징(280)과 결합하여 오일실(274)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결합부(271)는 회전축(277)과 결합하여 칼날부(272)를 회전축(277)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결합부(271)와 회전축(277)은 나사, 볼트, 핀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면 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별도의 부재없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쇄하우징(280)은 칼날부(272)의 칼날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쇄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제1유출구(2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유출구(275)는 연결부(1600)을 통하여 2차 처리장치(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분쇄하우징(28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칼날 고정부가 걸리거나 고정링(2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스(230)는 고정부(300), 분쇄하우징(280), 칼날구동부(270), 싱크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30)는 제어부(24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케이스(230)는 고정부(300)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고, 고정부(300)를 향하는 내부면에 후술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200) 및 2차 처리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의 회전력생성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와 1차 처리장치(200) 및 2차 처리장치(1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동작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오류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240)는 외부의 통신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통신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TV,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와이파이, 캔 통신 등 다양한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외부 통신 단말기에 설치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이를 제어부(240)와 연결하여 외부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어하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외부 통신 단말기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통해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의 동작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의 경우 미생물 주입 후 교반하여 음식물을 분해하므로 즉각적으로 분쇄하는 1차 처리장치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1차 처리장치를 통해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입되는 경우 2차 처리장치의 처리 용량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2차 처리장치의 현재 처리량, 가용처리량, 분해완료시까지의 예상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공급 또는 신호 전달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보수, 수리를 진행하도록 알림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200)의 고정부(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커버(310)는 고정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310)의 측면에는 신호발생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신호발생부(330)는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부(330)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33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호발생부(330)가 배치되는 경우 커버(31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의 측면에는 커버(310)의 신호발생부(33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3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센서(320)는 케이스(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320)는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320)들이 배치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1차 처리장치(2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유입되면 이는 분쇄하우징(280)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를 통하여 회전력생성부(278)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고정부(300)에 커버(310)를 회전시켜 커버(310)를 고정시키면 회전력생성부(278)가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를 이용하여 1차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고정부(300) 및 분쇄하우징(28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진입하면 사용자는 커버(310)를 고정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후, 커버(310)를 회전시키면 커버(310)에 배치된 신호발생부(330)도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발생부(330)가 센서(320)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센서(320)는 신호발생부(330)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부(330)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320)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신호발생부(330)와 센서(32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센서(320)가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2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320)가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240)는 커버(310)가 록킹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력생성부(278)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1차 고정링을 상세히 설명한다.
1차 고정링(400)은 복수 개의 서브암(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서브암(440)으로 구성된 1차 고정링(40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4개, 5개 등의 서브암(44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브암(440)은 인접한 서브암과 힌지부(4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부(420)는 힌지홀(421)과 힌지홀(4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힌지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부(420)를 중심으로 서브암(440)이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 서브암(440)의 일단부에는 체결부(430)가 포함될 수 있다. 체결부(430)는 다른 서브암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1차 고정링(400)이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각 서브암(440)은 내측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430)를 통해 서브암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경우 1차 고정링(400)은 내부에 원형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430)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에서는 서브암(440)의 내측면에 발광부(4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부(450)는 1차 고정링(400)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1차 고정링(500)의 다양한 동작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1차 고정링(500)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다.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고정링(500)은 힌지부를 통해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직선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도 5의 (b)는 1차 고정링(500)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혀져 원 형상을 이루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에 스토퍼(미도시)가 배치되어 서브암이 필요이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의 (c)는 체결부에 의하여 서브암이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다. 체결부에 의해 체결된 경우 1차 고정링(500)은 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6은 1차 고정링(600)이 싱크대(620)와 고정부(610)를 결합시키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부(610)는 싱크대 상면의 배수구로 삽입되어 싱크대 하면으로 돌출된다. 고정부(610)의 상면에는 싱크대 상부면의 배수구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이 있어 싱크대(620) 상부에서 삽입시 싱크대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610)를 싱크대(6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싱크대 하부면에서 고정부(610)를 고정시켜 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610)의 노출된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 브라켓을 삽입하여 고정부(61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 결합을 이용하는 브라켓의 경우 1차 처리장치의 모터에 따른 진동에 의해 결합이 풀릴 수도 있고,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지 못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는, 고정부 브라켓 대신에 1차 고정링(600)을 이용하여 고정부(610)를 싱크대(6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10)을 싱크대 배수구에 삽입한 후, 싱크대 하부에서 1차 고정링(600)을 고정부(610) 외주면을 감싸고 체결부(630)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600)의 측면에는 1차 고정링(600)이 안착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1차 고정링(600)이 홈에 안착되어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링(600)의 상부면, 즉, 싱크대(62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플렉시블한 패킹이 배치될 수 있어 방수 및 쿠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부 브라켓 대신 1차 고정링(600)을 이용하여 고정부(610)와 싱크대(6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1차 고정링(600)의 체결에 있어서도 체결부(630)를 스냅 형식으로 잠글 수 있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브라켓과 달리 싱크대와 고정부 사이의 틈을 메워 주면서 상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정을 시키므로 모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링(600)은 강성이 있는 서브암들이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높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럽게 고정부 외주면에 체결시킬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7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개시된 1차 고정링(700)은 서브암 내측에 발광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740)는 플렉서블 기판(742)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741), 예를 들어, LED 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741)는 1차 고정링(700)의 원 중심을 향해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암에 배치된 기판(74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740)는 제어부(24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1차 고정링(700) 자체가 전력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741)들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741)들은 제어부(240)의 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방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색의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광부(740)의 빛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내용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1차 고정링(700)이 고정부(610)에 장착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커버(210)가 고정부(610)된 결합된 상태이며, 도 8의 (b)는 커버(21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따르면 고정부(610)의 일부 영역, 적어도 1차 고정링(700)과 접하는 영역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610)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반투명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1차 고정링(700)의 발광부(740)에서 빛이 방출되는 경우, 이는 고정부(610)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 투과되어 고정부(610) 내부를 통해 빛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커버(210)가 결합된 경우, 고정부(610)의 상면 중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커버(210)의 바깥측 환형 영역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빛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커버(210) 자체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210)를 통해서 빛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8의 (b)는 커버(21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의 예시이다. 커버(21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의 내부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빛을 인식할 수 있다.
1차 고정부(700)의 발광부(740)를 통한 동작 예시를 설명한다.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가 작동가능한 상태일 경우 발광부(740)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경우 또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발광부(740)가 꺼져 있고, 작동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발광부(740)가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오류가 있는 경우, 또는 점검이 필요한 경우, 미생물 보충이 필요한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발광부(740)가 점멸 신호를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가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더 이상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중지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1차 처리장치 또한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발광부(740)를 통해 약속된 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경우에 단순히 1차 처리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장치의 고장, 오작동인지 2차 처리장치의 처리를 기다려야 하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발광부(740)를 통해 빛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상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740)가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사전에 결정된 색상 또는 점멸 주기 등으로 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900)를 제공한다.
도 9의 고정부(900)는 상술한 1차 고정링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1차 고정링이 아닌 고정부 브라켓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고정부(900)는 내측에 러버(91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버(910)는 1차 처리장치의 동작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러버(91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900)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900)의 진동을 흡수해 줄 수 있어 고정부(900)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러버(9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고정부(900)의 내부면의 굴곡에 대응하는 홈부(9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러버(910)의 하면은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9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부(912)는 고정부(900)의 하면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러버(910)를 고정부(900)의 하면에서 삽입할 경우, 적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러버(910)는 고정부 내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고정부에 삽입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러버(910)가 오염된 경우 이를 교체할 수도 있다.
도 10은 고정부(1000)에 러버(101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와 같이 러버(1010)는 고정부(100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1010)는 고정부(1000)의 내부 굴곡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1000) 내부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1차 처리장치에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차적으로 1차 처리장치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이후 칼날구동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쇄된 후 물과 함께 2차 처리장치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는 분쇄하우징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특히 분쇄하우징의 내부 측벽에 달라붙은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고 남아 세균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잔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세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할 수 있도록, 분쇄하우징 내부를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에서 악취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 장치를 포함하여, 공기중으로 세균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은 10nm 내지 400nm 파장대의 빛으로서, 이 중 특히 UVC라 불리는 단파장의 자외선(100 ~ 280nm)은 살균 효과를 가진다. UVC는 미생물의 세포에 있는 핵산에 강하게 흡수되어 세포를 파괴한다. 즉, 세포 수준에서 핵산을 파괴하고 DNA를 파괴하여 살균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부는 1차 처리장치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자외선 발광부는 1차 고정링의 발광부의 일부일 수도 있다. 1차 고정링은 분쇄하우징 내부를 비추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을 방출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발광소자 중 일부는 색상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가시광선 대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이고, 다른 일부는 분쇄하우징 내부를 살균하기 위하여 UVC 대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일 수도 있다. 가시광선 LED와 UVC LED는 교차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가시광선 LED 마다 하나의 UVC LED가 배치될 수도 있다.
자외선 발광부는 1차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고정링의 발광부에 포함되는 경우 가시광선 발광소자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가시광선 발광소자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가시광선 발광소자를 제어하는 신호와 자외선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이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발광소자는 1차 처리장치가 분쇄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발광하고, 자외선 발광부는 분쇄작업이 완료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동작 타이밍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발광부는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도 3은 커버(310)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어 고정부(300)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커버(310)에 도시된 하방으로의 화살표는 자외선의 조사방향을 나타낸다. 커버(310)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커버(310)의 측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조사방향이 정렬된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분쇄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자체에 자외선 발광부를 제어하는 전원과 제어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전원은 커버에서 공급하고 동작의 제어는 1차 처리장치의 제어부가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측면에 배치되는 신호발생부를 통하여 제어부가 신호를 받으면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자외선 발광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1차 처리장치에서 커버에 배치된 자외선 발광부에 전원과 제어신호를 모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1차 고정링, 커버 이외의 다른 영역에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고정부(300) 내부 중심을 향하는 화살표는 고정부(300)에 배치되어 분쇄하우징 중심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고정부(300) 내부면에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고정부(300) 외부에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되고, 자외선이 고정부(300)를 투과하여 분쇄하우징 내부에 조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자외선 발광부가 분쇄하우징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으면 충족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분쇄하우징 내부의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하우징 내부에 항균필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리(Cu)를 포함하는 필름을 고정부 내부면 또는 러버 내부면에 부착하여 세균이 분쇄하우징 내부면에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연결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는 2차 처리장치의 배출배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1100) 및 이에 장착될 수 있는 2차 고정링(11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는(1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될 수 있는 저수조(1130)와 저수조(1130)의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1130)와 차폐부(1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특히 2차 고정링(1120)을 통한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2차 고정링(1120)은 1차 고정링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폐부(1110)를 저수조(1130) 상면에 결합시킨 뒤, 2차 고정링(1120)으로 결합부위를 감싼 뒤 체결부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차폐부(1110)와 저수조(1130)의 결합부위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2차 고정링(1120)의 홈부에 끼워지고, 추가적으로 2차 고정링(1120)을 체결부를 통해 조여줌으로써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부(1110)와 저수조(1130)의 돌출부가 맞닿는 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삽입되거나 또는 돌출부 자체에 실링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실링부를 사이에 두고 돌출부가 맞물리면서 2차 고정링(1120)의 홈부에 끼워짐으로써 효과적으로 실링 기능을 유지하면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12는 2차 고정링(1220)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고정링은 1차 고정링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서브암(12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1223)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223)는 예를 들어, 힌지홀(1222)과 힌지홀(1222)에 삽입될 수 있는 힌지핀(1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암의 양단을 결합시시키 위한 체결부(1224)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고정링(1220)의 체결부는 1차 고정링의 체결부와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체결 구조일 수도 있다. 1차 고정링과 마찬가지로 2차 고정링의 체결부 또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구조일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차 고정링(1220)의 힌지부(1223)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필요 이상으로 서브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2차 고정링(1220) 또한 1차 고정링과 마찬가지로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2차 처리장치(1100)의 내부는 사용자가 볼 수 없으므로 2차 고정링의 외부면에 발광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를 통해 2차 처리장치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의 2차 처리장치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1310)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페부(1310)는 연결부(1600)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1차 처리장치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2차 처리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차폐부(1310)은 차폐바디부(1320), 가이드부(1340), 가이드부(1340) 내부에 형성되는 둔턱부, 미생물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바디부(132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구동부, 밸브, 물공급부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바디부(1320)에는 연결부(1600)에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저수조(1130)로 이동하는 공급홀(14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급홀(1450)은 가이드부(13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홀(1450)은 연결부(1600)의 토출구와 상이한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부(1600)로부터 유입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직접 공급홀(145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둔턱부는 가이드부(1340) 내부에 배치되며, 공급홀(145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둔턱부는 차폐바디부(1320)의 상면으로부터 캡부(13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40)는 차폐바디부(1320)로부터 캡부(13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1340)는 캡부(133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600)의 토출부는 가이드부(1320)의 일단에 배치되며, 공급홀(1450)은 연결부(1600)와 이격되도록 가이드부(134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13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바디부(1320)의 상면은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차폐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분말 형태의 미생물을 투입할 수도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공급홀(1450)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캡부(1330)는 가이드부(134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340)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캡부(1330)는 가이드부(1340)와 함께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공급홀(1450)을 통하여 냄새가 연결부(1600) 및 1차 처리장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캡부(1330)와 가이드부(1340) 사이의 유로를 따라 공급홀(1450)로 이동하다가 연결부(1600)를 통하여 더 이상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둔턱부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1330)와 가이드부(1340) 사이에 갇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싱크대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 물을 마지막으로 흘려보냄으로써 둔턱부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1330)와 가이드부(1340) 사이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저수조와 교반용기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공급홀(1450)을 따라 연결부(1600)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공급홀(1450)을 차단하는 판막(14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판막(1440)은 공급홀(1450)에 배치되어 공급홀(14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는 공급홀(1450)에 배치된 판막(1440)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홀(1450)로 주입되는 경우에는 판막(1440)이 열려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용기로 투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14의 (b)와 같이 판막(1440)이 닫혀 공급홀(1450)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냄새가 역류할 수 있는 통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판막(1440)의 개폐는 센서를 통해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 여부를 지하고 전자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또는, 판막(1440)의 개폐를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막(1440)이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공급홀(1450)을 닫는 위치를 유지하고, 물과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열리고,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이 중단되면 탄성력에 의해 공급홀(1450)을 닫는 위치로 복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는 판막(154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막(1540)은 공급홀을 차폐할 수 있는 덮개부(1541), 차폐부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543), 덮개부(1541)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부(154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541)는 공급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공급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넓게 형성되어 공급홀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541)와 공급홀이 접하는 영역에는 보다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결합부(1543)는 차폐부의 하부면에 덮개부(154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차폐부의 하부면과 나사, 볼트, 핀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543)에는 양 측면으로 결합돌기(154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545)는 덮개부(1541)의 홀(1544)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541)는 결합부(154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면서도 홀(154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탄성부(1542)는 스프링과 같이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그 소재 또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1541)의 회전이동에 일정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가능하다. 결합부(1543)와 덮개부(1541)의 결합부위에 탄성부(154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541)의 일 영역에는 탄성부 결합부(1546)가 배치되어, 탄성부(1542)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탄성부(1542)는 일정한 힘을 가지고 덮개부(1541)가 공급홀을 닫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1542)의 복원력보다 큰 압력이 덮개부(1541)에 가해지면, 예를 들어,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홀을 통해 유입되어 덮개부(1541)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덮개부(1541)는 열리게 되고,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부(154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부(1541)는 원위치, 즉, 공급홀을 닫는 위치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막(1540)은 공급홀을 통한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공급홀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어 저수조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판막이 공급홀의 토출구에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판막은 복수 개의 날개를 가지는 원판 형태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날개는 원판의 외주면에서 공급홀과 연결되고 중심부에서는 상호간에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 개의 날개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홀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날개가 하방으로 열리면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할 수 있다.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날개가 원판 형태로 닫히게 되므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1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결부(1600)는 1차 처리장치의 제1유출구(1675)와 2차 처리장치의 공급부(1685)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600)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급관(1620) 및 접속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처리장치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공급관(1620)을 통해 2차 처리장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접속부(1610)를 통해 상호간에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600)는 배관일 수도 있다. 연결부(1600)는 직선 형태일 수도 있으나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절곡부는 U자 형태일 수도 있으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서 일정 각도로 절곡될 수도 있다. 연결부(1600)에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2차 처리장치로부터 역류하는 냄새가 1차 처리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600)는 S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도 있는데 이는 2차 처리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므로 그 위치가 일정하나, 2차 처리장치의 경우 구체적인 주변환경에 따라 설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연결부(1600)가 S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경우 연결부(1600)를 회전하여 2차 처리장치가 배치되는 위치, 특히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부(1600)는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2차 처리장치 설치시의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접속부(1610)는 공급관(1620)과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610)은 단자 및 케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 소켓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접속부(1610)와 별개로 단자, 소켓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접속부(1610)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2차 처리장치의 가용 처리량을 초과할 수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1차 처리장치 측의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는 1차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차 고정링의 발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2차 처리장치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접속부(1610)를 통해 2차 처리장치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 중 하나만 작동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접속부(161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1610)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또는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와의 연결이 차단된 경우, 센서부는 이를 감지하여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속부(1610)를 통하여 2차 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처리장치에 결합된 제어부를 통해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를 이를 1차 처리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1610)를 통해 연결된 2차 처리장치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따라서, 2차 처리장치를 위한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7은 접속부(1710)가 형성된 연결부(17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결부(170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171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710)는 내부에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홀(17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속부(1710)의 홀(1720)에는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홀(1720)의 직경은 내부에 배치될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접속부(1710)를 공급관(173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접속부(1710) 내부에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배치함으로써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부(1710)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홀(1720)에 필요한 케이블이 함께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케이블에 따라 상이한 접속부(171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과 신호 케이블이 별개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을 다른 접속부(1710) 내부에 배치하여, 문제시 해당 케이블에 대한 접속부(1710)만 점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1810)를 나타낸다. 접속부(1810)는 공급관(18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관(1811)의 외주면에는 접속부(1810)가 결합할 수 있는 홈(18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속부(1810)에는 공급관(1811)의 홈(18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18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1810)와 공급관(1811)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부(1810) 내부의 와이어, 케이블 등을 삽입하거나 보수를 위해 분리시키는 경우 접속부(1810)를 공급관(1811)으로부터 분리시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급관(1811)의 홈(1820)은 공급관(1811)을 관통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관(1811) 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이 홈(182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홈(1820)을 공급관(1811)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돌출부(1830)와 홈(1820)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는 2차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19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1930), 저수조(1930)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1910), 미생물 투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191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차폐부의 설명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차폐부(1910)의 상부에는 교반부(196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생성부(1920)가 배치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1900)는 1차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물과 함께 수용되면 이를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력생성부(1920)는 회전력을 샤프트(1951)에 전달하고 샤프트(1951)를 포함하는 교반부(1950)는 샤프트(1951)에 결합된 날개들을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다. 교반부(1950)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1954)를 통과하여 저수조(1930) 저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저수조(1930) 저면의 일 영역에는 제2유출구(1940)가 배치되어 있어 2차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1900)는 별도의 물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공급부는 싱크대, 상수도 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물공급부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1900)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감지부는 차폐부(1910)에 배치되어 회전력생성부(1920)에 의한 샤프트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교반부(1950)는 회전력생성부(1920)와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샤프트(1950), 중심부에 샤프트(1950)가 관통하는 홀을 가진 필터부(1954), 필터부(1954)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날개(1952), 중단 날개(1953), 필터부(1954)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날개(1956), 저수조(19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 날개(1955)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1950)는 저수조(1930)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교반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날개(1952) 및 중단 날개(1953)가 샤프트(19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섞어주게 된다. 상단 날개(1952) 및 중단 날개(1953)의 회전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1954)를 통과하여 저수조(193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1954)는 일정 크기의 홈을 복수 개 포함하여 물과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만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부(1954)는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일 수 있다.
도 20은 2차 처리장치 내부에 교반부(1950)가 배치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의 중심부에는 회전의 중심이 되는 샤프트(20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2070)는 샤프트와 결합되며 배출배관(22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2070)를 통과한 잔여물만이 배출배관(22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조(2030)의 내측 측면에는 고정 날개(2064)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날개(2064)는 회전하지 않고 저수조(203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1은 교반부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교반부의 각 구성들의 기능을 설명한다.
상단 날개(2110)는 가장 상부에 배치되는 날개이다. 상단 날개(2110)는 샤프트(2150)와 결합되는 결합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13)는 샤프트(2150)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샤프트(2150)를 둘러싸는 부재에 결합되어 샤프트(215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단 날개(2110)는 결합부(2113)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필터부(2160)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이루는 평탄 날개(2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탄 날개(2112)의 일 측면으로부터 필터부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경사 날개(2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경사 날개(2111)가 평탄 날개(2112)와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우 교반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 날개(2112)와 경상 날개(2111)가 180도의 각도를 갖는 경우, 즉, 두 날개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경우 경사 날개(2111)와 음식물 쓰레기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작으므로 교반이 어렵다. 또한, 평탄 날개(2112)와 경사 날개(2111)가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경사 날개와 음식물 쓰레기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은 넓으나, 경사 날개(2111)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측면으로 밀어줄 수만 있을 뿐이므로 교반의 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실시예와 같이 경사 날개(2111)가 평탄 날개(2112)와 9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경우, 경사 날개(2111)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부로 올라간 음식물 쓰레기는 중력에 의해 다시 하부로 가라앉게 되는데 경사 날개(2111)는 이를 다시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경사 날개(211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단순히 회전운동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운동을 하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인 교반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경사 날개(2111)는 평탄 날개(2112)에 대하여 100도 이상 160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날개(2110)를 이루는 경사 날개(2111), 평탄 날개(2112), 결합부(2113)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일체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사 날개(2111)는 평탄 날개(2112)의 일부 영역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구성을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경사 날개(2111)가 한 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경사 날개(2111)가 평탄 날개(2112)의 양 측면으로 두 개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탄 날개(2112)의 타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 경사날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양 경사 날개(2111)의 경사 각도는 동일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이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중단 날개(2120)는 상단 날개(2110)와 필터부(2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단 날개(2120) 또한, 상단 날개(2110)와 동일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교반의 효율성을 위해서 상단 날개(2110)와 중단날개(2120)는 샤프트(215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단 날개(2120)는 샤프트(215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21), 제1 경사 날개(2122), 제2 경사 날개(2124), 평탄 날개(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날개와 마찬가지로 중간 날개의 각 부분들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또는 별개의 구성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중단 날개(2120)의 제1 경사 날개(2122) 및 제2 경사 날개(2124)는 상단 날개(2110)의 경사 날개(2111)와 유사하게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 날개(2120)의 제1 경사 날개(2122) 또는 제2 경사 날개(2124)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상하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중단 날개(2120)는 필터부(2160)의 상부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필터부(2160) 상면에 뭉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 날개(2122)는 필터부(2160) 상면에 가라앉은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고, 반대 측면에서 절곡된 제2 경사 날개(2124)는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필터부(2160) 방향으로 밀어주어 필터부(21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경사 날개와 제2 경사 날개는 평탄 날개(2123)에 대하여 100도 이상에서 16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경사 날개와 제2 경사 날개의 기울기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경사 날개(2122)와 제2 경사 날개(2124)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중단 날개(2120)가 두 개의 경사 날개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경사 날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단 날개(2140)는 필터부(216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날개(2140)는 샤프트(2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2150)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하단 날개(2140)는 필터부(2160)를 통과한 뒤 남은 찌꺼기를 배출배관으로 밀어내어 침전물에 의해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단 날개(2140)는 교반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므로 하단 날개와 침전물과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하단 날개(2140)의 회전면은 필터부(2160)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단 날개(2140)의 상부면에 솔이 배치될 수도 있다. 솔은 필터부(2160)의 하부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솔을 통해 필터부(2160) 하부면에 점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고정 날개(2130)는 제1 고정 날개(2131), 제2 고정 날개(2133), 및 결합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날개들과 달리 고정 날개(2130)는 샤프트(2150)에 결합되지 않고 저수조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132)는 저수조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고정 날개(2131) 및 제2 고정 날개(2133)은 결합부(2132)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별개의 구성으로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부(213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고정 날개(2131)와 제2 고정 날개(2133)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를 상단 날개(2110)가 회전운동시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날개와 제2 고정 날개의 이격 거리는 상단 날개(2110)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날개(2131) 및 제2 고정 날개(2133)는 음식물 쓰레기를 풀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덩어리로 뭉치게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부(2160)를 통과하지 못 하고 저수조 내부를 부유할 수 있으며, 또한, 필터부를 막히게 할 수도 있다. 고정 날개가 배치되는 경우 뭉친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하면서 제1 고정 날개와 제2 고정 날개에 부딪쳐 풀어지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뭉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의 저수조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외선 발광부의 구체적인 내용은 1차 처리장치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2차 처리장치의 자외선 발광부는 필터부(1954)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교반이 완료되어 필터부(1954)를 통과하여 제2유출구(1940)로 배출되는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필터부(1954)에는 하단 날개(1956)가 회전운동으로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함께 제2유출구(1940)로 배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측벽 또는 바닥면에 잔여물이 남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부(1954) 하부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잔여물에 의한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의 자외선 발광부는 1차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 처리장치가 별도의 제어부 및/또는 전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2차 처리장치에서 미생물이 투입될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미생물이 사멸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2차 처리장치에서 미생물이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는 시간과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을 중복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2차 처리장치의 제2유출구(2210)에 연결되는 배출배관(2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를 통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유출구(2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제2유출구(2210)는 배출배관(2200)과 결합되고 배출배관(2200)의 타측은 하수도에 연결되어 처리가 끝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함께 배출할 수 있다. 한편,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통해 처리가 완료된 경우라 하더라도 미세한 부유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장시간 누적되는 경우 배출배관(2200) 내벽에 노폐물이 쌓일 수 있다. 특히, 주로 물이 이동하는 일반 배수구와 달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배관(2200)의 경우 노폐물의 적층이 더 심할 수 있다. 배출배관(2200) 내부에 장기간 노폐물이 적층되는 경우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 막힘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출배관(2200) 내부를 자주 세척해줘야 하나 배출배관(2200) 내부 세척을 위해서는 배출배관(2200)을 2차 처리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밖에 없어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배출배관(2200)은 항상 물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2차 처리장치가 가동될 때만 물이 흐를 수 있어, 장시간 2차 처리장치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배출배관(2200) 내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잔여물이 배출배관(2200)의 내벽에 적층될 수 있다.
도 22의 실시예는 배출배관(2200)의 일 영역에 배관 세척장치(2220)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배관 세척장치(2220)는 배출배관(2200)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관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세척장치(222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주입구(2222), 배출배관(2200) 내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2221), 배출배관(2200)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2223)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세척장치(2220)의 주입구(2222)는 배출배관(220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노즐(2221)은 주입구(2222)와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노즐(2221)의 방향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잔여물이 배출배관(2200)의 내벽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구(2222)는 외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과 함께 세척액이 함께 공급될 수도 있다. 주입구(2222)를 통한 물의 공급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주기에 따라 물이 공급될 수도 있고, 또는 싱크대 개수대의 사용 여부, 또는 1차 처리장치, 2차 처리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 중일 때는 물과 함께 잔여물이 배출배관(2200)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문제가 없으나, 2차 처리장치가 동작을 종료한 경우 마지막의 잔여물은 배출배관(2200) 하부로 가라앉을 수 있다. 따라서, 2차 처리장치가 동작을 종료하면 일정 시간 동안 배관 세척장치(2220)를 구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싱크대 개수대를 사용하는 경우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활용하여 배관 세척장치(2220)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노즐(2221)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배관(2200) 하부면을 향하여 물이 흐르도록 할 수도 있고, 스프레이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여 배출배관(2200) 내벽 전체를 세척할 수도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량에 따라 노즐(2221)을 통해 물의 분사 방식 또는 분사 속도가 상이할 수도 있다.
도 23은 제2유출구(2310)의 일 영역에 배관 세척장치(2320)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배관 세척장치(232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2에 대한 설명을 인용하며, 도 22의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의 실시예의 경우, 배관 세척장치(2220)는 배출배관(2200)에 결합되어 있는 예시를 설명하였다. 즉, 배출배관(2200)은 제2유출구(2210)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배출배관(2200)을 제2유출구(221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배관 세척장치(2220)는 분리가능한 배출배관(2200)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3은 제2유출구(2310)의 일부 영역에 배관 세척장치(2320)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 23이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배관 세척장치(2320)는 제2유출구(2310), 보다 포괄적으로, 2차 처리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기존의 배출배관(2300)을 그대로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실시예의 경우, 배관 세척장치가 적용된 배출배관은 기존의 배출배관을 교체하고 설치해야 하는 반면에,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기존의 배출배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배관 세척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집합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자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를 통해 또는 저장매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0: 1차 처리장치
210, 310: 커버 220: 실링부
230: 케이스 240: 제어부
250: 차단판 260: 고정링
270: 칼날구동부 271: 회전축결합부
272: 칼날부 273: 캡
274: 오일실 275: 제1유출구
276: 베어링 277: 회전축
278: 회전력생성부 279: 구동부케이스
280: 분쇄하우징 300, 610, 900, 1000: 고정부
320: 센서 330: 신호발생부
400, 500, 600, 700: 1차 고정링 420: 힌지부
412: 힌지홀 422: 힌지핀
430,630: 체결부 440: 서브암
450, 740: 발광부 620: 싱크대
741: 발광소자 742: 기판
910, 101: 러버 911: 홈부
912: 연장부 1100, 1900: 2차 처리장치
1110, 1310, 1910: 차폐부 1120, 1220: 2차 고정링
1130, 1930, 2030: 저수조 1221: 힌지핀
1222: 힌지홀 1223: 힌지부
1224: 체결부 1225: 서브암
1320: 차폐바디부 1330: 캡부
1340: 가이드부 1440, 1540: 판막
1450: 공급홀 1541: 덮개부
1542: 탄성부 1543: 결합부
1544: 홀 1545: 결합돌기
1546: 탄성부 결합부 1600, 1700, 1800: 연결부
1610, 1710, 1810: 접속부 1620, 1730, 1811: 공급관
1675: 제1유출구 1685: 공급부
1720: 홀 1820: 홈
1830: 돌출부 1920: 회전력생성부
1940, 2210, 22310: 제2유출구 1950: 교반부
1951, 2050, 2150: 샤프트 1952, 2110: 상단 날개
1953, 2120: 중단 날개 1954, 2070, 2160: 필터부
1955, 2064, 2130: 고정 날개
1956, 2140: 하단 날개
2111: 경사 날개 2112, 2123: 평탄 날개
2113, 2121, 2132: 결합부 2122: 제1 경사 날개
2124: 제2 경사 날개 2131: 제1 고정 날개
2133: 제2 고정 날개 2200, 2300: 배출배관
2220, 2320: 배관 세척장치 2221: 노즐
2222: 주입구 2223: 패킹

Claims (18)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싱크대에 설치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분쇄하우징; 및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1차 처리장치;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생성부를 포함하는 2차 처리장치; 및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2차 처리장치로 이동시키는 공급관;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공급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공급관과 결합되며,
상기 접속부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상기 칼날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회전력생성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삭제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1차 처리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공급관과 탈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홈은 상기 공급관을 관통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2차 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속부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상기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2차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회전력생성부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상단 날개;
상기 상단 날개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2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배출배관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상기 배출배관 내부에 삽입되는 노즐;
상기 배출배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 및
상기 배출배관의 홀과 상기 배관 세척장치를 결합시키는 패킹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배출배관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은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주입구와 경사를 갖도록 절곡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회전력생성부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상단 날개;
상기 상단 날개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제2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제2유출구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상기 제2유출구 내부에 삽입되는 노즐;
상기 제2유출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 및
상기 제2유출구의 홀과 상기 배관 세척장치를 결합시키는 패킹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2유출구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은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주입구와 경사를 갖도록 절곡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장치는, 상기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2차 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00110699A 2020-08-31 2020-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99A KR102275834B1 (ko) 2020-08-31 2020-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99A KR102275834B1 (ko) 2020-08-31 2020-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834B1 true KR102275834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699A KR102275834B1 (ko) 2020-08-31 2020-08-3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95A (ko) *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774B2 (ja) * 1991-02-28 1998-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延長管
KR200166675Y1 (ko) * 1998-01-23 2000-01-15 황두연 주방용 음식 찌꺼기 파쇄기(디스포서) 하부의 배관 폐색 방지장치
KR20060022141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자동 세정 하수관
KR101865860B1 (ko) * 2015-10-20 2018-06-11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907639B1 (ko) * 2017-09-18 2018-12-05 주식회사 세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774B2 (ja) * 1991-02-28 1998-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延長管
KR200166675Y1 (ko) * 1998-01-23 2000-01-15 황두연 주방용 음식 찌꺼기 파쇄기(디스포서) 하부의 배관 폐색 방지장치
KR20060022141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자동 세정 하수관
KR101865860B1 (ko) * 2015-10-20 2018-06-11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907639B1 (ko) * 2017-09-18 2018-12-05 주식회사 세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95A (ko) *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37618B1 (ko) 2021-08-13 2023-05-26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2799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9076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692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491Y1 (ko)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960013342B1 (ko) 유기물 처리방법 및 유기물 처리장치
KR1022758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8B1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1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42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KR20180015909A (ko) 음식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885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2014014522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60B1 (ko)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663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3761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98839B1 (ko) 분쇄기
KR20230052544A (ko) 사축처리장치용 악취저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