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045A -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045A
KR20140137045A KR20130057149A KR20130057149A KR20140137045A KR 20140137045 A KR20140137045 A KR 20140137045A KR 20130057149 A KR20130057149 A KR 20130057149A KR 20130057149 A KR20130057149 A KR 20130057149A KR 20140137045 A KR20140137045 A KR 2014013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way car
railway vehicle
fixed
railwa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채창근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045A/ko
Publication of KR2014013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3/00Shunting or short-distance haulage devices; Similar devices for hauling trains on steep gradients or as starting aids; Car propelling devices therefor
    • B61J3/04Car shunting or haulage devices with cable traction or endless-chain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들어 옮겨지는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로써, 상기 파지부의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빔에 삽입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 길이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와 함께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밀대부와, 상기 밀대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크레인의 파지부가 하부기기들이 장착되기 전에 좌, 우측의 중량이 불균형인 철도차량을 들어 옮기더라도, 철도차량이 양쪽 측면이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되어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음에 따라, 철도차량의 전도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railway vehicles a fall prevention devices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들어 옮겨지는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승객이나 화물을 싣고 나르기 위해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루프 프레임과 언더 프레임이 형성되고, 양측에 사이드 프레임이 형성되어 차체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철도차량의 하부에는 차체의 중량을 차축에 전달하는 것과 동시에 주행, 제동 기능을 갖춘 대차와, 철도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전기, 유압 등을 전달하는 각종 하부기기 등이 조립된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조립라인에는 철도차량을 들어 옮기기 위해 천정에 크레인이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에는 철도차량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지부(10)는 크레인(1)에 와이어(2)로 연결되어 철도차량(T)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빔(11)과, 상기 상부빔(11)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도차량(T)의 양쪽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빔(12)과, 상기 측면빔(12)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철도차량(T)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빔(13)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크레인(1)으로 철도차량(T)을 들어 옮길 경우, 파지부(10)의 측면빔(12)을 양쪽으로 벌려, 파지부(10)의 측면빔(12) 사이에 철도차량(T)을 위치하게 하고, 양쪽으로 벌어진 파지부(10)의 측면빔(12)을 다시 내려놓으면, 파지부(10)의 하부빔(13)이 철도차량(T)의 측면 하부에 끼워짐에 따라, 이때 크레인(1)이 와이어(2)를 감으면, 철도차량(T)이 파지부(10)의 하부빔(13)에 받쳐져 들어 올려진다.
그러나 종래에 크레인(1)의 파지부(10)가 하부기기들이 장착되지 않은 철도차량(T)을 들어 옮길 경우에는 철도차량(T)은 좌, 우측이 중량 차에 의해 균형이 맞지 않아, 파지된 철도차량(T)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철도차량의 측면이 측면빔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또 기울어짐이 심할 경우에는 철도차량(T)이 전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철도차량(T)은 모든 하부기기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좌, 우측이 균형을 갖도록 설계 제작됨에 따라, 하부기기들이 장착되기 전에 철도차량(T)은 좌, 우측의 중량이 다르기 때문에 달라 균형이 맞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조립라인에서 크레인의 파지부가 하부기기들이 장착되기 전에 좌, 우측의 중량이 불균형인 철도차량을 들어 옮기더라도, 파지부에 파지된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지 않고 균형을 잡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측면이 측면빔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들어 옮겨지는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로써, 상기 파지부의 양단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빔에 삽입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 길이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와 함께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밀대부와, 상기 밀대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는 상기 파지부의 측면빔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부의 측면빔을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도록 조이는 체결부가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나란하게 고정되는 제1, 2 베어링부와, 상기 제1 베어링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베어링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외측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부에 내측이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너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크류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크류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대부는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하도록 관통되는 보스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보스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일단이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 및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밀고 당기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대부 및 밀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밀착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인트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밀착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매설되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대부의 전방에는 고정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밀착된 상기 밀착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의 패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 및 이송부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상기 이송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의 측면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크레인의 파지부가 하부기기들이 장착되기 전에 좌, 우측의 중량이 불균형인 철도차량을 들어 옮기더라도,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음에 따라, 철도차량의 측면이 측면빔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철도차량의 전도 및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1)의 파지부(10)에 설치되어 들어 옮겨지는 철도차량(T)이 측면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로써,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파지부(10)의 양단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빔(12)에 삽입 고정되는 본체부(1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수단(200)에 의해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300)가 형성된다.
또, 상기 이송부(300)의 전방에는 길이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300)와 함께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밀대부(4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대부(400)의 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원판 형상의 밀착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파지부(10)의 측면빔(12)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부(10)의 측면빔(12)이 상기 수용부(11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조이는 복수 개의 체결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120)는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달린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나란하게 고정되는 제1, 2 베어링부(210, 220)와, 상기 제1 베어링부(21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베어링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는 스크류부(230)와, 상기 스크류부(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23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240)와, 상기 이송부(300)의 후방에 외측이 고정되고 내측이 상기 스크류부(230)에 맞물리도록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부(23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너트부(25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작동부(240)는 일실시 예로써,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23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23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밀대부(400)는 상기 이송부(300)에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하도록 관통되는 보스(411)를 구비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보스(411)에 일단이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500)의 후방에 연결되는 샤프트(42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430)와, 상기 레버(430) 및 샤프트(4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420)를 밀고 당기는 연결링크(44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밀대부(400) 및 밀착부(500)의 사이에는 상기 밀대부(400)의 단부에 연결된 밀착부(5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인트부(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조인트부(600)는 상기 밀착부(500)의 후방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10)와, 상기 고정부재(61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매설되어 상기 샤프트(42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회전부재(6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밀착부(500)의 전방에는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밀착부(500)의 미끄러짐 및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한 탄성의 패드부(700)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패드부(700)는 마찰력과 연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및 이송부(300)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상기 이송부(30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8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800)은 상기 스크류부(230)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상, 하부에 각각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810)과, 상기 이송부(300)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8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8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T)을 크레인(1)의 파지부(10)로 들어 옮길 경우, 작업자는 파지부(10)의 측면빔(12)을 양쪽으로 벌려, 파지부(10)의 측면빔(12) 사이에 철도차량(T)을 위치하게 하고, 양쪽으로 벌어진 파지부(10)의 측면빔(12)을 다시 내려놓으면, 파자부(10)의 하부빔(13)이 철도차량(T)의 하부에 끼워진다.
이후, 작업자는 파지부(10)의 측면빔(12)에 본체부(100)의 수용부(110)를 각각 끼워 삽입시킨 후, 수용부(11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체결부(120)를 돌려 조이면, 측면빔(12)과 본체부(100)가 밀착되면서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측면빔(12)과 본체부(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수단(200)인 작동부(240)를 돌려 스크류부(230)를 정 회전시키면, 스크류부(230)에 맞물리도록 삽입된 너트부(250)에 의해 상기 너트부(250)를 후방에 고정한 이송부(300)는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부(300)의 전방에는 밀대부(400)가 설치되고, 밀대부(400)의 단부에는 밀착부(500)가 연결됨에 따라, 밀대부(400) 및 밀착부(500)도 이송부(300)와 함께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체부(100) 및 이송부(300)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상기 이송부(30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800)이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300)는 양측에 고정된 슬라이더(820)를 통해 본체부(100)의 전방에 고정된 레일(8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송부(300)는 철도차량(T)의 측면방향으로만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밀착부(500)가 철도차량(T)의 측면에 맞닿아 밀착되면, 작업자는 스크류부(230)의 회전을 멈추게 하면 된다.
이때, 밀착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부(600)에 의해 밀대부(400)의 단부 즉, 샤프트(420)의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밀착부(500)가 접촉하는 철도차량(T)의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경사지더라도, 밀착부(500)는 철도차량(T)의 측면에 경사와 같은 경사각을 이루도록 회전을 통해 기울어짐에 따라, 밀착부(500)는 철도차량(T)의 측면 경사에 상관없이 철도차량(T)의 측면과 접촉면적을 넓게 하면서 밀착된다.
또, 밀착부(500)의 전방에는 패드부(700)가 고정됨 따라, 밀착부(500)가 철도차량(T)의 측면에 밀착되면, 패드부(700)의 마찰력에 의해 밀착부(500)가 철도차량(T)의 측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패드부(700)의 연성에 의해 철도차량(T)의 측면이 밀착부(500)와의 접촉으로 스크래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동한 밀착부(500) 및 철도차량(T)의 측면 사이의 거리가 조금 모자랄 경우, 작업자는 밀대부(400)의 길이를 신장하면 된다.
상기 밀대부(400)의 길이 신장은 작업자가 몸체(4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레버(430)를 잡고 철도차량(T)의 측면방향으로 당기면, 레버(430)에 연결된 연결링크(440)가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전진하게 되고, 연결링크(440)의 연결된 샤프트(420)도 몸체(410)의 보스(411)를 관통하여 철도차량(T)의 측면을 향해 전진하게 되므로, 밀착부(400) 및 철도차량(T)의 측면 사이에 모자란 거리 밀대부(400)의 길이신장으로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레인(1)의 파지부(10)에 설치되어 철도차량(T)의 양쪽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크레인(1)의 파지부(10)가 하부기기들이 장착되기 전에 좌, 우측의 중량이 불균형인 철도차량(T)을 들어 옮기더라도, 철도차량(T)이 측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이룸에 따라, 종래에 기울어진 철도차량(T)의 측면이 측면빔(12)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철도차량(T)의 전도 및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T)의 측면을 지지하는 본 발명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먼저 작업자는 이송수단(200)인 작동부(240)를 돌려 스크류부(230)를 역회전시키면, 스크류부(230)에 내측이 맞물리도록 삽입된 너트부(250)와 상기 너트부(250)를 후방에 고정한 이송부(300)는 철도차량(T)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부(300)의 이동에 의해 밀대부(400)와, 밀착부(500)도 이송부(300)와 함께 철도차량(T)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후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철도차량(T)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는 이송부(30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작업자는 스크류부(230)의 회전을 멈추게 하면 된다.
그리고 길이 신장한 밀대부(400)도 원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작업자는 몸체(4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레버(430)를 잡고 철도차량(T)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레버(430)에 연결된 연결링크(440)가 철도차량(T)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되고, 연결링크(440)의 연결된 샤프트(420)도 몸체(410)의 보스(411)를 관통하여 철도차량(T)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밀착부(400)의 길이는 수축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후, 크레인(1)의 측면빔(12)에서 본체부(100)를 분리할 경우, 작업자는 체결부(120)을 측면빔(12)을 조이는 반대방향으로 돌려 풀면, 본체부(100) 및 측면빔(12)의 고정력이 상실됨에 따라, 본체부(100)는 파지부(10)의 측면빔(12)에서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크레인 2: 와이어
10: 파지부 11: 상부빔
12: 측면빔 13: 하부빔
100: 본체부 110: 수용부
120: 체결부 200: 이송수단
210: 제1 베어링부 220: 제2 베어링부
230: 스크류부 240: 작동부
250: 너트부 300: 이송부
400: 밀대부 410: 몸체
411: 보스 420: 샤프트
430: 레버 440: 연결링크
500: 밀착부 600: 조인트부
610: 고정부재 620: 회전부재
700: 패드부 800: 가이드 수단
810: 레일 820: 슬라이더

Claims (9)

  1. 크레인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들어 옮겨지는 철도차량이 측면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로써,
    상기 파지부의 양단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빔에 삽입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 길이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와 함께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밀대부와,
    상기 밀대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는 상기 파지부의 측면빔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부의 측면빔을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도록 조이는 체결부가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나란하게 고정되는 제1, 2 베어링부와,
    상기 제1 베어링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베어링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외측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부에 내측이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너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크류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크류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는,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하도록 관통되는 보스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보스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일단이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 및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밀고 당기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 및 밀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밀착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인트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밀착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매설되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의 전방에는 고정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에 밀착된 상기 밀착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의 패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이송부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상기 이송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상기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KR20130057149A 2013-05-21 2013-05-21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KR20140137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149A KR20140137045A (ko) 2013-05-21 2013-05-21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149A KR20140137045A (ko) 2013-05-21 2013-05-21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045A true KR20140137045A (ko) 2014-12-02

Family

ID=5245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149A KR20140137045A (ko) 2013-05-21 2013-05-21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578C2 (ru)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по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вагонов в повернутом положени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станции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автомобильных перевозок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этой системы
JPH04506048A (ja) 飛行機機首の脚を飛行機牽引車によって収容する方法及び装置
CA2316078C (en) Improved mobile jaw vice for clamping and unclamping vehicles to and from a traction cable of a transport system
CN101624133A (zh) 重型积放悬挂输送机
CN103991460A (zh) 夹轨器与轨道行走机构
US11312286B2 (en) Interchang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changing load units
EP0056919B1 (fr) Télésiège ou télécabine à pinces débrayables
CN203902573U (zh) 夹轨器与轨道行走机构
JP5483022B2 (ja) 牽引車利用の台車式搬送装置
CN110924246A (zh) 钢轨运输车组及其作业方法
EP2207705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a rescue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it
US10611288B2 (en)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KR20140137045A (ko) 크레인용 철도차량 전도 방지장치
CN216190513U (zh) 一种具有防倾斜功能的防爆抓斗桥式起重机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US10370011B2 (en) Lifting system for rerailing a rail vehicle
US4785739A (en) Tracked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emergency car braking system
EP1832490A2 (en) Clamping system for carriers of an automatic cableway installation
CN204999125U (zh) 一种载货车及其载货装置
CN205114573U (zh) 一种低位装车装置
GB2516162A (en) A service vehicle for an aircraft
WO2018076833A1 (zh) 一种跨坐式多式联运互通系统
JPH0453741B2 (ko)
CN215663397U (zh) 一种可摘挂抱索器架空乘人装置座椅限位放行机构
JPS5811642Y2 (ja) 鉄道車両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