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311A - 비선형 저항 소자 - Google Patents

비선형 저항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311A
KR20140143311A KR1020137031662A KR20137031662A KR20140143311A KR 20140143311 A KR20140143311 A KR 20140143311A KR 1020137031662 A KR1020137031662 A KR 1020137031662A KR 20137031662 A KR20137031662 A KR 20137031662A KR 20140143311 A KR20140143311 A KR 2014014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insulating resin
ceramic sheet
shap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타케나카
토시히코 스즈키
나오유키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오토와덴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와덴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토와덴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006Thick film var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02Varistor boundary, e.g. surfac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05Varistor cores
    • H01C7/108Metal oxide
    • H01C7/112ZnO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를 제공한다. 비선형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세라믹 시트(10)가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이 절연성 수지(12)에 의하여 판 형상으로 고형화됨으로써 구성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이 세라믹 시트(10)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도통 경로의 각각을 구성하고, 또한, 도통 경로의 양 단을 구성하는 세라믹 조각(11)이 절연성 수지(12)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비선형 저항 소자{NONLINEAR RESISTIVE ELEMEN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피뢰기, 서지(surge) 흡수 소자 또는 전압 안정화 소자 등의 과전압 보호 장치에 이용되는 비선형 저항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리스터(varistor)라 불리는 비선형 저항 소자는 인가 전압에 의해서 그 저항값이 변하는 특성, 즉 정상 전압이 인가된 때에는 고 저항값에 있어 절연 특성을 나타내고, 비정상 고 전압이 인가된 때에는 저 저항값을 나타내 비선형성 전압-전류 특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비선형 저항 소자는 서지 및 노이즈의 흡수를 목적으로 한 피뢰기 또는 서지 흡수기, 또는 전압 안정화 소자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비선형 저항 소자는, 예를 들면, 산화 아연(ZnO)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소결체로 이루어진다. 해당 세라믹 소결체는, 산화 아연과 비직선성 전압-전류 특성을 발현시키는 기본 첨가물인 산화 비스무트, 산화 안티몬 및 산화 코발트 중 적어도 하나와 추가적 성능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각종 산화물을 포함한 원료 분말이 성형되며, 해당 성형체가 소성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세라믹 소결체에는, 예를 들면, 장방형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설치되는 장소나, 전극이 되는 부재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허문헌 1: 특개 2003-59705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소 63-287584호 공보
그러나 세라믹 소결체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비선형 저항 소자의 설치 공간의 형상 및 용량이 제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비선형 저항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는 세라믹 소결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세라믹 조각이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판 형상으로 고형화됨으로써 형성되는 세라믹 시트를 적어도 구비하며,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세라믹 조각이 상기 세라믹 시트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도통 경로(conduction path)의 각각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도통 경로의 양 단을 구성하는 상기 세라믹 조각이 상기 절연성 수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에 대한 상기 세라믹 조각의 돌출 부분이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돌출 부분 표면의 일부 혹은 전부가 대략 구면 모양 또는 대략 타원 구면 모양 등, 대략 중앙부가 그 다른 부분보다 높아지는 듯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의 한 쌍의 주면(主面) 중 일방 또는 쌍방을 피복하는 도전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세라믹 조각으로 구성된 세라믹 조각 층(layer)이 상기 세라믹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고형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세라믹 시트와, 도전층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에 의하면, 절연성 수지에 대한 세라믹 조각의 돌출량이 확보되는 만큼, 해당 절연성 수지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세라믹 시트의 가요성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형상 및 용적의 공간에 맞춰 비선형 저항 소자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시트가 절연성 수지 부분에 있어서 적당한 공구에 의하여 재단되어, 그 형상 및 크기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설치 공간의 형상 및 크기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선형 저항 소자의 전극 또는 단자를 구성하는 전도체의 표면에 따르도록 세라믹 시트가 변형된 경우, 세라믹 조각의 돌출 부분을 해당 도전체에 대해 확실히 당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라믹 시트를 관통하는 도통 경로의 일단 또는 양단을 구성하는 세라믹 조각과 해당 도전체의 전기적 접점이 확실히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여 비선형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세라믹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세라믹 시트 및 그 양 주면을 피복하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있는 비선형 저항 소자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비선형 저항 소자의 변형 태양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비선형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세라믹 시트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비선형 저항 소자의 변형 태양에 관한 설명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서 비선형 저항 소자는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세라믹 시트(10)를 구비하고 있다. 세라믹 시트(10)는, 세라믹 소결체로 이루어진 대략 구 형상의 복수의 세라믹 조각(또는 세라믹 비즈)(11)이 거의 평판 형상으로 분산 배치된 상태로 절연성 수지(12)에 의한 거의 평판 형상으로 고형화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1에 제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은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세라믹 시트(10)의 형상은 직사각형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그 용도에 맞추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세라믹 조각(11)는 대략 구형상 이외에 타원 형상, 원주 형상 등의 주상, 원통 형상 등의 통상, 원뿔 사다리꼴 모양 등의 추 사다리꼴 모양, 또는 직육면체 모양 혹은 정십이면체 등의 다면체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세라믹 조각(11)은, 산화 아연(ZnO), 티타늄산 스트론튬(SrTiO3), 탄화 규소(SiC) 또는 산화 주석(SnO2)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선형성의 전기 저항 특성을 갖는 세라믹 소결체로 구성되어 있다. 산화 주성분에 대한 첨가 성분으로는 Bi2O3, Pr6O11, BaTiO3, SrTiO3, TiO2, SnO2또는 Fe3O4 등이 선택된다.
절연성 수지(12)로서는,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또는 올레인계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등 용도에 따른 절연성 및 유연성을 겸비하고 있는 다양한 수지가 채용된다. 절연성 수지(12)는 실온과 다른 어느 일정 온도 범위에서 유연성이 나타나는 수지라면 좋다.
절연성 수지(12)로서는, 난연성, 내열성 또는 열 전도성이 뛰어난 수지가 이용됨으로써 열적 성질의 향상 및 전기 성능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절연성 수지(12)는 그 난연성, 내열성 또는 열 전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첨가물이 함유되어도 좋다. 해당 첨가물로서는, 알루미나 등의 산화물, 또는 질화 알루미늄 또는 질화 붕소 등의 비산화물 이외에 표면이 절연 가공된 열 전도성 입자(금속 및 비금속 화합물의 구별을 불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연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미량의 도전체 입자가 채용될 수 있다.
절연성 수지(12)로서, 가열에 의해 변색되는 성질을 가진 수지를 채용함으로써, 서지 전압 인가의 유무나 소자 열화 정도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므로, 세라믹 시트(10)의 교체 여부를 판정한다는 관점에서 가치가 있다. 이 경우, 소자 양면의 전극층(13)이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물리적 방법에 의해 형성된 ITO(인듐 주석 산화물)등의 투명 전극이면, 눈으로 확인이 더욱 쉬워 진다.
도 2에 나타나고 있듯이, 각 세라믹 조각(11)이 세라믹 시트(10)를 그 두께 방향(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각 도통 경로를 구성하여, 각 도통 경로의 양끝을 구성하는 세라믹 조각(11)이 절연성 수지(12)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세라믹 조각(11)의 해당 돌출부는 거의 중앙부가 높은 거의 구면 형태(볼록 형상)이다. 세라믹 시트(10)의 주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세라믹 조각(11)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전기적 접점이 구성되도록 당접하고 있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비선형 저항 소자는 세라믹 시트(10)의 한 쌍의 주면의 각각을 피복하는 한 쌍의 전극층(도전층)(13)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세라믹 시트(10)의 일방의 주면만이 전극층(13)에 의해 피복되어도 좋다. 게다가 비선형 저항 소자는 전극층(13)의 바깥쪽을 보호하는 절연성 수지층 또는 절연성 수지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조방법)
세라믹 조각(11)의 제조에 있어서, 예컨대, 주성분인 ZnO 분말에 대해서, Bi2O3:0.5[mol%], Sb2O3:1.0[mol%], Co2O3:0.5[mol%], MnO2:0.5[mol%], Cr2O3:0.5[mol%], Al(NO3)·9H2O:0.01[mol%]이 첨가되어, 추가로 용제 및 분산제가 더해져 혼합된 슬러리가 정제된다.
상기 슬러리가 적당한 용기에 수용되어, 다른 용기에 수용되지 않은 알긴산 암모늄 수용액과 함께 공통의 노즐을 거쳐 금속 아연을 녹인 희질산 수용액 중에 적가된다. 알긴산 암모늄이 금속 아연을 녹인 희질산에서 겔이 되어 젤 상태로 고형화됨으로써 해당 젤에 의하여 피복된 거의 구형상의 성형체가 얻어질 수 있다. 슬러리에 대해 알긴산 암모늄 수용액이 직접적으로 첨가되어도 좋다. 용액과 해당 용액 중에서 젤 상으로 고형화된 물질과의 조합은 적당히 변경되어도 좋다.
1회당 적하량에 따라 성형체, 나아가 세라믹 조각(11)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알긴산 암모늄 수용액의 농도 및 희질산 수용액에서의 금속 아연의 농도는 적당히 조절된다. 과립분을 대신해서, 세라믹 성형체가 가소된 뒤 분쇄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분쇄물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과립분이 적당한 형상의 금형의 동공(cavity)에 충진 및 성형됨으로써 대략 구형상, 타원 형상, 원주 형상, 각기둥 형상, 원뿔 사다리꼴 형상, 다면체 형상 등 임의 형상의 성형체가 제작되어도 좋다.
성형체가 건조된 뒤 연소됨으로써 거의 구 모양의 세라믹 소결체가 세라믹 조각(11)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ZnO계 세라믹이면, 1100[℃]에서 2시간 동안 연소된다. 건조 중에 성형체가 편평한 형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 건조된 성형체가 교반되면서 건조되어도 좋다.
거의 구형의 세라믹 조각(11)의 평균 지름 r은 예를 들면 0.2~5[mm]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조절되고 있다. 세라믹 조각(11)이 너무 작을 경우 그 성형이 어려워지는 한편, 세라믹 조각(11)이 너무 큰 경우, 세라믹 조각(11)의 조성적 또는 미세 구조적 불균일성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세라믹 조각(11)이 용융 상태의 절연성 수지(12)와 혼련되어 시트 모양으로 압출 성형됨으로써 상기 구성의 세라믹 시트(10)가 제조된다. 세라믹 조각(11)과 절연성 수지(12)와의 배합 비율이 조절됨에 따라 세라믹 조각(11)의 밀도(세라믹 시트(10)의 단위 면적당 세라믹 조각(11)의 개수) 또는 평균 간격이 조절된다. 그 결과, 비선형 저항 소자의 저항의 비선형성, 에너지 내성의 양(耐量) 및 과전수명(課電壽命) 등의 기본 성능에 더해서 정전 용량 및 그 주파수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 방열 특성 및 기계 강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압출 성형법을 대신하여 사출 성형법에 따라 세라믹 시트(10)가 제조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의 동공 내에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이 소정의 배열 패턴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용융 상태의 절연성 수지(12)가 금형 내에 사출된다. 예를 들면, 소형 전자 부품용 장치 등이 이용되고 세라믹 조각(11)이 절연성 접착제로서의 레지스트(포토 에칭법에 의해 소정의 개소 이외의 부분은 제거된다.)에 의해 소정의 개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의 간극이 절연성 수지로 충전되며, 그 결과에 의하여 같은 모양의 구성의 세라믹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세라믹 시트(10)의 주면 근처의 세라믹 조각(11)이 절연성 수지(12)에 의하여 피복된 경우 이를 노출시키기 위해 세라믹 시트(10)의 주면에 대해서 샌드 블라스트 가공되어도 좋고, 또는 적당한 용액에 의해 피복 부분이 용해된 다음 제거되어도 좋다. 해당 피복의 제거의 관점에서 절연성 수지(12)의 종류가 선택되어도 좋다.
세라믹 시트(10)의 양 주면에 은 입자와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도전 페이스트가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 또는 인쇄되어, 이것이 건조됨으로써 전극층(13)이 형성된다. 페이스트로서는 상온 경화형 도전성 접착제 또는 열 경화형의 도전성 접착제가 채용될 수 있다. 게다가 도전 입자로서는 은 이외에도, 동이나 금 혹은 탄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금 등의 화학적 방법,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물리적 방법, 또는 나노 크기의 은 입자의 도포 및 소부(燒付)에 의하여 전극층(13)이 형성되어도 좋다.
비선형 저항 소자의 훼손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전극층(13)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승온과 동시에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퓨즈 기능을 갖는 수지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전극층(13)에 퓨즈 기능을 갖추는 이외에 정규 특성 서미스터(PTC 서미스터)의 소결체 소편(小片)으로 이루어진 층이 비선형 저항 소자의 일방 또는 양방의 주면에 전극층(13)의 외측에서 접착되어도 좋다.
전극층(13)이 형성되는 대신, 도전성 판재가 세라믹 조각(11)에 대해 당접하도록 세라믹 시트(10)에 대해 접착제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단일 세라믹 시트(10)의 양 주면 중 적어도 일방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전극층(13)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절연성 수지(12)에 의한 전기적 단락이 방지되도록 해당 복수의 전극층(13)의 간격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전극층(13) 각각에 대해서 전기적 접점을 갖는 세라믹 조각 군(하나 또는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이 속한다.)끼리를 가르는 경계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의 간격이 조절된다.
경계 영역에서의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경계 영역에서의 세라믹 조각(11)의 체적 점유율은, 세라믹 시트(10)의 해당 세라믹 조각 군의 체적 점유율보다도 낮게 조절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각 전극층(13)을 전극 단자로 하는 다단자의 비선형 저항 소자가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비선형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세라믹 시트(10)는 도 4(a)에 나타내고 있듯이, 세라믹 시트(10)의 주면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에 의해 구성되는 세라믹 조각 층이, 세라믹 시트(10)의 두께 방향(도면 중 상하 방향)에 3개 적층된 상태로 절연성 수지(12)에 의하여 고형화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변형의 예로서, 도 4(b)에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듯이(단면도에서는 세라믹 조각(11)의 단면 지름은 한층 걸러 상이하다.), 복수의 대략 구 형상이고 동일한 지름의 세라믹 조각(11)이 입체 최조밀 충진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절연성 수지(12)에 의한 시트 모양으로 고형화되어도 좋다.
이 경우, 단일의 세라믹 조각(11)이 아니라 세라믹 시트(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당접하여 있는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에 의한 도전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세라믹 시트(10)의 제조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세라믹 시트(10)의 제조 방법과 같은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
세라믹 시트(10)의 일부 영역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단일의 세라믹 조각 (11)에 의한 도전 경로가 구성되어(도 2 참조), 그외 영역이 제2 실시 형태처럼 세라믹 시트(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당접하여 있는 복수의 세라믹 조각(11)에 의한 도전 경로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도 4 참조).
세라믹 시트(10)가 도전 경로의 존재 밀도(세라믹 시트(10)의 단위 면적당 도전 경로의 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세라믹 조각(11)의 존재 밀도와 동등)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세라믹 시트(10)의 제1 영역에서의 도전 경로의 존재 밀도 N1가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에서의 도전 경로의 존재 밀도 N2 보다도 높아지도록 세라믹 시트(10)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세라믹 조각(11)이 제1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절연성 수지(12)에 의하여 압출 성형법에 따라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성형된 후, 세라믹 조각(11)이 제1 비율보다 낮은 제2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절연성 수지(12)에 의해 제2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역시 압출 성형법에 따라 성형됨으로써 도전 경로의 존재 밀도에 조밀한 해당 구성의 세라믹 시트(10)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 중 일방 또는 양방으로 비선형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라믹 시트(10)와, 일방은 복수의 도전층이 당해 세라믹 시트(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적층됨으로써, 단일의 비선형 저항 소자가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의 작용 효과)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비선형 저항 소자에 의하면, 절연성 수지(12)에 대한 세라믹 조각(11)의 돌출량이 확보되는 만큼, 해당 절연성 수지(12)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세라믹 시트(10)의 가요성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형상 및 용적의 공간에 맞추어, 예컨대, 도 5(a)~(c)에 나타나고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비선형 저항 소자(도 2 참조)를 구성하는 세라믹 시트(10), 나아가 해당 비선형 저항 소자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비선형 저항 소자(도 4(a) 참조)를 구성하는 세라믹 시트(10), 나아가 해당 비선형 저항 소자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해 절연성 수지(12)의 두께 t가 큰 것이므로, 절연성 수지(12)의 소재 이외에 세라믹 조각(11)의 밀도 또는 세라믹 조각 층의 수가 조절됨에 따라, 세라믹 시트(10)의 용도에 따른 충분한 가요성이 확보될 수 있다.
세라믹 시트(10)의 주면의 일방 또는 양방에 전극층(13)이 설치되어 있어도(도 3 참조), 그 가요성이 확보되고 있는 한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세라믹 시트( 10)는 가위 또는 커터 등의 적당한 공구에 의해 절연성 수지(12)의 부분에 있어서 재단됨으로써 그 형상 및 크기가 쉽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세라믹 시트(10)를 구성 요소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의 설치 공간의 형상 및 크기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비선형 저항 소자의 전극으로 도전체(피뢰침 또는 어스 등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의 표면에 따르도록 세라믹 시트(10)가 변형된 경우, 세라믹 조각(11)의 돌출 부분을 해당 도전체에 대해 확실히 당접시킬 수 있다. 이것은 세라믹 조각(11)이 거의 원형 형상, 거의 타원 형상 또는 32면체 등의 다면 형상이며, 절연성 수지(12)에 대한 세라믹 조각(11)의 돌출 부분이 거의 등방적인 볼록 형상인 경우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비선형 저항 소자의 전극으로 도전체의 표면(도 5 (a)~(c)및 도 6 파선 참조)에 따르도록 세라믹 시트(10)가 변형된 경우, 세라믹 조각(11)의 돌출 부분을 해당 도전체에 대해 확실히 당접시킬 수 있다(도 5(a)~(c) 및 도 6 참조).
세라믹 시트(10)를 도전체에 대해 당접시키거나 또는 설치하는 작업은 공장에서의 비선형 저항 소자의 제조 단계에서 실행되어도 좋고, 전극 기능을 수행하는 도전체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비선형 저항 소자의 구성 또는 구현 단계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세라믹 시트(10)를 관통하는 도통 경로의 일단 또는 양단을 구성하는 세라믹 조각(11)과 해당 도전체와의 전기적 접점이 확실히 실현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세라믹 시트를 구성 요소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 및 그 설치 공간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10...세라믹 시트
11...세라믹 조각
12...절연성 수지
13...전극층(도전층)

Claims (5)

  1. 세라믹 소결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세라믹 조각이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판 형상으로 고형화됨으로써 형성되는 세라믹 시트를 적어도 구비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세라믹 조각이 상기 세라믹 시트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도통 경로의 각각을 구성하며,
    상기 도통 경로의 양단을 구성하는 상기 세라믹 조각이 상기 절연성 수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에 대한 상기 세라믹 조각의 돌출 부분이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의 한 쌍의 주면(主面) 중에 일방 또는 양방을 피복하는 도전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세라믹 시트에 의하여 구성되는 세라믹 조각 층이, 상기 세라믹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상으로 상기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고형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세라믹 시트와 도전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저항 소자.
KR1020137031662A 2012-04-04 2013-03-28 비선형 저항 소자 KR20140143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5965 2012-04-04
JP2012085965A JP5998328B2 (ja) 2012-04-04 2012-04-04 非線形抵抗素子
PCT/JP2013/059244 WO2013150952A1 (ja) 2012-04-04 2013-03-28 非線形抵抗素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311A true KR20140143311A (ko) 2014-12-16

Family

ID=4930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662A KR20140143311A (ko) 2012-04-04 2013-03-28 비선형 저항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7167B2 (ko)
EP (1) EP2709116B1 (ko)
JP (1) JP5998328B2 (ko)
KR (1) KR20140143311A (ko)
CN (1) CN103563015A (ko)
WO (1) WO2013150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7373B1 (en) * 2018-04-19 2019-05-21 Littelfuse, Inc. Jelly roll-typ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38347A (en) * 1970-03-31 F. Knippenberg Wilhelmus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GB1037822A (en) * 1961-12-15 1966-08-03 Ass Elect Ind Improvements relating to non-linear electrical resistance elements
NL298750A (ko) * 1962-10-03
NL6901659A (ko) * 1969-02-01 1970-08-04
JPS62287584A (ja) 1986-06-05 1987-12-14 岡谷電機産業株式会社 複合型サ−ジ吸収素子
JP2785256B2 (ja) 1987-05-19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配達区分システム
JPH0262005A (ja) * 1988-08-29 1990-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状バリスタ
JP2712046B2 (ja) * 1989-10-18 1998-02-10 宇部興産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5262754A (en) * 1992-09-23 1993-11-16 Electromer Corporatio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US5519564A (en) * 1994-07-08 1996-05-21 Lightning Eliminators Parallel MOV surge arrester
US6980196B1 (en) * 1997-03-18 2005-12-2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intable electronic display
US6055147A (en) * 1998-06-24 2000-04-25 Current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providing independent over-current protection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and transient-voltage suppression system employing the apparatus
US6323751B1 (en) * 1999-11-19 2001-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limiter device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3059705A (ja) 2001-08-20 2003-02-28 Otowa Denki Kogyo Kk 非線形抵抗素子
TW543258B (en) * 2001-10-08 2003-07-21 Polytronics Technology Corp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4335868A (ja) * 2003-05-09 2004-11-25 Otowa Denki Kogyo Kk アレスタ装置
JP4483508B2 (ja) * 2004-07-27 2010-06-16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150111B2 (ja) * 2007-03-05 2013-02-20 株式会社東芝 ZnOバリスター粉末
JP5560430B2 (ja) * 2010-10-05 2014-07-30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非線形抵抗素子
JP5998329B2 (ja) * 2012-04-04 2016-09-28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非線形抵抗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5449A1 (en) 2014-05-08
US9007167B2 (en) 2015-04-14
JP2013219091A (ja) 2013-10-24
EP2709116B1 (en) 2017-12-20
EP2709116A4 (en) 2014-10-08
EP2709116A1 (en) 2014-03-19
JP5998328B2 (ja) 2016-09-28
CN103563015A (zh) 2014-02-05
WO2013150952A1 (ja)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4158B1 (en) Nonlinear resistive element
JP5640249B2 (ja) 非線形抵抗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8204A (ko) 모놀리식 바리스터
US9142340B2 (en) Chip varistor
US9034217B2 (en) Voltage nonlinear resistor
KR20140143311A (ko) 비선형 저항 소자
JP2014036135A (ja) 静電気保護素子とその製造方法
CN111971759B (zh) 用于高温应用的变阻器
JP2004006519A (ja) 多端子バリスタ
JP3039005B2 (ja) チップバリスタ
JPWO2020149034A1 (ja) バリスタ集合体
EP2793331A1 (en) Anti-static element
KR100340130B1 (ko) 정 온도 계수 서미스터와 배리스터 복합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1386582A (zh) 聚合物压敏电阻器
WO2019146065A1 (ja) 電流-電圧非直線抵抗体用材料、電流-電圧非直線抵抗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93073A (ja) バリ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6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