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518A -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 Google Patents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518A
KR20140138518A KR1020130059391A KR20130059391A KR20140138518A KR 20140138518 A KR20140138518 A KR 20140138518A KR 1020130059391 A KR1020130059391 A KR 1020130059391A KR 20130059391 A KR20130059391 A KR 20130059391A KR 20140138518 A KR20140138518 A KR 2014013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unlocking
lock lever
handcuff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수
김기숙
Original Assignee
권정수
김기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수, 김기숙 filed Critical 권정수
Priority to KR102013005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8518A/ko
Publication of KR2014013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갑의 몸체의 기구틀에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걸림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면서, 또한 걸음편이 잠금해제슬라이더에 의하여 강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수갑에 있어서의 걸음편을 강제적으로 걸림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슬라이더가 수갑의 본체에 노출하여 형성한 잠금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걸음편을 강제 잠금위치로 변환시키어 수갑의 이동고리의 걸림이 유지하도록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게 수갑을 채운 후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갑의 이동고리의 강제 잠금을 유지할 수 있는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에 관한 것으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톱니이빨(11)들이 형성된 이동고리(10)와; 또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와 회동축(21)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21)에 대향하는 쪽에 장방형상의 수갑몸체(1)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20)와; 이 1쌍의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내에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과 판스프링(40)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된 걸음편(30)을 강제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로 구성되어 있는 수갑에 있어서, 걸음편(30)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수갑몸체(1)의 핀구멍(2)에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한 잠금레버(70)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잠금레버(70)는 수갑몸체(1)에 장착되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이 위치되는 핀구멍(2)을 관통하여, 잠금레버(70)의 몸체부분(71)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과 접촉되고, 또한 잠금레버(70)의 양쪽 머리부분(72)은 수갑몸체(1)의 핀구멍(2)에 노출되어, 잠금레버(70)의 양쪽 머리부분(72)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밀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수갑몸체(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과 대향하는 부분에 핀관통구멍(5)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관통구멍(5)에 잠금레버(7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갑몸체(1)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70)에 머리부분(72)을 밀어 작동함에 따라서, 수갑몸체(1)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걸음편(30)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The handcuffs with unlocking lever}
본 발명은 잠금레버를 이용하여 완전 잠금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수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갑의 몸체의 기구틀에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걸림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면서, 또한 걸음편이 잠금해제슬라이더에 의하여 강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수갑에 있어서의 걸음편을 강제적으로 걸림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슬라이더가 수갑의 본체에 노출하여 형성한 잠금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걸음편을 강제 잠금위치로 변환시키어 수갑의 이동고리의 걸림이 유지하도록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게 수갑을 채운 후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갑의 이동고리의 강제 잠금을 유지할 수 있는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수갑이 제안되어 왔으나, 대체로 임의적으로 수갑을 풀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실용신안 및 특허를 통하여 종래의 이러한 수갑구조를 꾸준히 개량하였으며, 특히 수갑을 사람의 손목에 사용할 때에 발생되는 문제점 및 핀에 의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갑구조에 관하여 제안한 바 있다.
수갑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형의 고정고리(20)와 반구형의 이동고리(10)가 회동축(21)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고리(10)는 고정고리(20)들의 사이의 수갑몸체(1)에 형성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번호생략)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고리(10)를 고정고리(20) 사이의 수갑몸체(1)의 이동고리이동통로로 밀어 넣으면,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이 상기 걸음편(30)의 래치트톱니(32)의 톱니산을 탄력있게 넘으면서 이동고리(10)는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이 걸음편(30)의 래치트톱니(32)와 래치트 이맞물림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이 상기 걸음편(30)의 톱니(32)를 넘을 때, 상기 걸음편(30)이 자형 판스프링(40)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유지되어 힌지축(31)를 중심으로 유동하여, 이동고리(10)는 걸음편(30)으로 부세하는 판스프링(40)의 스프링력을 이겨서 이동고리이동통로(4)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이 걸음편(30)의 래치트톱니(32)와 래치트 이맞물림된 상태에서 수갑몸체(1)에 형성한 핀구멍(2)을 통하여 수갑의 열쇠에 형성된 핀부분을 이용하여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도면에서 좌측끝단)을 우측으로 밀면,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유동홈(62)이 결합되어 있다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고정홈(61)이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에 결합됨에 따라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하향돌출편(63)이 걸음편(30)의 상향돌출편(34)에 맞대어져 접촉이 유지되게 된다.
이로써,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걸음편(30)의 움직임을 억제하게 된다. 때문에, 걸음편(30)의 움직임 제어는 결국 이동고리(10)의 이동을 억제하게 하여 수갑몸체(1)로부터 이동고리(10)가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하여 수갑이 풀리는 것은 방지함은 물론 수갑이 조여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범법자의 손목을 죄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구속제한은 중요한 일인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이동수단이 수갑의 열쇠에 형성된 핀부분으로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범법자의 손목에 수갑을 채우고 난후 열쇠의 핀을 이용하여 수갑몸체(1)에 형성한 핀구멍(2)을 통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작동시키는 일련의 작동에 있어서, 열쇠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는 주머니 등에 보관한 열쇠를 찾아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작동을 잊고 행하지 않는 경우, 범법자가 불법기구를 이용하여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에 탄력있는 맞물려 있는 걸음편(30)의 래치트톱니(32)를 분리하여 수갑을 해제하여 도주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반구형의 고정고리와 반구형의 이동고리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고리는 고정고리들의 사이의 수갑몸체에 형성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번호생략)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수갑몸체의 걸음편이 이동고리를 강제적으로 이맞물림 유지하도록 함에 있어서, 걸음편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가 수갑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한 잠금레버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레버는 수갑몸체에 장착되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뒤부분이 위치되는 핀구멍을 관통하여, 잠금레버의 몸체부분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뒤부분과 접촉되고, 또한 잠금레버의 양쪽 머리부분은 수갑몸체의 핀구멍에 노출되어, 잠금레버의 양쪽 머리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를 밀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갑몸체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뒤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핀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구멍에 잠금레버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갑몸체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에 머리부를 밀어 작동함에 따라서, 수갑몸체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가 걸음편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톱니이빨들이 형성된 이동고리와; 또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와 회동축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에 대향하는 쪽에 장방형상의 수갑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와; 이 1쌍의 고정고리의 수갑몸체내에 이동고리의 톱니이빨과 판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된 걸음편을 강제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는 수갑에 있어서, 걸음편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가 수갑몸체의 핀구멍에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한 잠금레버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레버는 수갑몸체에 장착되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뒤부분이 위치되는 핀구멍을 관통하여, 잠금레버의 몸체부분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뒤부분과 접촉되고, 또한 잠금레버의 양쪽 머리부분은 수갑몸체의 핀구멍에 노출되어, 잠금레버의 양쪽 머리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를 밀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갑몸체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뒤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핀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관통구멍에 잠금레버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갑몸체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에 머리부분을 밀어 작동함에 따라서, 수갑몸체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가 걸음편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갑의 몸체의 기구틀에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걸림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면서, 또한 걸음편이 잠금해제슬라이더에 의하여 강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수갑에 있어서의 걸음편을 강제적으로 걸림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슬라이더가 수갑의 본체에 노출하여 형성한 잠금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걸음편을 강제 잠금위치로 변환시키어 수갑의 이동고리의 걸림이 유지하도록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게 수갑을 채운 후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갑의 이동고리의 강제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갑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잠금레버에 의하여 강제잠금된 상태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열쇠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를 이동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열쇠로 걸음쇠를 이동고리의 톱니이빨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잠금레버를 작동하기 전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잠금레버를 작동한 상태의 정면도,
도 8 는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 은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잠금레버를 작동하기 전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수갑의 고정고리를 일부 분리하여 잠금레버를 작동한 후의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 고정고리(20), 격판(51), 걸음편(30), 판스프링(40), 기구틀(50) 및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 등의 기본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고리(10)는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바깥둘레의 일부에 톱니이빨(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고정고리(20)들은 상기 이동고리(10)와 마찬가지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와 회동축(21)으로 결합되어, 이 회동축(21)과 대향하는 쪽은 장방형상의 수갑몸체(1)가 일체로 형성되는 1쌍의 구성부품을 이룬다.
상기 수갑몸체(1)들의 사이에는 상기 격판(51), 걸음편(30), 판스프링(40), 기구틀(50) 및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들이 결합되면서, 수갑몸체(1)들은 고정핀(도시생략)들에 의하여 고정되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갑몸체(1)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구멍(2)과 열쇠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구틀(50)은 대략 장방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에 개구된 공간에 격판(51), 걸음편(30), 판스프링(40) 및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들이 장착된다.
상기 걸음편(30)은 대략 망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과 이맞물림 가능한 톱니(32)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힌지축(31)과 대향되는 분위에 걸림턱(33)과 상향걸림돌출편(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안쪽에 대략 V자형상의 고정홈(61)과 유동홈(62)이 일정깊이로 파여 있으며, 상기 홈들에 이웃하여 하향돌출편(63)이 돌출되고 또한 상기 하향돌출편(63)에 연이어서 끝단에 키접촉면(64)이 대략 V자형상으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와 걸음편(30)의 사이에는 대략 자형상의 판스프링이 장착되며,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고정홈(61) 또는 유동홈(62)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와 대응되는 쪽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결되어 분할된 지지끝단(4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판스프링(40)의 지지끝단(42)들에는 걸음편(30)들이 지지되어 걸음편(30)들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각각 탄력있게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음편(30)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수갑몸체(1)의 핀구멍(2)에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한 잠금레버(70)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잠금레버(70)는 수갑몸체(1)에 장착되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이 위치되는 핀구멍(2)을 관통하여, 잠금레버(70)의 몸체부분(71)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과 접촉되고, 또한 잠금레버(70)의 양쪽 머리부분(72)은 수갑몸체(1)의 핀구멍(2)에 노출되어, 잠금레버(70)의 양쪽 머리부분(72)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밀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잠금레버(70)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에 이동고리(10)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은 걸음편(30)의 톱니(32)와 이맞물림과, 또한 이동고리(10)의 억지 이동으로 걸음편(30)의 톱니(32)를 탄력있게 넘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고리(10)가 이동통로(4)의 이동을 멈추면,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이 걸음편(30)의 톱니(32)와 이맞물림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상태에서 이동고리(10)를 억지 이동시키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와 판스프링(40)으로 탄력있게 유지된 걸음편(30)에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이 걸음편(30)의 톱니(32)를 밀고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수갑몸체(1)에 노출된 잠금레버(70)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레버(70)의 머리부분(72)을 잡고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밀면, 잠금레버(70)의 몸체부분(71)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을 밀어서,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유동홈(62)이 결합되어 있다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고정홈(61)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하향돌출편(63)이 걸음편(30)의 상향걸림돌출편(34)과 맞대어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걸음편(30)이 강제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걸음편(30)의 톱니(32)가 상기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과의 강제 이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걸음편(30)을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수갑몸체(1)에 노출하여 형성한 잠금레버(70)의 작동에 의하여 걸음편(30)을 강제 잠금위치로 변환시키어 수갑의 이동고리(10)의 걸림이 유지하도록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게 수갑을 채운 후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갑의 이동고리(10)의 강제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레버(70)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킬 뿐이다.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쇠(6)로만 가능하다.
상기 잠금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갑몸체(1)의 열쇠구멍(3)에 열쇠(6)를 넣어서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키접촉면(64)이 열쇠(6)에 의하여 밀려서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하향돌출편(63)과 걸음편(30)의 상향걸림돌출편(34)과의 맞대어 접촉된 상태를 해제하여, 이동고리(10)를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태에서 이동고리(10)를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수갑몸체(1)의 열쇠구멍(3)에 열쇠(6)를 넣어서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걸음편(30)의 걸림턱(33)을 밀어 올리면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수갑몸체(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과 대향하는 부분에 핀관통구멍(5)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관통구멍(5)에 잠금레버(7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갑몸체(1)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70)에 머리부분(72)을 밀어 작동함에 따라서, 수갑몸체(1)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걸음편(30)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레버(70)는 걸림턱(73)이 형성되어 판관통구멍(5)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제어한다.
잠금레버(70)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에 이동고리(10)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은 걸음편(30)의 톱니(32)와 이맞물림과, 또한 이동고리(10)의 억지 이동으로 걸음편(30)의 톱니(32)를 탄력있게 넘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수갑몸체(1)에 노출된 잠금레버(70)를 잠금레버(70)의 머리부분(72)을 잡고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밀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레버(70)의 끝단부분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을 밀어서,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유동홈(62)이 결합되어 있다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고정홈(61)이 결합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걸음편(30)의 톱니(32)가 상기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과의 강제 이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걸음편(30)을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수갑몸체(1)에 노출하여 형성한 잠금레버(70)의 작동에 의하여 걸음편(30)을 강제 잠금위치로 변환시키어 수갑의 이동고리(10)의 걸림이 유지하도록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게 수갑을 채운 후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갑의 이동고리(10)의 강제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레버(70)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킬 뿐이다.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쇠(6)로만 가능하다.
상기 잠금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 수갑몸체(1)의 열쇠구멍(3)에 열쇠(6)를 넣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키접촉면(64)이 열쇠(6)에 의하여 밀려서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하향돌출편(63)과 걸음편(30)의 상향걸림돌출편(34)과의 맞대어 접촉된 상태를 해제하여, 이동고리(10)를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수갑몸체(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을 경사면(66)으로 형성하고,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에 직교하는 상방향으로 핀관통구멍(5)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관통구멍(5)에 잠금레버(7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70)의 끝단 역시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의 경사면(66)과 면접촉되는 경사면(73)으로 형성한다.
수갑몸체(1)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70)에 머리부분(72)을 하향 작동함에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갑몸체(1)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걸음편(30)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레버(70)는 걸림턱(73)이 형성되어 판관통구멍(5)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제어한다.
잠금레버(70)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에 이동고리(10)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은 걸음편(30)의 톱니(32)와 이맞물림과, 또한 이동고리(10)의 억지 이동으로 걸음편(30)의 톱니(32)를 탄력있게 넘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수갑몸체(1)에 노출된 잠금레버(70)를 잠금레버(70)의 머리부분(72)을 잡고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레버(70)의 끝단의 경사면(74)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의 경사면(66)과의 면접촉으로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유동홈(62)이 결합되어 있다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고정홈(61)이 결합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걸음편(30)의 톱니(32)가 상기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과의 강제 이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걸음편(30)을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수갑몸체(1)에 노출하여 형성한 잠금레버(70)의 작동에 의하여 걸음편(30)을 강제 잠금위치로 변환시키어 수갑의 이동고리(10)의 걸림이 유지하도록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게 수갑을 채운 후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갑의 이동고리(10)의 강제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레버(70)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킬 뿐이다.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쇠(6)로만 가능하다.
상기 잠금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 수갑몸체(1)의 열쇠구멍(3)에 열쇠(6)를 넣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키접촉면(64)이 열쇠(6)에 의하여 밀려서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하향돌출편(63)과 걸음편(30)의 상향걸림돌출편(34)과의 맞대어 접촉된 상태를 해제하여, 이동고리(10)를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의 이동통로(4)로 이동시킬 수 있다.
1 : 수갑몸체 2 핀구멍
3 : 열쇠구멍 4 : 이동통로
5 : 핀관통구멍 6 : 열쇠
10 : 이동고리 11 : 톱니이빨
20 : 고정고리 21 : 회동축
30 : 걸음편 31 : 힌지축
32 : 톱니 33 : 걸림턱
34 : 상향걸림돌출편 40 : 판스프링
41 : 절곡부 42 : 지지끝단
50 : 기구틀 60 :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
61 : 고정홈 62 : 유동홈
63 : 하향돌출편 64 : 키접촉면
65 : 뒤부분 66 : 경사면
70 : 잠금레버 71 : 몸체부분
72 : 머리부분 73 : 걸림턱
74 : 경사면

Claims (4)

  1.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톱니이빨(11)들이 형성된 이동고리(10)와; 또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와 회동축(21)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21)에 대향하는 쪽에 장방형상의 수갑몸체(1)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20)와; 이 1쌍의 고정고리(20)의 수갑몸체(1)내에 이동고리(10)의 톱니이빨(11)과 판스프링(40)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된 걸음편(30)을 강제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로 구성되어 있는 수갑에 있어서,
    걸음편(30)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수갑몸체(1)의 핀구멍(2)에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한 잠금레버(70)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레버(70)는 수갑몸체(1)에 장착되는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이 위치되는 핀구멍(2)을 관통하여, 잠금레버(70)의 몸체부분(71)은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과 접촉되고, 또한 잠금레버(70)의 양쪽 머리부분(72)은 수갑몸체(1)의 핀구멍(2)에 노출되어, 잠금레버(70)의 양쪽 머리부분(72)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를 밀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갑몸체(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과 대향하는 부분에 핀관통구멍(5)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관통구멍(5)에 잠금레버(7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갑몸체(1)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70)에 머리부분(72)을 밀어 작동함에 따라서, 수갑몸체(1)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걸음편(30)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갑몸체(1)에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을 경사면(66)으로 형성하고,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에 직교하는 상방향으로 핀관통구멍(5)을 형성하고, 상기 핀관통구멍(5)에 잠금레버(7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면서 상기 잠금레버(70)의 끝단이 상기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의 뒤부분(65)의 경사면(66)과 면접촉되는 경사면(73)으로 형성하여, 수갑몸체(1)의 바깥으로 노출 형성한 잠금레버(70)에 머리부분(72)을 하향 작동함에 따라서, 수갑몸체(1)내의 잠금해제유지슬라이더(60)가 걸음편(30)을 강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KR1020130059391A 2013-05-26 2013-05-26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KR2014013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391A KR20140138518A (ko) 2013-05-26 2013-05-26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391A KR20140138518A (ko) 2013-05-26 2013-05-26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518A true KR20140138518A (ko) 2014-12-04

Family

ID=5245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391A KR20140138518A (ko) 2013-05-26 2013-05-26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8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933A (zh) * 2018-05-31 2018-10-12 江琴兰 一种传感器生产用吹尘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933A (zh) * 2018-05-31 2018-10-12 江琴兰 一种传感器生产用吹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200B1 (ko) 도어락
TWI674351B (zh) 前拉閂鎖
KR20110137051A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US3961505A (en) Latching device including combination locking means
US8240177B2 (en) Keyed lock door handle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20140138518A (ko) 잠금레버를 가지는 수갑
KR101436676B1 (ko) 도어락
JP5879058B2 (ja) 什器
KR101710986B1 (ko) 후크걸림구조 도어락 모티스
JP2020176509A (ja) 特に天然または人工皮革の物品を開放し閉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を含む物品
EP2186715A1 (en) Anti-theft device for closing and locking a case on a rack of a motorcycle
TWM553354U (zh) 手銬防撬改良結構
JPH1113331A (ja) 扉のラッチ装置
JP2888809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H08303079A (ja) 錠止装置
JP3134388U (ja) 押ボタン錠
AU2010201641B2 (en) A Latch and a Latchset
JP2010159587A (ja) 操作部材のロック装置を備えた施錠装置
JP2003038809A (ja) 遊技機の扉開閉安全装置
JP3073190B2 (ja) 錠 前
JP4864748B2 (ja) スライドシャワーフック装置
JP2003038807A (ja) 遊技機の扉開閉安全装置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TW201704608A (zh) 掛鎖上鎖式平面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