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522A -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 Google Patents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522A
KR20140136522A KR1020147029685A KR20147029685A KR20140136522A KR 20140136522 A KR20140136522 A KR 20140136522A KR 1020147029685 A KR1020147029685 A KR 1020147029685A KR 20147029685 A KR20147029685 A KR 20147029685A KR 20140136522 A KR20140136522 A KR 2014013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ignition
cam follower
flexible shaft
actuation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624B1 (ko
Inventor
카즈히사 오츠키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3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2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9Cam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사용하는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모터의 회전을 조작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래크와 피니언 기어, 볼 스크류, 볼 너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작부를 컴팩트하게 하기 어렵다.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는 모터, 기어박스 및 회전전동 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2),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렉시블 샤프트(3), 및 차량의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 조작하기 위해 플렉시블 샤프트(3)의 선단부에 장착된 조작부(4)를 포함한다. 조작부는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하는 가압 버튼(5) 및 플렉시블 샤프트의 회전을 가압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구로서의 캠(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Actuator for ignition operation}
본 발명은 샤시 다이나모미터(chassis dynamometer)에 의해 차량의 주행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어 이그니션 조작을 실시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는 회전식 이그니션을 회전 가능하게 조작하는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 액튜에이터(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하여 조작하는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은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0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01)는 모터, 기어박스, 회전전동 커플링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02), 구동부(1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렉시블 샤프트(103), 플렉시블 샤프트(103)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이그니션키(105)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104), 및 구동부(102)를 핸들(106)에 부착하는 척킹 부재(107)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4)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108a, 108b)을 갖는 U형 키고정 부재(108)를 포함한다. 이그니션키(105)의 일단부는 한 쌍의 편(108a, 108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한 쌍의 편(108a, 108b) 중의 하나의 편(108a)을 통해 나사결합된 세트 나사(set screw)(109)에 의해 다른 편(108b)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이그니션키(104)가 편(108a, 108b)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이그니션키(105)는 구동부(102) 및 플렉시블 샤프트(103)에 의해 회전되므로 이그니션 조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조작 버튼으로 가압식(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 조작하는 타입이다.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로서는 운동 변환 기구를 통하여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의 회전을 조작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여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 조작하는 타입과,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여 조작 버튼을 가압 조작하는 타입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 5-157666호 일본특허공개 제 2004-87140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드러내었다.
(1) 구동원으로서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컴프레서, 배관, 전자밸브, 전자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전기회로 등을 필요로 하여 비용을 증가시킨다.
(2)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사용하는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모터의 회전을 변환시키기 위한 운동 변환 기구 내에 래크와 피니언 기어, 볼 스크류, 볼 너트 등을 사용한다. 래크와 피니언 기어, 볼 스크류, 볼 너트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의 조작부의 길이 및 크기가 증가한다. 따라서 차량에 따라서는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차량에 장착될 수 없다(차량에 따라서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핸들의 뒤에 장착되며, 이런 경우에 액튜에이터는 지나치게 길어서 핸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없다.
(3) 전술한 종래의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01)는 척킹 부재(107)에 의해 핸들(106)에 장착되기 때문에, 핸들(106)의 유격 때문에 조작부(104)의 중심점과 이그니션 버튼의 중심점 사이의 어긋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4) 전술한 종래의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단지 이그니션키를 회전 조작하는 이그니션키 전용의 액튜에이터로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는 단지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조작하는 가압식 이그니션 전용의 액튜에이터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를 사용하여 푸시 타입 이그니션키를 조작할 수 없으며, 역으로 푸시 타입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를 사용하여 회전식 이그니션키를 가압할 수 없다. 상기 이유 때문에, 회전식 이그니션(이그니션키) 및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액튜에이터, 즉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및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5)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에서는 종래의 회전식 이그니션 및 푸시 타입 스타트 버튼과는 다른 푸시 타입 이그니션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액튜에이터가 푸시 타입 이그니션키 및 푸시 타입 스타트 버튼 중의 하나용으로만 사용되는 타입이라면, 차량을 시험하고 바뀔 때마다 전체 액튜에이터를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험 효율이 나쁘게 된다.
본 발명은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사용하여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모터의 회전을 가압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여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 조작하는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로서, 캠을 운동 변환 기구에 사용하여 이그니션용 조작부를 간소화하는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게다가 본 발명은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의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렉시블 샤프트를 공유하고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의 조작부를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의 조작부와 교체함으로써 전술한 회전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를 가압식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로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모터 및 회전전동 커플링(회전이송 커플링: rotation transmission coupling)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플렉시블 샤프트; 및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하는 가압 버튼, 및 플렉시블 샤프트의 회전을 가압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운동변환기구(motion conversion mechanism)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가압 버튼의 배면측에 배치된 캠결합부를 가압하도록 플렉시블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상기 캠은 캠결합부와 접촉하여 캠결합부를 가압하는 캠폴로워(cam follower)를 구비하는, 제 1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르면, 상기 캠폴로워는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제 1 캠폴로워, 및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제 2 캠폴로워로 구성되는, 제 2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르면, 상기 캠결합부가 캠폴로워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해제될 때 가압 버튼을 되돌리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제 2 관점 및 제 3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르면, 상기 캠결합부는 제 1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1 캠폴로워에 대항하는 제 1 캠결합면, 및 제 2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2 캠폴로워에 대향하는 제 2 캠결합면을 포함하며, 제 1 캠결합면 및 제 2 캠결합면은 각각 제 1 캠결합면과 제 2 캠결합면 사이의 경계의 중앙부로부터 캠결합부의 일 측부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상에서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경사면이 해당 캠폴로워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4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차량 시트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에 아암을 통하여 장착되는, 제 1 관점 내지 제 5 관점 중의 한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차량 시트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에 아암 및 고정구를 통하여 장착되는, 제 1 관점 내지 제 5 관점 중의 한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흡착컵에 의해 차량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 1 관점 내지 제 5 관점 중의 한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1) 제 1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을 가압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운동변환기구에 캠이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운동변환기구가 래크와 피니언 기어, 볼 스크류, 볼 너트 등을 사용하는 종래의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와 비교하여 조작부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조작부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2) 제 2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캠은 캠폴로워를 구비하며, 가압 버튼의 배면측에 배치된 캠결합부는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된다. 이런 구조에 의해 캠폴로워가 회전하여 캠결합부상에서 슬라이드하여 캠결합부를 가압한다.
(3) 제 3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캠폴로워는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의 일측 단부상에 배치된 제 1 캠폴로워, 및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의 타측 단부상에 배치된 제 2 캠폴로워를 포함한다. 이 구조에 의해, 캠폴로워 중의 하나는 캠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캠결합부를 가압할 수 있고, 캠폴로워 중의 다른 캠폴로워는 캠을 다른 방향 회전(캠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캠결합부를 가압할 수 있다.
(4) 제 4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캠결합부가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부터 해제될 때, 가압 버튼은 푸시 타입 이그니션이 가압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이그니션 가압 해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다.
(5) 제 5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캠결합부는 제 1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1 캠폴로워에 대항햐는 제 1 캠결합면, 및 제 2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2 캠폴로워에 대향하는 제 2 캠결합면을 포함하며, 제 1 캠결합면 및 제 2 캠결합면은 각각 제 1 캠결합면과 제 2 캠결합면 사이의 경계의 중앙부로부터 캠결합부의 측부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상에서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경사면이 해당 캠폴로워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스프링에 의한 가압 버튼의 복귀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6) 제 6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조작부는 차량 시트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에 아암을 통해 장착된다. 이 구조에 의해, 핸들에 유격이 있더라도 가압 버튼의 가압 중심점이 어긋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7) 제 7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조작부는 차량의 시트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의 아암 및 고정구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8) 제 8 관점에서 설명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조작부는 자유 안내 아암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흡착컵에 의해 차량의 내측면에 흡착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2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의 조작부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3은 조작부의 조작 버튼의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4는 조작 버튼의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5는 조작 버턴의 캠결합부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6은 조작부의 캠의 장착 상태와 조작부의 복귀 코일 스프링의 신장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7은 캠의 장착 상태와 복귀 코일 스프링의 압축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8은 조작부와 플렉시블 샤프트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9는 흡착컵을 사용하여 차체의 내측면에 조작부가 고정된 경우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10은 회전식 조작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회전식 조작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종래의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회전식 조작부의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다.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는 모터, 기어박스 및 회전전동 커플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동부(2), 구동부(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렉시블 샤프트(3), 및 플렉시블 샤프트(3)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가압식 이그니션(117)(도 2 참조)를 가압 조작하도록 구성된 조작부(4)를 포함한다.
구동부(2) 및 조작부(4)는 구동 로봇(도시하지 않음)을 차량의 시트(1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111)에 장착되어 가압력이 가해지는 이그니션(117)의 중심점과의 오정렬을 억제하는데, 이 오정렬은 핸들(112)의 유격 때문에 생긴다.
조작부(4)는 유니버셜 죠인트(113)를 통하여 자유 가이드 아암(114)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자유 가이드 아암(114)의 기단부는 클램프(115)에 의해 고정 프레임(111)에 마련된 클램프 레버(116)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4)는 후술하는 조작 버튼(가압 버튼)(5)이 가압식 이그니션(117)와 대향된 상태에서 자유 가이드 아암(114)을 통하여 장착된다. 시트의 진동 때문에 가압 버튼(5)의 중심이 이그니션(117)의 중심과 어긋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고정구(118)가 이그니션(117) 주위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에 끼워지거나 또는 그 외의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조작부(4)가 이그니션(117)의 중심을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조작부(4)의 단면도다. 도 3은 가압식 이그니션(117)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된 위치로 후퇴 이동된 조작 버튼(5)을 보여준다. 도 4는 돌출되어 가압식 이그니션(117)이 가압된 위치로 이동된 조작 버튼(5)을 보여준다.
조작부(4)는 조작 버튼(5), 조작 버튼(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홀더(6), 조작 버튼(5)을 가압하여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돌출하게 하는 캠(7), 및 캠(7)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될 때 조작 버튼(5)을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8)을 포함한다. 스프링(8)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이지만, 그 외의 다른 스프링 부재도 될 수 있다.
조작 버튼(5)은 가압식 이그니션(117)을 가압하는 버튼몸체(11), 일단부에 버튼몸체(11)가 장착되는 로드(12), 및 로드(12)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캠(7)에 의해 가압되는 캠 결합부(13)를 포함한다.
홀더(6)는 일단측이 버튼몸체(11)를 수용하는 버튼몸체 수용부(14), 중앙에 스러스트 베어링(15)을 통하여 로드(1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드 지지부(16), 및 타단측이 캠(7)을 수용하는 캠 수용부(17)를 갖는다.
캠(7)은 일반적인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회전 샤프트(21)에 장착되고 양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캠폴로워(22, 23)가 장착된다. 캠폴로워(22, 23) 중의 하나는 캠결합부(13)를 가압한다.
캠결합부(13)는 제 1 캠폴로워(22)와 대향 배치되는 제 1 캠결합면(24) 및 제 2 캠폴로워(23)와 대향 배치되는 제 2 캠결합면(25)을 포함한다. 제 1 캠결합면(24)은 제 1 캠폴로워(22)에 의해 가압된다. 제 2 캠결합면(25)은 제 2 캠폴로워(23)에 의해 가압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결합면(24) 및 제 2 캠결합면(25)의 각각은 제 1 캠결합면(24)과 제 2 캠결합면(25) 사이의 경계의 중앙부로부터 캠결합부(13)의 측부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상에서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경사면이 해당 캠폴로워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로드(12)의 구조, 로드(12)를 버튼몸체(11)에 장착하는 방법, 및 캠결합부(13)를 로드(12)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버튼몸체(11)는 로드(12)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로드 장착공(26), 및 로드 장착공(26)의 일단부와 연통되는 스프링 수용공(27)을 포함한다. 스프링 수용공(27)은 로드 장착공(2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로드(12)는 제 1 축부(31), 제 1 축부(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축부(32), 제 2 축부(32)에 형성된 볼트 수용공(33) 속에 삽입되는 볼트(34), 및 캠결합부(13)를 너트(35)와 제 2 축부(32) 사이에 끼우도록 볼트(34)의 헤드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35)를 포함한다.
제 1 축부(31)의 선단부는 로드 장착공(26)에 부착된다. 또한 제 1 축부(31)의 중앙부에는 플랜지(3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6)와 코일스프링 수용공(27)의 바닥면 사이에는 버튼몸체(11)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할 때 버튼몸체(11)가 해제 운동하도록 압축되는 스프링(37)이 배치된다. 참조 번호 38은 볼트(39)에 의해 버튼몸체(11)의 배면측에 부착된 링형 부재를 지시한다. 링형 부재(38)는 플랜지(36)가 접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홀더(6)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5) 및 로드 지지부(16)를 관통하는 조작버튼 회전방지핀(41)이 부착되어 있다. 조작버튼 회전방지핀(41)은 제 2 축부(32)에 형성된 슬릿 속에 삽입된다. 이 조작버튼 회전방지핀(41)은 로드(12) 및 버튼몸체(11)의 회전을 저지하며, 로드(12) 및 버튼몸체(11)가 선형으로 움직이게 한다. 스프링(8)이 조작버튼 회전방지핀(41)과 볼트(34)의 헤드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샤프트(3)의 선단부(3a)는 홀더(6)의 하측면에 배치된 어댑터(42)에 고정 볼트(43)에 의해 연결된다. 플렉시블 샤프트(3)의 회전은 회전전동기구(44)를 통하여 캠(7)의 회전축(21)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결합부(13)가 캠(7)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캠결합부(13)는 가압식 이그니션(117)이 조작 버튼(5)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으로부터 해제된 상태에 있도록 스프링(8)에 의해 뒤로 밀린다. 캠(7)이 이 상태로부터 구동부(2)에 의해 플렉시블 샤프트(3)를 통해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었을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5)이 돌출하여 가압식 이그니션(117)을 가압 조작하도록 제 1 캠폴로워(22)에 의해 캠결합부(13)의 제 1 캠결합면(24)이 가압된다.
한편, 캠(7)이 구동부(2)에 의해 플렉시블 샤프트(3)를 통해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었을 때, 조작 버튼(5)이 돌출하여 가압식 이그니션(117)을 가압 조작하도록 캠결합부(13)의 제 2 캠결합면(25)이 제 2 캠폴로워(23)에 의해 가압된다.
조작 버튼(5)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으로부터 가압식 이그니션(117)을 해제할 때에는 캠(7)은 캠결합부(13)가 거기에 가해진 가압력으로부터 해제되도록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캠결합부(13)가 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해 뒤로 밀리므로 가압식 이그니션(117)이 조작 버튼(5)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9는 조작부(4)를 자유 가이드 아암(114)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내측면(119)에 고정하는 방법의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부(4)가 단지 자유 가이드 아암(117)만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조작부(4)가 고정구(118)에 의해 차량의 내측면(119)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고정구(118)를 이용하여 조작부(4)를 고정하는 경우, 조작부(4)는 대시보드 같은 차량의 내측면(119)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자유 가이드 아암(119)이 필요하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컵(50)을 사용하여 조작부(4)가 차량의 내측면(119)에 견고히 흡착되고, 자유 가이드 아암(114)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작 버튼(5)의 중심이 가압력이 인가되는 이그니션(117)의 중심과 일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전술한 회전식 이그니션을 조작하는 회전식 조작부(51)를 보여준다. 회전식 조작부(5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52a, 52b)을 갖는 U형상 키고정부재(52)를 포함한다. 이그니션키(도시하지 않음)의 단부는 한 쌍의 편(52a, 52b) 사이의 공간 속에 삽입되어 있다. 하나의 편(52a)에 나사 결합된 나비 나사(53) 및 하나의 편(52a)에 설치된 판스프링(54)이 상호 작용하여 다른 편(52b)측에 대하여 이그니션키를 가압하므로 이그니션키가 한 쌍의 편(52a, 52b) 사이에 개재되어 유지된다.
키고정부재(52)는 그 일측면에 어댑터(55)를 갖는다. 플렉시블 샤프트(3)의 선단부(3a)는 어댑터(55) 속에 삽입되어 고정 나사(56)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키고정부재(52)는 플렉시블 샤프트(3)의 선단부(3a)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식 조작부(51) 및 이그니션키가 플렉시블 샤프트(3)에 의해 회전하여 이그니션의 온오프 조작을 실시한다.
따라서, 가압식 조작부(4) 및 회전식 조작부(51)가 마련되는 경우, 가압식 조작부(4) 대신에 회전식 조작부(51)를 플렉시블 샤프트(3)의 선단부(3a)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회전식 이그니션용 이그니션키를 조작하기 위해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도 사용할 수 있다.
1 :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2 : 구동부
3 : 플렉시블 샤프트 4 : 조작부
5 : 조작 버튼 6 : 홀더
7 : 캠 8 : 스프링
13 : 캠결합부 21 : 캠의 회전축
22 : 제 1 캠폴로워 23 : 제 2 캠폴로워
24 : 제 1 캠결합부 25 : 제 2 캠결합부

Claims (8)

  1. 모터 및 회전전동 커플링을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플렉시블 샤프트; 및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푸시 타입 이그니션을 가압하는 가압 버튼, 및 플렉시블 샤프트의 회전을 가압 버튼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운동변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가압 버튼의 배면측에 배치된 캠결합부를 가압하도록 플렉시블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캠결합부와 접촉하여 캠결합부를 가압하는 캠폴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폴로워는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제 1 캠폴로워 및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제 2 캠폴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결합부가 캠폴로워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해제될 때 가압 버튼을 되돌리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결합부는 제 1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1 캠폴로워에 대항하는 제 1 캠결합면, 및 제 2 캠폴로워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2 캠폴로워에 대향하는 제 2 캠결합면을 구비하며, 제 1 캠결합면 및 제 2 캠결합면은 각각 제 1 캠결합면과 제 2 캠결합면 사이의 경계의 중앙부로부터 캠결합부의 측부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상에서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경사면이 해당 캠폴로워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차량 시트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에 아암을 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차량 시트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에 아암 및 고정구를 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흡착컵에 의해 차량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KR1020147029685A 2012-04-27 2013-03-21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KR101532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2064A JP5556847B2 (ja) 2012-04-27 2012-04-27 イグニッション操作用アクチュエータ
JPJP-P-2012-102064 2012-04-27
PCT/JP2013/058096 WO2013161461A1 (ja) 2012-04-27 2013-03-21 イグニッション操作用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522A true KR20140136522A (ko) 2014-11-28
KR101532624B1 KR101532624B1 (ko) 2015-06-30

Family

ID=4948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685A KR101532624B1 (ko) 2012-04-27 2013-03-21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99539B2 (ko)
JP (1) JP5556847B2 (ko)
KR (1) KR101532624B1 (ko)
CN (1) CN104254765B (ko)
WO (1) WO2013161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1611B2 (ja) * 2018-07-23 2022-02-17 株式会社明電舎 イグニッション操作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11474002B2 (en) 2019-03-25 2022-10-18 Meidensha Corporation Vehicle automated driving device for mounting a pedal actuator
US11448569B2 (en) 2019-03-25 2022-09-20 Meidensha Corporation Transmission actuator attachment structure of vehicle automatic driving device
US11453350B2 (en) 2019-03-25 2022-09-27 Meidensh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automatic vehicle driving device
JP6733851B1 (ja) 2019-03-25 2020-08-05 株式会社明電舎 車両自動運転装置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アクチュエータ支持構造
WO2020196262A1 (ja) 2019-03-25 2020-10-01 株式会社明電舎 車両自動運転装置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アクチュエータ取付構造
US11440404B2 (en) 2019-03-25 2022-09-13 Meidensha Corporation Pedal actuator of vehicle automated dri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6889A (en) * 1923-03-29 1925-10-13 Wright William Bruce Means for cleaning, scaling, or chipping surfaces
US1588832A (en) * 1924-02-21 1926-06-15 Donald B Young Automatically-operated reciprocating tool
US1832732A (en) * 1930-04-15 1931-11-17 Walter S Dawson Riveting machine
US2029326A (en) * 1934-08-06 1936-02-04 Lembke Halford Combination power tool
US2087018A (en) * 1936-04-27 1937-07-13 Leonard F Carter Electric reciprocating hand tool
US2121831A (en) * 1936-09-04 1938-06-28 Ruth D Simmons Tool-actuating apparatus
US2113084A (en) * 1937-11-23 1938-04-05 John F Hewitt Hammer
US2317158A (en) * 1941-07-09 1943-04-20 Miles R Westover Flexible shaft hammer
US2525922A (en) * 1945-05-05 1950-10-17 Blackhawk Mfg Co Rotary-reciprocating motion converter
US2884842A (en) * 1954-11-03 1959-05-05 Richard P Schmitz Post hole tamper
US3152942A (en) * 1962-02-08 1964-10-13 John R Horton Stitching head assembly for repairing tires
AT258650B (de) * 1965-02-20 1967-12-11 Bosch Gmbh Robert Stirnnockengetriebe, insbesondere für Kraftstoffeinspritzpumpen
GB1099639A (en) * 1966-01-19 1968-01-17 Marconi Instrumen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ecision electronic circuit tuning device incorporating rotary cam and spring loaded follower devices
US3449967A (en) * 1967-07-17 1969-06-17 Joseph J Dancsik Profiling machine
JPH065602Y2 (ja) * 1989-11-07 1994-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グニッションキーの駆動装置
JP2613517B2 (ja) 1991-12-07 1997-05-28 株式会社堀場製作所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上の自動車運転用ロボット
JP4099017B2 (ja) 2002-08-22 2008-06-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押しボタン式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SE525578C2 (sv) * 2003-12-30 2005-03-15 Jan Norrman Reglageanordning för ett motorfordon
JP4776591B2 (ja) * 2007-07-06 2011-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動式過電流継電器およびその電調方法
JP5056421B2 (ja) * 2008-01-10 2012-10-24 株式会社明電舎 車両のスタータボタン操作装置
JP2009233844A (ja) * 2008-03-06 2009-10-15 Pascal Engineering Corp ワークパレット着脱システム
US8542092B2 (en) * 2009-01-29 2013-09-24 Trw Automotive U.S. Llc Keyless-go ignition switch with fault back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6847B2 (ja) 2014-07-23
CN104254765B (zh) 2016-03-16
JP2013228344A (ja) 2013-11-07
KR101532624B1 (ko) 2015-06-30
US9599539B2 (en) 2017-03-21
WO2013161461A1 (ja) 2013-10-31
US20150053026A1 (en) 2015-02-26
CN104254765A (zh)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624B1 (ko) 이그니션 조작용 액튜에이터
US9428169B2 (en) Electric brake booster
KR101331783B1 (ko) 주차기능을 갖는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EP2687743B1 (en) Caliper parking brake
US9364942B2 (en) Quick release socket attachment for impact wrench
KR101226037B1 (ko) 자동차 부품의 위치 고정용 전동 클램핑 장치
KR20110101161A (ko)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CN108027626B (zh) 具有致动阻尼的踏板装置
CN104100660A (zh) 使用具有力辅助杆的电马达的干式双离合变速器促动系统
CN211969570U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CN101623880B (zh) 操作头
JP6400965B2 (ja) ダンパ
US8397881B2 (en) Parking brake apparatus
KR100910652B1 (ko) 차량용 클러치
CN220378753U (zh) 一种电控离合执行机构
JP7021611B2 (ja) イグニッション操作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EP4298355A1 (en) Actuator system
CN116136238A (zh) 用于车辆的制动设备
KR102589014B1 (ko)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보조 시스템
US7526990B2 (en) Contact safety device
KR20230174152A (ko) 주차 액츄에이터 및 주차 시스템
KR20230133637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CN102777515A (zh) 电子机械盘式制动设备
WO2019009423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8213624A (ja) 操作機構および操作機構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