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107B1 -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107B1
KR101709107B1 KR1020160005767A KR20160005767A KR101709107B1 KR 101709107 B1 KR101709107 B1 KR 101709107B1 KR 1020160005767 A KR1020160005767 A KR 1020160005767A KR 20160005767 A KR20160005767 A KR 20160005767A KR 101709107 B1 KR101709107 B1 KR 10170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od
inlet
microorganisms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득
한명식
Original Assignee
이영득
한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득, 한명식 filed Critical 이영득
Priority to KR102016000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처리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음식물 거름망이 있는 음식물 투입부, 투입구를 개폐하는 물마개,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재, 미생물을 보관하며 보관된 미생물을 음식물 분해 과정에 제공하는 미생물 분사 장치가 설치된 상부 케이스, 음식물을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는 교반 날개의 회전축이 설치되며,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를 수집 및 배출하고, 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교반 날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하는 통로인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거름망,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물 분사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미생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미생물 분사량을 조절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및 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물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A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FOR HOME AND A METHOD FOR TREATING A FOOD GARBAGE FOR HOME}
본 발명은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분해가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그 자체가 공해 물질로서, 대기나 토양 또는 지하수 등을 크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며, 악취를 발생시키고 해충의 번식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환경적 피해를 야기한다. 더욱 큰 문제는 음식물쓰레기 의 양이 막대하다는 것이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 단지나 식당 또는 군부대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일이 처리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방식 및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이미 개발 보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형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그 부피를 줄이는 처리장치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8-0072939호 참조)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건조시켜 부피를 줄이는 처리장치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8-0114588호 참조) 가 개시되었으나, 이들 장치는 동력의 소모가 크고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오수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 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의 분해가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의 분해 내지 소멸 과정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도 등으로 배출되는 잔류물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처리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음식물 거름망이 있는 음식물 투입부, 투입구를 개폐하는 물마개,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재, 미생물을 보관하며 보관된 미생물을 음식물 분해 과정에 제공하는 미생물 분사 장치가 설치된 상부 케이스, 음식물을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는 교반 날개의 회전축이 설치되며,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를 수집 및 배출하고, 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교반 날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하는 통로인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거름망,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물 분사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미생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미생물 분사량을 조절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및 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물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은,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 음식물 투입부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하는 단계,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미생물 분사 장치가 미생물을 분사하고 물 분사 장치가 물을 분사하면서,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 날개를 통해 교반하며 음식물을 분해하는 단계 및 하부 거름망의 타공부를 통과한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에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의 분해가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간략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하부 케이스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간략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하부 케이스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싱크대(5)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처리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10)로서, 음식물 투입부(20), 물마개(30), 배수부재(40), 상부 케이스(50), 하부 케이스(100), 하부 거름망(90), 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음식물 투입부(20)는 싱크대(5)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음식물 투입부(20)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어 중앙 부분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을 구성하는 내측부 및 외측부는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측부에는 둘레를 따라 음식물 거름망(25)이 형성되어 있어 투입된 음식물은 이 음식물 거름망(25)을 통과하지 못하나 유입된 물은 음식물 거름망(25)을 통과하여 내측부 및 외측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마개(30)는 음식물 투입부(20)의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싱크대(5)의 물이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물마개(30)가 투입구를 막음으로써 싱크대(5)의 물은 음식물 거름망(25)을 통해 음식물 투입부(20)의 내측부 및 외측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뿐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로는 유입될 수 없다. 한편, 물마개(30)의 개방과 관련하여 설거지 등 싱크대(5)에서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 물마개(30)를 열어 분해 예정인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배수부재(40)는 음식물 투입부(20)의 내측부 및 외측부 사이의 공간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바 음식물 거름망(25)을 통해 유입된 물이 이 배수부재(40)를 거쳐서 외부, 즉 하수도 등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배수부재(40)를 거친 물은 후술할 하부 케이스(100)의 저부로 이동하여 분해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50)는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몸체에 있어서 상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이 상부 케이스(50)는 음식물 분해에 사용되는 액상의 미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보관된 미생물은 음식물 분해 과정에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미생물 분사 장치가 상부 케이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 를 보면, 이러한 미생물 분사 장치는 유입 호스(150), 펌프(60), 미생물 공급관(155) 및 연결관(15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입 호스(150)는 상부 케이스(50)에 수용된 액상의 미생물에 닿아 있을 수 있으며 펌프(60)는 유입 호스(150)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미생물 공급관(155)은 일단이 펌프(60)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연결관(158)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50) 상에는 미생물 인입구(16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미생물 인입구(165)와 연결관(158)은 유체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관(158)이 미생물 인입구(165)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 대신에 연결관(158)과 미생물 인입구(165) 사이에 추가의 미생물 공급관이 존재할 수 있다.
미생물 분사 장치에 의해 미생물이 음식물 분해 장소로 분사되는 과정을 보면, 펌프(60)에 의해 유입 호스(150)로 유입된 미생물은 미생물 공급관(155)을 거쳐 미생물 인입구(165)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음식물 분해 장소로 분사될 수 있다. 이렇게 미생물을 음식물 분해 과정에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분해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50)는 상부 커버(55)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는 바 외부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 즉 음식물 분해 과정을 볼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싱크대(5) 위생에 도움을 주고 사용자가 다소 지저분할 수 있는 분해 과정을 볼 필요가 없어지는 바 싱크대(5) 상에서의 작업에 거부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부 커버(55)를 열어 상부 케이스(50)를 개방한 후에 미생물을 상부 케이스(50)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케이스(50)에는 미생물 보충 구멍(5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바, 상부 케이스(50)에 보관되어 있는 미생물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시에는 미생물 보충 구멍(57)을 통해 미생물을 보충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케이스(50)에는 음식물 투입부(2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이 지나가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를 보면 상부 케이스(50)에는 물 분사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물 분사 장치는 제 1 연결관(170), 물 공급관(175), 분기관(180) 및 제 2 연결관(195)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연결관(170)은 후술할 공급 밸브(115)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연결관(170)은 물 공급관(175)과 연결되어 있고 물 공급관(175)은 제 2 연결관(195)과 연결되어 있고, 물 공급관(175)의 한 지점에는 분기관(18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50) 상에는 제 1 물 인입구(205) 및 제 2 물 인입구(190)를 포함하는 물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물 인입구(205)는 제 2 연결관(195)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물 인입구(190)는 분기관(180)과 연결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물 인입구(205)와 제 2 연결관(195) 사이에 그리고 제 2 물 인입구(190)와 분기관(180) 사이에 추가의 물 공급관이 존재할 수도 있다.
물 분사 장치에 의해 음식물 처리 장소로 물을 분사하는 과정을 보면, 후술할 솔레노이드 밸브(110)에 연결된 공급 배관(115)을 통해 이동한 물이 제 1 연결관(170)을 거쳐 물 공급관(175)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제 2 연결관(195)을 지난 후에 제 1 물 인입구(205)를 통해 음식물 처리 과정에 분사되고, 또한 유입된 물은 제 1 연결관(170)을 지난 후에 분기관(180)을 거쳐 제 2 물 인입구(190)를 통해 음식물 처리 과정에 분사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몸체에 있어서 하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음식물 분해 과정이 일어나며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가 수집되는 장소일 수 있다. 음식물 분해 과정에는 미생물 및 교반 날개(70)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100)에는 하부 케이스(100)를 가로지르는 교반 날개(70)의 회전축(7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회전축(75)으로부터 수직 방향 내지 임의의 방향으로 복수개의 교반 날개(70)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회전축(75)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80)가 설치될 수 있다.
음식물 분해 과정을 보면, 교반 날개(70)는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미생물은 음식물을 분해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케이스(50)에 설치된 물 분사 장치를 통해 물을 제공받거나, 상부 케이스(50)에 설치된 미생물 분사 장치를 통해 미생물이 보충될 수 있다. 이렇게,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해함으로써 음식물을 분쇄 장치로 음식물을 분쇄하는 경우보다 처리후 최종 상태의 음식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음식물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분쇄에 필요한 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가동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4 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00)의 측면은 곡면 형상(A)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해된 음식물이 곡면을 따라 하부 케이스(100)의 저부로 용이하게 내려가서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하부 케이스(100)에 음식물이 껴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과 관련하여, 하부 케이스(100)의 저부에는 배수구(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145)를 통해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가 하수도 등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부의 측면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 유입구(130)에 설치된 유입관(135)을 통해 배수부재(40)를 거친 물 또는 외부에서 제공된 물이 유입되어 하부 케이스(100)의 저부에 수집된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를 배수구(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관(135)에는 실링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되는 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 거름망(90)은 교반 날개(7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 케이스(100)를 공간적으로 분할할 수 있고, 작게 분해된 음식물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인 타공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거름망(90)의 타공부(95)를 통해서 음식물 분해 과정을 통해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100)의 저부로 이동되어 수집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음식물 분해 과정에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로서, 외부로부터 공급 배관(115)을 통해 물 분사 장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공급 배관(115) 상에 설치되어 개폐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물 분사 장치로 공급되는 양 및 공급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모든 작동 과정을 제어하는 부재로서, 특히 미생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미생물 분사량을 조절하고, 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음식물 처리 과정에 공급되는 물의 양 및 공급 시기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음식물 처리 장치(10)에는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수단은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전달받은 정보를 통해 현재 음식물 분해 과정의 조건이 미생물 분해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판단한 후에, 예를 들어 습도가 너무 낮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0)를 개방하여 외부의 물이 공급 배관(115)을 통해 물 분사 장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물 분사 장치는 음식물 분해 장소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물마개(30)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같은 중량 측정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중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의 중량에 근거하여 제어부(120)는 미생물 분사 장치의 미생물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된 음식물의 양이 많아 음식물을 분해하는데 많은 미생물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제어부(120)는 미생물 분사 장치가 미생물을 좀 더 많이 분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20)에는 음식물의 중량에 따른 최적 미생물의 양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설정된 값을 근거로 미생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미생물을 음식물 분사 과정에 제공할 수 있다.
받침대(140)는 하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음식물 처리 장치(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이 받침대(140)는 나사 풀림/조임 방식으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바 음식물 처리 장치(10)를 싱크대(5)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케이스(5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측정 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상부 케이스(5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제한이 없다. 이러한 중량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중량이 소정값 이하일 경우 제어부(120)는 상부 케이스(50) 내의 미생물 양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미생물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의 방법으로는 정해진 알림음을 내거나 표시 장치를 통해 미생물의 부족을 알리거나, 또는 음성으로 미생물의 부족을 알릴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는 전술한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와 다르게, 유입 호스(215), 펌프(210) 및 미생물 공급관(225)을 포함하는 추가의 미생물 분사 장치가 존재하며, 각 미생물 분사 장치는 서로 다른 미생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분사 장치가 복수개이므로 상부 케이스 내부도 각 미생물을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 내의 각 미생물 보관 장소(220)에는 정해진 미생물만이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미생물마다 음식물을 분해하는데 적절한 습도가 상이하므로 미생물 분사 장치에서 분사되는 미생물의 양과 물 분사 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의 비, 즉 미생물과 물의 배합비는 미생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비 정보는 제어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생물 분사시에 복수개의 미생물 중에서 특정 미생물이 분사되도록 미생물 분사 장치를 선택하여 미생물 분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 때 저장된 배합비를 고려하여 물 분사 장치를 조절함으로써 물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미생물마다 적절한 배합비에 근거하여 미생물 및 물을 분사함에 따라 다양한 미생물을 사용하더라도 최적의 음식물 분해성능이 발현되는 바 미생물에 대한 호환성이 높아 사용이 편리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은,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S10), 음식물 투입부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하는 단계(S20),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미생물 분사 장치가 미생물을 분사하고 물 분사 장치가 물을 분사하면서,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 날개를 통해 교반하며 음식물을 분해하는 단계(S30) 및 하부 거름망의 타공부를 통과한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에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S10)는, 설거지와 같은 싱크대(5)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물마개(30)에 의해 음식물 투입부(20)가 막혀 있는 바 물은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로 유입될 수 없고 대신에 음식물 투입부(20)의 음식물 거름망(25)을 통과하여 음식물 거름망(25)의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이 공간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배수부재(4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음식물 투입부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하는 단계(S20)는, 싱크대(5) 작업이 종료된 후에 물마개(30)를 개방하여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미생물 분사 장치가 미생물을 분사하고 물 분사 장치가 물을 분사하면서,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 날개를 통해 교반하며 음식물을 분해하는 단계(S30)는, 투입된 음식물은 하부 케이스(100)에 설치된 교반 날개(70)에 의해 교반되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20)는 음식물 분해 환경인 습도 내지 온도를 파악한 후, 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물 분사 장치가 물을 음식물 분해 과정에 제공하도록 하거나 미생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미생물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물마개(30)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같은 중량 측정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중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 미생물 분사 장치가 미생물을 좀 더 많이 분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 거름망의 타공부를 통과한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에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40)는, 음식물이 분해된 후 잔류물인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 과정 중에 생성된 분해수는 하부 거름망(90)의 타공부(95)를 빠져나와 하부 케이스(100)의 저부로 하강하여 모이게 된다. 이후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는 하부 케이스(100)의 배수구(145)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케이스(100)의 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해 배수구(14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 싱크대 10: 음식물 처리 장치
20: 음식물 투입부 25: 음식물 거름망
30: 물마개 40: 배수부재
50: 상부 케이스 55: 상부 커버
57: 미생물 보충 구멍 60, 210: 펌프
70: 교반 날개 75: 회전축
80: 구동 모터 90: 하부 거름망
95: 타공부 100: 하부 케이스
110: 솔레노이드 밸브 115: 공급 배관
120: 제어부 130: 유입구
135: 유입관 140: 받침대
145: 배수구 150, 215: 유입 호스

Claims (11)

  1.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처리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음식물 거름망이 있는 음식물 투입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물마개;
    상기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며, 상기 물마개에 의해 상기 투입구가 막혀 있으면 싱크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음식물 처리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음식물 투입부의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하부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하여 분해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수부재;
    미생물을 보관하며 상기 보관된 미생물을 음식물 분해 과정에 제공하는 미생물 분사 장치가 설치된 상부 케이스;
    상기 음식물을 상기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는 교반 날개의 회전축이 설치되며,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를 수집 및 배출하고, 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교반 날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해된 음식물 및 분해수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하는 통로인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거름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물 분사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미생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미생물 분사량을 조절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물 분사 장치를 제어하여 물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 장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관은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형성된 물 인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공급 배관을 통해 이동한 물이 상기 물 공급관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상기 물 인입구를 통해 상기 음식물 처리 과정에 분사되며,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가 음식물 분해 조건에 맞지 않게 낮으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외부의 물을 상기 물 분사 장치에 공급하여 상기 물 분사 장치가 음식물 분해 장소로 물을 더 공급하여 습도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마개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음식물의 중량에 따라 미생물 분사 장치의 미생물 분사량을 제어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액상의 미생물을 보관하고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분사 장치는 유입 호스, 펌프 및 미생물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공급관은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형성된 미생물 인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유입 호스로 유입된 상기 미생물은 상기 미생물 공급관을 거쳐 상기 미생물 인입구를 통해 상기 음식물 분해 과정에 분사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미생물 보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관에는 분기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 인입구는 제 1 물 인입구 및 제 2 물 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물 인입구는 상기 물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물 인입구는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어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가정용 음식물 처리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중량이 소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미생물 양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미생물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리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분사 장치는 복수개이며, 각 미생물 분사 장치마다 특정 미생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각 미생물마다의 미생물과 물과의 배합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합비 정보에 따라 상기 미생물 분사 장치 및 물 분사 장치를 조절하여 미생물 분사량과 물 분사량을 제어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으로서,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며, 상기 물마개에 의해 상기 투입구가 막혀 있으면 싱크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음식물 처리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음식물 투입부의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하부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하여 분해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단계;
    음식물 투입부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하는 단계;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미생물 분사 장치가 미생물을 분사하고 물 분사 장치가 물을 분사하면서,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 날개를 통해 교반하며 음식물을 분해하는 단계; 및
    하부 거름망의 타공부를 통과한 분해된 음식물과 분해수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에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 장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관은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형성된 물 인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공급 배관을 통해 이동한 물이 상기 물 공급관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상기 물 인입구를 통해 상기 음식물 처리 과정에 분사되며,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가 음식물 분해 조건에 맞지 않게 낮으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외부의 물을 상기 물 분사 장치에 공급하여 상기 물 분사 장치가 음식물 분해 장소로 물을 더 공급하여 습도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마개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음식물의 중량에 따라 미생물 분사 장치의 미생물 분사량을 제어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는 담수를 수용하고 있으며, 미생물은 담수 상에 존재하고,
    미생물 분사 장치는 유입 호스, 펌프 및 미생물 공급관을 포함하고, 미생물 공급관은 상부 케이스 상에 형성된 미생물 인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펌프에 의해 유입 호스로 유입된 미생물은 미생물 공급관을 거쳐 미생물 인입구를 통해 음식물 분해 과정에 분사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 방법.
KR1020160005767A 2016-01-18 2016-01-18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KR10170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767A KR101709107B1 (ko) 2016-01-18 2016-01-18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767A KR101709107B1 (ko) 2016-01-18 2016-01-18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107B1 true KR101709107B1 (ko) 2017-02-22

Family

ID=5831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767A KR101709107B1 (ko) 2016-01-18 2016-01-18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48B1 (ko) 2020-03-24 2020-09-16 주식회사 더나은자연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WO2022019387A1 (ko) * 2020-07-24 2022-01-27 장석재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767B1 (ko) * 1996-11-21 1999-04-01 배순훈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조건 가변조절시스템
KR101308993B1 (ko) * 2013-05-08 2013-09-16 변상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43535B1 (ko) * 2012-01-18 2013-12-19 (주)바이오스타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767B1 (ko) * 1996-11-21 1999-04-01 배순훈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조건 가변조절시스템
KR101343535B1 (ko) * 2012-01-18 2013-12-19 (주)바이오스타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8993B1 (ko) * 2013-05-08 2013-09-16 변상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48B1 (ko) 2020-03-24 2020-09-16 주식회사 더나은자연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WO2022019387A1 (ko) * 2020-07-24 2022-01-27 장석재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20220013047A (ko) * 2020-07-24 2022-02-04 장석재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102463747B1 (ko) * 2020-07-24 2022-11-04 장석재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5310B1 (ko) 씽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9107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77780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343535B1 (ko)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231329A (ja) 生ごみ処理器
KR101258691B1 (ko) 밀폐형 액비제조장치
KR201501242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858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75897A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5001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200413541Y1 (ko) 배수통 세척기
JP615321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2448839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KR10135778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35466B1 (ko)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1293460A (ja)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KR101703187B1 (ko) 스위치 pcb와 회로 pcb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9915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150795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