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059A -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059A
KR20140141059A KR20130062333A KR20130062333A KR20140141059A KR 20140141059 A KR20140141059 A KR 20140141059A KR 20130062333 A KR20130062333 A KR 20130062333A KR 20130062333 A KR20130062333 A KR 20130062333A KR 20140141059 A KR20140141059 A KR 2014014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lide
slide groove
slide cam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115B1 (ko
Inventor
한홍근
이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2013006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1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프레스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레스 장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캠 홀더; 상기 캠 홀더의 양측에 배치되는 탄성 로드부; 상기 탄성 로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의 반대 측에 펀치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캠; 상기 슬라이드 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에 대응되도록 펀칭홀부이 형성되는 다이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드라이브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장치{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장치는 피가공물을 가공하여 일정한 모양의 제품을 성형하는 기기이다. 프레스 장치는 드로잉, 밴딩, 펀칭, 절단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스 장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한다. 하부 금형에 피가공물이위치된 후 상부 금형을 하강함에 따라 피가공물이 가공된다. 피가공물이 가공된 후 상부 금형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6470호(2010. 01. 19 공개, 발명의 명칭: 복합 프레스금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제작하므로, 프레스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므로, 조립 공차에 의해 가공 정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캠 홀더; 상기 캠 홀더의 양측에 배치되는 탄성 로드부; 상기 탄성 로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의 반대 측에 펀치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캠; 상기 슬라이드 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에 대응되도록 펀칭홀부이 형성되는 다이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드라이브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홈의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구속되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로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캠이 결합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이동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을 상기 캠 홀더의 양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로드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캠 홀더 바디; 및 상기 캠 홀더 바디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가 관통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부재나 체결 구조를 체결하지 않고 캠 홀더에 슬라이드 캠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프레스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캠 홀더에 슬라이드 캠이 삽입되면 슬라이드 캠을 정확한 위치에 세팅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스 장치의 캠 홀더와 슬라이드 캠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캠 홀더와 슬라이드 캠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캠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슬라이드 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프레스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프레스 장치의 캠 홀더와 슬라이드 캠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캠 홀더(110), 탄성 로드부(120), 슬라이드 캠(130), 다이 블록(140) 및 드라이브 캠(150)을 포함한다.
캠 홀더(110)에는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홈(113)은 캠 홀더(110)의 길이방향(도 1의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드 홈(113)은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캠 홀더(110)는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되는 캠 홀더 바디(111)와, 캠 홀더 바디(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 블록(115)을 포함한다. 캠 홀더 바디(111)와 고정 블록(115)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로드부(120)는 캠 홀더(110)의 양측에 배치된다. 탄성 로드부(120)의 일측은 슬라이드 캠(130)에 결합되고, 탄성 로드부(120)의 타측은 고정 블록(115)에 결합된다. 이때, 탄성 로드부(120)는 고정 블록(11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캠(130)에 연결된다. 탄성 로드부(120)는 슬라이드 캠(130)을 고정 블록(115)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탄성 로드부(120)는 고정 블록(11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캠(130)에 연결되는 이동 로드(121)와, 이동 로드(121)가 삽입되고, 고정 블록(115)에 지지되는 탄성부재(125)를 포함한다.
고정 블록(115)에는 탄성부재(125)가 삽입되도록 제1 고정홀(116a)이 형성되고, 제1 고정홀(116a)과 연통되어 이동 로드(12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고정홀(116b)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홀(116a)은 제2 고정홀(116b)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25)는 슬라이드 캠(130)을 캠 홀더(110)의 양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로드(121)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동 로드(121)는 고정 블록(115)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성부재(125)의 일단을 지지하는 헤드부(121a)와, 헤드부(121a)에서 연장되어 탄성부재(125)에 삽입되는 연장부(121b)와, 연장부(121b)에서 연장되어 제2 고정홀(116b)에 삽입되는 삽입부(121c)를 포함한다. 삽입부(121c)는 슬라이드 캠(130)에 연결된다. 슬라이드 캠(130)이 이동됨에 따라 이동 로드(121)가 이동되고, 이동 로드(121)가 이동됨에 따라 탄성부재(125)가 신축된다.
슬라이드 캠(130)은 탄성 로드부(120)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캠(130)에는 슬라이드 홈(1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131)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캠(130)에는 탄성 로드부(120) 측에 경사면(135)이 형성된다. 경사면(135)은 상측으로 향하여 서로 수렴되게 형성된다. 경사면(135)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슬라이드 캠(130)에는 탄성 로드부(120)의 반대 측에 펀치(137)가 형성된다. 펀치(137)는 슬라이드 캠(130)의 고정 블록(115) 측 일면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펀치(137)의 형태는 프레스 장치의 가공 공정 및 가공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이 블록(140)은 슬라이드 캠(130) 사이에 배치된다. 다이 블록(140)에는 슬라이드 캠(130)의 펀치(137)에 대응되도록 펀칭홀부(143)가 형성된다. 다이 블록(14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브 캠(150)은 슬라이드 캠(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드라이브 캠(150)에는 슬라이드 캠(130)의 경사면(135)에 대응되도록 경사면(135)이 형성된다.
드라이브 캠(150)은 상하로 승강되는 드라이브 캠 바디(151)와, 드라이브 캠 바디(151)의 하측에 연장되는 가압부(155)를 포함한다. 가압부(155)에는 슬라이드 캠(130)의 경사면(135)에 대응되도록 경사면(156) 형성된다. 드라이브 캠 바디(151)는 실린더와 같은 승강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캠 홀더와 슬라이드 캠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캠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슬라이드 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홈(113)의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14)는 슬라이드 홈(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114)는 슬라이드 홈(113)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4)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캠(130)의 결합부(131)에는 가이드부(114)에 구속되도록 걸림턱부(133)가 형성된다. 걸림턱부(133)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부(133)가 결합부(131)를 구속하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슬라이드 홈(113)에서 상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부(133)는 슬라이드 홈(113)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부(131)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부(133)는 결합부(131)의 양측에 형성된다. 걸림턱부(133)가 슬라이드 홈(113)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가이드부(114)에 걸림턱부(133)가 구속됨에 따라 슬라이드 캠(130)이 슬라이드홈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림턱부(133)가 가이드부(114)와 접촉되므로, 슬라이드 캠(130)의 결합부(131)가 슬라이드 홈(113)을 따라 이동될 때에 슬라이드 캠(130)의 흔들림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캠(130)의 결합부(131)가 캠 홀더(110)의 슬라이드 홈(113)에 조립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나 체결 구조를 체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캠(130)과 캠 홀더(110)가 조립된 후 슬라이드 캠(130)에 탄성 로드부(120)를 결합하므로, 프레스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캠(130)의 결합부(131)가 가이드부(114)에 의해 슬라이드 홈(113)에서 빠지지 않게 결합되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슬라이드 홈(113)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캠 홀더(110)에 슬라이드 캠(130)이 결합되면 슬라이드 캠(130)을 정확한 위치에 세팅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장치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1)의 걸림턱부(133)와 캠 홀더(110)의 가이드부(114)가 접촉되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이동될 때에 흔들리거나 유격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4)가 슬라이드 홈(113)의 양측에 형성되고, 걸림턱부(133)가 결합부(131)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이동될 때에 흔들리거나 유격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캠(150)의 가압부(155)가 슬라이드 캠(130)의 경사면(135)을 가압함에 따라 슬라이드 캠(130)이 이동되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이동된다. 슬라이드 캠(130)이 슬라이드 홈(1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거의 흔들리거나 유격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캠(150)이 슬라이드 캠(130)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 캠(130)을 이동시킬 때에, 탄성 로드부(120)가 슬라이드 캠(130)을 이동방향과 반대 측으로 끌어당기므로, 슬라이드 캠(130)이 거의 흔들리거나 유격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이 블록(14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가공물이 위치된다. 피가공물에는 차량의 로어 암, 어퍼 암, 트레일링 암 등일 수 있다.
드라이브 캠(15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드라이브 캠(150)의 가압부(155)가 2개의 슬라이드 캠(130)의 경사면(135)을 가압하면, 2개의 슬라이드 캠(130)이 다이 블록(140) 측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슬라이드 캠(130)이 이동됨에 따라 이동 로드(121)는 다이 블록(140)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탄성부재(125)는 이동 로드(121)의 헤드부(121a)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된다.
드라이브 캠(150)이 하측으로 더욱 이동되면, 슬라이드 캠(130)의 펀치(137)가 다이 블록(140)의 펀칭홀부(143)에 삽입되면서 피가공물을 펀칭하거나 피가공물의 둘레를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피가공물이 일정한 형태로 가공된다.
이어, 드라이브 캠(150)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탄성부재(125)가 이동 로드(121)를 다이 블록(14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므로, 이동 로드(121)가 슬라이드 캠(130)을 다이 블록(140)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캠(130)이 홈 포지션으로 이동되면, 이동 로드(121)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 캠(150)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드 캠(130)이 왕복되면서 피가공물을 일정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캠 홀더 111: 캠 홀더 바디
113: 슬라이드 홈 114: 가이드부
115: 고정 블록 120: 탄성 로드부
121: 이동 로드 125: 탄성부재
130: 슬라이드 캠 131: 결합부
133: 걸림턱부 135: 경사면
137: 펀치 140: 다이 블록
143: 펀칭홀부 150: 드라이브 캠
151: 드라이브 캠 바디 155: 가압부
156: 경사면

Claims (5)

  1.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캠 홀더;
    상기 캠 홀더의 양측에 배치되는 탄성 로드부;
    상기 탄성 로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의 반대 측에 펀치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캠;
    상기 슬라이드 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에 대응되도록 펀칭홀부이 형성되는 다이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캠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드라이브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구속되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로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캠이 결합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이동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을 상기 캠 홀더의 양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로드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캠 홀더 바디; 및
    상기 캠 홀더 바디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로드부가 관통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KR20130062333A 2013-05-31 2013-05-31 프레스 장치 KR10149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333A KR101496115B1 (ko) 2013-05-31 2013-05-31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333A KR101496115B1 (ko) 2013-05-31 2013-05-31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059A true KR20140141059A (ko) 2014-12-10
KR101496115B1 KR101496115B1 (ko) 2015-02-26

Family

ID=5245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333A KR101496115B1 (ko) 2013-05-31 2013-05-31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004B1 (ko) 2023-02-27 2023-08-09 권세훈 유량계 표시부 조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115U (ko) * 1988-05-02 1989-11-17
JP3281175B2 (ja) * 1994-04-18 2002-05-13 株式会社東芝 プレス成形装置
KR20050121774A (ko) * 2004-06-23 2005-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형 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115B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0115345A (ru) Комплект лезви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US9895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uckle bracket
EP2906373B1 (en) Hollow rack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rack bar
KR20090097140A (ko) 물체 유지용 유지장치
JP6544831B2 (ja) プレス機
US20180085814A1 (en) Methods and Punch Handling Apparatuses for the Production of a Workpiece
KR101496115B1 (ko) 프레스 장치
US9962754B2 (en) Pressing method and pressing device for forming punched piece by punching metal plate with die and punch
CN204430014U (zh) 一种模具定位机构
EP3738690A1 (en) Pressing machine and press forming method
JP2009202228A (ja) 穴あけ加工装置
KR101580476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핑 장치
CN104923682B (zh) 用于通用冲压机的工具
CN210586715U (zh) 一种连续向上多角度折弯的模具
JP2015186820A (ja) セミホロー材のプレス剪断加工装置
JP2018199146A (ja) 円筒部の製造方法
JP2017140641A (ja) 面取り金型
CN203091558U (zh) 一种冲压成型模
TW201720640A (zh) 沖壓裝置及其沖壓方法
KR20100034301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펀칭장치
WO2015068237A1 (ja) カバーの板バネ取付装置
JP2009285667A (ja) プレス加工装置、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KR200477756Y1 (ko) 프레스용 펀치 구조
JP2006198667A (ja) パンチプレス用成形金型及び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成形加工方法
CN103447391A (zh) 连杆切边、冲孔、校正连续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