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9387A1 -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 Google Patents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9387A1
WO2022019387A1 PCT/KR2020/016154 KR2020016154W WO2022019387A1 WO 2022019387 A1 WO2022019387 A1 WO 2022019387A1 KR 2020016154 W KR2020016154 W KR 2020016154W WO 2022019387 A1 WO2022019387 A1 WO 20220193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ecomposition
accelerator
decomposition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1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석재
Original Assignee
장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재 filed Critical 장석재
Priority to JP202350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35055A/ja
Publication of WO20220193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93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01F2101/33Mixing compost ingredients or organic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using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and more particularly, food waste is decomposed by the decomposition mechanism of the first and second valve parts, which are automatically set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waste put into the decomposition tank. It can be completely decomposed by the accelerator so that the decomposition power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can always be increased to the maximum, and by the decomposition mechanism, effective microorganisms are always present in the decomposition tank to further increase the decomposition rate. it's about
  • the pulveriz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nk to pulverize the food waste.
  •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rain hole of the sink is pulverized to a small size by a pulverizing blade mounted on the pulverizer,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sewer pip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using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rate of decomposition because effective microorganisms are always present in the decomposition tank by the decomposition mechanis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reducer for decomposing food waste
  • a decomposition tank having an empty interior, an inlet through which food waste flows in, and an outlet at a lower portion for discharging decomposed products of decomposed food waste;
  • a biodegradation promoting unit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and decomposing the food waste by introducing a decomposition accelerator when the food waste flows in through the inlet of the decomposition tank;
  •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decomposition tank and formed in a " ⁇ " shape that is branched in various direction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grinde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rain;
  • a first valve par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branch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a signal from a control unit;
  • a second valve unit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ank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outle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 It relates to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using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a stirrer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formed on a horizontally formed stirring shaft is installed inside the decomposi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irring shaft is rotated by a stirring moto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and the stirring blades dispose of food waste and decomposition accelerator mix,
  • a pedestal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to support the food waste and at the same time to easily mix the food waste and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by the rotating stirring blades, and the pedestal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to be disassembled It relates to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using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waste decomposed by the accelerator is penetrated.
  •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ray water inside the decomposition tank, and the injection nozzles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to supply water. It is about reducing food waste.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is formed to be detachab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is formed as an empty housing and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is stored therein;
  •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using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tering pump unit for transferring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ed in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to the in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using a biodegradation accel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ulture medium of a mixed strain of Bacillus and lactic acid bacteria, agar and a preservative.
  • the food waste is decomposed by the decomposition mechanism of the first and second valve parts, which are automatically set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waste put into the decomposition tank. Since it can be completely decomposed by the accelerator, the decomposition power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can always be increased to the maximum, and effective microorganisms are always present in the decomposition tank by the decomposition mechanism,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decomposition rat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ood waste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plan view showing a waste reducer
  •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waste reducer using the biodegradation accel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reducer that decomposes food waste crushed in a grind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ink, and includes a decomposition tank 10 and biodegradation. It is composed of an accelerator 20 , a connecting pipe 30 , a first valve unit 40 , a second valve unit 50 ,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 the decomposition tank 10 has a rectangular body with an empty interior, and an inlet 11 through which food waste is introduc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main body An outlet 12 for discharging the decomposed product of decomposed food wast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
  • the decomposition tank 10 has a polygonal shape other than a rectangle, and the desig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a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 11 or the decomposition tank 10 to detect food waste.
  • the outlet 12 is connected to a drain (not shown) of the sink (not shown).
  • the inlet 11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inflowing food waste is easily put into the decomposition tank 10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has an inside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is further formed.
  • a stirrer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4 formed on a horizontally formed stirring shaft 13 is installed inside the decomposition tank 10 , and the stirring shaft 13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While being rotated by the installed stirring motor 15, the stirring blade 14 mixes the food waste and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while evenly contacting the food waste with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to facilitate decomposition.
  • a pedestal 16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to support the food waste and to easily mix the food waste and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by the rotating agitating blade 14, the pedestal (16) is a hemispherical shape,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7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edestal 16, so that the food waste decomposed by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passes through. At this time, the food waste supported by the pedestal 16 is decomposed while being mixed with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by the stirrer, and the decomposed food waste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perforation 17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2 .
  •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8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to spray water into the interior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nd the spray nozzles 18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supply water.
  • the completely decomposed food waste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 together with water, and a water level sensor 19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input. Check to control the water supply by the control unit.
  • a pressure reducer 18a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18 and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supply water to the injection nozzle 18 .
  • the bio decomposition promoting unit 20 is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and food waste flows in through the inlet 11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 it is composed of a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and a metering pump unit 22 so that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is injected and bonded to the food waste to decompose.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is formed as a rectangular empty box and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and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is stored inside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 .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other than a rectangle, a handle portion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lid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 ) is further formed.
  • an outlet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so that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ed in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is discharg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is an outlet It is inclined so that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gathers to the side.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can store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with a capacity of about 1 lit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about 3 months in general,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additionally fill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at any time.
  • the metering pump unit 2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so as to deliver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ed in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to the in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 the metering pump 22 supplies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10 to the decomposition tank 10 by setting an operating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et in the control unit.
  •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or biodegradation accelerator consists of a mixed strain culture solution of Bacillus and lactic acid bacteria, agar and a preservative, 0.6 to 1.0 parts by weight of agar, 0.75 to 1.25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train culture of Bacillus and lactic acid bacteria. It may consist of sodium bicarbonate in parts by weight and 12.5 to 17.5 parts by weight of a Lactococcus lactis culture, preferably 0.8 parts by weight of agar, 1.0 parts by weight of sodium bicarbonate and 15 parts by weight of a Lactococcus lactis culture. ,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biodegradation promoting unit 20 i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 and pushes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by a piston device formed on one side of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filled therein in the form of a syringe to decompose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10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It is a structure that is put into the inlet (11).
  • the syringe-type biodegradation promoting unit 2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nd is detachable, so that when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filled therein is exhausted, the whole is replaced and reused.
  • connection pipe 30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nd is formed in a " ⁇ " shape branched in various directions, and one side is It is connected to the grinder, and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of the sink.
  • connection pipe 30 is branch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shape of " ⁇ ", and three connection parts are formed,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central part is connected to the inlet 11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nd one side
  •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hredder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means made of a grinder, a pipe, a pipe, and a tube, a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a drain port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ink.
  • the design of the connecting pipe 30 can be chang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branch pipe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in addition to the “ ⁇ ” shape.
  • the first valve part 4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ipe 30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30 branch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 it is usually composed of a solenoid valve, a 3-way valve, a solenoid valve, and the like.
  • the first valve unit 4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30 according to the control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describe when
  • the second valve part 50 is installed at the outlet 12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to move the inside of the outlet 12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 the second valve part 50 is usually composed of a solenoid valve, a 3-way valve, a solenoid valve, and the like.
  • the second valve unit 5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outlet 12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ccording to the control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When explaining how it works.
  • the control unit is formed outside the decomposition tank 10 and controls the food waste reduc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biodegradation promoting unit 20,
  •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ecomposition tank 10 is smoothly decomposed by controlling the first valve unit 40 , the second valve unit 50 , the injection nozzle 18 , and the like.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ood waste reducer using the biodegradation accel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the first valve part 40 is the decomposition tank 10 i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30 Since the inlet 11 side of the air conditioner is sealed and blocke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rinder is transported to the drain side of the sink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0 and discharged. to operate the first valve unit 40, and the first valve unit 40 is connected to the inlet 11 side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and the connecting part side of the grinder connection pipe 30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drain port side connection pipe 30 of the sink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valve unit 50 is operated to seal and block the outlet 12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 the food waste pulverized in the pulverizer is transferred to the inlet 11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0 and introduced into the decomposition tank 10, at this time, the inlet 11 or the decomposition tank (10)
  • a sensor installed inside detects food wast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metering pump unit 22 to decompose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ed in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21 by a set amount in the decomposition tank It is delivered to the inlet 11 of (10) and put into the decomposition tank (10) together with the food waste.
  • control unit operates the stirring motor 15 of the stirrer to rotate the stirring shaft 13 and the stirring blade 14, whereby the food waste is stirred and mixed with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 the second valve unit 50 seals and blocks the outlet 12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for a time set in the control unit (about 3 hours),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completely decomposed by the decomposition accelerator. It is provided in the tank 10, 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valve unit 50 to open the outlet 12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
  • control unit operates the spray nozzle 18 to spray water into the decomposition tank 10 so that the food waste completely decomposed together with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 of the decomposition tank 10 to the drain of the sink.
  • stirring blade 15 stirring motor
  • injection nozzle 18a pressure reducer
  • biodegradation promoting unit 21 decomposition accelerator storage unit
  • connection pipe 40 first valv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조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특성에 따라 제어부의 자동 설정되는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의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촉진제에 의해 완전히 분해시킬 수 있어 분해촉진제의 분해력을 항상 최대치로 높여줄 수 있고,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유효 미생물이 항상 분해조에 존재하여 더욱 분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본 발명은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조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특성에 따라 제어부의 자동 설정되는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의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촉진제에 의해 완전히 분해시킬 수 있어 분해촉진제의 분해력을 항상 최대치로 높여줄 수 있고,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유효 미생물이 항상 분해조에 존재하여 더욱 분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등의 싱크대에서 식기를 세척하고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쉽게 부패하게 됨으로 일반쓰레기와 별도로 분리 배출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싱크대에서 분쇄된 상태로 배출하는 것이 혀용됨에 따라 싱크대 배출구에 소위 분쇄기라고 하는 분쇄기를 장착하여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날에 의해 분쇄하여 배출하고 있다.
종래의 분쇄기의 일 예로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쇄기는 싱크대의 하부 측에는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분쇄기에 장착된 분쇄날에 의해 작은 크기로 분쇄가 이루어진 후 하수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쇄기를 사용하게 되면 편리성은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의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4572호와 같은 싱크대용 분쇄기를 이용하여 싱크대에서 음식물쓰레기(찌꺼기)를 처리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하수관로 막힘 현상 및 하수종말처리장의 용량처리 과부하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부는2012년 10월22일부]로 분쇄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으로 입법화 하였으며, 단, 분쇄기에서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 슬러지를 20%범위 내에서 하수구로 흘러 보내고 80%는 회수 또는 미생물 액상화 시키는 것에 한해 합법적으로 인정하되, 분쇄기와 일체령으로 연통하게 연결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감량장치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 장치에 한해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해조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특성에 따라 제어부의 자동 설정되는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의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촉진제에 의해 완전히 분해시킬 수 있어 분해촉진제의 분해력을 항상 최대치로 높여줄 수 있고,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유효 미생물이 항상 분해조에 존재하여 더욱 분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감량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된 분해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의 일측면에 착탈되어 분해조의 유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유입시, 분해촉진제를 투입하여 음식물쓰레기와 접합시켜 분해하는 바이오분해촉진부와;
상기 분해조의 유입구에 연통 설치되어 다방면으로 분기되는 "┬"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분쇄기와 연결되며, 반대측은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방면으로 분기된 연결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밸브부와;
상기 분해조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구 내부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하는 제 2 밸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해조의 내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교반축에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교반기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축은 분해조의 외측에 설치된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교반날개가 음식물쓰레기와 분해촉진제를 혼합시키며,
상기 분해조의 내부 바닥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주는 동시에 회전되는 교반날개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분해촉진제를 용이하게 혼합시켜주는 받침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반구형으로 일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어 분해촉진제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쓰레기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해조의 내부면에는 분해조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외부의 수도와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분해촉진부는, 상기 분해조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빈 함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해촉진제가 저장되는 분해촉진제 저장부와;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에 저장된 분해촉진제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분해조 내부에 전달하는 정량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해촉진제는 바실러스균과 유산균의 혼합 균주 배양액, 한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는 분해조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특성에 따라 제어부의 자동 설정되는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의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촉진제에 의해 완전히 분해시킬 수 있어 분해촉진제의 분해력을 항상 최대치로 높여줄 수 있고, 분해 메카니즘에 의해 유효 미생물이 항상 분해조에 존재하여 더욱 분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는 싱크대 하단부에 설치된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감량기로써, 분해조(10)와, 바이오분해촉진부(20)와, 연결관(30)과, 제 1 밸브부(40)와, 제 2 밸브부(50)와,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조(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내부가 빈 함체로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된 분해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해조(10)는 직사각형 이외에 다각형으로 설치장소에 따라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유입구(11) 또는 분해조(10) 내부에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는 싱크대(미도시)의 배수구(미도시)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분해조(10)의 유입구(11)는 본체의 측면 중 상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조(10)의 내부에 용이하게 투입되고, 상기 분해조(10)의 상부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해조(10)의 내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교반축(13)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4)가 형성되는 교반기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축(13)은 분해조(10)의 외측에 설치된 교반모터(15)에 의해 회전되면서 교반날개(14)가 음식물쓰레기와 분해촉진제를 혼합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에 분해촉진제를 고루 접촉시켜 수월하게 분해시킨다.
또한, 상기 분해조(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주는 동시에 회전되는 교반날개(14)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분해촉진제를 용이하게 혼합시켜주는 받침대(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6)는 반구형으로 받침대(16)의 일면에 다수개의 타공(17)이 형성되어 분해촉진제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쓰레기가 관통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6)에 받쳐진 음식물쓰레기는 교반기에 의해 분해촉진제와 혼합되면서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는 타공(17)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어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분해조(10)의 내부면에는 분해조(1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18)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18)은 외부의 수도와 연결되어 물을 분해조(10) 내에 분사함으로써, 완전히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함께 배출구(12)로 배출시키며, 상기 분해조(10)의 내부면에는 물 수위센서(19)가 설치되어 투입되는 물의 양을 체크하여 제어부에 의해 물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8)과 외부 수도 사이에 감압기(18a)가 더 형성되어 외부 수도의 압력 등을 조절하여 분사노즐(18)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바이오(Bio)분해촉진부(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해조(10)의 일측면에 착탈되어 분해조(10)의 유입구(11)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유입시, 분해촉진제를 투입하여 음식물쓰레기와 접합시켜 분해하도록 분해촉진제 저장부(21)와, 정량펌프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는 직사각형의 빈 함체로 형성되어 분해조(10)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의 내부에는 분해촉진제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는 직사각형 이외에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손잡이부(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의 상부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의 하부면에는 분해촉진제 저장부(21) 내에 저장된 분해촉진제가 배출되도록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의 바닥면은 유출구 측으로 분해촉진제가 모여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는 약 1리터정도의 용량으로 분해촉진제를 저장할 수 있어 통상적으로 약 3개월정도를 사용할 수 있고, 언제든 추가로 분해촉진제를 채울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정량펌프부(22)는 분해촉진제 저장부(21)에 저장된 분해촉진제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분해조(10)의 내부에 전달하도록 분해조(10)의 외부면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정량펌프부(22)는 제어부에 설정된 분해촉진제의 양에 따라 작동 시간이 설정되어 설정 양만큼 분해촉진제를 분해조(10)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 분해촉진제 또는 바이오분해촉진제는 바실러스균과 유산균의 혼합 균주 배양액, 한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실러스균과 유산균의 혼합 균주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해 0.6~1.0 중량부의 한천, 0.75~1.25 중량부의 탄산수소나트륨 및 12.5~17.5 중량부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배양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8 중량부의 한천, 1.0 중량부의 탄산수소나트륨 및 15 중량부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배양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바이오분해촉진부(20)는 도 6에서처럼 다른 실시예로써, 주사기 형태로 내부에 충진된 분해촉진제를 일측에 형성된 피스톤장치에 의해 분해촉진제를 밀어주어 분해촉진제를 분해조(10)의 유입구(11) 내에 투입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 형태의 바이오분해촉진부(20)는 분해조(1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데 탈부착이 가능하여 내부에 충진된 분해촉진제를 소진하면 전체를 교체하여 재사용한다.
상기 연결관(30)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해조(10)의 유입구(11)에 연통 설치되어 다방면으로 분기되는 "┬"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분쇄기와 연결되며, 반대측은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0)은 "┬" 형태로 다방면으로 분기된 형태로써, 3군데의 연결부위가 형성되고, 중앙부의 연결부위가 분해조(10)의 유입구(11)와 연결되고, 일측의 연결부위는 분쇄기와 관, 파이프, 튜브 등으로 이루어져 연결된 연결수단과 연결되며, 타측의 연결부위는 종래의 싱크대에 설치된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수단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30)은 "┬" 형태 이외에 설치환경과 상황에 따라 다수개의 분기관이 형성되는 형태로도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밸브부(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30)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방면으로 분기된 연결관(3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로써, 통상 전자밸브, 3way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밸브부(4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제어부에 설정된 제어값에 따라 연결관(30)의 내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개폐 위치는 이하에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할 때 기술한다.
상기 제 2 밸브부(5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해조(10)의 배출구(12)에 설치되어 배출구(12) 내부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하는데, 상기 제 2 밸브부(50)는 통상 전자밸브, 3way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 밸브부(5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제어부에 설정된 제어값에 따라 분해조(10)의 배출구(12)의 내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개폐 위치는 이하에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할 때 기술한다.
상기 제어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해조(10)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제어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는 바이오분해촉진부(20), 제 1 밸브부(40), 제 2 밸브부(50), 분사노즐(18) 등을 제어하여 분해조(10)에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원활하게 분해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음식물 감량기에 대한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의 작동방법은 평상시에 제 1 밸브부(40)는 연결관(30)의 내부 중 분해조(10)의 유입구(11) 측을 밀폐 차단한 상태이기에 분쇄기를 통과한 물은 연결관(30)을 통해 싱크대의 배수구 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데, 이때, 분쇄기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분쇄기와 연동되어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로 감지하여 제 1 밸브부(4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밸브부(40)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분해조(10)의 유입구(11) 측과 분쇄기 연결부위 측 연결관(30) 내부를 개방하는 동시에 싱크대의 배수구 측 연결관(30) 내부는 밀폐차단하는 동시에 제 2 밸브부(50)를 작동시켜 분해조(10)의 배출구(12)를 밀폐차단한다.
그러면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연결관(30)을 통해 분해조(10)의 유입구(11)로 이송되어 분해조(10)의 내부에 유입되고, 이때, 상기 유입구(11) 또는 분해조(10) 내부에 설치된 센서가 음식물쓰레기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정량펌프부(22)를 작동시켜 분해촉진제 저장부(21)에 저장된 분해촉진제를 설정된 정량만큼 분해조(10)의 유입구(11)에 전달하여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분해조(10) 내에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교반기의 교반모터(15)를 작동시켜 교반축(13)과 교반날개(14)를 회전시키고, 그로 인해 음식물쓰레기는 분해촉진제와 교반되어 섞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밸브부(50)는 분해조(10)의 배출구(12)를 제어부에 설정된 시간(약 3시간정도)만큼 밀폐차단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촉진제에 의해 완전히 분해될 수 있도록 분해조(10) 내에 구비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는 제 2 밸브부(50)를 작동시켜 분해조(10)의 배출구(12)를 개방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분사노즐(18)을 작동시켜 분해조(10) 내에 물을 분사하여 물과 함께 완전 분해된 음식물쓰레기가 분해조(10)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로 이송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분해조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교반축
14 : 교반날개 15 : 교반모터
16 : 받침대 17 : 타공
18 : 분사노즐 18a : 감압기
19 : 물 수위센서
20 : 바이오분해촉진부 21 : 분해촉진제 저장부
22 : 정량펌프부
30 : 연결관 40 : 제 1 밸브부
50 : 제 2 밸브부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된 분해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분해조(10)와;
    상기 분해조(10)의 일측면에 착탈되어 분해조(10)의 유입구(11)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유입시, 분해촉진제를 투입하여 음식물쓰레기와 접합시켜 분해하는 바이오분해촉진부(20)와;
    상기 분해조(10)의 유입구(11)에 연통 설치되어 다방면으로 분기되는 "┬"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분쇄기와 연결되며, 반대측은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관(30)과;
    상기 연결관(30)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방면으로 분기된 연결관(3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밸브부(40)와;
    상기 분해조(10)의 배출구(12)에 설치되어 배출구(12) 내부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하는 제 2 밸브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0)의 내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교반축(13)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4)가 형성되는 교반기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축(13)은 분해조(10)의 외측에 설치된 교반모터(15)에 의해 회전되면서 교반날개(14)가 음식물쓰레기와 분해촉진제를 혼합시키며,
    상기 분해조(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주는 동시에 회전되는 교반날개(14)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분해촉진제를 용이하게 혼합시켜주는 받침대(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6)는 반구형으로 일면에 다수개의 타공(17)이 형성되어 분해촉진제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쓰레기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0)의 내부면에는 분해조(1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18)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18)은 외부의 수도와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분해촉진부(20)는,
    상기 분해조(10)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하되, 빈 함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해촉진제가 저장되는 분해촉진제 저장부(21)와;
    상기 분해촉진제 저장부(21)에 저장된 분해촉진제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분해조(10) 내부에 전달하는 정량펌프부(2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촉진제는 바실러스균과 유산균의 혼합 균주 배양액, 한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PCT/KR2020/016154 2020-07-24 2020-11-17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WO202201938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04498A JP2023535055A (ja) 2020-07-24 2020-11-17 バイオ分解促進剤を活用した生ごみ減量処理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22 2020-07-24
KR1020200092022A KR102463747B1 (ko) 2020-07-24 2020-07-24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387A1 true WO2022019387A1 (ko) 2022-01-27

Family

ID=7972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154 WO2022019387A1 (ko) 2020-07-24 2020-11-17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535055A (ko)
KR (2) KR102463747B1 (ko)
WO (1) WO202201938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5A (ja) * 1994-06-20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処理装置
KR100831380B1 (ko) * 2008-01-28 2008-05-22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5655B1 (ko) * 2011-12-19 2013-07-11 주식회사 대경트라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분해방식의 처리장치
KR101709107B1 (ko) * 2016-01-18 2017-02-22 이영득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572U (ko) 2013-01-25 2014-08-04 한승남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일체형 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5A (ja) * 1994-06-20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処理装置
KR100831380B1 (ko) * 2008-01-28 2008-05-22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5655B1 (ko) * 2011-12-19 2013-07-11 주식회사 대경트라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분해방식의 처리장치
KR101709107B1 (ko) * 2016-01-18 2017-02-22 이영득 가정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47A (ko) 2022-02-04
KR20220145315A (ko) 2022-10-28
KR102463747B1 (ko) 2022-11-04
JP2023535055A (ja)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0629C (en) Automated biogenerator
CN109293158A (zh) 一种水利发电工程的污水废气净化处理系统
WO2022019387A1 (ko) 바이오분해촉진제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N205295179U (zh) 一种自动控制的发酵塔
WO2021182811A1 (ko)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N106861538B (zh) 一种可移动式生化系统活性污泥投加装置及方法
CN208038266U (zh) 一种一体化医院污水处理装置
KR100365305B1 (ko) 상수도 소독약품 분쇄 정량 투입기
CN207596687U (zh) 一种大型钢制污泥消化罐
CN207483387U (zh) 一体化应急加药设备
CN210230998U (zh) 一种用于处理湿垃圾的厨余机
CN113620550A (zh) 一种粪便处理器
CN209259717U (zh) 一种环保污水净化设备
KR102054354B1 (ko) 세척기능이 포함된 미생물 분해 변기
CN209697700U (zh) 园林有机废弃物处理装置
KR20040223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9383587U (zh) 一种可移动式的农村应急供水装置
CN207468360U (zh) 一种环境保护用生活污水处理装置
CN206543569U (zh) 一种用于高压喷淋除臭系统的自动配比器
CN2899984Y (zh) 生活垃圾处理机
WO2010002141A2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CN207108579U (zh) 电解型水净化处理器
CN110386716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15365399U (zh) 粪便处理器
CN214611644U (zh) 一种自来水厂活性炭应急投加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463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0449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463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