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452A -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452A
KR20140141452A KR1020140060275A KR20140060275A KR20140141452A KR 20140141452 A KR20140141452 A KR 20140141452A KR 1020140060275 A KR1020140060275 A KR 1020140060275A KR 20140060275 A KR20140060275 A KR 20140060275A KR 20140141452 A KR20140141452 A KR 2014014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st
charg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543B1 (ko
Inventor
히로시 오오하라
사토루 사토
마사카즈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7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 battery to perform a critical function, e.g. cran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 연결의 작업성 향상과, 시험 결과 변동 해소와, 오접속, 쇼트의 트러블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피시험체(M)(M1∼M4)의 충방전 시험 장치(X1, X2)에 이용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A)는 제1 접속 단자(10)와 제2 접속 단자(20)를 갖는다. 제1 접속 단자(10)는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반고정되는 부착 기체(11)와,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12)를 갖는다. 제2 접속 단자(20)는 충방전 시험 장치(X1, X2)에 고정되는 베이스(21)와, 접속 작용체(12)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22)를 갖는다. 접속 작용체(12)와 피접속 작용체(2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접속 작용체(12)와 피접속 작용체(22)를 접속·분리함으로써, 피시험체(M)와 충방전 시험 장치(X1, X2) 간의 접속·분리를 행한다.

Description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CHARGE/DISCHARGE TESTING APPARATUS, CHARGE/DISCHARGE TESTING SYSTEM, ADAPTER POWERING ON CHARGE/DISCHARGE TESTING APPARATUS, AND CHARGE/DISCHARGE TESTING METHOD}
본 발명은 이차 전지(배터리) 등의 피시험체에 대하여 행하는 충방전 시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시험체와 충방전 전원을 접속하는 데 급전 어댑터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의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방법 및 이들에 이용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진보에 의해 고성능화, 소형화, 포터블화한 각종의 전자 기기의 분야나 환경 배려형 제품으로서의 전기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이차 전지의 연구 개발이나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차 전지를 충방전하여 시험을 행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충방전 시험 장치에서는 시험 효율의 향상을 위해,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행하는 충방전용의 범용 전원을 복수개 탑재하고, 이들 범용 전원에 의해 복수의 이차 전지에 대하여 시험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복수의 피시험체에 관해서, 소전류의 충방전 전류에 의한 충방전 시험(소전류 시험)과, 대전류의 충방전 전류에 의한 충방전 시험(대전류 시험)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소전류 시험에 대해서는 소전류 시험 장치를 준비하고, 대전류 시험에 대해서는 대전류 시험 장치를 준비하여, 그 때마다, 시험 장치의 교체 연결을 행하는 것이 행해져 있다. 이 점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충방전 시험용의 범용 전원(1…)에 의해 소전류 시험을 행하는 소전류 시험 장치(X1)를 이용하여 4개의 피시험체(M1∼M4)에 대한 소전류 시험을 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의 (b)는,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에 의해 대전류 시험을 행하는 대전류 시험 장치(X2)를 이용하여 4개의 피시험체(M1∼M4) 중 하나의 피시험체(M1)에 대한 대전류 시험을 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나머지 3개의 피시험체(M2∼M4)는 대기 상태에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소전류 시험을 행하고, 그것이 완료되면, 피시험체(M1∼M4)를 옮기고, 도 6의 (b)의 상태로 하여 대전류 시험을 행한다. 또한, 대전류 시험이 완료하여 재차 소전류 시험을 행할 때에는, 피시험체(M1∼M4)를 옮기고, 도 6의 (a)의 상태로 하여 소전류 시험을 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1] 소전류 시험
소전류 시험은 주로 내구 시험에 적용된다(소전류는 50A, 10A, 1A 등임).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전류 시험 장치(X1)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범용 전원(1)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4개의 피시험체(M1∼M4)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소용량의 범용 전원(1)도 4개 사용된다.
피시험체(M1∼M4)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범용 전원(1…)에 연결한다. 컨트롤러(60)의 제어하, 4개의 피시험체(M1∼M4)에 관해서 개별적으로, 각각 소용량의 범용 전원(1…)을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이들 4개의 피시험체(M1∼M4)에 대한 소전류 시험은 동시 병행적으로 실시된다.
4개의 피시험체(M1∼M4)에 관해서 소전류 시험이 종료되면, 각 피시험체(M1∼M4)를 각 범용 전원(1…)과의 접속 상태로부터 분리하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장소로 옮긴다. 피시험체(M1∼M4)의 분리 및 이동은 사람에 의해서 행해진다.
[2] 대전류 시험
대전류 시험은 주로 특성 평가 시험에 적용된다(대전류는 300A, 400A, 500A 등임). 대전류 시험 장치(X2)를 이용하여 시험할 때에는, 피시험체(M1∼M4)를 순차 교체하여 피시험체 하나씩에 대해 시험을 행한다. 하나의 피시험체에 대한 시험이 종료하면 피시험체를 교체하여 다음의 피시험체의 시험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피시험체(M1∼M4)에 대하여 순차로 시험을 실시한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류 시험 장치(X2)는 비교적 용량이 큰 충방전 전원(E2)을 1개 구비하고 있다.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장소로부터 옮겨져 온 4개의 피시험체(M1∼M4) 중, 1번째의 피시험체(M1)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에 연결한다. 나머지 3개의 피시험체(M2∼M4)는 대기 상태가 된다. 컨트롤러(60)의 제어하에, 우선 1번째의 피시험체(M1)에 관해서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을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1번째의 피시험체(M1)에 관해서 대전류 시험이 종료하면, 그 피시험체(M1)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과의 접속 상태로부터 분리하고, 대신에 2번째의 피시험체(M2)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에 연결하며, 이 2번째의 피시험체(M2)에 관해서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을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2번째의 피시험체(M2)에 관해서 대전류 시험이 종료하면, 그 피시험체(M2)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과의 접속 상태로부터 분리하고, 대신에 3번째의 피시험체(M3)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에 연결하고, 시험을 실시한다.
3번째의 피시험체(M3)에 관해서 대전류 시험이 종료하면, 그 피시험체(M3)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으로부터 분리하고, 대신에 4번째의 피시험체(M4)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에 연결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4번째의 피시험체(M4)에 관해서 대전류 시험이 종료하면, 그 피시험체(M4)를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상과 같이, 4개의 피시험체(M1∼M4)에 대한 대전류 시험은 순차 개별적으로 실시된다. 피시험체(M1∼M4)의 연결 교체는 사람에 의해서 행해진다.
소전류 시험과 대전류 시험의 1세트가 시험의 1사이클이며, 이 사이클을 복수회에 걸쳐 반복한다. 대전류 시험이 종료하면, 4개의 피시험체(M1∼M4)를 다시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장소로부터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장소로 되돌리게 된다.
도 7은 도 6의 (a)의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양태를 보다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6의 (b)의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양태를 보다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E1은 4개의 범용 전원(1)의 세트를 포함하는 충방전 전원(전원 유닛)이고, 2는 충방전 전원(E1)에 있어서의 엣지 커넥터부이며, 4는 회로 기판의 엣지부이고, 30은 피시험체(M1∼M4)에 있어서의 전원 접속 단자(단자 폴)이며, 40'는 회로 기판이고, 60은 컨트롤러이다. 회로 기판(40')으로부터 연장된 전력 수급 코드(71)의 선단부에 접속 단자(배터리 터미널)(72)가 부착되어 있고, 그 접속 단자(72)를 피시험체(M1∼M4)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끼워 장착하며, 너트 등의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로 체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1'는 범용 전원(1)에 비교해서 용량이 큰 대용량 전원이며, E2는 대용량 전원(1')의 세트를 포함하는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이고, 81은 충방전 전원(E2)으로부터 연장된 굵고 긴 대전류용의 전력 수급 케이블이며, 82는 전력 수급 케이블(81)의 선단부에 부착된 접속 단자(배터리 터미널)이다. 이 접속 단자(82)도 피시험체(M1∼M4)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끼워 장착하고, 너트 등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로 체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시험체는 소전류 시험 장치로의 접속 상태와 대전류 시험 장치로의 접속 상태가 빈번히 전환된다. 그 접속 전환의 구조로서, 종래는 도 6, 도 7, 도 8과 같은 구성을 취하고 있었다.
소전류 시험 장치(X1)에서는, 복수대의 범용 전원(1)을 복수의 피시험체(M1∼M4)에 접속하기 위한 회로 기판(40')으로부터 소전류용의 전력 수급 코드(71)가 연장되고, 그 전력 수급 코드(71)의 선단에,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72)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대전류 시험 장치(X2)에서는, 단일의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E2)으로부터 굵고 긴 대전류용의 전력 수급 케이블(81)이 연장되고, 그 전력 수급 케이블(81)의 선단에 동일하게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82)가 결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282150호
내구 시험이나 특성 평가 시험에서는 교체 연결이 빈번히 발생하고, 더구나 취급하는 피시험체의 시료수가 많기 때문에, 그때마다 교체 연결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쓰고 있다.
전력 수급 케이블 단부의 접속 단자(배터리 터미널)를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단자 폴)에 끼워 장착하여 체결 고정하지만, 특히 대전류 시험의 경우에는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강고히 고정해야 한다. 교체 연결 시에 단자 폴과 접속 단자 간의 접촉 저항이 변화하고, 이것이 원인으로 시험 결과(특히 특성 평가 시험 결과)에 변동을 일으키기 쉽다. 접촉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회, 체결 토크, 접촉 저항의 엄중한 관리가 필요하여, 시험의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대전류 시험의 경우에는, 중노동인 무겁고 긴 전력 수급 케이블의 취급이 불가피하다. 또한, 케이블 단부의 접속 단자의 부착·제거를 빈번히 행하기 때문에, 전극 역접속 등의 오접속, 쇼트 등의 트러블이 생기기 쉬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한 것으로, 피시험체와 소전류 시험 장치 및 대전류 시험 장치와의 교체 연결이 반복하여 빈번히 행해지는 소전류 시험 사이클과 대전류 시험 사이클 간의 전환에 있어서, 그 교체 연결의 시간과 노동력의 경감을 도모하면서 작업성을 향상하고, 시험 결과의 변동 문제를 해소하여, 전극 역접속 등의 오접속, 쇼트 등의 트러블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시험 장치는,
충방전 전원을 갖고, 피시험체에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로서,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충방전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급전 어댑터를 갖고,
상기 급전 어댑터는,
상기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半)고정되는 부착 기체(基體), 및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2 접속 단자를 갖고,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는,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시험 시스템은,
상기한 충방전 시험 장치를 두개 이상 갖는 충방전 시험 시스템으로서,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시험체에 대한 소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소전류 시험 장치이고, 다른 충방전 시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시험체에 대하여 상기 소전류 시험에 있어서의 시험 전류보다 큰 전류를 이용하는 대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대전류 시험 장치이며,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 및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는,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급전 어댑터는,
피시험체에 대한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에 이용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로서,
상기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고정되는 부착 기체, 및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2 접속 단자를 갖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급전 어댑터는,
피시험체에 대하여 소전류 시험을 행하는 소전류 시험 장치 및 상기 피시험체에 대하여 대전류 시험을 행하는 대전류 시험 장치를 갖는 충방전 시험 시스템에 이용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로서,
상기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고정되는 부착 기체, 및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2 접속 단자를 갖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 및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시험 방법은,
상기 어느 하나의 급전 어댑터를 사용하는 충방전 시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상기 피시험체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를 접속하여 소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분리하여, 소전류 시험을 종료하며,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를 접속하여 대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분리하여 대전류 시험을 종료하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간의 분리·접속에 의해, 상기 피시험체를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로부터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에 교체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로부터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로 교체 연결하여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급전 어댑터는 접속·분리 가능한 제1 접속 단자와 제2 접속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급전 어댑터의 제1 접속 단자는 부착 기체와 접속 작용체를 갖는다. 제1 접속 단자의 부착 기체는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고정된다. 제1 접속 단자의 접속 작용체는 직선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전 어댑터의 제2 접속 단자는 베이스와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다. 제2 접속 단자의 베이스는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된다. 제2 접속 단자의 피접속 작용체는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도록 직선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단자에서의 직선적인 접속 작용체와 제2 접속 단자에서의 직선적인 피접속 작용체는 상대적인 직선적 이동에 의해서 접속·분리 가능하다.
상기한 각각의 발명에 있어서, 충방전 시험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피시험체의 교체 연결은, 급전 어댑터에 있어서의 접속 작용체와 피접속 작용체를 상대적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접속 작용체와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체 연결을 신속·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방전 시험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피시험체의 교체 연결을, 급전 어댑터에 있어서의 접속 작용체와 피접속 작용체를 상대적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접속 작용체와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어, 종래예의 경우와 같은 전용 공구를 이용한 강고한 고정 작업은 불필요해지고, 시간과 노동력의 경감을 도모하면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선적인 이동식 구조의 급전 어댑터를 이용한 교체 연결이기 때문에, 접속 개소의 접촉 저항을 작게 하고, 그리고 접속·분리를 반복해도 접촉 저항을 일정화할 수 있어 시험 결과의 변동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어댑터의 제1 접속 단자는 부착 기체와 접속 작용체로 이루어지고, 그 부착 기체는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급전 어댑터의 제2 접속 단자는 베이스와 피접속 작용체로 이루어지고, 그 베이스는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 결과로서, 전력 수급 코드나 전력 수급 케이블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코드·케이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것도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코드나 케이블의 단부의 접속 단자의 부착·제거가 불필요해지면, 전극 역접속 등의 오접속의 위험성이 없어져, 쇼트 등의 트러블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시험 장치용 급전 어댑터의 구조의 소전류 시험 사이클에서의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시험 장치용 급전 어댑터의 구조의 대전류 시험 사이클에서의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급전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급전 어댑터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급전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예의 소전류 시험 및 대전류 시험을 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종래예의 소전류 시험 사이클에서의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예의 대전류 시험 사이클에서의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시험 장치용 급전 어댑터의 구조의 소전류 시험 사이클에서의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사시도), 도 2는 시험 장치용 급전 어댑터의 구조의 대전류 시험 사이클에서의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M1∼M4는 피시험체(배터리)이고, X1은 소전류 시험 장치이며, X2는 대전류 시험 장치이고, E1은 소용량의 충방전 전원(전원 유닛)이며, E2는 대용량의 충방전 전원이고, A는 급전 어댑터이며, 10은 급전 어댑터(A)에서의 제1 접속 단자이고, 20은 급전 어댑터(A)에서의 제2 접속 단자이며, 30은 피시험체(M)에서의 전원 접속 단자(단자 폴)이고, 40은 소전류 시험 장치(X1)에서의 회로 기판 등의 고정부이며, 51, 52는 대전류 시험 장치(X2)에서의 회로 기판 등의 고정부이고, 60은 컨트롤러이다. 전원 접속 단자(30)에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전류 시험 장치(X1)에 있어서는, 그 충방전 전원(E1)은 표준 타입의 소형의 범용 전원(1)을 4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류 시험 장치(X2)에 있어서는, 그 충방전 전원(E2)은 표준 타입의 소형의 범용 전원(1)을 8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충방전 전원(E2)은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충방전 전원(E1)을 2단 겹친 것에 상당한다.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충방전 전원(E1)에 있어서의 4개의 범용 전원(1)은 서로 독립적이며, 그 각각이 4개의 피시험체(M1∼M4)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대응한다. 한편,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충방전 전원(E2)에 있어서의 8개의 범용 전원(1)은 병렬로 접속되고, 1개의 피시험체(M)에 대해서만 대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피시험체(M)라 기술할 때에는, 4개의 피시험체(M1∼M4)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4개의 피시험체(M1∼M4)를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엣지 커넥터부(2)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하여 각 피시험체(M1∼M4)에 대한 소전류 시험을 행하는 소전류 시험 사이클과, 4개의 피시험체(M1∼M4) 중 하나의 피시험체(M)를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엣지 커넥터부(3)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하여 그 하나의 피시험체(M)에 대한 대전류 시험을 행하고, 그리고 이 대전류 시험을 4개의 피시험체(M1∼M4)에 있어서 하나씩 바꿔 행하는 대전류 시험 사이클을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전류 시험 장치(X1)에 있어서는, 4개의 범용 전원(1)을 갖는 충방전 전원(E1)의 충방전 전원과 회로 기판의 사이는 엣지 커넥터형식으로의 접속으로 되어 있다. 즉, 충방전 전원(E1)의 엣지 커넥터부(2)에, 고정부(40)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엣지부(4)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류 시험 장치(X2)에 있어서는, 충방전 전원(E2)의 엣지 커넥터부(3)에, 고정부(51, 52)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엣지부(5)가 삽입되어 있다.
피시험체(M)(M1∼M4)와 소전류 시험 장치(X1)에 있어서의 고정부(40)의 회로 기판은 플러그·소켓 구조의 급전 어댑터(A)를 통해 접속·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시험체(M)와 대전류 시험 장치(X2)에 있어서의 고정부(51, 52)의 회로 기판도 마찬가지로 플러그·소켓 구조의 급전 어댑터(A)를 통해 접속·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급전 어댑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3을 이용하여 급전 어댑터(A)의 구조를 설명한다.
피시험체(M)와 소전류 시험 장치(X1) 및 대전류 시험 장치(X2)와의 접속·분리를 행하는 급전 어댑터(A)는 제1 접속 단자(10)와 제2 접속 단자(20)로 구성되어 있다.
급전 어댑터(A)에서의 제1 접속 단자(10)는 부착 기체(基體)(11)와 접속 작용체(12)와 스토퍼(13)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 부착 기체(11)와 접속 작용체(12)와 스토퍼(13)는 일체적으로 연접된 형태로 되어 있다. 스토퍼(13)는 원주형이며, 부착 기체(11)와 접속 작용체(12)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부착 기체(11)는 피시험체(M)의 폴형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대하여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부착 기체(11)에는 전원 접속 단자(30)를 통과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관통 구멍에 폴형의 전원 접속 단자(30)를 삽입 관통하고, 그 돌출 선단부에 너트(31)를 나사 결합 체결함으로써, 제1 접속 단자(10)를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반고정적으로 결합시킨다. 반고정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은, 최초에 부착하면 후에는 항구적으로 그대로의 상태를 계속할 수 있을 정도로 결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너트(31)에 의한 제1 접속 단자(10)의 전원 접속 단자(30)로의 결합은 매우 강고하게 되어 있다.
부착 기체(11)와 일체의 접속 작용체(12)는 직선적인 플러그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형의 접속 작용체(12)는 피시험체(M)의 외주면으로부터 더욱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다.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의 선단부는 절두 원추부(12a)에 형성되어 있다.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는 플러스극·마이너스극의 한 쌍이 있고, 각각에 제1 접속 단자(10)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플러스·마이너스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10, 10)는 피시험체(M)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각각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 12)는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한편, 급전 어댑터(A)에서의 제2 접속 단자(20)는 베이스(21)와 피접속 작용체(22)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21)와 피접속 작용체(22)는 일체적으로 연접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제1 접속 단자(10)에 플러스극용과 마이너스극용의 한 쌍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접속 단자(20)도 플러스극용과 마이너스극용의 한 쌍이 있다. 제2 접속 단자(20)의 베이스(21)는, 소전류 시험 장치(X1)에 대해서는 그 고정부(40)의 상면에 고정되고, 대전류 시험 장치(X2)에 대해서는 그 하측의 고정부(51)의 상면과 상측의 고정부(52)의 하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접속 단자(20)의 피접속 작용체(22)는 상기의 직선형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삽입 인출할 수 있는 직선적인 삽입 구멍을 갖는 소켓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플러스·마이너스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0)는 베이스(21)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각각의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 22)는 서로 평행으로 되어있다.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의 외직경은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의 내직경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삽입 인출이 빈번하게 반복되더라도, 접촉 저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전류 시험 장치(X2)에 대해서는 제2 접속 단자(20)의 베이스(21)는 고정부(51, 5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21)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기계적으로도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0, 20)의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 22)의 수평 방향으로의 축선간 거리는, 한쌍의 제1 접속 단자(10, 10)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 12)의 수평 방향으로의 축선간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소전류 시험 장치(X1)에 피시험체(M)를 배치한 상태로, 한 쌍의 소켓형의 피접속 작용체(22, 22)의 축선 높이 위치가 한 쌍의 플러그형의 접속 작용체(12, 12)의 축선 높이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축선간 거리 및 축선 높이 위치를 서로 동등하게 설정하는 것은, 피시험체(M)의 교체 연결 시에 신속·용이한 작업을 보증하기 때문이다.
제1 접속 단자(10)의 스토퍼(13)는 피시험체(M)의 일측면에 맞닿아 위치 규제되어 있고, 그 위치 규제 상태로 전원 접속 단자(30)에 너트(31)를 나사 결합 체결함으로써, 제1 접속 단자(10)는 피시험체(M)에 반고정적으로 강고하고 그리고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소전류 시험 장치(X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0, 20)의 세트가 4개, 고정부(40)에 설치되어 있다. 각 세트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0, 20)가 하나의 범용 전원(1)에 대응한다. 이들 4 세트의 제2 접속 단자(20)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고,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0, 20)에 있어서도 서로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피시험체(M)에 있어서도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10, 10)는 서로 완전히 동일한 것이고, 4개의 피시험체(M1∼M4)끼리도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대전류 시험 장치(X2)에 있어서는, 제2 접속 단자(20)의 베이스(21)를 상하의 고정부(51, 52)에 고정하는 관계로, 베이스(21)의 높이가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것과는 상이하다. 그러나, 이것은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소전류 시험 장치(X1)와 대전류 시험 장치(X2)에서 베이스(21)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0, 20)의 세트는 1개만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8개의 범용 전원(1)을 베이스(2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하여 대전류를 공급함에 따른다.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급전 어댑터(A)의 상기 이외의 구조에 관해서는, 소전류 시험 장치(X1)와 대전류 시험 장치(X2)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전류 시험 사이클 시에, 도 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 어댑터(A)에서의 피시험체(M)측의 제1 접속 단자(10)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소전류 시험 장치(X1)측의 제2 접속 단자(20)의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에 삽입 관통하여,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인 결합을 행한다. 이 작업을 복수의 피시험체(M)의 모두에 대하여 행한다.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에 대한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의 결합은, 제1 접속 단자(10)를 수반하는 피시험체(M)를 제2 접속 단자(20)에 접근시키고,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에 위치 맞춤한 후에, 후에는 압입하는 것만으로 좋다. 이 때, 제1 접속 단자(10)의 스토퍼(13)가 제2 접속 단자(20)의 피접속 작용체(22)의 축방향 단부면에 맞닿아 위치 규제되기 때문에, 접속 작용체(12)와 피접속 작용체(22) 간의 축방향 접촉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도 접촉 저항을 안정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4개의 피시험체(M1∼M4)에 대한 소전류 시험이 끝나면, 다음에 대전류 시험 사이클로 전환하는 준비로서, 제1 접속 단자(10)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제2 접속 단자(20)의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로부터 인출한다. 이것은 제1 접속 단자(10)를 수반하는 피시험체(M)를 멀리 떼어내는 것의 작업만으로도 좋다.
대전류 시험 사이클에 있어서, 복수개 중 하나의 피시험체(M)측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대전류 시험 장치(X2)측의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에 삽입 관통하고,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인 결합을 행한다. 하나의 피시험체(M)에 대한 대전류 시험이 끝나면, 그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로부터 인출한다. 계속해서, 2번째의 피시험체(M)의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에 삽입 관통하여 결합한다. 이 경우도, 피시험체(M)를 제2 접속 단자(20)에 접근시키고,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좋다. 이하, 동일한 작업을 다른 피시험체(M)에 대하여 진행시켜 간다.
이 순차적인 대전류 시험이 모든 피시험체(M)에 관해서 종료하면, 다음에 소전류 시험 사이클로 전환하여 되돌리는 준비로서,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12)를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22)로부터 인출한다. 이것은 제1 접속 단자(10)를 수반하는 피시험체(M)을 멀리 떼어내는 것의 작업만으로도 좋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동시적인 소전류 시험 사이클과 순차적인 대전류 시험 사이클을 교대로 필요 횟수 반복한다.
상기의 반복 작업에서는, 제2 접속 단자(20)에 대한 제1 접속 단자(10)의 교체 연결을 몇 번이나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지만, 제1 접속 단자(10)의 접속 작용체(12)는 직선적인 플러그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제2 접속 단자(20)의 피접속 작용체(22)는 직선적인 소켓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직선적인 소켓형의 피접속 작용체(22)에 대하여 직선적인 플러그형의 접속 작용체(12)를 삽입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교체 연결을 신속·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삽입 인출에 의한 접속·분리의 작업에는 종래예에서 필요로 한 전용 공구는 불필요해진다. 즉, 시간과 노동력의 경감을 도모하면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전 어댑터(A)의 제1 접속 단자(10)의 부착 기체(11)는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에 반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또, 제2 접속 단자(20)의 베이스(21)는 소전류 시험 장치(X1)의 고정부(40), 대전류 시험 장치(X2)의 고정부(51, 52)에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 필요로 하였던 전력 수급 코드나 전력 수급 케이블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코드·케이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것도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전극 역접속 등의 오접속의 위험성이 없어져, 쇼트 등의 트러블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직선적인 소켓형의 피접속 작용체(22)에 대하여, 이것도 직선적인 플러그형의 접속 작용체(12)를 다이렉트로 삽입하여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접촉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소전류 시험 사이클과 대전류 시험 사이클 간의 빈번한 교체 연결에도 불구하고, 접촉 저항이 변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정한 값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로서, 종래예와 같이 교체 연결마다의 체결 토크·접촉 저항의 엄중한 관리가 불필요해지고, 시험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시험 결과의 변동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급전 어댑터(A)의 구조·형상에 관해서는, 피시험체(M)의 종류에 맞추어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구성한 것도 있다. 이것은, 피시험체(M)에 대한 부착 기체(11)가 L자형(직각형)으로 절곡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피시험체(M)의 전원 접속 단자(30)가 피시험체(M)의 가로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해 있는 것에 대응시키기 때문이다.
또, 상기한 구성에서는 제1 접속 단자가 플러그로 구성되고, 제2 접속 단자가 소켓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와는 반대로, 제1 접속 단자를 소켓으로 구성하고, 제2 접속 단자를 플러그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제1 접속 단자와 제2 접속 단자 간의 접속·분리에 있어서, 위치 고정된 제2 접속 단자에 대하여 제1 접속 단자쪽을 접근·이격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와는 반대로, 제1 접속 단자를 위치 고정시키고, 제2 접속 단자를 위치 고정된 제1 접속 단자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키도록 해도 좋다. 혹은, 제1 접속 단자와 제2 접속 단자의 쌍방을 접근·이격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플러그형 접속 작용체의 외직경이 소켓형 피접속 작용체의 내직경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쌍방의 직경이 서로 상이해도, 반복된 삽입 인출 시에 접촉 저항이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플러그형의 접속 작용체의 형상을 절두 원추를 수반하는 원주형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절두 원추를 수반하지 않는 원주형으로 해도 좋고, 절두형이 아닌 정점 첨예한 원추를 수반하는 원주형으로 해도 좋으며, 혹은 원주형 이외의 다각주형(추체부의 유무 및 절두의 유무를 묻지 않음)을 포함하는 임의 형상의 기둥형, 핀형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범용 전원(1)의 개수, 피시험체(M)의 개수에 관해서는 임의인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대전류 시험에 있어서는, 피시험체(M)를 하나 하나 순서대로 시험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피시험체(M)를 동시에 접속하여 시험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피시험체의 충방전 시험(내구 시험, 특성 평가 시험 등)을 행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에 관해서, 피시험체와 소전류 시험 장치 및 대전류 시험 장치와의 교체 연결이 반복하여 빈번히 행해지는 소전류 시험 사이클과 대전류 시험 사이클 간의 전환 시에, 그 교체 연결의 수고와 노동력을 경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시험 결과의 변동 문제를 해소하여, 전극 역접속 등의 오접속, 쇼트 등의 트러블을 미연에 회피하는 기술로서 유용하다.
A : 급전 어댑터 E1 : 소전류 시험용의 충방전 전원
E2 : 대전류 시험용의 충방전 전원 M, M1∼M4 : 피시험체
X1 : 소전류 시험 장치 X2 : 대전류 시험 장치
1 : 범용 전원 10 : 제1 접속 단자
11 : 부착 기체 12 : 접속 작용체(직선적인 플러그형)
20 : 제2 접속 단자 21 : 베이스
22 : 피접속 작용체(직선적인 소켓형) 30 : 전원 접속 단자
40, 51, 52 : 고정부(회로 기판)

Claims (5)

  1. 충방전 전원을 갖고, 피시험체에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로서,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충방전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급전 어댑터를 갖고,
    상기 급전 어댑터는,
    상기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半)고정되는 부착 기체(基體), 및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2 접속 단자
    를 갖고,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는,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
  2. 제1항에 기재된 충방전 시험 장치를 2개 이상 갖는 충방전 시험 시스템으로서,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시험체에 대한 소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소전류 시험 장치이고, 다른 충방전 시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시험체에 대하여 상기 소전류 시험에 있어서의 시험 전류보다 큰 전류를 이용하는 대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대전류 시험 장치이며,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 및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는,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시험 시스템.
  3. 피시험체에 대한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에 이용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로서,
    상기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고정되는 부착 기체, 및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2 접속 단자
    를 갖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4. 피시험체에 대하여 소전류 시험을 행하는 소전류 시험 장치 및 상기 피시험체에 대하여 대전류 시험을 행하는 대전류 시험 장치를 갖는 충방전 시험 시스템에 이용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로서,
    상기 피시험체의 전원 접속 단자에 반고정되는 부착 기체, 및 직선적으로 구성된 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충방전 시험 장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접속 작용체에 접속 가능하게 직선적으로 구성된 피접속 작용체를 갖는 제2 접속 단자
    를 갖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분리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 및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 간의 접속·분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급전 어댑터를 사용하는 충방전 시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상기 피시험체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를 접속하여 소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분리해서, 소전류 시험을 종료하며,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피시험체와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를 접속하여 대전류 시험을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를 분리해서 대전류 시험을 종료하고,
    상기 접속 작용체와 상기 피접속 작용체 간의 분리·접속에 의해, 상기 피시험체를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로부터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로 교체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대전류 시험 장치로부터 상기 소전류 시험 장치로 교체 연결하여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시험 방법.
KR1020140060275A 2013-05-30 2014-05-20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 KR101664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4135 2013-05-30
JP2013114135A JP2014232697A (ja) 2013-05-30 2013-05-30 充放電試験装置、充放電試験システム、充放電試験装置用の給電アダプタおよび充放電試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452A true KR20140141452A (ko) 2014-12-10
KR101664543B1 KR101664543B1 (ko) 2016-10-10

Family

ID=5209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275A KR101664543B1 (ko) 2013-05-30 2014-05-20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232697A (ko)
KR (1) KR101664543B1 (ko)
CN (1) CN10421590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1451A (zh) * 2017-10-17 2018-03-23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led驱动电源综合测试仪
CN114705895A (zh) * 2022-04-02 2022-07-05 赵军志 一种用于电源适配器寿命测试装置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9445B (zh) * 2016-07-14 2019-03-26 安徽轰达电源有限公司 电池快速充电循环寿命检测方法
US20230152384A1 (en) 2020-04-24 2023-05-18 CMWTEC technologie GmbH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a battery state in at least one battery
JP6841457B1 (ja) * 2020-05-25 2021-03-10 株式会社ソフトエナジーコントロールズ 二次電池用充放電装置
JP7407136B2 (ja) 2021-01-13 2023-12-28 エスペ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充放電試験装置及びバッテリ試験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821A (ja) * 2000-10-04 2002-04-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蓄電池収納キャビネット及び蓄電池収納接続方法
JP2003282150A (ja) 2002-03-25 2003-10-03 Hitachi Ltd 二次電池試験装置
JP2005176461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無停電電源装置
JP2010140881A (ja) * 2008-12-15 2010-06-24 Furukawa Battery Co Ltd:The 組電池充放電装置
JP2012226915A (ja) * 2011-04-18 2012-11-15 Espec Corp 二次電池の充放電評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7698A (zh) * 2010-05-06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系统及其电源适配器
JP5976633B2 (ja) * 2011-03-31 2016-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ック型の電源装置
JP5891042B2 (ja) * 2012-01-18 2016-03-22 日鉄住金テックスエンジ株式会社 着脱自在の充放電検査装置を有する電池の充放電検査設備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の充放電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821A (ja) * 2000-10-04 2002-04-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蓄電池収納キャビネット及び蓄電池収納接続方法
JP2003282150A (ja) 2002-03-25 2003-10-03 Hitachi Ltd 二次電池試験装置
JP2005176461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無停電電源装置
JP2010140881A (ja) * 2008-12-15 2010-06-24 Furukawa Battery Co Ltd:The 組電池充放電装置
JP2012226915A (ja) * 2011-04-18 2012-11-15 Espec Corp 二次電池の充放電評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1451A (zh) * 2017-10-17 2018-03-23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led驱动电源综合测试仪
CN107831451B (zh) * 2017-10-17 2024-02-09 中山市金兴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led驱动电源综合测试仪
CN114705895A (zh) * 2022-04-02 2022-07-05 赵军志 一种用于电源适配器寿命测试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5907B (zh) 2018-02-13
CN104215907A (zh) 2014-12-17
KR101664543B1 (ko) 2016-10-10
JP2014232697A (ja)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543B1 (ko) 충방전 시험 장치, 충방전 시험 시스템, 충방전 시험 장치용의 급전 어댑터 및 충방전 시험 방법
US7959476B2 (en) Clamp for electrically coupling to a battery contact
KR101681968B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US20200168862A1 (en) Power tool system and battery pack thereof
CN101779136A (zh) 使用隔离电容器感测电池组单元电池电压的设备和方法
US7449875B2 (en) Device for automatic detection of battery polarity
WO2015139664A1 (zh) 电池管理装置
CN104065116A (zh) 用于电动工具的电池包充放电系统、方法以及电动工具
KR101624130B1 (ko) 이차전지 충방전테스트프로브
CN102288852A (zh) 线材测试装置
KR101783921B1 (ko) 전지 평가 장치
CN207782342U (zh) 一种导线固定装置
CN109901073A (zh) 对插装置、电池模组充放电检测系统及自动对插方法
CN111736066A (zh) 用于检测断路器的自动测试装置
CN208738876U (zh) 一种充电装置
CN204964714U (zh) 电池的测试卡具及电池的充电测试系统
CN203376362U (zh) 多芯探针夹具
CN210604925U (zh) 一种高效率低成本车载dcdc电源老化设备
CN203951226U (zh) 用于电动工具的电池包充放电系统以及电动工具
CN202949248U (zh) 多用充电线包
CN220066954U (zh) 充电电路及电子设备
KR100952497B1 (ko) 인공위성용 배터리 보호장치
CN215180778U (zh) 一种电气线路测试箱
CN215375673U (zh) 一种用于遥控器pcba的电流测试设备
CN212255593U (zh) 一种汽车继电器电路辅助测量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