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650A - 그리기대 완구 - Google Patents

그리기대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650A
KR20140144650A KR20140067342A KR20140067342A KR20140144650A KR 20140144650 A KR20140144650 A KR 20140144650A KR 20140067342 A KR20140067342 A KR 20140067342A KR 20140067342 A KR20140067342 A KR 20140067342A KR 20140144650 A KR20140144650 A KR 2014014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trace
lid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도도코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가츠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가츠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가츠마
Publication of KR2014014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3/00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 B43L3/001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유아의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의 트레이스대로서, 부품수를 경감하면서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경량으로 들고다니기에 편리한 그리기대 완구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기대 완구(100)는 수지제이고 경량의 프레임(10)과 하우징(90)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은 트레이스대로서 경질의 평활부(40)로 되고, 이면은 광 착란 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부(30)를 긴쪽 방향에 다수 배열되는 동시에, 이면의 표면 처리로서 스테인 처리(21)를 실시한 판체(20)와,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의 단면에 배치되고, 발광광을 판체(20)의 내부에 사출하도록 하여 고휘도의 광을 발하는 광원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50)와, 판체(2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발광 다이오드(50)의 광을 위쪽에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반사판(60)과, 하우징내의 전지 수납부(80)에 장전 가능한 전지와, 광원을 점등 소등시키는 스위치(15)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리기대 완구{PICTURE DRAWING STAND TOY}
본 발명은 유아가 그림 등을 트레이스하여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로서의 트레이스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아기의 아이들은 그리기의 학습으로서, 간행물에 그려진 캐릭터 등을 흉내 내어 그리는 경우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캐릭터 등이 그려진 원지의 위에 용지를 놓고, 그 용지에 그림을 베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작업을 할 때에, 원지의 배후로부터 광을 비추는 트레이스대가 있으면, 그림을 베낄 때에 편리하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169704호에는 고휘도, 균일 조사가 가능하고, 경량이고 휴대성이 우수하며, 또한 원지 탑재판의 투명부 또는 반투명부상에서의 균일 휘도가 얻어지는 트레이스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169704호)에 나타내는 트레이스대는 고품질의 트레이스대로서, 균일한 면 발광을 실현하기 위해 미세 가공의 광학계 부재인 도광판을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고가의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아의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의 트레이스대로서, 부품수를 경감하면서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경량으로 들고다니기에 편리한 그리기대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리기대 완구는 수지제이고 경량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은 트레이스대로서 경질의 평활부로 되고, 이면은 광 착란 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부를 긴쪽 방향에 다수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이면의 표면 처리로서 스테인 처리를 실시한 판체와, 상기 판체의 둘레 가장자리의 단면에 배치되고, 발광광을 상기 판체의 내부에 사출하도록 하여 고휘도의 광을 발하는 광원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판체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해당 발광 다이오드의 광을 위쪽에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반사판과, 상기 하우징내의 전지 수납부에 장전 가능한 전지와, 상기 광원을 점등 소등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체의 요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판체의 둘레 가장자리에서는 오목부의 폭을 좁게 하고 볼록부의 폭을 넓게 하고 있고, 상기 판체의 중앙에서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의 폭이 대략 균등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백색광을 발광시키는 광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상기 하우징내에서 해당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스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해당 덮개부의 안쪽에 포켓을 갖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와, 용지 유지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의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의 트레이스대로서, 부품수를 경감하면서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경량으로 들고다니기에 편리한 그리기대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체의 요철부는 상기 판체의 둘레 가장자리에서는 오목부의 폭을 좁게 하고 볼록부의 폭을 넓게 하고 있고, 상기 판체의 중앙에서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의 폭이 대략 균등하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먼 중앙 근방에서도 상기 판체 표면을 투과하는 광량을 많게 하여 밝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백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발광 수명이 길며, 경량의 그리기대 완구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를 하우징 안쪽의 긴쪽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트레이스대 영역의 명도 불균일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스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이동시에 트레이스대를 손상시키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덮개부의 안쪽에 포켓을 갖기 때문에, 베낀 그림용의 잘라냄 등을 포켓에 넣어 두면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와, 용지 유지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그림을 베끼는 작업을 할 때에 부주의하게 용지나 원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이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아이가 그림을 베끼기 쉬운 트레이스대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덮개부를 벗긴 사용시의 그리기대 완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덮개부를 갖는 그리기대 완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의 덮개부의 안쪽의 포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의 판체의 표리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의 짧은쪽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의 긴쪽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그리기대 완구(100)는 수지제이고 경량인 위쪽의 하우징인 프레임(10)과, 아래쪽의 하우징(90)과, 프레임(10)과 하우징(90)의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은 트레이스대로서 경질의 평활부(40)로 되며, 이면은 광 착란 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부(30)를 긴쪽 방향에 다수 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이면 전면의 요철부(30)의 표면 처리로서 스테인(stain) 처리(21)를 실시한 판체(20)와,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의 단면에 배치되고, 발광광을 판체(20)의 내부에 사출하도록 하여 고휘도의 광을 발하는 광원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50)를 구비한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판체(2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발광 다이오드(50)의 광을 위쪽에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반사판(60)과, 하우징내의 전지 수납부(80)에 장전 가능한 전지와, 광원을 점등 소등시키는 스위치(15)를 구비한다.
그리기대 완구(100)는 판체(20)의 요철부(30)는 일정 간격으로 되면서,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에서는 오목부의 폭을 좁게 하고 볼록부의 폭을 넓게 하고 있으며, 판체(20)의 중앙에서는 오목부와 볼록부의 폭이 대략 균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리기대 완구(100)는 발광 다이오드(50)가 백색광을 발광시키는 광원이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프레임(10)이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며, 발광 다이오드(50)는 하우징내에서 프레임(10)의 긴쪽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이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트레이스대를 덮는 덮개부(91)를 구비하며, 덮개부(91)의 안쪽에 포켓(92)을 갖는 것이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향하도록 스토퍼(18, 19)와, 용지 유지구(17)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리기대 완구(100)는 하우징(90)이 아래쪽에 다리부(95)를 갖고,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덮개부(91)를 벗긴 사용시의 그리기대 완구(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덮개부(91)를 갖는 그리기대 완구(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100)의 덮개부(91)의 안쪽의 포켓(9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기대 완구(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기의 학습으로서, 직사각형의 프레임(10)의 중앙에 위치하는 트레이스대로 되는 평활부(40)의 위에 캐릭터 등이 그려진 원지를 놓고, 또한 그 원지의 위에 용지를 놓아, 그 양쪽의 종이를 트레이스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토퍼(18, 19) 및 스프링으로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용지 유지구(17)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용지에 그림을 베낄 때에, 스위치(15)를 조작하여 조명을 점등시켜 원지의 배후로부터 광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킨 면 발광에 의한 광을 비추어, 간단하게 그림을 베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레이스대이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유아의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의 트레이스대로서 사용된 상태에서, 트레이스대로 되는 평활부(40)를 덮도록 별체의 덮개부(91)를 위쪽으로부터 부착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쪽에 있는 덮개부 분리 버튼(93)으로 덮개부(91)를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리기대 완구(100)는 들고다닐 때에 트레이스대를 손상시키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기대 완구(100)의 덮개부(9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에 베끼기용의 캐릭터 등이 그려진 원지를 격납 가능하게 하는 포켓(92)을 구비한다. 포켓(92)은 덮개부(91) 안쪽에서 10㎜ 정도의 두께 공간을 갖고 용지를 격납할 수 있는 케이스로 되어 있으며, 입구를 반원으로 잘라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낀 그림용의 잘라냄 등을 포켓(92)에 넣어 두면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그리기대 완구(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100)의 판체(20)의 표리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기대 완구(1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하우징(90)의 내부에, 표면이 트레이스대로 되고 이면측에서 광 착란 구조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체(20) 및 반사판(60)과, 발광 다이오드(50) 등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경량의 경질 수지제의 판형상으로서, 위쪽에서 트레이스대 둘레 가장자리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며, 하우징(90)은 아래쪽에서 내장 부품을 수납하는 토대를 형성하기 위해 격자형상으로 다수의 리브가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양자에서 판체(20)나 반사판(60) 등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그리기대 완구(100)는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몇 개의 조명 부재가 격납되어 있다.
판체(20)의 표면은 그리기대 완구(100)의 용지를 놓는 곳으로서, 또한 트레이스대 영역으로서, 배면으로부터 조명광을 발하는 부분이다. 판체(20)는 두께 5㎜정도의 경질이고 튼튼한 투명 수지인 아크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이다. 판체(20)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트레이스대로 되는 평활부(40)와,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에 프레임(10)과 걸어 맞추는 프레임 걺부(41)를 갖는 것이다. 또, 판체(20)는 표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스토퍼 걺부(42)와 용지 유지구(17)를 부착하기 위한 절결(43)을 구비하고 있으며, 스토퍼(18, 19) 및 용지 유지구(17)의 부재를 프레임(10)의 이면과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의 사이에 두도록 하여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판체(20)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에 리브(25)를 형성하도록 하여, 이면의 대략 전면을 주위로부터 움푹 패이게 하고, 이면의 둘레 가장자리 내부에는 광 착란 구조를 형성하는 세로로 홈을 잘라 형성시키는 요철부(30)를 긴쪽 방향을 따라 일면에 다수 배열시키고 있다. 또한, 이 요철부(30)의 표면 처리로서, 조명광의 확산 기능을 도모하여 스테인 처리(21)를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판체(20)의 이면은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는 요철부(30)를 일면에 형성해 두는 것에 의해, 판체(20)의 양 사이드의 요철부(30)의 측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을 난반사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요철부(30)는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에서는 5㎜마다 약 1㎜ 폭으로 1㎜ 깊이의 홈을 잘라 형성시키고, 판체(20)의 중앙에서는 5㎜마다 약 2.5㎜ 폭으로 1㎜ 깊이의 홈을 잘라 형성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 광이 닿기 어려운 판체(20)의 중앙 근방에서도 홈 폭을 넓게 함으로써, 판체(20)의 표면과 평행에 가까운 광선을 반사하여 판체 표면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판체 중앙부 근방에서 증가시키고, 광량을 올릴 수 있다.
또, 판체(20)는 이면 전면의 요철부(30)를 스테인 처리(21)로 함으로써, 조명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판체(20)를 표면에서 보았을 때에 비쳐 보이는 이면의 요철부(30)에 의한 긴쪽 방향의 선을 눈에 띄게 하지 않는다.
또한, 이면의 대략 전면을 리브보다도 후퇴시키고, 반사판(60)과의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면에서 반사판 방향으로 난반사된 광이 반사판(60)에서 반사되고, 재차 이면을 투과할 때에 산란시켜, 판체 표면을 투과하는 광을 일률적으로 균일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판체(20)는 한쪽의 면의 요철부(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간단한 형상으로 하여 비교적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저렴한 것으로 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50)는 그리기대 완구(100)의 광원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상에 등간격으로 복수 실장되는 칩 타입의 고휘도의 백색 LED로 이루어지고, 그리기대 완구(100)의 내부에서 그리기대 완구(100)의 긴쪽 방향의 대향하는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시키고 있다. 또, 발광 다이오드(50)는 판체(20)의 단면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시키고 있다. 백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 다이오드(5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발광 수명이 긴 그리기대 완구(100)로 할 수 있다.
반사판(60)은 유리재 또는 금속재에 알루미늄을 표면에 증착시켜 형성한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미러로서, 판체(20)와 아울러, 발광 다이오드(50)의 조사광을 효율적으로 면 발광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전지의 전지 수납실(80)을 갖고, 전지 수납실(80)은 발광 다이오드(50)를 점등시키기 위한 주전원으로 되는 단일 전지, 단이 전지 또는 단삼 전지 등의 소정의 범용 전지를 복수개 수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전지 수납실(80)은 하우징(90)내에서 유일하게 두께가 있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다리부(95)를 형성하며, 그리기대 완구(100) 자체를 경사시키고 있다.
또한, 그리기대 완구(100)는 수납된 전지를 주전원으로 하며, 소정의 회로에 의해 정전류, 정전압을 구성하고, 스위치(15)의 ON-OFF조작에 의거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50)를 일제히 점등 소등시킨다.
다음에, 그리기대 완구(100)에 있어서,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100)의 짧은쪽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그리기대 완구(100)의 긴쪽 방향의 단면도이다.
그리기대 완구(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50)를 판체(20)의 에지 근방에 배치시키고, 하우징 내부를 반사판(60)과 판체(20)로 이루어지는 부품수가 적은 구성으로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완구의 양 사이드의 긴쪽 방향의 안쪽에 배치한 발광 다이오드(50)의 사출광을 판체(20)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입사시키는 것에 의해, 광이 판체(20)의 내부나 반사판(60)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진행할 때, 요철부(30)의 요철면이나 요철 경계면에 도달한 광은 요철면에 의해 위쪽인 트레이스대의 방향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사판(60)의 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판체(20)의 이면과 반사판(60)의 사이에는 공간을 마련해 두는 것에 의해, 요철부(30)에서 반사된 아래쪽광이 반사판(60)에서 반사되고, 요철부(30) 표면의 스테인 처리(21)까지의 거리가 생겨 광의 확산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 판체(20)의 측면으로부터 입사되어 판체(20)의 내부나 아래쪽 공간을 진행하는 광은 판체(20)의 측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진행하는 광에 따라, 판체(20)의 표면과 평행에 가까워지고,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투과하는 광량이 감쇠되게 되는 것도 요철부(30)의 홈의 폭을 넓힘으로써, 난반사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고 표면으로부터 위쪽에 투과하는 광량을 올리고 있으며, 또, 발광 다이오드(50)의 가장 가까운 휘점 부분의 광은 프레임(1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차광시키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스 영역을 비교적 균질하게 면 발광시킬 수 있다.
또, 그리기대 완구(100)는 긴쪽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50)가 하우징(90) 내부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50)는 긴쪽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밀집하도록 배치하면, 트레이스대 영역의 조명광을 더욱 균일광으로 하고, 트레이스대 영역의 명도 불균일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18, 19)와, 용지 유지구(17)를 구비하기 때문에, 그림을 베끼는 작업을 할 때에 부주의하게 용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우징(90)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에 다리부(95)를 갖고,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아이가 그림을 베끼기 쉬운 트레이스대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의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의 트레이스대로서, 부품수를 경감하면서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경량으로 들고다니기에 편리한 그리기대 완구(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판체(20)의 요철부(30)는 판체(20)의 둘레 가장자리에서는 오목부의 폭을 짧게 하고 볼록부의 폭을 길게 하고 있고, 판체(20)의 중앙에서는 오목부와 볼록부의 폭이 대략 균등하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먼 중앙 근방에서도 판체(20) 표면을 투과하여 광량을 많게 하여 밝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의 그리기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교육 완구의 트레이스대로서, 부품수를 경감하면서 면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경량으로 들고다니기에 편리한 그리기대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10; 프레임 15; 스위치
17; 용지 유지구 18; 스토퍼
19; 스토퍼 20; 판체
21; 스테인 처리 25; 리브
30; 요철부 40; 평활부
41; 프레임 걺부 42; 스토퍼 걺부
43; 절결 50; 발광 다이오드
60; 반사판 80; 전지 수납실
90; 하우징 91; 덮개부
92; 포켓 93; 덮개부 분리 버튼
95; 다리부 100; 그리기대 완구

Claims (17)

  1. 수지제이고 경량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은 트레이스대로서 경질의 평활부로 되고, 이면은 광 착란 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부를 긴쪽 방향에 다수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이면의 표면 처리로서 스테인 처리를 실시한 판체와,
    상기 판체의 둘레 가장자리의 단면에 배치되고, 발광광을 상기 판체의 내부에 사출하도록 하여 고휘도의 광을 발하는 광원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판체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해당 발광 다이오드의 광을 위쪽에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반사판과,
    상기 하우징내의 전지 수납부에 장전 가능한 전지와,
    상기 광원을 점등 소등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요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판체의 둘레 가장자리에서는 오목부의 폭을 좁게 하고 볼록부의 폭을 넓게 하고 있고, 상기 판체의 중앙에서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의 폭이 대략 균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백색광을 발광시키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하우징내에서 해당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하우징내에서 해당 하우징의 긴쪽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해당 덮개부의 안쪽에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해당 덮개부의 안쪽에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해당 덮개부의 안쪽에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와, 용지 유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와, 용지 유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와, 용지 유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도록 스토퍼와, 용지 유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아래쪽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스대가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대 완구.
KR20140067342A 2013-06-11 2014-06-03 그리기대 완구 KR201401446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3010A JP6302175B2 (ja) 2013-06-11 2013-06-11 お絵描き台玩具
JPJP-P-2013-123010 2013-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50A true KR20140144650A (ko) 2014-12-19

Family

ID=5213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7342A KR20140144650A (ko) 2013-06-11 2014-06-03 그리기대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02175B2 (ko)
KR (1) KR20140144650A (ko)
CN (1) CN104225937B (ko)
HK (1) HK1205036A1 (ko)
TW (1) TWI631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7612B1 (ja) * 2014-07-02 2015-02-25 株式会社バンダイ 描画玩具
JP6666954B2 (ja) * 2018-05-25 2020-03-18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10835813B2 (en) 2018-05-25 2020-11-17 Nintendo Co., Ltd. Gam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958U (ko) * 1971-02-03 1972-09-13
JPS48105644U (ko) * 1972-03-15 1973-12-08
JPS5268528A (en) * 1975-12-02 1977-06-07 Hiroko Chiba Device for copying
JPS538350U (ko) * 1976-07-05 1978-01-24
JPS55130888U (ko) * 1979-03-09 1980-09-16
CN86206468U (zh) * 1986-08-27 1987-12-12 马世强 “模板积木”绘画器
JP2927392B2 (ja) * 1993-12-28 1999-07-28 神栄株式会社 面発光体の製造方法
JPH07270624A (ja) * 1994-03-30 1995-10-20 Eeshitsuku Kk 面発光用導光板
GB2309010A (en) * 1996-01-10 1997-07-16 Invicta Toys & Games Ltd Drawing device for children
US20040259649A1 (en) * 2003-04-15 2004-12-23 Hayao Mizoguchi Oil painting set
US6981778B2 (en) * 2004-01-16 2006-01-03 Artograph, Inc. Portable light box
CN101480900A (zh) * 2008-01-11 2009-07-15 朱晏墨 多功能书写绘画器具
CN201380683Y (zh) * 2009-02-17 2010-01-13 深圳市深华龙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临摹画板
JP3178062U (ja) * 2012-06-18 2012-08-30 株式会社アガツマ お絵描き台玩具
JP3178061U (ja) * 2012-06-18 2012-08-30 株式会社アガツマ お絵描き台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5036A1 (en) 2015-12-11
JP6302175B2 (ja) 2018-03-28
TWI631981B (zh) 2018-08-11
TW201507765A (zh) 2015-03-01
JP2014239758A (ja) 2014-12-25
CN104225937A (zh) 2014-12-24
CN104225937B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33865A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JP2012028323A (ja) 導光アセンブリ
JP2007329091A (ja) 操作スイッチ及び遊技スイッチ
JP2009032564A (ja) 車両用灯具、及び、車両用灯具に用いられる導光レンズ
JP2007054481A (ja) 装飾装置及び遊技機
JP2018171941A (ja) カーテシランプおよびカーテシロゴランプ
JP2006141808A (ja) 遊技機における表示装置
JP2006236853A (ja) 導光体及び導光体を備えた照明装置
US20150124445A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box
KR20140144650A (ko) 그리기대 완구
JP3178062U (ja) お絵描き台玩具
JP2015088375A (ja) 灯火器
JP6867109B2 (ja) ドアミラー用ターンランプ及びターンランプ付きドアミラー
JP3178061U (ja) お絵描き台玩具
JP3229700U (ja) お絵描き台玩具
JP5401641B2 (ja) 床面埋設型誘導灯装置
JP6162559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6000184B2 (ja) 照明装置
JP2013109863A (ja) 車両用灯具
JP2009199909A (ja) 光ガイド
JP6168455B2 (ja) スイッチ
US20130278448A1 (en) Illumination module and illuminated keyboard having the same
JP2012206597A (ja) ドアミラー用灯具
JP2020013643A (ja) 導光体
JP2019220287A (ja) 面状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